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혜진의 String Quartet 분석 연구

        박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논문은 박혜진의 String Quartet(2002)에 대한 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String Quartet의 형식구조와 선율, 리듬, 음색 등의 특징을 살펴보고 각 악장에서 나타나는 독립적이고 개별적인 특징과 전체의 곡을 하나로 묶어주는 통일적인 요소가 무엇인가 알아보는 데 있다. 이 곡은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주제 선율이나 음정 구조의 발전에 중점을 두어 작곡되었다. 제 1악장은 A-B-C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동일한 주제 선율을 소재로 하여 각 부분을 다르게 전개하였고, 제 2악장은 단 2도 음정이 어떠한 화성어법으로 쓰여 졌는가에 따라서 A-B-A'로 구성되었으며, 마지막 제 3악장은 A-B-A'-C-A의 고전적인 론도형식의 구조를 가지며, 각 악장은 주제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세 악장에 단 2도와 증 4도의 구성을 주제 선율이나 음정에 공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곡 전체에 걸쳐 통일성을 부여하였다. This thesis is an analytical study of the String Quartet(2002) by Hae-Jin Park. The purpose of this writing is to examine the formal structure, melody, rhythm, and timbre of the work, as well as to find out uniform element that binds the individual and independent characteristic in each movement with the entire piece as a whole. This piece consists of three movements. all the movements were composed, which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the theme melody and interval. The first movement shows the A-B-C structure but the theme melody varies through in each part. The second movement is written in the A-B-A' structure, depending on the harmony of the minor second. The third movement follows the classical rondo form of A-B-A'-C-A, and all the movements maintain the unity of theme throughout the whole piece. In addition, minor second and augmented fourth were used in theme melody and interval of each movement in order to emphasize the unity.

      • 돼지고환 세포(ST)를 이용한 돼지 전염성 위장염(TGE) 백신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구

        박혜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돼지 전염성 위장염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TGE) 바이러스는 coronavirus group으로써 positive-sense single-strand된 28.6 kb RNA genome을 가진 다형태의 enveloped virus 이다. 현재 국내의전염성 소화기질환 중 유행성 설사를 일으키며 한 돈군에서 대부분의 돼지가 설사를 하고 전파속도가 빠르며 폭발적인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의 백신을 bioreactor에서 대량생산 시 단위세포 당 바이러스 생산성을 높이는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를 교환하지 않는 batch culture에서는 영양분의 고갈로 인한 숙주세포 성장 및 바이러스 증식이 저해된다. 이에 영양분의 고갈을 해결하기 위해 fed-batch culture를 수행하였다. 흔히 사용되는 glucose와 glutamine을 첨가하여 바이러스 생산성을 확인한 결과 glutamine을 0.125 g/L/6hr로 하여 첨가하였을 때 약 2.3배 바이러스 생산성이 증가하였다. 대사결과 축적되는 부산물의 제거와 영양물질을 첨가하기 위해 배양배지를 교환한 결과 세포성장은 물론 바이러스 생산성도 크게 증가하였다. 바이러스 생산성 향상을 위해 첨가한 glutamine은 세포 성장과 바이러스 생산에는 도움을 주지만 대사 결과 ammonium ion을 축척하여 toxic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런 ammonium ion의 생산을 줄이기 위해 glutamine대신 pyruvate를 첨가하거나 ammonium ion을 제거하기 위해 zeolite를 첨가하였다. glutamine, pyruvate, zeolite를 첨가하였을 때 바이러스 역가는 각각 1.6 × 107 pfu/mL, 1.36 × 10 7pfu/mL, 2.87 × 107 pfu/mL로 glutamine과 zeolite를 같이 첨가하였을 때가 바이러스 생산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ioreactor에서의 bubble에 의한 세포 파괴와 shear stress를 감소시키기 위해 배지에 surfactant인 pluronic F-68(PF-68)을 첨가한 결과 세포성장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바이러스 생산성 또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이 돼지 전염성 위장염 바이러스를 대량생산하기 위한 최적 조건을 확립한 후 bioreactor에서 세포성장과 바이러스 생산성을 확인하였다. TGE(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is caused by a virus belonging to coronavirus, that causes an acute infection of the small intestine of the pig. No drugs are effective against TGE virus in swine. Thus, treatment must be directed at the effects of the virus rather than at the virus itself. The optimum operation variables such as oxygen concentration, multiplicity of infection (MOI), infection time, and harvest time were investigated for the vaccine production by immobilized ST cells. And, the optimum operation strategy was searched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TGE virus vaccine in bioreactor. Three operation modes including batch, fed-batch, and perfusion were tried and their performances were evaluated in terms of final virus titer. In order to increase of TGE virus vaccine productivity, fed-batch culture addition of glutamine was tried. It was confirmed that TGE virus vaccine productivity was improved by 2.7 times. Perfusion processes offer the advantage of allowing to reach high cell densities and avoid limitations through continuous feed of fresh medium and dilution and removal of by-product inhibitor. Perfusion was tried at both cell growth phase and virus phase by medium exchange with specific intervals. However, the addition of glutamine resulted in the accumulation of ammonium ion, toxic waste metabolite. To overcome the dilemma of glutamine and ammonium ion, two methods were tried. The first trial was reduction of ammonium ion using the substitution of glutamine by pyruvate. Another trial was the removal of ammonium ion from the medium by using zeolite. Zeolite was added using dialysis membrane while providing additional glutamine. Two methods were evaluated by monitoring the kinetics of virus titer. TGE virus titer was reached to 1.36 × 107pfu/mL with strategy of substitution of glutamine by pyruvate, and 2.87 × 107pfu/mL with strategy of removal of ammonium ion. It was confirmed the strategy of removal of ammonium ion is more efficient than that of substitution of glutamine by pyruvate to increase TGE virus productivity. Two culture mode checked cell growth kinetics and TGE virus titer in bioreactor. Cell density after 3day cell culture was revealed 8.1 × 105cells/mL at batch culture and 1.36 × 106cells/mL at perfusion culture. TGE virus titer was revealed 1.25 × 106pfu/mL at batch culture and 8 × 106pfu/mL at perfusion culture.

      • 기계적 합금화법에 의해 제조된 Mg2Ni계 수소저장합금전극의 퇴화방지 및 전극수명 향상을 위한 전해액 개량에 관한 연구 : 朴慧珍

        박혜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Mg2Ni계 수소저장 합금은 높은 이론 용량(999mAh/g)과 값싼 원료 물질로 인해 Ni-MH 이차전지의 음극물질로 기대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러나 Mg2Ni 상의 가역적인 수소 흡․방출에는 고온/고압이 필요하므로, 상온에서의 전극 용량은 10 mAh/g 이하의 극히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알칼리 용액에서 쉽게 산화되어 빠른 퇴화 거동을 보이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Mg-Ni 간의 큰 융점차로 인하여, melting process로 제조 시 장시간의 균질화 처리를 요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전의 연구에서 기계적 합금화 공정을 적용하여 균일한 분포를 가지는 극미세 결정질의 Mg2Ni 상을 제조하는데 성공하였고, 전극 실험 결과 상온에서 별도의 활성화 처리 없이 초기용량에서 약 200mAh/g 에 이르는 방전 용량을 얻었다. 그러나, Mg의 빠른 산화에 의해 10cycle 이내에 전체 용량의 90% 이상을 잃는 매우 빠른 퇴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전극의 퇴화 현상을 방지하고 전극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극 표면을 기계적 방법으로 코팅을 시키거나 제 3원소를 치환하여 비정질화 또는 복합상 합금 개발의 연구 등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던 부식성이 강한 알칼리 용액을 개량하여 전극의 퇴화 거동을 방지하는 한편 전극의 수명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Mg2Ni 합금은 Mg와 Ni의 원소 분말을 Cr-Ni steel ball 과 함께, 볼 대 분말비 15:1 로 장입하여 150 rpm 의 속도로 120시간 milling 하였으며, milling 후 회수한 분말로 직경 1cm의 pellet 형태의 전극을 제조하였다. 전극실험은 백금을 대전극으로 Hg/HgO 전극을 기준전극으로 하여 반쪽 전지를 구성하였으며, 정전류 방법으로 전극 용량을 측정하였다. 전해액은 상용 Ni-MH 전지에 사용되고 있는 6M KOH ․1M LiOH 용액에 소량의 PdCl2 를 첨가하여 전해액을 구성하였으며, 첨가된 PdCl2의 농도는 0.00045M에서 0.0006M로 하였다. 전해액 안의 Pd이온들은 별도의 전처리 없이 충전과정동안 전극표면에 도금되어 전극 퇴화의 원인이라 알려진 Mg(OH)2 상의 생성을 억제함과 동시에 수소 흡장의 촉매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 개량된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를 Wheatstone brid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Pd이도금 된 이후의 Mg2Ni 전극의 수소 확산 계수를 Anodic polarization method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PdCl2이 첨가된 전해액의 이온전도도는 기존의 전해액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며, 전극 표면의 Pd 층도 Mg2Ni 전극 내부의 수소 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극 실험 중 충전 과정동안 전극 표면에 도금된 Pd층은 Mg(OH)2의 부동태 피막이 형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극의 수명도 향상 되었다. 기존의 Mg2Ni 합금의 경우 100 싸이클 이후에는 최대 방전 용량의 10% 밖에 유지를 못하지만, Pd이 도금된 전극의 경우, 100 싸이클 이후에도 초기용량의 50%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처럼 전극 표면에 도금된 Pd layer는 수소 흡장의 촉매 역할을 함으로써 초기 방전용량 증가 및 전극 수명 향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충전과정동안 전극 표면에 Pd층을 형성하여 공정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었으며, 싸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야기 될 수 있는 도금 층의 분쇄 현상을 전해액 속에 잔존하는 Pd 이온들이 다시 충전과정을 통해 보상함으로써 전극 수명 향상에 더욱 기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Mg2Ni type hydrogen storage alloys are one of the promising anode materials for Ni/MH secondary battery because of its large reversible discharge capacity, and low cost of the raw materials. In spite of these merits, it has been repoted that these alloys could absorb/desorb hydrogen at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 and they had very low discharge capacity less than 10mAh/g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the ingot melting process of these alloys required the homogenization treatment due to the large melting point difference between Mg and Ni. The Mg2Ni phase was prepared by mechanical alloying process showed large electrochemical discharge capacity at room temperature with no activation. However, its degradation in discharge capacity was so serious that about 80% of the maximum electrode capacity was lost within ten cycles, which preven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alloy. In this study, the rapid degradation mechanism of the mechanically alloyed nanocrystalline Mg2Ni electrode was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f the Pd ions on the cyclic stability of nanocrystalline Mg2Ni electrode in the KOH electrolyte were reported. Pure Mg and Ni powders were mixed to give the desired composition, and these starting materials were put into a sealed Cr-Ni steel vial under argon atmosphere with steel balls. Mechanical alloying were carried out with a ball to powder ratio of 15:1, using a planetary ball mill for 120hour at a milling speed 150rpm. The MAed powders were cold pressed into a pellet 10mm in diameter under a pressure of 5.0 ton/㎠. The electrochemical cycle tests were conducted in a half cell. The PdCl2 was added to the electrolyte, of which original composition was 6M KOH and 1M LiOH․H2O. The modified electrolyte contained Pd ranging from 0.00045M to and 0.0006M. It was found that the Pd ions were deposited on the Mg2Ni electrode continuously during the charge step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modified electrolyte was measured ,using wheatstone bridge at 25℃ and the hydrogen diffusivity of the Pd deposited Mg2Ni electrode was calculated by anodic polrization method.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in the modified electrolyte was examined through X-ray diffraction(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he ionic conductivity of the modified electrolyte was similar to that of the original electrolyte, and the deposited Pd layer did not affect the hydrogen diffusion. The formation of Mg(OH)2 layer was retarded effectively, and this enhanced the cyclic stability and rate capability of the nanocrystalline Mg2Ni electrode in the Pd added electrolyte.

      • Chemical Study of a Marine Sponge Psammocinia sp.

        박혜진 부산대학교 약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bioactive metabolites from a marine sponge collected from off the coast of Ulleung Island, significant activity was noticed in the crude extract of a marine sponge Psammocinia sp. Guided by brine shrimp lethality and 1H-NMR monitoring, five sterols (1-5), two furanoterpenoids (5-6), and a cyclitol derivative (8) were isolated. Among these compounds, three sterols (1-3) were new compounds. The gross structure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NMR and MS analyses 2001 년 10 월 한국의 울릉도 해역에서 채집한 각질해면 Psammocinia sp.로부터 유의성 있는 세포독성이 검출되었다. Brine shrimp lethality 를 이용한 screening 을 통해 세포독성 성분의 분리 및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5 종의 sterol과 2 종의 furanoterpenoids 계의 물질, 1 종의 cyclitol derivative 를 분리하였다. 이 중 3 종의 sterol 은 새로운 구조의 물질로 밝혀졌고, 2 종의 sterol 과 2 종의 furanosesterpene 과 1 종의 cyclitol derivative 는 기지물질로 밝혀졌다. 이들의 구조는 NMR, MASS spectrometry 등을 이용하여 밝혔다.

      • Fully R2R Gravure Printed NFC tag for the Application in Smart Packaging

        박혜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Current Si-based technology can’t simultaneously satisfy the two crucial requirements of disposable electronic devices: functional versatility and low production cost. To meet those requirements, a roll-to-roll (R2R) gravure has been considered as an attractive additive manufacturing method that satisfies both functionality and cost considerations through high-throughput production. However, this R2R technology has remained nascent for over a decade due to the lack of printing systems including printer, inks and device design, capable of integrating multiple thin film transistors (TFTs) with narrow variation of threshold voltages and low-power consumption. Herein we have developed 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SWCNT) ink and an n-doping ink with branched poly(ethylene imine) and TiO2 nanoparticles that allow for the conversion of p-type SWCNT-based TFTs into n-type SWCNT based TFTs through an all-R2R gravure printing method.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fabricate the fully printed CMOS ring oscillator circuit. Based on this printed CMOS ring oscillator, we have developed printed 1 bit NFC QR code label combined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echnology and 4 bit code generator tags combined with printed logic gate circuit. For a purpose of anti-counterfeiting system, herein we suggested and fabricated the NFC signal activated QR code label tags with a designed frequency (0.1 to 30 Hz) via smartphone tagging. The R2R gravure printed CMOS ring oscillator (p- nad ntype SWCNT-TFTs with an mobility of 0.023±0.12 cm2/Vs and ON-OFF ratio of 102) was integrated with a rectenna with a commercial Si based capacitor (100 μF/cm2). This was then combined with a printed signage to complete the inexpensive NFC QR code label aimed at being employed to prevent counterfeit products. Furthermore, we developed fully printed 4 bit cod generator tags based on printed CMOS ring oscillator though R2R gravure printing method with high printing speed (~6 m/min). To generate the 4 bit digital signal, we utilized only 22 of the p-type TFTs and 22 of the n-type TFTs. Since this low-bit code is enabled by a low DC voltage (10 V DC), wireless 4 bit code related sensor can be developed by utilizing a rectified DC power, rectified from a NFC carrier signal from user’s smartphone.

      • '-어지다'의 의미 기능 연구

        박혜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지다’의 문법 범주적 기능에 대하여 고찰하고 ‘-어지다’의 기본적인 기능과 그 기능에서 파생되는 여러 의미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간의 많은 연구에서 ‘-어지다’가 태, 상, 양태 등 각각의 문법 범주에서 독립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본고에서는 ‘-어지다’의 다양한 의미와 기능이 독립적인 것이 아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어지다’의 기본 기능이 ‘피동’에 있음을 밝히고, ‘-어지다’의 상, 양태 의미가 ‘-어지다’의 ‘피동’의 기능에서 파생된 것임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때, ‘-어지다’의 의미 기능을 [의도 없음]으로 설정하고, 이로부터 ‘피동’, ‘상태변화’, ‘무의도’, ‘가능 또는 능력’의 문법 범주적 기능이 발달하였다고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어지다’가 나타내는 기능이 무엇인지 밝히기 전, ‘-어지다’에 관련된 범주인 ‘태’가 한국어에서 어떤 체계를 이루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어에서 ‘피동’의 실현 형식이 무엇인지, 그리고 ‘피동’의 기능이 무엇인지 논하여 ‘-어지다’의 범주 논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말뭉치 자료(신문, 소설·수필, 강의·강연, 일상 대화)와 ‘-어지다’출현 구문을 분석하여 ‘-어지다’의 분포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크게 전체 말뭉치에 대하여‘-어지다’에 선행하는 용언의 분포와 특징에 대해서 논의한 후, ‘-어지다’ 선행 용언을 자동사, 타동사, 형용사로 나누어 각각의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4장에서는 ‘-어지다’가 가지는 의미 기능을 크게 ‘피동’, ‘상태변화’, ‘무의도’, ‘가능 또는 능력’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또한, 다른 선행 연구에서 제시되었던 ‘의외성’ 등의 의미에 대해서도 논의하여 ‘-어지다’가 가지는 문법 범주적 기능을 전반적으로 다루었다. 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논의한 ‘-어지다’의 기능을 종합하였고, ‘-어지다’의 여러 문법 범주적 기능을 아우르는 ‘-어지다’의 중심 의미로서 [의도 없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어지다’의 기본 문법 기능을 ‘피동’으로 보아 ‘상태변화’, ‘무의도’, ‘가능/능력’의 기능이 중심 의미 기능인 [의도 없음], 기본 기능인 ‘피동’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6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illustrate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the Korean auxiliary verb clause ‘-eojida’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grammatical function and the other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dependently on the basis of grammar categories such as 'voice’, 'aspect' and 'modality', various functions of '-eojida' are not independent but are organically connect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basic grammatical function of '-eojida' is 'passive' and that the grammtical functions of '-eojida' are derived from the semantic function of '-eojida'. In this case, it was suggested that the semantic function of '-eojida' was set to [Unintended] and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eojida’ are derived from the semantic function. The contents of each chapter are as below: In Chapter 1, we refer to the purpose, the object, and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Also, there is reviews of previous study of ‘-eojida’. In Chapter 2, it was discussed what are the functions of passive voice and how Korean passive voice has been composed. Particular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iscussion of '-eojida' was discussed by categorizing the form of 'passive' in Korean and suggesting the grammatical,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 of 'passive'. In chapter 3, the distributional features of ‘-eojida’ were researched by analyzing the corpus data. We analyze both written and spoken corpus to examine the usage of ‘-eojida’. In Chapter4,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eojida’ were researched and investigated. The grammatical functions of ‘-eojida’ are divided into ‘passive’, ‘fientive’, ‘unintentional’, ‘possibility’ and ‘ability’. In Chapter 5, we summarize the functions of '-eojida' discussed in Chapters 3 and 4 and presented [Unintended] as the central semantic function of '-eojida' that encompasses various grammatical functions of '-eojida'. In Chapter 6, after summing up all the preceeding discussion, the remaining task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mentioned.

      • 노후건축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BIM기반 역설계 조사방안

        박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uilding safety inspection for building maintenance is regularly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rchitecture of the whole building for more than 30 years of inventory is 33.4%. This is higher level among developed country. Building safety inspection and safety checks should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to prevent the spread of poor housing and improvements to old buildings. However, the safety assessment is being conducted by a private company for the bidding. Due to the personal and subjective judgment, Perfunctory Checklis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results of building safety inspectio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rrect safety inspection carried out because a lot of time, money and skills required to scrutin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building safety inspection are needed to manage the system for the entire building life cycle to produce a Integrated Information sh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xisting processes and proposed safety research method developed BIM-based reverse engineering technology using a laser scanner. The experiment was selected for old buildings. Among the building safety inspection items were set how to select an item in the appearance item and experimental research investigation. This was carried out BIM-based reverse engineering using a laser scanner. We carried out the measurements and shop drawing analyzed the applicability.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77.8% of the items in the visual inspection when structural stability evaluation was possible to improve building safety. Therefore compared to conventional inspection methods and safety inspection BIM-based reverse engineering method using a laser scanner has proposed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and propose improvements. It will be able to be utilized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plans in the future to maintain and building safety inspec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safety assessment and safety inspection automation system implementation.

      •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교육이 중학교 학습자의 문법 학습 효과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어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의사소통 능력이라 함은 언어의 유창성뿐만 아니라 정확성까지 포함한다.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의사소통 능력뿐만 아니라 유창성과 정확성의 균형 있는 발달을 추구하여 문법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설명과 암기위주의 단순하고 수동적인 문법 교육은 문법 지식의 습득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도움을 준다는 생각보다 오히려 문법 학습이 지루하며 재미없는 분야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어 학습자들이 문법 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수업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제 7차 교육과정은 유창성과 정확성을 동시에 기를 수 있도록 학습 경험과 활동을 극대화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교실에 도입하는 과제와 활동은 실제 의사소통과 유사하거나 실제 의사소통 상황이 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무엇보다도 수업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창의성과 기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교사가 수업에서 시청각 자료 및 멀티미디어를 적절하게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한 학습자가 어렵고 지루하다고 느끼기 쉬운 영어 문법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교사는 다양한 수업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과업을 수행하면서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문법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자료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학습자들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 방안을 개발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여,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학습이 학습자의 영어 문법 능력과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학습자 140명을 대상으로 총 12차시의 문법 수업을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70명에게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 70명에게는 전통적인 방법의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 모두 12주 후에 문법 능력이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의 향상도는 유의미한데 반해 통제집단의 향상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실험집단에게 적용하였던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이 학생들의 영어 학습 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 하위집단이 상위집단에 비해 문법 능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실험집단의 하위집단이 가장 큰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실험·통제집단의 영어 문법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측면 변화를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대중매체를 활용한 문법 수업이 학습자들의 영어 전반 및 영어 문법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동기유발에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실험집단의 변화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통제집단의 상·하위 수준별 집단의 태도 조사 분석 결과, 실험 이후에 두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하위집단이 영어 문법 및 영어 학습의 정의적 측면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후 심화설문조사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를 대상으로 한 심화 인터뷰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팝송과 광고에 비해 영화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영화가 영상과 음성을 통해 종합적으로 의사소통의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문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심화 인터뷰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은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학습을 통해 문법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갖게 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문법에 대한 막연함을 줄일 수 있었으며 문맥을 통해 쉽게 문법에 접근할 수 있었다고 응답함으로써 대중매체 활용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통제집단 학생들은 영어 문법에 대한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수업이 지루하여 흥미를 갖지 못하여 영어 전반에 대해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실험집단에 대한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수업진행 담당교사의 관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가 강하게 유발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통제집단은 대체로 수업을 지루해하거나 흥미를 갖지 못하여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이 되지 않았으며 문법 설명을 어려워하여 수업참여도가 낮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영어 문법 수업이 영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지루해하고 어려워하는 문법 학습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대중매체가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통합적 학습의 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도록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종합적으로 개발한다면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ultimate aim of English education is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e which includes not only language fluency but also language accuracy. The 7th curriculum, as student-centered curriculum for the expansion of autonomy and creativity, focuses not only on the ability to communicate but on balanced growth in fluency and accuracy. However, mechanical and passive grammar instruction centered on explanation and memorization causes that learners are not interested in the class, even though they recognize an importance of the grammar learning. The 7th curriculum, therefor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aximazing the use of activities and experience that simulate authentic communication within the classroom which help develop simultaneously both fluency and accuracy. It also recommends that multimedia and visual tools be used appropriately for the educator needs the creativity and skill to effectively lead his/her class. Moreover, for it is imperative that the learner's interest and motivation is encouraged despite uninterest and boredness easily felt toward the study of grammar, various classroom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to encourage autonomic methods of learning English grammar. This study looks at the ways of developing grammar instruction methods which junior high students may take interest to and applies these methods to classroom. It also takes a look at how effective the instruction methods using massmedia tools are, and how to utilize them.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here 70 out of 140 grade 9 students(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English grammar using massmedia tools in 12 classes and the rest(control group) were in a class which focused on textbook explanations for the same time period. The main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 Firstly,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grades in grammar than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meaning that the massmedia tools were in fact effective. Also, the degree of enhancement in grade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meaning that the massmidea tool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Particularly, lower-proficiency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tter results than others. Secondly, it was found, through a questionnaire on the affective aspects toward the class methods on both groups, that even though there was no meaningful statistical rise in interest, confidence, or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grammar, the experimental group's answers reflected generally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lass. Thirdly, analysing further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students in both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much preferred the class with various massmedia tools and said that they acquired renewed interest and confidence toward English grammar. Furthermore, researchers' and teachers' observational diary o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two classes, which shows the experimental group exhibited interest during class where was the control group found the grammar explanation difficult to follow and had apparently lost interest. As the above study results suggest, the use of massmedia in English grammar instruction is effective and productive in promoting learning of grammar and affective aspects for English learning. Further, if massmedia is used in whole language teaching by applying them to the teaching of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they can make major contributions to the ultimate aim of English instruction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 and cultivating advanced intellectual ability.

      • 조선시대 후기 궁중패물 연구 : <궁중발기>의 내용을 중심으로

        박혜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신구는 복식의 美를 표현하기 위한 가장 적극적인 수단으로 조선시대에는 七寶 또는 佩物(또는 珮物)로 불려졌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후기 궁중에서 쓰인 패물에 관한 연구로 『궁중발기』의 기록을 바탕으로 실록, 의궤, 문집 등의 史料와 연계하여 『궁중발기』에 나타난 패물의 명칭을 추론하고 형태 조형과정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행사마다 다르게 쓰인 패물을 분석하여 착장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궁중발기』에 기록된 패물은 한 개인의 기호를 위한 장식물이라기보다 궁중내의 행사와 의례에 부합하는 禮裝형식을 위한 장식품으로서 궁중내에서 행해진 행사와 예장형식을 연구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라 할 수 있다. 『궁중발기』에는 여자의 패물류는 간택, 관례, 가례와 관련된 목록에서 관모류, 비녀류, 노리개, 이식, 지환 등의 패식류 패물이 나타나 있다. 족두리, 화관은 가체가 금지되며 발달하게 되었는데 쓰는 형태에서 점점 작아져 조선시대 후기에는 이마 위에 얹히는 정도로 작아졌다. 관모류에 대해 족두리는 유래에 관한 고찰을 해 보았고, 화관은 刑制와 造型과정에 대해 문헌의 圖說과 비교 고찰해 보았다. 궁중에서 행해진 행사 중 간택은 초ㆍ재ㆍ삼간택의 형식이 있는데 초ㆍ재간에는 혼례전 처자들의 머리 형태인 사양머리와 관련된 패물이 기록되어 있으나 삼간택에는 혼사가 확정되는 암시인지 한층 더 화려해지고 격식이 높은 가래머리를 행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궁중에서 행한 가래머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할 수 있는데 『궁중발기』에는 정미가례(1848), 임오가례(1882), 계사길례(1893), 병오가례(1906)에서 가래머리를 행한 기록이 있고, 장식된 패물내역이 자세하게 기록된 3건의 사례에서 종합적 분석이 가능하였다. 가례일에 행해진 수식(首飾)은 최고의 권위를 상징하는 머리형태로 기묘가례(1819)부터 병오가례(1906)까지 4건의 가례에서 기록을 보이고 있는데 수량과 종류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기본적 구성은 큰 변화 없이 국말까지 이어진 것을 볼 수 있었다. 관례관련 『궁중발기』는 정미가례(1848)와 임오가례(1882)의 기록이 있는데 특히 정미년의 기록에서는 여자의 관례에 있어서도 三加禮의 절차에 따라 수식, 광식, 큰머리를 행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광식은 가체와 흑각잠 등으로 장식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큰머리, 조짐머리 등 머리형태에 따라 장식된 비녀의 종류가 확인되었다. 『궁중발기』에는 佩飾 패물로 노리개, 이식(耳飾), 지환이 나타나 있는데, 노리개는 장도노리개, 繡노리개, 향노리개, 삼천주 등 다양한 종류로 이용된 것을 확인하였고, 삼작에 있어서는 삼작구성의 형식을 형태와 飾次에 따라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현전 이식의 유물은 귀에 거는 형식으로 주로 북한지방에서 사용한 것을 볼 수 있으나 궁중에서도 행사 때에는 착용한 것이 『궁중발기』의 기록과 국말 사진을 통해서 확인이 된다. 조선시대 후기 지환의 유물은 거의가 장식이 없거나 문양을 새겨 넣은 정도이나 『궁중발기』에는 다양한 주재료에 진주를 장식한 것을 볼 수 있는데 정미가례(1848)부터 병오가례(1906)까지 기록되어 있다. 이와 비슷한 형태의 지환의 기록이 『朴通事諺解』에도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의 嵌裝지환의 형태가 조선시대에도 이어진 것으로 추측하였다. 『궁중발기』에 기록된 남자의 패물은 관자, 풍잠, 동곳 등과 笠飾과 관련된 정자, 패영, 호수, 상모 등이 나타나 있는데 주로 임오가례(1882)와 관련된 純宗의 패물이 기록되어 있고, 『산능발기』에서 별감 등의 笠飾이 자세하게 기록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전립의 장식품인 이전(耳錢)이라는 것은 『진찬의궤』류의 기록에서도 동기복식 등의 전립장식차로 되어 있어 『악학궤범』의 운월아(雲月兒)의 遺制가 남아 전해진 것으로 추측하였다. 깍지는 활을 쏠 때 엄지손가락에 끼는 것으로 『朝鮮王朝實錄』에는 임금이 활을 쏘는 대사례에 마련되는 기록이 있고, 『國朝五禮儀序例』에는 가죽으로 만들어진 깍지의 도설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궁중발기』에는 주로 보패ㆍ옥석류로 만들어진 깍지의 기록이 있고, 진상품으로도 되어 있어 남자의 주요한 패물중 하나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남자의 패물중 대전(帶錢)은 여러 초상화에서도 보이는 것으로 광다회, 전대 등 위에 끼우는 띠돈 형태의 장식물로 『世宗實錄』에 나타나는 조환(條環)과 같은 것으로 추측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자료로 이용된『궁중발기』는 대부분은 장서각에서 影印하여 실은 『古文書集成 十二』,『古文書集成 十三』의 내용이고 일부 국립고궁박물관의 『궁중발기』가 함께 연구대상에 포함되었고, 그 내용을 뒤에 <부록>편에 표로써 예시하였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eremonial ornaments which had been used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to show representative examples of wearing methods from deductions on the names recorded in 『Goongjoongbalki』 and through analyses on Ceremonial ornaments which hadbeen differently used. The Ceremonial ornaments recorded in 『Goongjoongbalki』 are not the personal ornaments chosen for one's tastes, but the very important data to study the rites and events in the Royal court as adequate purposes for specific rites and event in the Royal court. In 『Goongjoongbalki』, for women's ornaments, many for Garei (Royal wedding ceremony) were recorded as Jokdoori (ornamental hat), Binyeo(hair barrettes), Norigae (pendants), Yisik (earrings) and Jiwhan (rings). Jokdoori and womens ceremonial coronets had been developed due to the prohibition of wearing false coiffures and their size had been getting smaller from the size to fit the whole part of hairs at the first time and then to the small size, which could be placed onto the forehead during the period of later parts of Joseon dynasty. Among rites and events in the Royal court, there was a special event called Gantaek, (selecting a queen or crown princess from candidates), which was conducted by the three steps. At the first and second step, some Ceremonial ornaments were recorded related to Sayangmeori, the various hair-ornament styles of lady candidateswhile at the third step, lady candidates were supposed to be decorated with a flourish and dressedup a sophisticated style, called Garaemeori. The records in 『Goongjoongbalki』, show Garaemeori worn in the royal wedding ceremonies in the year of 1848, 1882, 1893and 1906. Accordingly, the overall analyses could be achieved through three cases in which the Ceremonial ornaments were listed in detail. Soosik, decorated on the day of the Royal wedding ceremony was the hair ornament style which represented the supreme style of hair ornaments. This was conducted 4 times from the year of 1819 to 1906 on the Royal wedding. Even with some differences in number and type, there had been recorded no big changes in the basic construction. Among the records on the coming of age ceremony, there were two events in 1848 and 1882. From the records of the wedding ceremony for King Heonjong and Kyoungbin Kim, it was confirmed that through three steps, the style of hair ornaments has been conducted as Soosik, Gwangsik, and Keunmeori in accordance with each step. Besides, in 『Goongjoongbalki』, some kinds of the hair ornaments that were decorated in accordance with hair styles such as Keunmeori, Jojimmeori, and Sayangmeori were found. The variety practices were recorded various kinds of Norigae (pendants) such as Jangdonorigae (pendant with ornament knife), Hyangnorigae (pendant with perfume), Samcheonjoo (pendant with three ornaments) and with regard to Samjak (a set of pendants with three ornaments), the structures have been reviewed and studied by the classifications of styles and materials. Among the antique earrings, hanging styles to the ears had being prevailed and hadwidely used in the area of North Korea while the records to use these styles were also found in 『Goongjoongbalki』, and photographic evidences. The antique rings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were little decorated and simply engraved whereas earrings in 『Goongjoongbalki』 decorated with various materials and pearls had been recorded and listed as an article for Royal wedding ceremony from the year of 1848 to 1906. Since the similar records were found in Baktongsaonhae, it is considered that styles of earrings in Coryeo dynasty were succeeded to Joseon dynasty. Men's accessories recorded in 『Goongjoongbalki』 were Gwanja, Poongjam, Donggot, and hat ornaments such as Jungja, Yipyoung, Hosoo, and Sangmo. Also, the ornaments for the Royal wedding ceremony of King Soonjong (1882) were recorded and in 『Sanneungbalki』 the structures of hat ornaments were listed in detail. Yijeon as a decoration of Junlip (military cap) was listed in various records of Jinchaneugwai as much and was presumed to be remains of Unweola of 『Akhakgwaibum』. Kakgi was used as an accessory for thumb to grip arrows and was recorded in Sillok to have been prepared for Daesarae, which celebrated the King's hunting ceremony. In 『Kookjooreieuseorei』, the drafts on Kakji made of leather were found. But, in『Goongjoongbalki』, Kakji made of gems were mostly recorded also and described as gifts dedicated to King so that it is confirmed that Kakji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men's accessories. Also, among men's accessories, Daejun as shown in the many portraits is considered to be Jowhan in Seijong Sillok as decorations in type of pendant to the belts like Gwangdahi and Jundae. The most of 『Goongjoongbalki』 as basic data of this thesis is from the contents of 『Gomunseojipseong 12 and 13』, photo-printed by Jangseogak and some part of 『Goongjoongbalki』 of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re included in the objects of this thesis. The lists are shown at the table in appendix.

      • 호텔산업에서 체험마케팅에 의한 소비자가치가 브랜드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 감성, 감각, 인지 변수 중심으로

        박혜진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irection of desires by consumers have shifted from "Commodity", to "Goods and Services", and lastly to "Experience", which means, the consumers are now taking "Experience" as a part of, or as an innate property of a product. And, such shift in the nature of consumers is now a forecast which indicates that deciphering the consumer's desires for "Experiences" will be the basis in areas of marketing as the factor that decides the competitiveness of corporations, and which thus indicates, experiential marketing will become the basis of overall economy. Furthermore Bernd H. Schmitt, the author of "Experiential Marketing" begins a new paradigm of experiential marketing by noting that, customers nowadays already regard such factors as quality, convenience, and brand image of the products they pay for as a matter of course, thus meaning that they expect something more. Experiential marketing has been a subject to various researches in the academic realm, just as much as the corporations have been concerned with its efficiency. But most of its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case studies and, to make matters worse, these works are hard to find especially on Korean hospitality industries. This means that the factors of experiential marketing such as sense, emotion, acknowledgement, action and relationship are working positively however, it also implicates that further specific studies are desperately in need to show how these factors affect the actual brand loyalty. Therefore, based on the experiential marketing module,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how the mentioned above factors affect brand loyalty in actual.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deducted that preexisting factors such as quality, and functionality do not seem to give any substantial effects on brand loyalty since these factors are no longer so distinctive due to the current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T. However, factors such as emotional, and experiential values, inherited from the brand image were confirmed to have some meaningful effects on the actual brand loyalty. Therefore, it is considered essential that experiential marketing in action should focus on stimulating the experiential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consumers in addition to however a product is distinctive to other products. Difficulties such as building up the questionnaires with appropriate items and their analysis were faced during the research due to the lack of preceding works on Korean hospitality industries regarding experiential marketing, therefore it is needed that additional work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s and further evidences follow. And sinc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s the start of such works, it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itial standards of following works. Lastly if further comparative studies are conduc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ual experiential marketing practiced by individual hotel brands and the customer's brand recognition, then it could provide a more specific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experiential marketing, thus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ould in turn be applicable for actual adaptation of the studies to the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