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장애학교 중등학생의 합주활동 유무에 따른 인성의 상관관계 분석

        박혜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was to find out interrelationship with human nature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for the visual impairment and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y for playing or not playing concert and for this purpose survey by questionnaires was carried out to students of 12 middle schools for the blind across the nation and conclusion drawn from such survey was as follows. Firstly, level of human nature of students of middle school for the visual impairment is higher than overall level of human nature. When this is examined based on its sub-factors sense of consideration is highest and it was followed in sequential order as sense of cooperation, self respect, sense of responsibility, sociability, sense of independence, diligence and self expression. Secondly, in analysis of human nature based on background variable of students of the school for the visual impairment in terms of sex and difference in human nature girl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self respect than boy students. In terms of level of schools students of high school showed higher level of cooperation than those of middle school. In terms of difference in human nature based on eyesight in the field of sociability factor blind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than students with normal eyesight and in terms of sociability based on the time when loss of eyesight occurred the students who had loss of eyesight later on showed higher level in sociability than those who lost it earlier. Thirdly, the difference in level of human natur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students of the school for the visual impairment had experience of playing concert was revealed as those who had such experience showed higher level in the factors of self respect, diligence and sense of cooperation. Fourthly, whe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finding interrelationship with sub-elements for human nature of the whole students of middle schools of the visual impairment and those who had experience of playing concert and who had no such experience it was found there was static interrelationship with overall group. With whole group of students of the school for the visual impairment in interrelationship related to sub-factors sense of self respect was the highest and it was followed by diligence and sociability. With group who had experience of playing concert interrelationship in terms of sense of responsibility was highest and followed by diligence and sociability. When interrelationship of overall group was compared it was shown that group which had experience of playing concert had higher level of human nature and higher level of sub-factors statically compared to the group which had no such experience.

      • 통합교육이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혜정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통합교육이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전공 박혜정 지 도 교 수 이경화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유형에 따라 만2세 영아들이 자연스런 상황에서 친사회적 행동을 관찰하여 통합 보육시설의 일반 영아와 일반 보육시설의 일반 영아들의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통합교육 경험의 기회 향상에 대한 노력을 고무시키는데 있다. 따라서 통합교육이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또한, 하위 유형(돕기, 나누기, 관용, 양보, 우정)별로 에서의 차이가 있는가? 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G구에 위치한 통합 보육시설과 일반 보육시설의 만2세 영아 중 일반 영아 4명씩을 대상으로 매주 1회 자유선택활동시간 40∼50분간 10주간의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관찰이 진행되는 동안은 관찰집단은 비디오 촬영을 하고, 비교집단은 연구보조자가 직접 관찰을 통한 일반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체크 하였다. 관찰 시기를 초기(1∼3주), 중기(4∼6주), 말기(7∼10주)로 나눠 행동 빈도와 개별적 행동 빈도를 살펴보았다. 친사회적 행동 관찰을 위한 도구는 박연순(2004)이 사용하였던 친사회적 행동 관찰 기록표를 사전 검사와 연구자가 부분 수정 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 관찰된 빈도수를 전체적인 평균을 구해 두 집단을 비교해 볼 수 있도록 총집계표와 Exce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른 일반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 보육시설의 영아들이 일반 보육시설의 영아들보다 친사회적 행동이 더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라 일반영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하위 유형 돕기, 나누기, 관용, 양보, 우정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 보육시설의 영아들이 일반보육시설의 영아들보다 친사회적 행동 하위 유형별로도 더 많은 행동이 나타났다. ABSTRACT The Effect of integrated education on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Park, Heai jung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Lee, Kyung hw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 in two groups of general infants at integrated nurture institution and general infants at general nurture institution, by observing prosocial behaviors of 2 years old infants, under natural circumstance, according to type of nurture institution and also to encourage endeavor for opportunity advancement of experience of integrated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to investigate if integrated nurture institution have any effects on elevation of prosocial behaviors of infants and also have any difference per subordinate type of help, sharing, tolerance, concession, friendship. The object of this study is each 4 of general infants among infants in two years old from integrated nurture institution and general nurture institution, located in G-gu, Seoul, Korea, 1 time per every week of the observation for 40∼50 minutes of infants' free choice activity time was carried out for 10 weeks. and while the observation was being proceeded, observed group was shot with video camera, regarding to comparison group, study assistant checked prosocial behavior of general infants, through direct observation. by dividing observation period with the first (1∼3week), the middle (4∼6week) the end (7∼10week), behavior frequency and individual behavior frequency was examined. As tool for observation of prosocial behavior which had been used by Park Yeon Soon (2004) were used by adding preliminary inspection and partial amend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graph, taking advantage of total tabulation and excel program so that these two group can be compared, by taking an average totally for frequency of observed prosocial behaviors of infa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he prosocial behaviors of general infant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 of nurture institution, in other word, the infants at integrated nurture institution which integrated education is being enforce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social behaviors than those at general nurture institution. Second, the prosocial behaviors of general infants showed differences per subordinate type of helping, sharing, tolerance, concession, friendship, according to type of nurture institution. so to speak, the infants at integrated nurture institution which integrated education is being enforce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osocial behaviors per subordinate type of helping, sharing, tolerance, concession, friendship than those at general nurture institution.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する」동사의 교육방안 연구 : 오용표현을 중심으로

        박혜정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국어의 「하다」와 일본어의 「する」는 각각 韓・日 両語에 있어서 기본적인 동사의 하나이고, 다양한 용법을 가지고 있다. 일본어의 「する」에 대응하는 한국어의 「하다」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그 비교를 통한 오용 연구는 많다고는 할 수 없다. 「する」와 「하다」의 대조・비교 연구로는 森本(1987), 안병걸(2003)등이 있으나 교육 방법론적 연구로는 아직 미약한 점이 없지 않다. 「する」는 한국어 「하다」와 용법도 비슷하고 문법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유사하게 크기 때문에 한국어 권 학습자가 그 사용에 있어서 자주 틀리는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인의 입장에서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하다」 교육방안에 대해서는 야마시타 카즈미 에 의해 연구되었다. 야마시타 카즈미는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하다’ 교육방안 연구」에서 ‘하다’의 교육방안에 대해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다’ 사용에 있어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기존에 나와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하여 일본어 모어 학습자들이 범하기 쉬운 오류와 발생원인을 살펴 보고 이를 토대로 일본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하다’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는 반대 입장인 일본어를 학습하는 한국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일본어 「する」동사의 교육방안에 대해 한국인의 입장에서 진행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주제인 한국어 모어 학습자를 위한 「する」동사의 교육방안으로 한국인 학습자가 「する」동사를 사용할 때 범하기 쉬운 오용 표현을 기존의 오용 표현・「する」동사 표현에 관한 논문 중에서 대표적 세가지인 「する」동사의 관용적 표현, 「漢語 + する」形, 「する」「される」의 경우로 분석해 보았다. 「する」동사가 만들어 내는 관용적 표현에서는 특히 격조사「~が」와 결합하여 만들어 내는 「~がする」라는 표현에 있어서는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은 표현문형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이해시키는 것이 일본어 습득에 있어 효과적일 것이라고 본다. 또한 漢語와 결합하여 만들어 내는 「漢語+する」표현은 한・일 양국 모두 한자문화권으로 한국어 「하다」도 이와 같이 漢語와 결합하여 생산적인 기능을 하고, 선행 漢語가 동일할 경우, 「する」와 「하다」를 그대로 대응해 버려, 오용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있어서는 漢語와 결합했을 때 양국의 품사설정의 기준이 다르므로, 이에 관한 기준을 명시해 주고,「漢語+する」와「漢語+하다」가 대응되지 않은 경우의 용례 등을 제시해 주면「する」동사의 사용에 있어서 오용 표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する」와 「される」의 표현에 있어서 「する」가 ‘하다’로 번역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되다’로 번역되는 경우가 있어, ‘되다’로 번역 될 때「する」를 사용하지 못하고 「される」로 대응시키는 오용을 일으키기 쉽다. 이에 대해서는 「する」가 ‘되다’ 로 번역 될 때의 용법을 구분하여 교육시키고, 他動詞로서 受身의 형태로 되어 있는 구문에서 동작주의 관계가 확실한 受身 구문의 경우는 「~される」로 하고, 自動詞 구문을 포함하는 다른 경우는 「する」로 하도록 지도하면 「する」동사의 오용을 줄일 수 있는 교육방안의 하나가 될 것이다. 일본어 「する」동사는 한국어 「하다」와 문법적 기능의 유사점과 함께 韓・日 両語의 어휘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를 학습 할 때 모어의 간섭으로 인한 오용이 많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본어와 한국어와의 차이를 명백히 하고, 문제를 깨닫게 하는 것이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일본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면에서의 교육과 함께 비언어적인 면(문화 교육 등)에 관계되는 지도도 행해야 할 것이다.

      • 「세일즈맨의 죽음」에 나타난 소외의 양상 연구

        박혜정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Arthur Miller is a famous social dramatist who is interested i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s a whole and individual dealing with the moral and social problem in his plays. Death of a Salesman has been known as Miller's best play. In this play the leading character, Willy represents a modern common man who becomes ruined as he pursues his false dream. Willy in the midst of this modern materialistic civilization, pursues his false dream of great success with his anachronous personality and relies on the favors he can get from others. However, This method, causes him not to adjust to society and finally ends with his death. This thesis is aimed toward analyzing Willy's American Dream, aspects of alienation, the meaning of death in Miller's play Death of a Salesman. In modern society Willy pursued the American Dream, but his fatal mistake was to pursue his dream with old-fashioned values. He admires his brother, Ben, who has a successful career life, and sets up his brother as the ideal. Willy also tried to emulate the salesman, Singleman, who had accomplished a large amount of success in regards to his popularity, personal relationships and his illustrious career. In this play, Willy doesn't see himself and the reality of society accurately. He chases his false dream of gaining material success, but his dream ultimately ends in failure. His failure, above all, stems from his antiquated views and false values. This work reveals varying levels of alienation. First, his alienation from the current society that he operates within. Willy worked for his company for 34 years, but he is fired from his job because he can't play his role effectively within the company. also Willy wants to stay in a comfortable and cozy place, but he can't relax because his home is small and cramped even weeds can not grow in the yard. Secondly, he is alienated from his family. He has two sons named Biff and Happy. He should cling excessively to his children in order to realize his dream. However, they were given the wrong educational methods and values, so they have a difficult time adjusting to the actual society they function in and continue to wander. Linda is an obedient and devoted wife to Willy she understands her husbands need to live in his fanciful dreams. Thirdly, the alienation caused by his shortage in understanding himself as well as his self-centered character. Others are ignored while he continues to insist that his way is best although all evidence points to contrary. As a result, Willy has ignored his aptitude as a carpenter and instead pursued material riches. Thus, trapped in the fantasy of the 'American Dream' results in his alienation and frustration. Arthur Miller ultimately intended to show modern men the error of current society and that the best way to live is with love and understanding for others. With these values we can overcome alienation and frustration. making it possible live happily with our neighbors.

      • 가야금병창의 조성연구 : 가야금병창곡집을 중심으로

        박혜정 우석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Tonality of Gayageum Byeongchang -focusing on Gayaguem Byeongchang music book- Hye Jung, Park Music Education major Education Graduation School Woosuk University Director Professor : In taek, Sim This paper researched for Guhi, Park and Jungyul, Kand and Yeijin, Jung and Seungok, Hoang's Gayaguem mucsic book for educate Gayaguem music book and transmi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generally. The analysis of this 4th Gayaguem chorus book, Harmony expressed in this Gayaguem chorus book composed 6th line(Jing) G cord of tune method in this books. But, When the play of Gayaguem chorus all musician play 6th line(Jing) nearly C cord. So, I can present expressed one more octave music book of used All' attata bassa(8yb). This 4th books don't expressed comment cord and chorus. This books expressed Woojo, Pyungjo, Kyuimuynjo of this composition. When this books published, exactly chorus expression help to understood this music and efficiency. but Gayaguem's composition change according to using this play method. A survey composer's sound range, guhi, Park play 6th line(Jing) like C cord, 'C#' in short song and Pansori. Jungyul Kang. play 6th line(Jing) C cord. Yeijin, Jung play 6th line(Jing) C cord in main. Seungok, Hoang play 6th line(Jing) ‘E♭’ cord. so. all composer suggest tune method accord composer's sound range. Correctly expressed chorus Music book used to educate music. so when Gayaguem music book published, correct chorus expression help to study Gayaguem chorus, education, playing. 국 문 초 록 가야금병창 조성연구 -가야금병창곡집을 중심으로- 박혜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심인택 본 논문에서는 가야금병창의 전승과 보편적인 교육을 위하여 필요한 악보에 관하여 박귀희․강정열․정예진․황승옥의 가야금병창곡집을 중심으로 연구 하고자 한다. 각 4권의 가야금병창곡집을 분석하여 보면 가야금병창악보집에 표기된 가야금의 조율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야금산조의 조율법인 제6현 ‘징’줄을 ‘G’음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가야금산조 연주에 사용되는 본청은 제6현 ‘징’줄을 ‘C’음에 가깝게 연주하고 있으므로 실음보다 한 옥타브 위로 올려 표기하고 한 옥타브 아래로 내려 보는 악상기호인 All' attava bassa(8vb)를 이용하여 표기한 조율법을 악보에 제시 할 수 있다. 각 4권의 가야금병창곡집에는 대부분 조와 조성을 표기하지 않고 있었으며, 각 4권의 수록곡의 조성을 조사하여 보면 우조․평조․계면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조에 따라 가야금의 안족을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가야금의 특정음(줄)의 사용 방법에 따라 조가 바뀌고 있다. 창자의 음역을 음반에서 조사하여 보면 박귀희의 본청은 민요는 제6현 ‘징’줄을 ‘C’음으로 연주하고 있으며, 단가와 판소리는 본청을 ‘C♯’음에 맞 추어 연주하고 있다. 강정열의 본청은 제6현 ‘징’줄을 ‘C’음에 맞추어 연주 하고 있다. 정예진의 본청은 제6현 ‘징’줄을 ‘C♯에 맞추어 연주 하였으며, 황승옥의 본청은 제6현 ‘징’줄을 ‘E♭’음으로 맞추어 연주하고 있다. 그러므로 창자 본인이 편찬하는 악보집은 가급적 창자의 음역에 맞는 가 야금 조율법을 제시하여야 한다.

      • 기업의 잉여현금흐름과 M&A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朴慧貞 江陵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demonstrated how the cash reserve of an enterprise could affect the enterprise when adopting growth strategy and its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M&A and how they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the entrepreneurial value when making a decision. In the analysis of Logit Regression, examining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free cash flow and M&A activities aimed at 72 companies which have merged or have declared more than 45% shareholdings of other corporations in the year 2000 and 2006,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 between the free cash flow variables and market to book ratio variables and M&A activities of enterprises. Especially, market to book ratio variables are very much significant as they have an meaningful outcome within the bounds of 0.1%. Free cash flows variables are positively relative and market to book ratio variables are negatively relative to M&A activities of enterprises and the other variables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at is, the bigger the free cash flow or the smaller the market to book ratio of an enterprise, there lies much more potential of an M&A attempt. Contrarily, market to book ratio variables have an unexpected outcome.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there is much more likelyhood of an M&A attempt by Value enterprises rather than Glammer enterprises. This is a contradictory outcome toward the Performance Extrapolation Hypothesis which claims high possibility of an M&A attempt by enterpreneurs who over-estimate the past performance of the takeover corporate and over-conceited with their managerial competence when evaluating the value of M&A. Next, The comparative analysis were applied to both M&A corporate and the industry in which the corporate company is included that puts on the former period of t-1 of financial ratio and on the latter period t+1, t+2 of the mean financial ratio in order to examine management performance after M&A. Also, the Cash Deviation of merged corporates are divided into two positive and negative and are examined the difference. There a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tcome in the variables of profitability and soundness of a turnover corporate. There are some considerable decrease in the category of profitability of ROI, ROE. The overall management performance of turnover corporates have been deteriorated because debt ratio that falls down to the category of corporate soundness has risen highly. The other variables were unable to get some significant results. On the contrary, In the outcome of an analysis from the average financial ratio of industry in which the turnover corporate included,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in the category of corporate soundness and liquidity within the noticeable bounds of 1%. Accordingly, the soundness of turnover corporate has been more deteriorated than that of the average industry's. Although there are of littl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financial ratio of average turnover corporates have been decreased remarkably compare to that of the average industry's in terms of profitability and have shown data less than the growth rate of average industry in terms of growth or activity of the corporates. Next, the difference of turnover corporates a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cash deviation. Firstly, The turnout of the probe into negative cash deviation of turnover corporate has produced significant outcome within the bounds of 5% in terms of total assets growth rate belonging to growth category and the rate of turnover of fixed assets belonging to activity category. The rate of growth in total assets has been improved largely, and the rate of turnover of fixed assets has been increased 52% before they implement M&A. This may be caused by an increase of capital and sales after M&A. Secondly, the result of positive cash deviation of M&A corporation has been decreased 50% from the significance 10% in equity capital profitability belonging to the profitability category and has been aggravated in increasing 287% from the significance 10% in debt ratio belonging to the soundness category. The growth rate of sales belonging to the soundness category has increased 30% after M&A from the level of significance 5% owing to the increased sales by turnover corporate. In short, The enterprises of positive cash deviation have increased in sales and have decreased in profitability and soundness due to M&A. Granting there were of littl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profitability of enterprise of negative cash deviation has sharply dropped and its increase rate of debt, though there were not so much greater than the enterprise of positive cash deviation, has risen slightly compared to the enterprise of positive cash deviation. Conclusively, The outcome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enterprises whose market value have been under-estimated or who have reserved free cash flow are likely to have an attempt of M&A. The management performances of turnover corporates through their financial ratio after the merger process have hardly shown their improvements.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현금보유가 M&A라는 성장전략을 채택함에 있어 미치는 영향과 M&A 후 이들 기업의 경영성과를 살펴봄으로서 대상기업 의 의사결정이 기업가치의 증가에 기여했는지의 여부를 실증해 보았다. 먼저 2000년부터 2006년 사이 합병과 타법인지분 45%이상 취득을 공시 한 기업 72개사를 대상으로 잉여현금흐름과 M&A 활동의 관계를 살펴보 기 위해 실시한 로짓 분석에서는 잉여현금흐름 변수와 Market to Book Ratio 변수가 기업의 인수합병활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는데 특히 Market to Book Ratio 변수는 유의수준 0.1%내에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잉여현금흐름은 기업의 M&A 활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Market to Book Ratio변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고 그 외의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즉 잉여현금흐름이 큰 기업일수록, Market to Book Ratio 가 작은 기업일수록 M&A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Market to Book Ratio변수는 예상과는 반대의 결과가 도출되었는 데 즉, 글래머 기업보다는 밸류 기업이 M&A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런 결과는 합병가치 평가시 인수기업의 과거 성과를 과대평가하고 동시에 글래머 기업의 경영자들은 그들의 경영능력을 과신하여 M&A를 시 도할 가능성이 크다는 Performance Extrapolation Hypothesis 와는 상반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M&A 후 경영성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합병을 실시한 기업과 그 기업이 속한 산업의 t-1기의 재무비율을 이전으로 t+1기와 t+2기의 재 무비율의 평균을 이후로 하는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합병기업을 현금편차가 양인 기업과 음인 기업으로 분리하여 그 차이를 검정해 보았다. 먼저 합병기업의 경우 수익성 항목과 건전성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 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수익성 항목인 ROI와 ROE가 상당한 크기 로 감소되었고, 건전성 항목인 부채비율 역시 크게 상승해 합병기업의 전 체적인 경영성과가 악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항목은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반면 합병기업이 속한 산업의 재무비율 평균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1%의 유의수준에서 건전성 항목과 유동성 항목이 개선되었음을 발견했다. 따라 서 산업평균보다 합병기업의 건전성이 크게 악화됐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통계적 유의성은 낮았으나 수익성 분석에서 산업평균에 비해 합병 기업의 평균의 하락이 뚜렷이 큰 값을 보이고 있고, 성장성이나 활동성 분 석에서도 역시 산업평균의 성장률에 못 미치는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합병기업을 현금편차가 양인 기업과 음인 기업으로 나누어 그 차이를 검정해 보았다. 먼저 현금편차가 음인 합병기업에 대한 검정결과는 성장성 항목인 총자 산성장률과 활동성 항목인 고정자산회전율 항목에서만 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총자산 성장률은 합병 전보 다 크게 개선되었고 고정자산회전율도 합병 전 보다 52% 정도 증가되었는 데, 이것은 합병으로 인해 자산과 매출액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현금편차가 양인 합병기업은 수익성항목인 자기자본수익률은 유의수준 10%에서 합병 전보다 50% 감소하였고 건전성 항목인 부채비율 역시 유의 수준 10%에서 287% 증가하여 수익성과 건전성이 악화되었다. 성장성 항 목인 매출액성장률은 5%의 유의수준에서 합병 전보다 30% 가량 증가하였 는데 이는 합병으로 인해 합병기업의 매출액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즉 현 금편차가 양인 기업은 M&A로 인해 매출은 증가하였으나 수익성과 건전성은 하락하였다고 볼 수 있다.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현금편차가 음인 기업의 수익성 역시 크게 하락하였고, 부채비율의 상승률은 현금편차가 양인 기업에 비해 크진 않았으나 상승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부가치에 비해 시장가치가 저평가되고 잉여현금흐름을 많이 보유 하고 있는 기업이 M&A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째, 재무비율을 통해 본 합병 후 합병기업의 경영성과는 개선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 장르중심 논술 쓰기 교육 방안 연구

        박혜정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일상에서 사적인 문제이든 공적인 문제이든 간에 다른 사람들과의 의사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 때 서로 다른 관점, 즉 상대방의 관점이나 사회에 의해 산출된 관점과 비교하여 자신의 관점을 논증해 내는 과정은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자들은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하여 이를 타당한 근거에 의해 뒷받침하고 형식적 구조로 표현하는 데 익숙하지 못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론 논술 쓰기 지도이다. 논술은 글쓰기의 한 갈래이기에 앞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제까지는 행동주의 작문이론에 바탕을 둔 방법론을 마치 정설인 것처럼 받아들이거나 학문적 동향에 대한 연구나 이론적 바탕이 없는 사람들도 논술의 전문가인 것처럼 논술에 대해 논해 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논술 쓰기 지도를 통해서는 학생들을 일정한 논술적 형식만을 익히는 필자를 만들어 낼 뿐 자신의 논증을 밝혀 의사 소통과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의 배양시키지 못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비판적이고 합리적인 사유에 근거한 진정한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키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제는 쓰기 교육의 변화 동향과 현재 철학적 사조에 기반한 논술 쓰기 지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쓰기 교육 이론은 시대에 따라 결과중심, 과정중심, 장르중심으로 그 패러다임이 바뀌어 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동향에 맞는 장르중심 쓰기 교육 이론에 바탕을 둔 논술교육에 대하여 논하였다. 작문 이론이 결과중심에서 과정중심으로, 과정중심에서 장르중심으로 이론적 패러다임이 바뀌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논술교육에서 인지와 맥락, 텍스트 요인을 중심으로 한 장르중심 논술교육의 특수성에 맞는 교수·학습의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하여 이러한 논의를 통해 논술교육의 체계를 확립하고자 장르중심의 접근법에 의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그 실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장르중심 논술 쓰기를 위한 이론적 배경 탐색으로 논술의 개념과 논술 텍스트 유형의 분류 및 논술 텍스트의 특징을 살펴보고, 결과중심과 과정중심 쓰기 교육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면서 장르중심 논술교육의 바탕이 되는 장르중심 쓰기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장르중심 논술교육의 내용 체계를 만들고 이를 기초로 하여 장르중심 논술교육의 모형과 실제를 구안하였다. 여기서는 2009년 서울대 정시 논술에서 ‘한옥을 중심으로 우리 시대에 전통문화의 계승과 변동이 이루어지는 양상에 대하여 논하라.’ 라는 논제를 가지고 본 연구에서 구안한 모형대로 장르중심 논술교육의 실제적 방법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반영되어 있는 장르중심 작문 이론을 기반으로 한 논술교육의 한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장르중심 논술교육의 내용 체계와 모형, 그리고 그 모형에 대한 실제를 통해 논술 쓰기 능력이 신장될 수 있으리라 본다. 또한 지금까지 논의되어 왔던 거시 갈래의 글을 상황 맥락을 고려하여 미시 갈래로 세분화시켜 쓰도록 지도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사고력을 좀 더 구체화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이뿐 아니라 논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 맥락과 상황 맥락에 따라 텍스트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장르중심 논술 쓰기는 해결의 한 일면을 제공하므로 구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조직하고 텍스트의 특성을 고려하는 글쓰기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적합한 텍스트를 양산하며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여 논술 쓰기에 보다 더 정확하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People usually communicate with others to solve a problem whether it is of private or public. At this point, there is an inevitable process, which demonstrates their point of views by comparing them with different views of others or those produced by society. Students, however, are not accustomed to giving shape to their ideas, supporting them with proper foundation and finally expressing their opinion with formal structure. Teaching essay writing can be a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Essay writing is one division of writings, but before this, represents a process in dealing with matters in hand. Still, so far, it is true that teaching writing methodology based on behavioristic theory is generally accepted one. Even, some people who have no theoretical backgrounds and have never studied the academic streams have discussed essay writing as if they are experts in it. In this way of teaching, however, it makes learners get limited technical formations merely. It does not help student writers foster their thinking power to support their statement for better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hat is worse, it makes difficult for students to develop authentic writing abilities based on the critical and rational thought. Therefore, it is require to study essay-writing instruction founded on the changes in teaching writing and a current philosophical trend of thought. Theories of teaching writing have been changed their paradigms from product-based to process-based to genre-based with the changes of times. Although there are changes in the paradigms of writing theori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genre-based writing has never been taken into series consideration. This study discusses teaching essay writing based on genre-based approach that focuses on recognition, context and text factors. This discussion also proposes models for genre writing teaching method and their practice. In the first place, as a research on theoretical background for genre-based essay writing, this study looks into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 for genre-based composition which is the core of genre-based essay writing. This is done with considering general idea of essay writing and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of its text, and features of product writing and process writing are followed. This research work builds the edifice of knowledge in genre-based essay writing education, devise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nd put the models in practice. This is demonstrated with a subject, ‘Focusing on traditional Korean-style house, discuss a phase of an inheritance and change of traditional culture in our time. (Essay writing examination for admiss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9)’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suggests a way of essay writing education with genre-based approach that appears on the revised curriculum. The ability to write a good essay can be developed by understanding the content systems, models and actual condition of genre-centered essay writing teaching. Furthermore, this work put forward the basis to guide learners how to subdivide macro writings into micro ones considering the context. With the basis students’ thinking ability is expected to take concrete shape. Lastly, genre-based essay writing brings out an aspect of solutions when it comes to an evaluation of a text according to socio-cultural contexts and circumstances. By organizing a text as considering specific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text, students can produce a more systematic and appropriate text. This. therefore, makes learners possible to effectively express their own ideas and accurately approach to essay writing.

      • 뇌졸중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박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뇌졸중은 재발의 위험이 높으며, 장기간의 보호를 요하는 특징이 있어, 가족들은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와 책임, 역할변화 등으로 과중한 부담을 느끼며, 이로 인한 심한 정신적 고통과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위협을 받게 됨으로써 더욱 스트레스 상황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족을 대상으로 그들의 스트레스 수준을 경감시키고 나아가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그들이 일상생활에서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치료집단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한 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하였으며 그에 기초하여 통제집단을 활용한 실험연구를 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는 뇌졸중과 관련된 의료적 특성과 뇌졸중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그리고 인지 행동적 접근 모델을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살펴보았다. 실험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인지행동 모델을 적용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들과 본 연구자의 임상 경험을 참고로 하여 실험-통제 집단을 통한 사전-사후 검증 연구 설계를 하였다. 실험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S재활병원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환자 가족들이며, 프로그램 참여조건을 만족하는 총 85명의 입원환자 가족들 중 개별적인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참여의사를 밝힌 16명이다. 참여조건은 첫째, 뇌졸중으로 진단을 받고, 최초 진단일로부터 6개월 이상 경과하여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의 가족으로 2개월 이내에 퇴원하지 않아야 하며 둘째, 환자를 간호하기 위해 상시개호를 맡고 있는 가족 구성원으로 셋째, 나이 20세 이상인 성인이며, 문장이해 및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참여조건을 만족하는 환자들은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8명씩 할당되었다. 그중 실험집단은 2004년 4월 6일부터 2004년 5월 25일까지 주1회 60분식 총 8회에 걸쳐 인지행동 모델을 기초로 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집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통제집단에 3가지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스트레스 정도 측정은 Volicer가 1975년 개발한 'Hospital Stress Rating Scale'을 근거로 하소진(1995)이 전체 30문항으로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스트레스 대처방법 척도는 Lazarus 와 Folkman(1985)이 개발한 것으로, 김정희(1987)가 번안 수정한 대처방식척도 ' The ways of Coping scale'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양옥경(1994)에 의해 개발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패키지를 통하여 Wilcoxon Singed-Ranks Test,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Test, 백분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킨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향상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 가족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통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뇌졸중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본 연구는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를 낮추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집단 프로그램을 시도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다. 그러나 본 연구는 사례수가 적고, 병원 입원환자 가족 중 일부만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므로 모든 뇌졸중 환자 가족에게 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차원에서 뇌졸중 환자의 스트레스를 관리해 주는 의료사회사업가의 보다 활발한 활동을 기대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이었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이 의료기관의 뇌졸중 환자 가족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 및 가족들에게 폭넓게 활용될 수 있도록 기반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실험연구 대상자의 수와 범위를 확대하여 뇌졸중 환자 가족의 욕구 조사를 바탕으로 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질환과 관련된 상황들과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도 학문적으로나 임상적으로 큰 의미를 지닐 것으로 생각된다. Cerebral Apoplexy has particularly high probability of return and needs long-time care so that family of cerebral apoplexy patients are under more stressful condition being threatened by severe mental, physical, social and economical distress due to their heavy burden of continuous care, responsibility and roll-chan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program which is designed to help the family members of cerebral apoplexy patients reduce stress level, cope with their stressful condition effectively and promote level of their satisfaction on their life and also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more effective program. I investigated all the relevant theories and applied statistical methodology in this exprimental study. First,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elebral apoplexy, categories of stress of patients's family and models of cognitive behavior approaches. And domestic and foreign stress management program cases which applies cognitive behavior model was also examined. Subjects of this study are family members of cerebral apoplexy patients who are being treated in the S rehabilitation hospital and among 85 persons who meet the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16 persons who show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as selected. Conditions for participation are that participant should be the family of celebral apoplexy patients who have been receiving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more than 6 months and should not check out the hospital within 2 months, be with the patient all around the clock, be over 20 years old and be literally and colloquially understood. 18 persons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is composed of 8 sessions from April 6, 20004 to May 25, 2004. One session takes 60 minutes. I conducted pre and post survey o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using 3 kinds of measurement tools. For the stress level measurement, 30 questions that Ha, Sojin(1995) reorganized based on the 'Hospital Stress Rating Scale' which was invented by Volicer in 1975. In order to measure the coping way of stress, I used 'The Ways of Coping Scale' which Kim, Junghee(1987) translated and revisioned what Laxarus and Folkman(1985) had developed. I used the scale designed by Yang-Okkyung(1994) to measure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daily life. Wilcoxon Singled-Ranks Test, Mann-Whitney U-Wilcoxon Rank Sum Test and some descriptive output were use to verify significanc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ress-lowering influence of the group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is program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improving the coping way of stress. Third, this program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on increas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on lif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ncrete program for the family members of celebral apoplexy patients to lower the stress level and cope with stresses was tried in such circumstances that there are insufficent programs and researche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o all family of celebral apoplexy patients in that sample size was small and only small part of inpatients' family members took part in this program. In conclusion, I make several suggestions which are as follows, hoping that this output help my colleagues manage the stress of family members of cerebral apopolexy patients effectively. First, it is needed that fundamental program model which can be applied to not only family members of celebral apoplexy inpatients but also patients with other diseases and their family members should be designed. Second, it is scholarly and clinically worthful to study the correlation of demo-sociological attributes and situations related to the diseas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 program with the survey on the desires of sufficient size and scope of family members of celebral apoplexy patients.

      • 《儒林外史》의 主題思想과 藝術的 特徵 分析

        박혜정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ulin Waish, (儒林外史, The Plot of the Scholars)》 is not only the masterpiece of the 18th century Chinese novels but is the immortal satirical novel in Chinese novel history, written by Kyung Jae OH. 《Rulin Waishi》 is presenting the original spirit of the author by using the author's own age, society and family life as subject matters. Also, in the works are clearly presented the author's outlook on the world and the attitude of creation. 《Rulin Waishi》 is a full length satirical novel and the materials of which are the intellectuals' lives. OH is describing the features of intellectuals vividly to represent the social realities of Ching Dynas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thematic thoughts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Rulin Waishi》 based on what is studied until now. First, in chapter Ⅲ, the thematic thoughts of 《Rulin Waishi》 is analyzed. In the analysis of thematic thoughts, the four categories as following are reviewed : criticism on the state examination system, satire on the tyranny of feudal officers and landlord, satire on the evil practices of feudal society, and pursuit of the ideal society. 《Rulin Waishi》 does not only criticize and satirize the contradiction and absurdity of the society, but also suggests the alternatives and the vision of the reality and educates the society by proposing the ideals of the author through ideal characters. Severe criticisms are done through various features of characters who represent the corrupted society, but, on the contrary, the hope is suggested by presenting the ideal characters whom the author pursues. In chapter Ⅳ, artistic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For artistic characteristics analys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satirical technique characteristics, character featuring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expression technique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Rulin Waishi》 has obtained artistic results in several aspects. The most prominent one of all is a sharp satire on the dark side of the society. 《Rulin Waishi》 has absorbed the experiences of the previous satirical novels and created new one to be on the top of Chinese classical satirical novels.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in 《Rulin Waishi》 has not been given without meaning but endowed with characteristic features to the appearing characters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age, environment, and ideal of the author. The linguistic artistic characteristics are simple but emphasizing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characters. Each word is delicate, and each sentence is full of vividness. Likewise, 《Rulin Waishi》 is satirizing to show the society in those days concentratively, as well as containing various artistic characteristics. As the techniques are highly diverse, the contents deserve to draw attentions of people. Therefore, it is regarded as representative satirical novel in Ching Dynasty times and has made great influence to the later ages. 《儒林外史》는 18세기 중국 소설계의 걸작일 뿐만 아니라 중국소설 역사상 불후의 풍자소설로서 吳敬梓(오경재) 만년의 작품이다. 《儒林外史》는 작자 자신의 시대․사회 및 가정생활을 소재로 하여 작자의 독창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작품에는 작자의 세계관과 창작태도가 매우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儒林外史》는 지식인들의 생활을 제재로 한 장편 풍자소설이다. 吳敬梓는 생동감이 있게 지식인들의 형상들을 묘사하여 청대 시기의 사회 현실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제까지 연구된 것들을 바탕으로 《儒林外史》에 나타난 주제사상과 예술적 특징을 살펴봄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제Ⅲ장에서는 《儒林外史》의 주제사상을 분석하였다. 주제사상 분석에서는 과거제도에 대한 비판, 봉건관료와 지주의 횡포 및 풍자, 봉건사회의 병폐에 대한 풍자, 이상적인 사회의 추구 등 네 가지로 분류해서 살펴보았다. 《儒林外史》는 단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만을 비판하고 풍자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상적 인물상을 통해 작가의 이상을 제시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개선 방안과 비전을 제시하고 사회를 교화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부패한 사회를 대변하는 여러 인물들의 형상을 통해서 신랄히 비판하고 있지만, 한편으로 작자가 추구하는 이상적 인물을 등장시켜 희망을 제시하고 있다. 제Ⅳ장에서는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예술적 특징 분석에는 구조적 특징, 풍자기법의 특징, 인물형상의 특징, 언어 표현기법상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儒林外史》는 여러 면에서 예술상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것은 사회의 어두운 면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이다. 《儒林外史》는 그 이전 시기 풍자소설의 경험을 섭취하고 새롭게 창조하여 중국 고전풍자소설의 최고봉에 올라섰다. 《儒林外史》속의 인물의 성격은 아무런 의미 없이 부여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시대적 영향 · 환경적 영향 · 작가의 이상에 따라 출현하고 있는 인물들에게 성격적 특징을 부여하고 있다. 《儒林外史》의 언어 예술적 특색은 간결하지만 인물의 가장 중요한 특징을 부각시키고 있다. 글자 하나하나가 치밀하며 문장마다 생생함이 넘쳐흐르고 있다. 이와 같이 《儒林外史》는 당시 사회를 집중적으로 풍자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예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로 그 수법들은 매우 다양하며 그 내용 또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그러므로 청대 풍자소설의 대표로 손꼽히며 후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