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댄스스포츠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박혜은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춤과 음악과 운동의 역할이 함께 어울려 있는 댄스스포츠가 정신지체아의 사회 · 정서적 행동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박혜은, 2004)는 연구를 토대로 댄스스포츠를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특별활동 교류교육 프로그램으로 선정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댄스스포츠는 청소년기의 일반학생이나 정신지체학생에게 공통적으로 건전한 여가생활과 바람직한 인격형성에 효과가 있는 활동이며 특히 1:1 파트너 쉽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분리된 환경의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의 교류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적절하다. 그리하여, 그 지도방법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봄으로써 향후 정신지체 특수학교 특별활동의 방향과 교류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특수학교 특별활동 교류교육에 적합한 댄스스포츠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다. 둘째, 댄스스포츠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나타난 효과를 살펴본다. 연구의 대상은 현재 서울시에 소재하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9명과 같은 지역사회에 속하고 인근에 위치한 사립 일반중학교 재학생 9명이고 전체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댄스스포츠부서를 희망한 학생들이다. 연구의 기간은 2004년 4월10일~11월 20일 까지 약 8개월간이며 이중 여름방학기간인 7~8월 약 1개월은 제외하였고, 프로그램 적용은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방과 후 특기 · 적성교육활동시간과 일반학교 전일제 특별활동시간을 맞추어 매주 1회 120분씩 연간 15회 실시하였다. 교류활동 시간은 매주 토요일 11:30~13:30까지 2시간동안이며 댄스스포츠의 수준은 두 집단의 공통된 수준으로 초급단계를 선택하였으며 종류는 1학기에는 차차차를 6회 실시하고,2학기에는 자이브를 같은 시간 같은 방식으로 9회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효과를 측정하기위한 도구로 정신지체 학생에게는 「친구관계기술 체크 리스트」를, 일반학교 학생에게는 「친구관계기술 검사지(신경미, 2002)」와 「사회적 거리감 설문지(최경애, 2003)」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에 의한 결과는 첫째, 댄스스포츠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은 정신지체학생의 일반학생에 대한 친구 관계기술에 효과적이다. 둘째, 댄스스포츠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은 일반학생의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친구 관계기술에 효과적이다. 셋째, 댄스스포츠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이 일반학생의 정신지체학생에 대한 친구 관계적응 수준에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분석해 볼 때, 이 연구를 통하여 구안 · 적용한 댄스스포츠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은 정신지체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특별활동 교류 프로그램으로 매우 적합함을 알 수 있었으며 서로의 친구관계 형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apt and develop a dance sports program which is learned on club association in middle school and/or special school student. Unfortunately they are educated in separate environmenteach other. We developed a dance sports program which is very effectively turned out for mental retarded. This thesis is succeeding research that's why they make use of their spare time and build up their character with dance sports program, for the purpose of educational interchange. We made a dance sport program which is consist of beginner's course - cha cha, jive - organized dance sports class, made use of their club association for middle school and special 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for mental retarded.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base on maintenance and unification with their educational interchange. Finally I hope that they have a good friendship and care each other, in addition to organize dance sports staff, We make efforts to develop other programs.

      • 간식 조절 교육과 전화코칭이 당뇨병환자의 자가관리,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혈당에 미치는 효과

        박혜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보-동기-행위 기술 이론을 근거로 GROW 모형의 코칭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간식 조절 교육 및 전화코칭이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 당화혈색소와 체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 G구의 K대학교병원에 내원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로 실험군 28명, 대조군 28명, 총 56명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배정 실험연구이다. 실험중재는 대한당뇨병학회의 간식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간식 조절 개별교육을 시행하였고 4주후, 8주후 전화를 이용한 개별 면담 및 전화코칭을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11월 27일부터 2020년 3월 30일까지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당뇨병 관련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교육 후 효과검정은 paired t-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가설 1. ‘간식 조절 교육과 전화코칭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 군 보다 당뇨병 자가 관리 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에서 더 높은 평균을 보여 주여 교육 후의 실천 행위의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고, 또한 간식섭취 부분은 차이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 라서 본 연구의 가설 1은 지지되었다(t=–9.494, p<0.001). • 가설 2. ‘간식 조절 교육과 전화코칭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 군 보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 군보다 높은 지각된 사회적지지 점수를 보여주었고 차이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2는 지지되었다(t=7.201, p<0.001). • 가설 3. ‘간식 조절 교육과 전화코칭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 군 보다 자기효능감 점수 높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자기효능감이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3은 지지 되었다(t=7.185, p<0.001). • 가설 4. ‘간식 조절 교육과 전화코칭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 군 보다 당화혈색소 및 평균혈당 수치가 낮을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당화혈색소 및 평균혈당의 평균 수치가 감소하였다. 또한 차이분석에서도 통계적 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4는 지지 되었다 (t=–4.820, p<0.001). • 가설 5. ‘간식 조절 교육과 전화코칭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 군 보다 체중이 감소할 것이다’를 검정한 결과 실험군의 평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이분석에서는 통계적 범위 내에서 유의한 차이는 도출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가설 5는 기각되었다(t=280, p=.780).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식 조절 교육 및 전화코칭은 당뇨병 자가관리 행위, 지각된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당화혈색소 및 평균혈당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써 간식 교육 자료의 유용성이 확인되었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향상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간식 조절 교육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based on IMB theory and apply the coaching process of the GROW model to find out the effects of snack control education and telephone coaching on self-management, social support, self-efficacy, blood glucose and body weight of diabetic patients. This study is a random assignment experiment study of a total of 56 people, 28 people in control, and 28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visit K University Hospital in G-gu, Seoul. The experimental arbitration conducted individual snack control education using the snack education materials of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and conducted individual interviews and telephone coaching using the telephone four weeks later and eight weeks later.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27, 2019 to March 30,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program, 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diabetes-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on real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ost-training effects tests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with paired t-test and t-test.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analyzed with Cronbach's Alph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Hypothesis 1. The test of 'Test group subject to snack control education and telephone coaching will have higher self-care score for diabetes than the unapplied control group' showed a higher averag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firming that there was a change in practice after education, and also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Therefore, hypothesis 1 of this study was supported (t=–9.494, p<0.001). •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with snack control education and telephone coaching will have a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score than the unapplied control group' showed a higher perceived social support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fference analysis. Hypothesis 2 of this study was therefore supported (t=7.201, p<0.001). • Hypothesis 3. 'The experimental group with snack control education and telephone coaching will have higher self-efficacy scores than the non-applied control group'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hypothesis 3 in this study was supported (t=7.185, p<0.001) • Hypothesis 4. 'The experimental group subject to snack control education and telephone coaching will have lower levels of glycosylated hemoglobin and average blood glucose than the non-applied control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 average number of glycosylated hemoglobin and average blood gluc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 analysis also identifi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hypothesis 4 in this study was supported (t=–4.820, p<0.001). • Hypothesis 5. Tests of 'Test group subject to snack control training and telephone coaching will lose weight than non-applied control group' showed a lower mean for the group, but the difference analysis did not produc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statistical range. Hypothesis 5 was therefore rejected (t=280, p=.780).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snack control education and telephone coaching are effective in improving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 perceived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reducing glycosylated hemoglobin and average blood glucose. As this confirms the usefulness of the snack education materials, I suggest snack control education as a means of arbitration to improve self-care of diabetics.

      • 감정의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말하기 연구 : 퇴계(退溪)의 성학십도를 중심으로

        박혜은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I am a professional master of ceremonies, who makes a living out of speaking. In spite of this, I had several occasions that embarrassed me because I could not speak in front of an audience. As such, this study concerns the people who are afraid of speaking as I was. It is a story about the fear and deficiency they feel concerning speaking. For this, the author intends to focus on the speaker to identify the cause for this phenomenon and provide a solution. Therefore, the author will check the logical structure of inevitable speaking, where the speaking is centered around ‘me’ rather than ‘others’. With this, it is intended here to provide a solution for each person to have confidence in speaking. This study takes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speaking. Unlike the studies on speaking that were centered around the audi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feelings of the speaker. In this study, the ‘speaking’ is defined as to ‘secure the feelings through the spoken words that make sense’. Here, the spoken words that make sense means speaking with logic. The spoken words are discharged from my body. So, the logic we need to have in our speaking is the logic of our own body. To understand the logic of my own body is to understand the feelings of mine, which is the language of my body. Here, I named the feelings of mine, which is the logical language of my body, as ‘the language of the body’. To check one’s feelings and address the thoughts will give the words of the person more power, while making the body of the speaker more comfortable. If you want to be abetter speaker, it is necessary to check your own body first, as your body is where the words you speak come from. Without checking the feelings, which is the ‘language of the body’, you can not secure the meaning of speaking.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check what kind of myself it is when I am the speaker. Through this, it was summarized and described how my feelings changed my speaking. Firstly, through the personal experience of myself, who is the author, I reviewed the problems with the existing speaking and speaking education. Second, I addressed the ‘language of feeling’, and confirmed my thoughts on speaking. For this, I studied the logics of feelings through the Asian classics, namely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Mencius, while focusing on Seonghaksipdo of Toegye, which addresses the topic of self-Understanding of the feelings. Third, the author critically reviewed the existing studies on speaking based on such logics. The author reviewed the problems the Rhetoric of Aristoteles, which is essential in the speaking for persuading others, with a view the review how the studies on speaking have been conducted until today. Lastly, the author designed a ‘program for speaking the language of feeling,’ based on the logics confirmed through the stud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program enhanced the speaking of the researcher, while the trainees also experienced a meaningful change in their speaking. The argument the researcher here puts forward is to use the ‘language of feelings’, which is used based on the knowledge on what kind of me is myself. The language of the feelings is based on the science of feelings. It means the science regarding the feelings. This is based on the analyses in the preceding study saying, “the key for the studies on Toegye is the true self-understanding of one’s feelings.” If someone speaks without making a sense, the listeners are likely to feel frustrated. Normally, we do not discuss the thoughts and feelings apart from the speaking. However, we tend to ask for the speaker’s confirmation, asking, “Is that truth?” This is to confirm whether the words spoken by the speaker are truly based on his/her thoughts. And, if the thought is not thoughtful, we tend to turn to the ‘language of feelings’. This means that our thoughts come out of our mouth as words. And, when we want to confirm whether the words that are spoken are truly based on sound thoughts of the speakers, we ask the speaker whether he/she is speaking the ‘truth,’ which is connected to the language of true feelings. You may have experienced you speak fluently and effectively when you are true to your feelings. Having the feelings and thoughts in line means a situation such as this, where I speak as I feel inside me. On the other hands, if the thoughts and the feelings are not aligned, you cannot speak effectively. If you understand your own body and the feeling, which is the language of the body, you may understand whether the language you spoke truly represent your feelings or you are looking out for something that you already have inside. The words of one’s true feelings can be identified as truthful as soon as they are spoken. This is because my words and facial expressions manifest the feelings I have inside me. Confucius said one should study for him/herself, not for others. Studying for oneself means you are studying for your own good, while studying for others is sacrificing yourself while you study for the good of others. The speaking education that has been performed so far is studying for others. When you study speaking for the good of others, you may develop your skills in delivering the message to others, by addressing what is observed by others. However, this fails to address yourself, while you yourself should become the focus of the efforts. This, in turn, will leave a void in your speaking. In the 10th Sookheungyamaejamdo of his Seonghaksipdo, Toegye addressed the topic of Bongiripeui, speaking of waking up early in the morning. This also means you cause yourself to stand in the right way. To address yourself and then address the words you speak out of your mouth, this is ‘the speaking of one’s own feeling based on self-understanding,’ which is the topic of this study. If the words we speak come from other sources than our own body, it is not possible to address the reason of speaking. Words of reason is the words you speak while you understand that they are from your own body, as you know that it is your own body and your body is being loved and flawless. And, the words that are spoken by someone with this knowledge are true to the ‘language of feelings’. This is because the emotion can be identified inside you without relying on any other thing. Through this study, I checked the logics of my own body and, I believed the kind of speaking we need is the speaking based on self-understanding of the feelings, which is again based on such affirmation. 나는 말하기를 직업으로 가지고 있는 전문 진행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러 사람 앞에서 말이 나오지 않아 당황한 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처럼 말하기에 두려움을 느끼고 있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그들이 느끼는 말하기의 두려움과 결핍에 관한 이야기인 것이다. 나는 말하는 화자에 집중하여 이에 대한 원인을 확인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타인’이 기준이 되는 말하기가 아닌 ‘나 자신’이 중심이 되는 필연적인 말하기의 논리구조를 확인해 볼 것이다. 이를 통해서 각자 스스로 말하기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그에 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기존의 말하기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고 있다. 청중 중심의 기존 말하기 연구와 달리 말하는 화자의 감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의 의미를 ‘말이 되는 말로 감정을 챙기는 것’이라 정의한다. 말이 되는 말이란 논리를 챙기는 말을 의미한다. 말은 내 몸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챙겨야 할 논리란 바로 내 몸의 논리인 것이다. 내 몸의 논리를 안다는 것은 내 몸의 언어인 나의 감정을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나는 나의 감정을 내 몸의 논리적 언어인 ‘몸말’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감정을 확인하고 생각을 챙기게 되면 나의 말에 힘이 생기고 내 몸이 편안해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말을 잘하기 원한다면 먼저 그 말이 나오는 내 몸의 확인이 필요한 것이다. 내 ‘몸말’인 감정의 확인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말의 이치를 챙길 수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을 하는 화자인 내가 어떤 나인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내 감정이 나의 말하기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를 정리하고 서술하였다. 첫 번째로 연구자인 나의 체험을 통해 기존 말하기와 말하기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정(情)말’을 챙기고 말하기에 대한 나의 생각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감정의 자기이해’를 다루고 있는 퇴계의 『성학십도』를 중심으로 동양의 고전인 『논어』와 『맹자』를 통해 말하기에 대한 감정의 논리를 연구하였다. 세 번째로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기존의 말하기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현대의 말하기, 특히 타자를 설득하고자 하는 말하기에서 빼놓을 수 없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현재까지의 많은 말하기 연구들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확인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확인된 논리를 바탕으로 ‘정(情)말 말하기 프로그램’을 구성해 보았다. 이 프로그램으로 연구자의 말하기가 향상되었고 교육 대상자들의 말하기 또한 의미 있는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내가 어떤 나인지를 알고 하는 ‘정(情)말’을 하자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정(情)말’은 정학(情學)에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정학(情學)’이라는 용어는 감정과학(感情科學: Science of Feelings)의 약자로서, “퇴계학(退溪學)의 핵심은 감정의 참된 자기이해가 학문임을 밝힌 것”이라는 전헌의 해석에 따른 것이다. 누군가 말 안 되는 말을 하게 되면 듣는 사람은 정(情) 떨어짐을 느낀다. 평소에 우리는 생각과 감정을 말과 분리해서 논하지 않는다. 하지만 누군가가 말을 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챙겨서 하는 말인지를 내가 확인하고 싶을 때, ‘그 말이 정말이냐’고 되묻는 것이다. 바로 이때 그 생각이 생각답지 않을 때 ‘정(情)말’을 꺼내게 된다. 즉 생각이 말로 나오는 것인데 그 말이 생각을 제대로 해서 나오게 된 말인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 싶을 때 ‘정(情)말’이라는 단어를 꺼내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감정에 솔직할 때 말이 술술 나오게 되는 체험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감정과 생각이 따로 놀지 않을 때란 이처럼 내 속의 감정이 느끼는 대로 말을 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와 반대로 감정과 생각이 왔다 갔다 하게 된다면 제대로 된 말이 나올 수 없을 것이다. 내 몸을 알고 내 몸의 말인 감정을 이해하게 된다면 내가 하는 말이 ‘정(情)’을 확인하는 말인지 아니면 이미 나에게 있는 것을 없는 줄 알고 밖에서 찾았던 말 이였는지를 알 수 있다. ‘정(情)’을 확인하는 말이란 스스로가 말하는 순간 이미 알고 있다는 것이다. 내 말과 표정에서 내 속의 감정이 밖으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공자는 학문을 하는 이유가 다른 사람을 위한 위인지학(爲人之學)이 아닌 자기 자신을 위한 위기지학(爲己之學)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여기서 위기지학(爲己之學)이란 나 좋은 줄 아는 공부,ᅠ爲人之學(위인지학)은 남을 위한 공부로 남을 챙기느라 나 상하는 것 모르는 공부를 뜻한다. 그 동안 진행되어온 많은 말하기 교육은 위인지학이었다. 내가 빠진 위인지학의 말하기는 남에게 보이는 행동과 방식을 챙김으로서 타인에게 전달되는 말하기의 역량은 좋아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말하기는 진짜 챙겨야 할 나를 챙기지 못함으로 또 다시 말하기의 빈자리가 생겨나게 된다. 퇴계는 『성학십도』「제10숙흥야매잠도」에서 새벽에 일어나 잠에서 깨어날 것을 말하며 ‘본기립의(本旣立矣)’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이는 내가 나를 바로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나를 챙기고 그 다음 밖으로 나오는 말을 세우는 것, 그것이 본 연구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감정의 자기이해를 바탕으로 한 말하기’인 것이다. 우리의 말이 제 몸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다른 곳에서 나온다고 한다면 말의 이치를 챙길 수 없다. 이치를 챙긴 말이란 내 몸에서 말이 나옴을 알고, 이 몸은 사랑받고 태어난 완전한 나의 몸임을 아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아는 사람의 입을 통해 밖으로 나오는 말이야 말로 진정으로 ‘정(情)말’을 챙기는 말하기인 것이다. 왜냐하면 감정이란 다른 것에 의존됨이 없이 내 안에서 확인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본 연구를 통해서 내 몸의 논리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확신을 바탕으로 감정의 자기이해가 바탕이 된 말하기야 말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말하기라고 생각한다.

      • 항암화학요법 중인 부인암 환자에서 고용량 비타민 C 사용에 관한 연구

        박혜은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비타민 C가 풍부한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 많은 연구에서 암을 예방해 준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고용량의 비타민 C는 체내에서 항산화, H2O2생성, 콜라겐 합성, 면역기능 증강기능이 있어 암 환자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항암화학 요법 중인 부인암환자에서도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연구대상 및 방법: 고신의과대학 복음병원에서 2005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처음 부인암으로 진단받고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중인 57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항암화학요법 전후에 혈관으로 20-30g의 고용량의 비타민 C를 투여하였다. 비타민 C를 투여한 군은 29예이고 대조군은 28예이었고 비타민 C를 투여한 군 중 자궁경부암이 17예이고 난소암은 12예이었고, 대조군은 자궁경부암이 11예이었고 난소암은 17예이었다. 자궁경부암은 FP(5-FU, cisplatin)항암화학요법을, 난소암은 FIGO병기가 Ⅰ 기초에서는 CC(cyclophosphamide, cisplatin)를 그 이상의 병기에서는 CT(carboplatin, paclitaxel) 또는 PT(cisplatin, paclitaxel)항암화학요법을 각각 6회를 시행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은 종양표지자의 변화양상으로 부작용은 Gynecologic Oncology Group (GOG)의 분류를 기준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종양의 치료효과 대한 반응으로 종양표지자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고용량의 비타민 C 군과 대조군에서 종양표지자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화기계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설사를 평가하였으며 난소암의 항암화학요법시 오심과 구토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p<0.05). 골수부작용에 대한 평가는 혈색소, 백혈구, 혈소판 수로 하였으며, 간 기능은 간효소(GOT/GTP)로 하여 고용량의 비타민 C군과 대조군에서 종양표지자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장 독성은 혈액 검사상 크레아티닌 수치로 평가하여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군과 대조군에서 종양표지자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감각신경계와 운동신경계 부작용도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군과 대조군에서 종양표지자의 변화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부인암 중 난소암으로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하는 환자에서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군은 오심 및 구토의 소화기계 부작용을 줄일 수가 있었고 다른 부작용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치료효과에 대한 반응으로 단기간의 종양표지자의 변화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에 대한 연구와 장기간의 추적관찰로 재발 및 생존율을 분석하면 고용량의 비타민 C 사용이 부인암치료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It is become known and that the fresh fruit or the vegetable where the vitamin C is abundant to prevent the cancer from many research. The high-dose vitamin C is a antioxidation, H_(2)O_(2) creation, collagen synthesis and immunity functional reinforcement and it is researched with the fact that it is useful in the cancer patient. Consequently the high-dose vitamin C use should have become how many help even from the secondary cause gynecological cancer patient who is in chemotherapy, it knew and report the research.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performed prospective on 57 patients who is diagnosed initially the gynecological cancer during chemotherapy at Gospel hospital of Kosin university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06. The study was divided according to high-dose vitamin C use 29(cervix cancer: 17, ovarian cancer 12) and no high-dose vitamin C use(control) 28(cervix cancer: 11, ovarian cancer 17). The cervix cancer was treated by FP(cisplatin and 5-FU)chemotherapy for all stage and the ovarian cancer was treated by CC(cyclophosphamide and cisplatin)chemotherapy for stage 1 CT (carboplatin and paclitaxel) or PT (cisplatin and paclitaxel)chemotherapy for advanced stage for 6 times respectively regarding a treatment in tumor marker change aspect and the side effect researched Gynecologic Oncology Group (GOG) classifications. Results: Value of the tumor marker of the high-dose vitamin C group is not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with a statistically from control group. It evaluated the nausea and vomiting with digestive side effect and the result which considers with a statistic significantly in ovarian cancer. It evaluated function the for liver enzyme (GOT/GTP) and bone marrow side effect for the Hb, WBC and platelet and the result which considers the high-dose vitamin C group is not a differences which considers statistically from the control group. The serum creatinine with the high-dose vitamin C group does not have the difference which considers with a statistically from the control group. Sensory nervous system and motor nervous system side effect with the high-dose vitamin C group is not a difference which considers statistically from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high-dose vitamin C use is a possibility of reducing the digestive side effect of the nausea and vomiting from the patient whom in the ovarian cancer chemotherapy also it will be able to use without different side effect. The regarding a tumor marker change it was not significantly but when it analyzed a recurrence and a survival rate with more patient and follow up in long period, the high-dose vitamin C use of should have become how many help in gynecological cancer treatment.

      •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초등학교 고학년 남녀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

        박혜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 maltreatment and effortful control on reactive aggression amongst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d any form of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maltreatment and reactive aggress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38 students (225 boys and 213 girls) from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oung-gi province. The Peer Conflict Scale (Marsee, Kimonis, & Frick, 2004)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reactive aggression. The level of child maltreatment was assessed by means of the Child Trauma Questionnaire (Bernstein & Fink, 1998). Effortful control was measured by the 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Revised (Ellis & Rothbart, 2001). Statistical analyses of data used for this study comprised the following methods;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ffortful control was analyzed by using the procedure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maltreatment increased the level of reactive aggression whereas the level of effortful control decreased the level of reactive aggression for both. In addition, effortful control only moderated the influence of maltreatment on reactive aggression for girls. 본 연구에서는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반응적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학대 경험이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의도적 통제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에 위치한 네 개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438명(남 225명, 여 213명)이었다.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Marsee, Kimonis와 Frick(2004)의 또래갈등척도(Peer Conflict Scale) 중 반응적 공격성에 해당하는 20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의도적 통제는 각각 이유경(2006)이 번안한 Bernstein과 Fink(1998)의 아동기 외상 질문지(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한영숙(2010)이 번안한 Ellis와 Rothbart(2001)의 초기 청소년 기질 질문지-수정판(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Revised)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측정 변인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성별에 따른 평균 점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기초분석으로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분석 절차를 적용하였다. 모든 상관 및 회귀분석은 남녀 집단을 구분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아동 모두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로부터의 학대 피해 경험이 많을수록, 아동의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을수록 반응적 공격성을 보일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는 여아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이는 남아의 경우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반응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의도적 통제의 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으나, 여아의 경우 의도적 통제의 수준에 따라 다른 것을 의미한다.

      • 주요국 환율 사이의 비모수적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박혜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4개국의 미국달러(USD) 대비 통화를 선정하여 모형의 가정 없이 비모수적인 그랜저 인과관계(Linear and Nonlinear Granger causality)검정을 함으로써 주요국 통화간의 본질적인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 있다. 외환시장에서 주로 거래되는 4개국 통화로 유로화(EUR), 일본 엔화(JPY), 영국 파운드화(GBP), 스위스 프랑(CHF)을 선정하여, 2000년 1월 1일부터 2017년 4월 14일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주요국 환율수익률간의 Diks and Panchenk(2006)가 제시한 새로운 비모수적 그랜저 인과관계(Nonparametric Granger causality)검정을 실시한 결과, 선형 그랜저 인과관계(Linear Granger causality)와는 다르게 외환시장 간 다수의 양방향의 예측력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금융시장간의 통합성이 확대되는 추세에서 환율시장 간의 밀접성도 증대되고 있는바,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의 기간을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요 각국의 환율 변동성 사이의 비모수적 그랜저 인과검증을 통하여 선형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 결과와 다르게 비선형의 관계가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러한 각국 외환시장 사이의 비선형 그랜저 인과관계는 금융위기 이전과는 다르게 금융위기 이후에 다수 포착되었다. 즉,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서로 다른 외환시장 간의 예측력이 보다 밀접한 관계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ssential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countries' currencies by testing the non-parametric Nonlinear Granger causality without assuming the model. I investigates the linear and nonlinear Granger causal relationships among four currencies against the US dollar(USD) which is namely Euro(EUR), Great Britain Pound(GBP), Japanese Yen(JPY), Swiss Frank(CHF) from January 1, 2000 to April 14, 2017. The results from a new nonparametric Granger causality test suggested by Diks and Panchenko(2006) showed lots of bidirectional feedback effects on the exchange rate returns of four currencies compared to traditional Granger causality test results. In addition, as the currency interrelationship have become more internationally integrated after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I analyzed the nonlinear Granger causality test for the exchange volatilities in two sub-sample periods consist of before 2008 financial crisis and after financial crisis. The full sample period results of nonlinear Granger causality had a lot of nonlinear Granger causality linkages among four exchange volatilities compared to linear Granger causality results. In particular, this linkages were captured in the after financial crisis sample period unlike before financial crisis sample period. In other words, we have confirmed that the predictive power among volatilities of different foreign exchange markets is mo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지역방송제작자의 특성에 따른 지역성 인식과 프로그램 제작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청주지역을 중심으로

        박혜은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방송제작자의 특성에 따른 지역성 인식과 프로그램 제작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청주지역 방송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그 동안의 지역방송 연구, 그리고 지역방송의 논의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지역성에 관한 당위적이며 구조적이고 정책적인 방안에서 벗어나 현재 지역방송 제작자들, 특히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청주지역의 방송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지역성은 어떠한지, 지역성 인식에 있어 특성별 차이가 존재하고 있는지와 지역성 개념이 프로그램 제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더 깊이 있게 알고자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보았다. 지역성의 구현방식은 프로그램의 주제나 소재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으나, 지역방송 제작진이 인식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어야 할 지역성은 어떤 모습이며, 개인이 정의하는 지역성은 프로그램의 제작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지역방송 제작자의 지역성 인식과 프로그램 제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그 간의 많은 연구에서 보여 지는 지역성의 개념 정리 및 다양한 지역방송 연구의 방향을 확인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지역방송제작자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먼저 청주지역 방송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지역방송의 근간이 되는 지역성의 개념 변화 및 지역성과 지역방송에 관한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는지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더불어 미디어 생산영역의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하는 이론적 근거와 프로그램 제작에 관련된 선행연구들도 간단히 살펴보며 기존 연구들과 연구경향을 고찰함으로써 본 연구가 위치한 학문적 맥락을 집어 보았다. 이 같은 내용들을 전제로 이번 연구를 통해 첫째, 청주지역 방송 제작자의 특성, 그 중에서도 경력, 직종, 성별이나 결혼여부 등의 특성을 중심으로 이에 따른 지역성 인식에의 차이가 존재하는 가를 살펴보았으며 둘째로, 특성에 따른 지역방송 제작자의 지역성 인식의 차이가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서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방송 제작자의 지역성 인식은 많은 연구에서 지적하듯 공간적 개념에서 사회적 개념으로의 이동이 아닌 개념이 혼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작자의 경력이나 직종, 결혼여부 등의 특성별 차이가 지역성에 대한 생각에 미치는 차이 또한 다양한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개인의 특성에 따른 지역성 인식 외, 제작진들은 전국적인 관심사에서 묻혀버리는 사안들, 혹은 전국적인 관심사 일지라도 지역의 입장에서 다시 드려다 볼 필요가 있는 것들이 지역에서 담아내야 할 지역성이라는 공통된 의견을 보이고 있기도 했다. 경력별 차이는 지역방송사의 인원과 제작비의 한계 안에서 가장 집중해서 만들어 낼 수 있는 다큐멘터리 등 소위 특집으로 분류되는 프로그램에 집중하자는 생각과, 이러한 생각들로 인해 놓치게 되는 정규프로그램에 대한 소홀함의 우려를 통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직종에 따른 차이는 광역화와 공동제작에 대한 의견 속에서 달리 나타나고 있으며, 성별의 차이가 프로그램 제작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찾기 힘들었으나, 제작자의 결혼과 함께 방송소재에 대한 관심도가 광범위해 지거나 강화되는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 제작자의 특성별 지역성 인식 외에도 프로그램 제작에 영향력을 끼치는 요소는 많아 보인다. 지역방송사의 인력부족으로 인한, 제작능력의 하향평준화에 대한 우려 및 이로 인해 담보될 수 없는 방송의 질의 문제는 프로그램 제작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다. 더불어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취재원 확보의 어려움 및, 지역민 피드백의 부재로 인해 자가 당착의 오류에 빠질 수 있는 우려도 있어 보인다. 이 밖에도 현실적이지 않은 편성 정책에 대한 생각들이 어우러져 프로그램 제작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그 동안 논의 되어온 지역방송의 지역성 개념이 현재 지역방송 제작자의 의견을 통해 조금 더 확장되었음에 의미를 두고 이러한 특성에 따른 지역성 인식의 차이가 프로그램 제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더 확대된 연구를 기대해 본다. 주제어 : 지역방송, 지역성, 제작자, 프로그램, 제작여건,

      • 지역특화 식품바이오산업 고부가가치화 방안 연구 : 세종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는 지역경제 성장을 통한 자립적 경쟁력확보라는 관점에서 지역산업육성정책을 다양하게 추진하였다. 지역혁신체계(RIS)구축, 자립형 지방화 및 국가균형발전을 추구하는 등 지역전략산업을 중점육성하고 산학연과 혁신체계가 구축되었으며, 광역경제권 선도산업을 육성하여 신성장동력을 마련하면서 글로벌 산업경쟁력 확충 강화하는 등 지역산업정책과 지역 산업의 변화와 투자가 계속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산업육성 정책의 차별성, 체계성 및 투자효율성증대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분석 지역인 세종특별자치시의 지역기업 환경 분석과 함께 지역산업 육성사업의 주요 현황을 검토하고 종합적인 성과분석을 바탕으로 세종시의 중점산업 및 혁신자원의 성장성과 지역경제 기여도, 파급효과 등에 대한 실증적 분석결과를 향후 산업별 육성효과를 높이기 위한 선제적 대응방향으로 제시한다. 세종시는 신생도시로서 초기 자본 및 설비 투자가 비교적 적은 전자 · 통신 및 컴퓨터 시스템 구축과 연관된 서비스업 중심의 기업 활동이 활발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중소 벤처기업 중심으로 기술 혁신성은 좋으나 주요 중견·대기업의 부재로 기업 성장 촉진에는 한계가 있고 지역육성사업의 지원대상이 되는 대표산업은 단순 제조업 중심의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부가가치화를 실현하고자하기 때문에 향 후 자립발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세종시의 바이오소재산업 중 특화도가 높은 식품바이오산업을 단순 생산식 산업에서 벗어나 타 인접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국제적인 동향에 걸맞는 고부가가치화 및 지역기업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러한 식품바이오산업의 고부가가치화 활성화는 글로컬 브랜드화를 지향하며,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을 접목하는 제품 개발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기존산업의 질적 성장뿐 아니라 지역적 차별화를 넘어서 세계시장에서의 특징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