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의 설계 및 토크 특성 해석

        박형범 부경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paper describes on the design and torqu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with cylindrical rotor type. By using the difference and ratio between Ld and Lq the number of flux barrier to minimize the torque ripple was decid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Kriging method was used to optimize the rotor shape and it was known that the amplitude of torque ripple was decreased to 70%. Winding function theory was used to analyze the torque characteristics of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In winding function theory, the calculation of inductances is very important. To compute the self and mutual inductances of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new equivalent rotor model was proposed because of calculation difficulty of inductances of synchronous reluctance motor with cylindrical rotor type. The analysis results by winding function theory was compared with those of finite element analysis. From this comparison the proposed equivalent rotor model was proved. The experimental results also show the validation of proposed model. 본 논문에서는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의 토크리플을 최소화하기 위한 회전자의 최적화 설계와 Winding Function Theory를 이용한 토크 특성 해석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Ld, Lq 차와 비의 특성을 이용하여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의 토크 리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회전자 자속 장벽의 개수를 유한요소 해석으로부터 결정하였다. 그리고 최적화 기법 중 크리깅을 토크 리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회전자의 형상을 설계하였고 최적화 후의 토크 리플의 크기가 최적화 전의 토크 리플보다 70% 정도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Winding Function Theory를 이용한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의 토크 특성 해석을 위하여 회전자의 자속 경로를 계산할 수 있는 새로운 등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등가 모델을 이용하여 최적화 전 모델과 최적화 후 모델에 대한 토크 특성을 해석하고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해석 결과와 비교 검토하여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최적화한 동기형 릴럭턴스 전동기를 제작하고 구동 회로를 이용한 드라이브를 구성하여 토크 리플을 측정한 결과로부터 해석의 정확성도 확인하였다.

      • 연용에 따른 상토의 물리성 변화 및 펄라이트 혼합을 통한 개선이 묘삼 생장에 미치는 영향

        박형범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묘삼 생산 시 연용으로 훼손된 상토의 물리성 개선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개선된 상토 물리성이 인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연용 상토의 물리성 개선 묘삼 재배를 위해 1, 2 및 3년간 사용한 상토(1년, 2년, 3년으로 표기)를 수집한 후 사용 전 상토와 물리성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사용한 모든 상토는 최초 구성이 피트모스 70%+펄라이트 30%(v/v) 비율로 조제된 제품이었다. 이후 직경 3-5mm와 1-3mm 규격의 펄라이트를 다양한 비율로 1년 및 3년 상토에 혼합한 후 다시 물리성을 측정하여 개선정도를 판단하였다. 사용 전 상토와 비교할 때 묘삼 재배를 위한 상토의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1.4-5.6mm 크기의 입자 비율이 감소하고 150-355µm 크기의 입자 비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작은 입자의 비율 증가로 인해 상토의 보수성이 증가하여 용기용수량이 새 상토가 73.9%였지만 1년 75.7%, 3년 77.0%로 증가하였다. 기상률은 새 상토가 8.8%였지만 3년이 7.8%로 낮아져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보수성이 증가하고 토양통기성이 불량해짐을 알 수 있었다. 1년 상토 100g 당 3-5mm와 1-3mm 펄라이트를 각각 4 및 9g 혼합한 1+4:9 처리와 3년 상토에 동일한 규격의 펄라이트를 각각 2g과 7g(3+2:7 처리) 및 4g과 9g을 첨가한 경우(3+4:9 처리) 새 상토와 유사한 입경분포를 보였다. 1+4:9 처리는 새 상토와 액상률과 기상률의 통계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3+2:7 및 3+4:9 처리는 액상률이 낮고 기상률이 높았다. 새 상토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분(EAW)과 완충수분(WBC)이 각각 27.4% 및 7.5%였지만 3+2:7 처리만 새 상토와 유사한 EAW 28.3%였고, 3+2:7 처리를 제외한 펄라이트가 첨가된 모든 처리에서 EAW와 WBC가 낮아졌다. 본 실험의 결과 1년 상토 100g 기준 3-5mm와 1-3mm 펄라이트를 각각 4 및 9g, 3년 상토는 동일한 규격의 펄라이트를 각각 2g과 7g 및 4g과 9g 혼합할 때 물리성 개선효과가 우수하였다. 2. 물리성 개선이 묘삼 생장에 미치는 영향 사용 전 상토, 연용 상토 및 교정 상토를 이용한 인삼 재배 실험에서 1년 사용한 상토는 사용 전 상토나 1+4:7(1년 교정 상토) 상토와 모든 생육 조사항목에서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그러나 3년 사용한 상토는 사용 전 상토에 비해 생장이 저조하였다. 3년 사용한 상토를 교정한 처리 3+4:7는 3년 사용 상토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고, 사용 전 상토나 1년 사용 상토와 유사한 생장을 보였다. 3년 사용 상토는 엽장과 엽폭에서 사용 전 상토, 1년 사용 상토, 3+4:7 상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또한 3년 사용 상토의 지상부 건물중은 다른 모든 처리보다 가벼웠으며, 지상부 생체중도 사용 전 상토나 1년 사용 상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벼웠다. 뿌리 생장도 지상부 생장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3년 사용 상토는 다른 모든 처리에 비해 근 생체중과 근 건물중이 유의하게 가벼웠다. 그러나 3+4:9(3년 교정 상토) 처리는 3년 사용 상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하였다.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pplement effects of perlite on improv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in root media deteriorated by the successive hydroponic cultivation in multiple years for raising Ginseng seedlings. Then, the remediation effect of root media on growth of one year old Panax ginseng was investigated. 1. Remediation of root media After collecting one year, two years, and three years used media, the degrees of difference in phys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o fresh medium (new). The all media were composed of 70% peat moss plus 30% perlite in initial formulation. The 1 and 3 years used media were supplemented by the perlite with the grade of 3-5 mm and 1-3 mm in diameter and supplement rates were varied. Then,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again to determine the degree of improvement and to decide optimum supplemental rates. Compared to the new medium, the increased number of years in successive cultivation of Ginseng seedlings resulted in the lowered proportion of particles in the size of 1.4 to 5.6 mm and the get higher proportion of particles in the size of 150 to 355 μm. The increase in the rates of small particles resulted in the rise of container capacity (CC) from 73.9% in new medium to 75.7% in one year used and 77% in three years used. The air-filled porosity (AFP) also was lowered by the increase in number of years from 8.8% in fresh medium to 7.7% in three years used medium. The treatments of 1+4:9 (one year used medium supplemented with 4 g of 3-5 mm and 9 g of 1-3 mm perlite), 3+2:7 (three years used medium supplemented with 2 g of 3-5 mm and 7 g of 1-3 mm) and 3+4:9 (three years used media supplemented with 4 g of 3-5 mm and 9 g of 1-3 mm perlite per 100 g of used medium) showed similar particle size distribution to fresh medium. The treatment of 1+4:9 showed similar CC and AFP, but those of 3+2:7 and 3+4:9 had lower CC and higher AFP when those were compared to fresh medium. The percentage of easily available water (EAW) and water buffering capacity (WBC) of fresh medium were 27.4 and 7.5%, respectively, but those in 1+4:9, 3+2:7, and 3+4:9 decreased significantly except EAW in 3+2:7 treatment. Above results indicate that supplementation of perlite to 100 g of one year used medium with the rate of 4 g of 3-5 mm and 9 g of 1-3 mm or three years used medium with the rate of 2 g of 3-5 mm and 7 g of 1-3 mm or 4 g of 3-5 mm and 9 g of 1-3 mm were optimistic in remed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n used media. 2. Effect of root medium remediation on Panax ginseng growth In the ginseng cultivation experiment using new, 1 and 3 years used, and remediated medi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new medium and the 1+4:7 medium in all growth characteristics. However, the ginseng growth in root medium used for 3 years showed significant lower growth than those in new medium. The ginseng growths in the 3+4:7 treat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ose in the 3 years used medium. The growths in the 3+4:7 treatment were also similar to those in new and one year used media. The ginseng growth in terms of leaf lengths and leaf widths in three years used medium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in new, one year used and 3+4:7 media. In addition, the dry weight of above-ground tissue was lighter than those of all other treatments. The fresh weight of above-ground tissue was also lighter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in new or one year used media. Root growths also showed similar tendencies to those of above-ground tissue. The root growth in terms of root fresh and dry weights in the treatment of three years used were significantly lighter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However, 3+4:9 (corrected medium of 3 years used) treatment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3-years used medium in growth of Panax ginseng.

      • Data-driven multiscale framework for elasto-plastic deformation behavior of glassy polymers

        박형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고분자 기반 소재의 탄성 및 소성 변형에 대한 미시적 변형 메커니즘의 정성적 규명과, 정량적 모사를 위한 머신 러닝 기반의 멀티스케일 해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안된 해석 방법론은 미시적 소성 변형 거동에 대한 분자 수준에서의 일반적인 메커니즘 규명과, 고분자 소재의 비선형 기계적 거동에 대해 실험의 도움 없이 정량적 예측을 가능케 하며, 도출된 다수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된 구성 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거시적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을 예측한다. 특히, 제안된 멀티스케일 해석 방법론은 다양한 고분자 소재 자체의 고유한 구조–물성간의 관계를 고려한 구성방정식의 모델링을 가능케 하며, 이는 기존의 범용적 소성 거동에 대한 모델링에서 소재의 변형 특성에 일대일 맞춤화된 해석 모델로의 확장이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원자 및 분자 스케일에서의 미시 구조의 동적 모사가 가능한 분자동역학 전산해석을 활용하여, 열경화성 소재의 한 종류인 에폭시 소재의 미시적 변형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특히, 가교제의 분자 구조 특성이 경화된 에폭시 소재의 거시적 소성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분자동역학 모델에 압축 변형을 가한 후 하중을 제거하는 동안 에너지, 응력,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소성 변형 영역에서 방향족 가교제의 벤젠 고리 주변의 비가역적 접힘 현상의 거시적 소성 변형률에 대한 기여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벤젠고리 근처 비가역적 접힘 거동은 반복 하중 하에서 점진적으로 축적되며, 지방족 가교제 기반 에폭시 소재의 거시적 스케일에서의 소성 변형률 진전보다 더욱 빠른 진전을 야기함을 밝혀내었다. 분자동역학 전산해석은 원자의 거동을 모사하기 위하여 매우 짧은 펨토 초 (fs) 단위의 타임 스텝을 사용하기 때문에, 실험적 시간 스케일의 분자 거동을 모사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로 인하여, 분자동역학 전산해석과 실험간의 기계적 거동 예측 측면에서 정량적 괴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자 동역학 전산해석을 이용하여 준정적 상태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예측하는 두가지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첫번째 방법론은 고분자 소재의 항복 응력의 평가에 대한 시간과 온도의 동일성을 이용하여 항복 응력에 대한 마스터 선도를 순차적으로 구축하여 준정적 상태에서의 항복 응력을 예측한다. 두번째 방법론은 고분자 소재의 고전적 항복 이론을 이용하여 기계적 물성을 통해 준정적 상태에서의 항복 응력을 예측한다. 변형 속도와 온도에 대한 항복 응력의 비선형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첫번째 방법론에서는 기준 온도 보다 높은 온도 하에서의 고분자 사슬의 운동 특성을 준정적 상태의 항복 거동 예측에 이용하였으며, 두번째 방법론에서는 Cooperative 모델과 내부 응력을 도입하여 준정적 항복 응력을 예측하는 마스터 선도를 구축하였다. 이후 완성된 방법론을 통하여 다양한 온도, 압력 및 재료의 미시 구조 특성을 반영하여 준정적 상태의 응력–변형률 선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자동역학 전산해석을 통해 예측된 준정적 상태의 기계적 물성 및 응력–변형률 선도를 토대로, 다양한 온도, 압력 등 물리적 상황과 고분자 소재의 미시구조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조합 하중 하의 거시적 구조물의 소성 변형을 모사하기 위한 구성방정식을 모델링을 하였다. 에폭시의 구조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가교율 하에서 도출된 준정적 상태의 물성 및 응력–변형률 선도를 도출하였고, 3차원 홀 구조물의 소성 변형을 모사하기 위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가교율에 따라 홀 주변부의 소성 변형률의 진전 속도가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조합 하중에 따른 거시적 소성 변형을 모사하기 위해 기존의 고전적 항복 함수의 도입 대신, 3차원 응력 공간에서의 고려된 고분자 소재의 항복 표면의 최초 형상 및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항복 표면의 진전을 정밀하게 모사하기 위한 항복 함수를 머신 러닝 학습을 통하여 도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하중 방향에서의 에폭시 소재의 항복 데이터를 분자동역학 해석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변형 속도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준정적 상태의 항복 표면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항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항복 함수의 수학적 표현을 도출하기 위하여 머신 러닝 학습 방법의 일종인 유전 알고리즘 (Genetic algorithm) 을 도입하였으며, 항복 함수의 필수적 특성을 학습에 반영시키기 위한 제한 조건을 부과하였다. 학습을 통해 도출된 데이터 기반 항복 함수를 통해 소성 변형 모사를 위한 구성방정식을 정식화 하였으며, 이의 성능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기존의 고전적 항복 함수와 비교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고분자 소재의 소성 변형 전산 해석을 위한 머신 러닝 기반 멀티스케일 해석 방법론은 분자 스케일 수준의 소성 변형 메커니즘의 규명과 더불어, 소재 고유의 다축 변형 항복 특성에 기인한 구성방정식의 모델링을 통해 거시적 기계 거동을 실험 없이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물리적, 수학적 고찰을 통해 고안될 수 밖에 없던 소성 모델링을 재료 자체의 고유한 변형 특성에 초점을 맞춘 모델링으로의 확장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제안된 방법론의 다양한 소재에 대한 적용을 통해 라이브러리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안된 해석 방법론은 단일 고분자 소재뿐만 아니라 고분자 소재 기반 다양한 복합재의 기계적 거동에 대한 예측 요구되는 모든 산업에서 전방위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dissertation, a data-driven multiscale framework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molecular dynamics (MD) simulations, finite element (FE) analysis, and a machine learning (ML) technique; this framework was aimed at elucidating the multi-axial elasto-plastic deformations of polymer materials. The proposed data-driven multiscale approach enables the construction of a macroscopic continuum model that has been customized for achieving uniqu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sidered material, which are attributed to distinct microscopic structural features. In particular, the macroscopic continuum model is established based on the data-driven yield function, which is formulated by numerous multi-axial stress-strain behaviors that are systematically derived from MD simulations. Furthermore, to conduct multiscale analysis without any experimental support, certai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derive quasi-static stress-strains that overcome the timescale limitations of classical MD simulations.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qualitative analysis of microscopic deformation mechanisms of polymer materials, development of methods to overcome timescale limitations of MD simulations, and ML-based constitutive modeling through symbolic data mining.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zations of microscopic deformation mechanisms, the nature of the inelastic-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highly crosslinked epoxy polymers is examined at the microscopic level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network topologies. It is examined by microscopic deformation simulations that the structural differences that arise from different types of curing agents (aliphatic and aromatic) cause the different irreversible folding behaviors of a local epoxy network. Following the qualitative analysis on the deformation mechanisms, a calibration of the timescale difference between MD simulations and experiments is necessitated for achiev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plastic deformations; this is because the stress evaluated by MD simulations is not comparable to that of the experiments due to its extremely high strain rate. Two kinds of methods are developed to derive the quasi-static stress-strain profiles. The first approach is to use a 0 K solution of Argon theory to estimate internal stress and adopt the cooperative model to represent the nonlinear nature of yield stress on strain rate and temperature. The second approach is to predict the quasi-static yields by temperature accelerations by using time and temperature equivalence. A method to derive a hardening law under different strain rates is also established and demonstrated based on the yield stress-strain rate relation. Based on deformation mechanisms and strain rate calibration methods, a multiscale framework is completed by developing a 3–dimensional constitutive model of the epoxy polymer from the data-driven yield function, which is formulated by a number of multi-axial yield data adopt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e primary focus here is to confirm that the customized yield functions of various materials can be derived only from the yield data set without any prior knowledge on the primary stress invariants and functional structures; herein, the yield data set represents the unique multi-axial hardening behavior.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for yield function mining,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e classical yield functions, such as von-Mises, Drucker-Prager, Tresca, Mohr-Coulomb, and paraboloidal yield functions are reproduced from the proposed approach simultaneously; this successfully characterizes the influence of the dispersion of the yield data set. The proposed framework facilitates the understanding of intrinsic deformation features of polymer materials; further, it enables the construction of the data-driven plasticity model that is distinct from the conventional yield models. The proposed methodologies can be extended to a broad class of polymer materials by considering a variety of factors associated with nanoscale physics; in particular, the methods can address the problems that cannot be solved with the existing models or governing equations.

      • 스피로[2.4]헵탄치환체를 가지는 1β-메틸 카바페넴 항생제 합성과 활성 평가

        박형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생제의 종류에는 수천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그 화학 구조의 특성에 따라 일반적으로 몇 가지로 구분되어진다. 그 중에서 imipenem 및 meropenem과 같은 carbapenem계 항생제는 베타락탐계 항생제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뛰어난 항생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meropenem 안에 있는 피롤리딘 C-5'의 다이메틸아미노카보닐 대신에 5-azaspiro[2.4]heptane 치환체의 도입 효과를 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In vitro 활성 평가는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 대하여 테스트 되었고 피롤리딘에 치환되어져 있는 치환체들이 나타내는 효과에 대해서 연구되었다. 가장 탁월한 효능을 가진 화합물은 피롤리딘의 C-5' 위치에 카르보닐 그룹을 가지고 5-azaspiro[2,4]heptane의 치환체에 옥심기를 갖는 화합물이었다. 이 화합물(PHB-I-03)은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모두에서 이미페넴과 비슷하거나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Several thousands of antibiotics are known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hemical structures. There are carbapenem antibiotics such as imipenem and meropenem show the broadest antibacterial spectrum and the most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mong β-lactam antibiotics. In this research, our interest was particularly focused on exploring the effect of introduction of 5-azaspiro[2.4]heptane instead of dimethylaminocarbonyl group at C-5' position of pyrroline in meropenem. Their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Gram-neg- ative bacteria were tested and the effect of substituents on the pyrrolidine ring was investigated. A particular compound PHB-I-03 having hydroxyimino- spiro[2.4]heptane moiety linked with carbonyl pyrrolidine showed the most potent antibacterial activity. This compound exhibited superior or similar antibacterial activity to imipenem against both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 반응시간 자료 분석에 기초한 시각작업기억의 고정해상도 슬롯 표상 가설 검증

        박형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각작업기억이 어떠한 방식으로 정보를 조직화하는지에 관한 논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억 속에 저장된 정보를 평가하여 행동 반응에 도달하기까지의 과정을 내적 정보에 근거한 의사결정 처리로 간주하고, 반응시간 분포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작업기억 표상특성에 관한 새로운 증거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슬롯 모형(slot model)은 대략 네 개 정도로 제한된 개별적인 고정해상도 슬롯을 가정하므로 작업기억 용량 한계를 초과하는 항목개수 조건에서 관찰되는 반응시간 분포는 서로간에 유사할 것임을 예견한다. 반면, 자원모형(resource model)은 연속적인 단일 자원을 공고화가 요구되는 모든 항목들에 분배하는 방식을 가정하므로 기억 속 항목에 대한 평가에 요구되는 시간은 항목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할 것임을 예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억항목의 개수를 달리한 색상 변화탐지 과제를 통해 얻어진 반응시간 자료의 분포를 평가하기 위해 최대우도 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에 근거한 ex-Gaussian 함수에 적용하였다. ex-Gaussian 함수는 가우시안 분포를 구성하는 뮤(μ)와 시그마(σ), 그리고 편포성에 의한 지수 분포를 구성하는 타우(τ)의 세 가지 파라미터를 산출해낸다. 분석 결과 μ와 σ 파라미터 값은 항목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하다 특정 구간 이후 점근하는 형태를 보였으며, 추가적으로 τ에서는 뚜렷한 항목개수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던 점에 근거할 때, 시각작업기억의 용량제한을 초과하는 항목개수 조건에서의 반응시간 분포는 이론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작업기억이 시각적 정보를 제한된 고정 해상도 슬롯의 형태로 저장한다는 슬롯모형의 가설을 지지한다. There are heated debates on whether visual working memory (VWM) organizes information into discrete slots or a fluid amount of resources. However, one key aspect of the models has gone unnoticed, the speed of processing at the moment the visual information stored in memory should be assessed for their accuracy. Specifically, the slot model assumes that only about four items can be stored in VWM with a fixed-resolution whereas remaining items are discarded, thus expecting over-capacity memory assessment to be little hesitant regardless of the setsizes. Contrarily, the resource model expects that in-memory assessment eventually to suffer from an extensive coverage of the noisy representations, predicting proportional reaction time (RT) delays. To test this, RT data for the change detection task with varying setsizes (2, 4, 6, or 8) were measured through Experiment 1 and 2. I model-fitted the RT distribution with an ex-Gaussian function under a maximum-likelihood method, estimating three parameters μ and σ, representing a Gaussian component of the distribution, and the τ, representing an exponential component reflecting a skewness of the distribution, together providing a powerful comparison of the distributions between the under- and over-capacity setsize conditions.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μ and σ were comparable across the over-capacity setsizes, except the lower μ and σ for the under-capacity setsize condition, while the τ was constant regardless of the setsizes, indicating that the distributions exhibit clear fits to a prediction of slot mod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about four items with good precision determined the change detection performance, and support the slot model’s idea that VWM represents information as a set of discrete high-resolution items.

      • 창업기업의 SNS 특성이 기업이미지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형범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창업기업의 SNS 특성이 기업이미지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제 출 자 : 박 형 범 지도교수 : 이 동 희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SNS 특성 요인과 경영성과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 하며, SNS 특성 요인과 기업이미지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기업이미지 와 경영성과와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SNS 특성과 경영성 과 간에 있어서 기업이미지의 매개역할을 규명한 후 SNS 특성과 기업이미 지가 경영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2023년 9월 1일부터 10월 10까지 40일간에 걸 쳐서 SNS를 운영하는 창업기업의 구성원 중 팀장급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설문조사 시 설문조사의 목적과 방법 등을 상세히 알려준 후 응답 자가 인터넷 설문 항목에 대해 직접 기재하는 자기기입법을 통해 기록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표본선정은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인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SPSS 23.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총 320부를 배포하여 311부를 회수되어 최 종분석에 사용하였고, 본 연구를 위해 SPSS 23.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 분석을 기술 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 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 및 다중 회귀분석, 계층적 회귀분석을 실 시하였고 매개역할 검정을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수행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특성의 측정항목의 평균값을 살펴보면, 전체 항목의 평균이 3.51로 나타났으며, 평균 이상인 항목은 7개 항목이었고, 평균 이하인 항목 이 1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SNS 특성 항목 중 평균이 높게 나타난 항목은 ‘SNS에 신선한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있다.’, ‘SNS에 재미있는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있다.’, ‘SNS에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콘텐츠를 업데이트하고 있다.’로 나타났으며, 낮게 나타난 항목은 ‘SNS의 고객 반응을 매일 확인하 고 소통하고 있다.’, ‘SNS의 구독자나 팔로워를 늘리는 방법을 알고 있다.’, ‘SNS를 통해 타인과의 소통 기회를 갖는다.’ 등이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SNS 특성은 정보제공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최 신성, 유희성의 5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기업이미지는 단일 요인으로 추출되 었으며, 경영성과는 비재무적 성과와 재무적 성과의 2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셋째, SNS 특성 요인의 정보제공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최신성, 유희성 의 모든 요인이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SNS 특성 요인이 비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유희성, 상호작 용성, 정보제공성, 최신성, 신뢰성 순으로 나타나 유희성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SNS 특성 요인의 정보제공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최신성, 유희성 요인은 재무적 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분석되었고, SNS 특성 요인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최신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신뢰성, 정보제공성 순으로 나타나 최신성 요인 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SNS 특성의 정보제공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최신성, 유희성 요인 이 기업이미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특성 요 인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상호작용성, 유희성, 최신성, 정 보제공성, 신뢰성 순으로 나타나 상호작용성 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기업이미지는 경영성과의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 며, 재무적 성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SNS 특성의 정보제공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최신성, 유희성 요 인과 비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서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SNS 특성의 모든 요인과 재무적 성과와의 관계에서 기업이미지는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