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수처리시설 운영형태 비교와 비용분석을 통한 민간투자사업의 자산관리 적용성 연구

        박하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growing rapidly i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owever, privatization such as up-size and professionalism, etc. are insufficient, compared with global companies' cases.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has not been applied widely despite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re one of the most critical social infrastructure. Maintenance, repair, and rehabilitation (R&R) practices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have been studied and infrastructures asset management techniques have been applied. According to the current accounting regulations, capital expenditure for R&R implementation is considered as expenses in accounting book. However, upcoming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recommends that major rehabilitation and routine maintenance and repair works should be treated differently: Major rehabilita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capital investment while routine repairs are expenses. Therefore, sewage treatment facility's has to be recognized as social infrastructure clearly. Efficiency of business management needs to be enhanced through systematic managerial cost analysis of BTO(Build-Transfer-Operate), problem analysis, and comparison of management types. Cost model which makes it possible to calculate managerial costs such as major cost, etc. needs to be developed only with project basic information when proceeding new sewage treatment facility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nd overseas sewage project. Effects to converse major repair cost into capital, application of sewage treatment facility's asset management, expected effects, etc. were analyzed. As result of present status analysis of all sewage treatment facility BTO concession agreements, projects determined from November. 1999 when the first BTO was executed to July, 2010 were total 36 projects(The number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ere found total 89). The rate of operation according to concession agreement provisions was 82.4% of facility capacity. It exceeded 70 to 80% which is proper operating rate. As a result from cost analysis such as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etc. centered in sewage treatment facility administrative cost, all were analyzed significant. Especially, average error rate was analyzed at 6% moderately from the result of dependant variable, ‘major repair’ and independent variable, ‘facility capacity’ and ‘construction cost’. The project initial informations about ‘facility capacity’ and ‘construction cost’ can be used to estimate major repair cost. It was suggested as cost calculation model. Inference from cases had maximum error 19.99% and average error 13.57%. Regression analysis had maximum 29.99% and average error 20.49%. Commonly, error rate of ±30 to 50% in plan and feasibility steps of ±5 to 15% at basic design level appeared. however, the error rate level is perceived as a proper level. Also, developed cost model can be used to measure reliable major repair cost. It may have practical ability in terms of project operation cost prediction. Also, the endurable life cycle standards for substitution period of major repair cost are different individually. Endurable life cycle of each sample business, features of manufacturer, individual project data, professionals' opinions, samples research, etc. need to be reviewed and new life cycle review year was suggested. The effect to converse major cost into capital expenditure has reduced 0.1% to 2.8% of internal rate of return(IRR). Capital expenditure effect increased 0.7% to 2.7% of previous use cost at the level of the same tariff(business earning rate or the user fee). Finally, tariff according to concession agreement is received regularly during the concession period(operation period) but operation cost was agreed to be paid by annual average amount according to professional operation hours with SPC from 『The Consignment Contract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ptical illusion to lower execution cost of administration management at the initial year was found. The possibility of cash shortage seems so high during substitution period, newly applied policies were suggested. 국내 공공하수처리시설이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운영관리 민영화 수준이 글로벌회사와 비교해볼 때 대형화․전문화 등이 부족하고, 하수처리시설이 사회기반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자산관리(Asset Management)를 폭넓게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러한 판단 근거로는 우선 하수처리시설 운영관리항목 중 유일한 자산항목인 대수선비 회계처리를 예로 들 수 있는데, 대수선비는 법인세법과 지방자치단체 회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자본적 지출에 해당할 경우 자본적 지출(자산)로 회계처리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다수 하수처리시설 운영은 당기 회계 연도의 비용으로 처리 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본적 지출과 수익적 지출을 부적절하게 구분하면 자산의 내용연수 동안 재무정보를 왜곡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해당지출에 대한 적절한 분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시설을 사회기반시설로 명확히 인식하고, 운영관리형태 비교와 문제점 분석, 민간투자사업의 체계적인 운영비용 분석을 통하여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신규 하수처리시설 건설 및 운영, 해외 하수도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프로젝트 기초정보 만으로도 쉽게 대수선비 등의 운영비용을 산출할 수 있는 비용모델을 개발하고, 대수선비의 비용화를 자본화로 적용시 효과를 분석, 하수처리시설의 자산관리 적용성과 기대효과 등을 연구하였다. 현재까지 모든 하수처리시설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 현황 분석결과, 최초 민간투자사업을 시행한 1999. 11월 부터 2010. 7월까지 확정된 사업은 총 36개 사업(하수처리시설 89개소)으로 조사되었으며, 실시협약 상 가동율은 시설용량 대비 82.4%로 조사되었으며 적정가동율 수준인 70~80% 수준을 상회하였다. 하수처리시설 운영비중 대수선비를 중심으로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의 비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종속변수는 ‘대수선비’, 독립변수는 ‘시설용량’과 ‘공사비’를 적용한 결과 평균 오차율이 6% 수준으로 양호하게 분석되었고, 프로젝트 초기정보 수준인 ‘시설용량’과 ‘공사비’ 만으로도 대수선비 비용 예측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서 비용산정 모델로 제시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활용한 사례기반추론과 회귀분석을 활용한 대수선비 예측모델의 정확성을 비교한 결과, 사례기반추론의 경우 최대 오차 19.99%, 평균 오차 13.57%로 산정되었고, 회귀분석은 최대 오차 29.99%, 평균 오차 20.49%로 산정되었다. 통상적으로 기획 및 타당성단계에서 ±30~50%의 오차율, 기본설계 수준에서는 ±5~15%로 나타나는데 비해 본 오차율 수준은 적정한 수준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개발된 비용모델은 신뢰성 있는 대수선비 추정이 가능하며 프로젝트 운영비용 예측 측면에서의 실무적응력이 있을 것이다. 아울러, 대수선비의 교체주기에 대해서 사업별 내구연한 기준이 상이하여 제조사 특성 및 자료, 전문가 의견, 표본조사의 각 사업별 내구연한 등을 재검토하여 새롭게 검토 연한을 제시하였다. 대수선비 비용화를 자본화로 대체하는 효과는 사업별로 사업수익률이 0.1%~2.8% 감소하였으며, 동일 사업수익률 수준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자본화효과를 사용료에 반영시 사용료는 기존사용료 대비 0.7%~2.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실시협약 체결시 사용료는 무상사용기간(운영기간) 동안 일정하게 수령하게 되나, 실제 SPC와 전문운영사간에 『관리운영 위탁계약』을 체결할 때 운영비용 지급은 전체 운영비를 연간 평균금액으로 지급하는 것으로 계약하다 보니 대수선비를 선지급 받게 되고, 초기년도 운영관리 실행원가가 대폭 낮아지는 착시현상이 발생하며, 교체주기 해당년도에는 자금부족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아 새로운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간의 진화에 따른 주거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박하진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라이프스타일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변화의 영향으로 공간의 구획적 개념과 용도의 기능이 진화되면서 이에 발맞추어 공간은 과거의 정립되었던 개념을 벗어나 공간자체가 다양한 시각과 감성의 변화를 제공하며 진화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술들로 인해 디자인 소재와 재료들이 발전하고 있으며 인간의 의식 또한 확장되어 인간은 공간의 변화를 빠르게 인지하고 받아들여 상호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발전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인간과 가장 밀접한 관계의 현대 주거공간의 고찰을 통하여 주거공간의 기능과 인간과의 관계, 주거공간의 흐름을 파악하고 공간별 사례분석을 통해 진화 가능성 및 방향성을 판단하고 새로운 소재 및 재료의 도입을 연구하고자 한다. 공간별 사례는 귀납적 방법에 의거해 진화요소의 추출을 유도하며 이를 전제로 추출된 진화요소를 분석하여 현대 주거공간에 진화요소를 공간에 인입하여 공간진화에 따른 주거공간 디자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주거공간 진화의 한계를 만들지 않고 다각적 시점에서 접근하게 만들며 진화된 주거공간은 인간의 심리적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되며 공간의 진화에 따른 주거공간은 이제 정적인 머무르는 공간이 아닌 동적으로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The lifestyle is quickly changing. The concept and function of space evolve with change of space and the complex space. Also the design subject matters and the materials are developmental with the technique which is various. The evolution of space is continued and also the ceremony of the human being comes to be expanded. Transcends the concept of past and the space is variety termination. Also the house space must evolve newly, the effort for the change of the subject matter and the material is necessary. With natural subject matter material the technique which is developed and the union uses and in house space and a new house environment applies composes. The light, to wish and the sound with design element of house space to be used will be able to be sufficient the psychological sensitivity of the moderns and will be able to provide a new space. The house space will not be the space where stays and to change with the space where breathes together.

      • 청소년의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영양지수와의 관련성 분석

        박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breakfast skipping in adolescents, to confirm their effects on the next breakfas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overall nutritional statu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5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in November 2019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ood intake for a day from dinner to breakfast the next day. In addition,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NQ-A) was used to confirm the overall nutritional statu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8(23.7%) male and 187(76.3%) female students. 75(30.6%) students were 1st grade, 97(39.6%) students were 2nd grade, 73(39.8%) students were 3rd grade. 15(6.1%) were underweight, 189(77.1%) were normal weight, 23(9.4%) were overweight, and 18(7.3%) were obese. In the results, 116(47.3%) students ate afternoon snack between lunch and dinner, 'confectionery' and 'beverage' were the most eaten. 221(90.8%) students ate dinner and the average time of dinner was 19:23. Skipping dinner students returned home later than eating dinner students and considered dinner less important. Female students had higher rates of dinner skipping, and dinner was consumed later than male(p<0.05). Most of them consumed the dinner at home, and the dinner time was later as the return time of the subjects was delayed (p<0.001). Students skipping dinner considered dinner less important than ones eating dinner(p<0.01). 65(26.5%) students ate late night snack, and the reasons for late night eating were 'delicious' and 'hungry'. 153(62.4%) students ate breakfast and the average time of breakfast was 7:33. The reasons for skipping breakfast were no time(47.8%) and no appetite(18.4%). Students eating breakfast had a faster dinner time the night before, earlier bedtime and wake-up time, and considered breakfast important, and was hungrier at the wake-up time than students skipping breakfast. Late-time meals affected bedtime delayed and the late bedtime affected wake-up time delayed. In the NQ score of the subjects, the total score was 57.6 point for male students, 52.1 point for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NQ score and factor scores for diversity and practice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Late snack eating students' factor scores for moderation and practice were lower than non-eaters'. In addition, breakfast eating students' NQ score and factor scores for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non-eaters'. The total score and factor scores for the environment was lower as the bedtime was late, and the factor scores for moderation and environment was lower as the time of dinner intake was late. As a result, the intake of dinner and late night snack on the previous day in adolescents didn't directly affect the intake of breakfast the next da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of eating dinner and late night snack the day before and the late bedtime due to the intake of late time can affect the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habits of adolescents. In summary, overall eating habits and life styles can affect breakfast skipping and their nutritional status in adolescents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adolescents to correct their lifestyle for improving their eating habits and having the appropriate intake time of dinner and late night snack. 본 연구는 청소년기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식사 섭취 실태와 식행동 및 영양 상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PNU IRB/2019_106_HR) 후 2019년 11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전날 저녁 식사 섭취 실태가 다음 날 아침 식사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 영양지수(NQ-A)를 통한 전반적인 식행동을 확인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총 245명으로 남학생이 23.7%(58명), 여학생이 76.3%(187명)였고, 학년별로는 1학년이 30.6%(75명), 2학년이 39.6%(97명), 3학년이 29.8%(73명)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47.3%(116명)가 저녁 식사 전 간식을 섭취하였고, 90.2%(221명)가 저녁 식사를 섭취하였다. 저녁 식사는 대부분(86.0%)이 집에서 섭취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저녁 식사 섭취 시각이 늦었다(p<0.05). 또한 저녁 식사 섭취군은 결식군에 비해 귀가 시간이 더 빨랐으며(p<0.05), 저녁 식사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p<0.01). 저녁 식사 후에 야식을 섭취한 대상자는 전체의 26.5%(65명)였다. 아침 식사는 전체의 62.4%(153명)가 섭취하여 37.6%(92명)의 결식률을 나타냈으며, 아침 식사 섭취 여부 및 섭취 시각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아침 결식의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47.8%(44명), ‘입맛이 없어서’가 18.4%(17명)로 나타났으며 세부 이유는 ‘등교 준비로 시간이 없어서’ 34.8%(32명), ‘피곤해서 입맛이 없어서’ 14.1%(13명), ‘늦잠으로 시간이 없어서’ 13.0%(1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아침 식사 섭취군(62.4%)과 아침 식사 결식군(37.6%)의 전날 저녁 식사 섭취 실태를 비교한 결과, 전날 저녁 식사 및 야식의 섭취 여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아침 식사 섭취군은 아침 식사 결식군보다 전날 저녁 식사를 더 일찍 섭취하였고(p<0.05), 더 일찍 취침하였으며(p<0.01), 당일 아침에도 더 일찍 기상하였다(p<0.001). 또한 아침 식사 섭취군이 결식군보다 아침 식사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p<0.001), 아침 식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취침 및 기상 시각이 더 빨랐다(p<0.01). 조사 대상자의 청소년 영양지수(NQ-A) 평가 결과, 영양지수 평균 점수는 53.4점이었으며, 영역별 점수는 균형 영역 50.0점, 다양 영역 56.2점, 절제 영역 51.9점, 환경 영역 65.4점, 실천 영역 48.4점이었다. 성별에 따른 영양지수 비교 결과 남학생은 57.6점, 여학생은 52.1점으로 나타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점수가 더 높았다(p<0.01). 영역별로는 다양 영역(p<0.05)과 실천 영역(p<0.001)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야식 섭취 여부에 따라 야식 섭취군(26.5%)과 야식 비섭취군(73.5%)으로 분류하여 영양지수를 비교한 결과 총 점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야식 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 절제 영역(p<0.01)과 실천 영역(p<0.05)의 점수가 더 낮았다. 아침 식사 섭취 여부에 따라 영양지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아침 식사 섭취군이 아침 식사 결식군에 비해 영양지수 총점과 환경 영역의 점수가 더 높았다(p<0.001). 생활시간 요인과 영양지수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취침 시각이 늦을수록 영양지수가 낮았다. 또한 절제 영역은 저녁 식사 및 야식의 섭취 시각이 늦을수록 점수가 낮았고, 환경 영역은 저녁 식사 섭취 시각과 취침 및 기상 시각이 늦을수록 점수가 낮았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 날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날의 식사섭취 여부보다는 섭취 시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식사 섭취 시각은 귀가 시각, 취침 시각, 기상 시각 등의 생활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영양지수를 통해 살펴본 전반적인 식행동에서도 생활시간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시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생활 습관 교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저녁 식사 및 야식의 적절한 섭취 시각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향 관계 연구

        박하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성향 간의 차이 및 비교를 통해서 초등 수학영재를 설명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한다. 그리고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습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데에도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첫째,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성향에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적 성향은 학습몰입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상관관계가 있는가? 셋째,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이 창의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가? 넷째,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특별시 지역교육청 산하 영재교육원 및 영재학급에서 초등 수학영재로 선발된 아동 163명과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일반아동 167명을 대상으로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성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도구는 석임복&#8228;강이철(2007)이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하여 개발하고 타당화한 학습 몰입 척도와 김아영&#8228;박인영(2001)이 개발 및 타당화 과정을 거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창의적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된 검사도구는 초등학생 영재 판별을 위해 개발한 신문승(2010)의 창의적 성향 검사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아동의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성향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분석을 해 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적 성향, 학습몰입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면, 세 개의 변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비해서 학습몰입이 창의적 성향과 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초등 수학영재의 창의적 성향에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력을 알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몰입은 도전과 능력의 조화, 구체적 피드백, 시간감각의 왜곡, 자기목적적 경험에서의 영향력이 유의하였고, 그 중에서도 ‘자기목적적 경험’과 ‘도전과 능력의 조화’가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자신감은 유의하지 않지만 과제난이도 선호 및 자기조절 효능감은 유의함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초등 수학영재의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 대해서, 학습몰입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몰입이 독립변수로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면 구체적인 피드백, 과제에 대한 집중, 자의식의 상실, 자기 목적적 경험이 유의함을 알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구체적인 피드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은 아래와 같다. 첫째, 아직까지 초등 수학영재를 대상으로 창의적 성향과 동기적인 요소들간의 관계를 규명해보는 연구가 많지 않다. 초등 수학영재에 대한 동기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을 통한 창의적 성향 향상을 위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구체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창의성은 영재의 내재적인 부분과 함께 외부의 환경에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의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교사, 부모의 양육방식, 가치관 등에 대한 접근을 통한 연구도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는 초등 수학영재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영재들에게 미치는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창의적 성향과 관련한 연구 결과로 일반화하기가 어렵다. 전반적인 영재교육의 발전 방향 및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분야의 영재는 물론 중&#8228;고등학교 영재로까지 대상을 확대해서 실시할 연구가 필요하다.

      • 고전문학을 통한 효사상 교육방법 연구 : <심청전>을 중심으로

        박하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고전문학을 통한 효사상 교육 방안 연구 - <심청전>를 중심으로 박 하 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예로부터 우리민족은 효(孝)를 삶의 근본으로 생각하고 예절을 매우 중요시 여기는 나라로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으로 불러져왔다. 효(孝)란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자신을 낳아주시고 길러주시고 보살펴주신 부모님의 은덕에 대한 인간의 당연한 도리로서의 봉양을 말한다. 한국인의 도덕의식은 가족에 대한 강한 유대의식과 소속감에서 싹터 나오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형식은 부모-자식관계라 할 수 있다. 즉 부모의 자식에 대한 헌신적인 사랑과 자녀의 부모에 대한 감사와 존경의 태도이다. 그러나 한국은 해방과 함께 서구의 자유민주주의와 신문명을 받아들이면서 한국의 전통적인 효사상은 점차 소홀히 다루어져 오고 있다. 60년대 이후 경제발전으로 인한 사람들의 가치관이 동요(動搖)되고, 토지를 기반으로 결합되어 있었던 대가족 제도는 서서히 부부를 중심으로 하는 핵가족제도로 가족 단위의 변화를 일으켜가고 있다. 전통사회에서의 효사상은 대가족 제도로 가족이란 울타리 안에서 자연스럽게 예절을 습득하였고 어른을 공경하는 모습을 어릴 적부터 보고 배우며 자랄 수 있는 환경이 가능했다. 그러나 산업사회의 이행으로 나타난 핵가족화의 영향은 부모-자녀간의 유대감이 점차 희박해져 가고 있으며 가정은 교육의 장으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었다. 즉 급격한 사회변동으로 전통적인 가치가 해체되고, 윤리·도덕이 붕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고전문학 작품에 나타난 전통적인 효사상을 고찰해보고, 전통적인 효사상을 현대사회에 맞게 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효’라는 교훈적인 주제를 담고 있는 <심청전>을 그 대상으로 택하였다. <심청전>을 통하여 현대적 효사상 교육의 방향을 학습자에게 수용되고 내면화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Ⅱ장에서는 효사상의 개념과 효관념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전통사회에서의 효의 모습은 사회를 지탱해온 사회규범으로 나타나고 있다. 효라는 개념은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전통사회에서는 3~4대가 함께 사는 대가족제도였다. 사회의 구조가 개인이 아니고 가족이나 가문을 기본으로 하는 공동체였기 때문에 효라는 사상이 쉽게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이렇게 많은 세대가 함께 살 수 있었던 것은, 효라는 덕목이 크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효는 과거 우리나라의 가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규범이 되었다. Ⅲ장에서는 효사상을 주제로 한 고전문학 작품 중 <목주가>, <사모곡>, <손순매아>, <효녀지은>, <바리공주>를 분석하였다. 작품 속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효의 모습은 부모의 나에 대한 태도와 관계없이 내 자신의 신체일부를 훼손(또는 희생)하거나 자신의 신분·체면을 희생해서라도, 더 극단적으로는 자식을 희생해서라도 행하는 ‘희생적 효’를 볼 수 있었다. 이처럼 극단적이고 일방통행적인 효에 대한 관념은 핵가족제도 속에서 민주적인 교육을 받은 개성강한 현대인들에게 수용되기 어렵다. 이러한 의미에서 새로운 효의 논리와 효 교육체계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Ⅳ장에서는 실제 학교 현장에서 <심청전>을 대상으로 하여 효사상의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심청전>은 일제강점기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에 빠짐없이 수록되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지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작품으로 ‘효’라는 교훈적인 주제를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청전>을 중심으로 전통적 효사상을 현대사회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학생 28명의 설문지와 활동지를 전체적으로 검토,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지도와 실제를 제시하였다. 현대사회의 학생들이 부모에 대한 효를 실천 하는 것에 대하여 전통사회의 모습만큼은 아니지만 이에 대해 회고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공경(恭敬)과 예의(禮儀)에 대해서 현대 사회에 맞게 행동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길 바란다. <심청전>과 같은 전통 사회를 배경으로 한 효행의 대표적인 작품들뿐만 아니라 본 연구자가 조사를 통해 알아낸 여러 효행을 그려낸 고전 문학 작품들이 현대사회에 맞게 재구성되어 소개 되거나 현대 사회의 학습자들이 적극적인 수용 자세로 작품들을 현대 사회에 상충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상충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 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Abstracts in Korean Research on educational method of filial duty with classical literatures -With <Simcheongjeon> Park HaJin Daej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old times, our people have regarded filial duty as the root of life and put a high value on the courtesy, so that our nation has been called ‘The country of courteous people in the East’. The filial duty, based on kinship, means supporting parents as the natural duty of a person for their giving birth to, bringing up, and taking care of one. The moral consciousness of Koreans stems from strong bonds and belonging to a family. The most basic form is parents-child relationship. That is, the love of devoted parents and the gratitude and respect of children. However, with liberation, Korean traditional filial duty has been gradually neglected, embracing liberal democracy and new culture from the West. After 60’s,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the values of people has been agitated and the unit of family has been changing which means from a large family system tied based on lands to nuclear family system focusing on husband and wife. In the aspect of filial duty, the traditional society made it possible to watch people respect elders, accept their behavior and naturally learn the courtesy within the large family. But the change to nuclear family due to the change to industrial society made parents-child relationship weak gradually, and a home has not been able to play its role as a place of learning.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values including ethics and morality are collapsing due to sudden change of society. This paper aims to study traditional filial duty in the classical literature and restructure it suitably to modern society. To do this, we choose <Simcheongjeon> having didactic subject ‘filial duty’. With <심청전>, we try to find ways for learners to accept and internalize the direction of education of modern filial duty. In chapter Ⅱ, we study the concept of filial duty and its change through the times. In the traditional society, filial duty is regarded as social norm supporting society. Its concept is based on kinship in which 3~4 generations live together as the large family in the traditional society. Social structure didn’t consist of individuals, but communities of families basically, so that the thought of filial duty could settle easily. The reason that many generations could live together was that the virtue of filial duty was centered prominently. Like this, filial duty was the norm to keep our families those days. In chapter Ⅲ, among classical literatures with the theme of filial duty, we analyze <Mokjuga>, <Samogok>, <Sonsunmaea>, <HyonyeoJieun>, <Barigongju>. We could find common feature of ‘sacrificing filial duty’, practicing filial duty even if sacrificing one’s social status or honor, damaging(or sacrificing) one’s body parts, and even extremely one’s child, regardless parents’ thought for their child. This extreme and one-way concept of filial duty is difficult to be accepted to modern people of distinct individualities who were democratically educated in nuclear family system. In this sense, we think new theory and education system of filial duty should be established. In chapter Ⅳ, we suggest educational method on filial duty with <Simcheongjeon> in real school site. <Simcheongjeon> has didactic theme of filial duty to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Korean text book from Japanese colonial era to 2009, and consistently cover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 book. Therefore, in this study, to apply traditional filial duty to modern society with < Simcheongjeon>, we review and analyze questionnaires and activity sheets of 28 middle school students to propose instruction and actual use of teaching and learning. We think it was an opportunity for modern students to recall practicing the filial duty for parents, even though it couldn’t be like that in the traditional society. Besides, we hope that it could be a motivation for them to appropriately behave within the respect and courtesy in the modern society. We hope that classical literatures, not only representative works like <Simcheongjeon> that contain filial behaviors in the traditional society, but also other classical works we found through research that contain other filial behaviors, could be reconstructed to be introduced according to modern society, and modern learners could find ways to apply them to modern society actively.

      • Synthesis of an alternating copolymer derived from thiadiazolo indolo[3,2-b]carbazole and 4,7-bis(4-octyl-thiophene-2-yl)-2,1,3-benzothiadiazole for polymer solar cells

        박하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기태양전지에 사용되는 thiadiazoloindolocarbazole 과 thienyl-benzothiadiazole로 이루어진 전자 주개-전자 받개의 고분자를 palladium 촉매를 사용한 Suzuki coupling에 의해 합성하였다. 이는 최근 관심 받는 indolocarbazole의 단점인 HOMO 에너지 레벨이 낮아서 전압이 작은 단점을 보완하고자 전자가 부족한 thiadiazole을 도입하여 HOMO 에너지 레벨을 낮추고 그에 따른 전압 향상 및 효율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합성된 고분자는 핵자기공명법과 질량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분자의 광학 성질을 분석한 결과 700 nm의 영역까지 흡수하며 밴드갭이 1.77 eV를 나타내었고, 전기화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HOMO 에너지 레벨이 5.5 eV로 상당히 낮음을 확인하였다. X-ray diffraction 분석을 통해 고분자가 결정성 구조를 가지고 있음과 고분자 간의 거리는 4.05 Å임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고분자를 널리 사용되는 PC71BM과 블렌드하여 유기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함으로써 그 특성을 살펴 본 결과, 효율은 2.62%, 전압은 0.84 V, 전류는 8.54 mA/cm^2, fill factor of 36% under AM 1.5 condition (100 mW/cm^2)을 나타내었다. A alternating copolymer, Thiadiazolo indolo[3,2-b]carbazole and 4,7-Bis(4-octyl-thiophene-2-yl)-2,1,3-benzothiadiazole for polymer solar cells was synthesized. The copolymer has very low band gap and higher VOC than the corresponding copolymers with indolocarbazole derivatives, mainly due to the deep HOMO energy level. Pristine polymer have semi-crystalline structure evidenced by X-ray diffraction pattern andpi–pistacking between the polymer backbones. A blend of PICThBTand PC71BM exhibits a PCE of 2.62% an open-circuit voltage of 0.84 V, a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of 8.54 mA/cm^2, and a fill factor of 36% under AM 1.5 condition (100 mW/cm^2).

      • 집단미술치료가 자원 군 입대를 앞둔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 Erikson의 관점으로

        박하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health ego, to have a new goal for a motive prier to enter the army, as well as prevent maladjustment after their entrance into the army,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late adolescent. The subjects were 3 adolescents who are ahead of entering the Republic of Korea Special Force as a vice commissioned officer 4 month. The group was formed by willfully clarifying the participatory intention in the group art therapy to the researcher through acquaintance. Totally of 15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60 minutes once a week.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ose prior to voluntary entrance into the army with the aim of 'evasion and avoidance' due to confusion of self-identify, that those have in common. The aim was to prevent maladjustment after military service and to establish healthy self-identity. For this, the group art therapy was carried out centering on Erikson's self-identity. This is the pre-and-post test was analyzed through Korean-styled self-identity test, K-HTP (Kinetic-House-Tree-Person-Flower), and self-journal. As the findings, the positive change was confirmed through the mean value in the pre-and-post test results in the group. All of three members established their own new goal. The entrance into the army was recognized as a place of a new leap in order to achieve own goal and dream, not space of evasion and avoidance. One person came to have a dream of a social worker. One person came to have a dream of taking an entrance examination. And, one person came to have a dream of a physical-education teacher. In the meantime,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indic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ir new goal for the entrance into the army through a change in pre-and-post self-identity.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the group art therapy can be known to have been conducive to allowing late adolescence to enhance self-identity prior to entrance into the army and to possibly re-establish a new life goal. 본 연구는 현실도피·회피를 목적으로 자원한 군 입대를 앞둔 후기 청소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로 이를 통해 건강한 자아를 형성하고 군 입대 동기에 대한 새로운 목표를 갖으며 나아가 그들의 군 입대후의 부적응을 예방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사례 연구의 대상은 특전 부사관 입대를 4개월 앞둔 3명의 청소년 집단으로 지인을 통해 연구자에게 자의적으로 집단미술치료의 참여 의사를 밝혀 집단이 구성되었다. 미술치료는 주 1회 60분 씩 총 15회기로 진행하였고, 본 연구 대상자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아정체성의 혼란으로 ‘회피·도피’의 목적으로 자원한 군 입대를 앞두고 군복무 후의 부적응을 예방하고 건강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Erikson의 자아정체성을 중심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평가방법으로 자아정체성의 변화와 심리 정서적인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국형 자아정체성 검사와 동적 집-나무-사람(K-HTP), 셀프저널을 통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의 평균치를 통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3명의 구성원 모두 자신을 위한 자신만의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군 입대를 회피·도피의 공간이 아닌 자신의 목표와 꿈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도약의 장소로 재인식하였다. 1명은 사회복지사의 꿈을, 1명은 대학입시를, 다른 1명은 체육교사의 꿈을 갖게 되면서 사전·사후 자아정체성 변화를 통한 그들의 군 입대에 대한 새로운 목표 설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들을 비추어 보면 집단미술치료가 군 입대를 앞둔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향상과 새로운 목표를 재정립할 수 있게 해주는데 도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 韓國의 人力開發 極大化 方案에 관한 硏究

        박하진 全南大學校 行政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economy which progressed in creasingly from the opening past of 1979's, and achieved 10.1% annual average high growth recorded 5.7% "minus" growth, 38.9% rise of wholesale price index, $5.3 billion deficit of the 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oil up heaval, "Oil Shock" in 1980. These low growth, high price, and a change for the worse of the 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 are resulted from the outer factors: the second oil upheaval, stagnation of world business, strengthening of import restriction measures of the developed nations, and the inner factors: Political and social instability, a bad harvest caused by unusual climate. But 80's foreigneconomic condition is expected to face the very difficalt phases in propect of the severe in ternational competition and insecure factors: appearance of undeveloped nations, intensified protectism of developed nations, undearness of the oil demand-supply. Owing to the aftereffect of stagnation of international business including "minus" growth, domestic unemployment increased, a time of seeking help transtered to a time of seeking jobs. Korea is a country where population density is high. Chronic unemployment and latent unemployment are pointed out as obstructive factors. As natural resources are limited in Korea, eventually technical improvement, gualitative improvement and efficiency of humman power are means to cope with intensified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purpose of meeting aggfavating home and abroad economic comditions, conforming to the educational demand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national income level, a bold expansion of human investment, a systematic policy development are reguired. For the sake fo this intention, this thesis is aiming at the maximization plans of human power development by means of investigating and presenting the problems of human power development. This thesis comprises following contents. Chapter I: this thesis brings forward the presentation of guestion mind, purpose, scope and researching methods of this thesis. Chapter II: this thesis investigates general theories of human power development that are necessary to display this thesis Chapter III: this thesis considers backgrounds and problems of human power development plans as the policy circumstances of human power development in Korea. Chapter IV: This thesis covers the human power policies focusing our concerns on the national budget. Chapter V: this thesis theats the matimization plans of human power development policies in aspect of the policies with discussed items so far. Chapter VI: this thesis ends off as we completes the conclusion with results of research discussed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