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부 도시지역의 뇌졸증 재가 장애인의 기초 요구도 조사 : 재활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pilot study

        박창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유병 기간이 6개월 이상인 뇌졸중 재가장애인을 대상으로 재활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기능평가와 요구도를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1년 3월부터 6월까지 뇌졸중에 의한 장애로 성북보건소에 등록된 경제적으로 곤란한 재가장애인 46명을 대상으로 재활의학과 의사 1명과 가정간호사 1명으로 구성된 2개조가 직접 해당 장애인 가정을 방문하여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한 이학적 검사와 변형된 Barthel 지수, Craig 핸디캡 평가표, 그리고 지역사회중심 재활사업 실태 및 요구도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뇌졸중 발생 후 42례(91.3%)에서 초기 치료를 받았으나, 재활치료를 받은 경우는 27례(47.8%)로 나타났다. 초기 재활치료를 받지 못했던 이유로는 21례(87.5%)에서 어려운 경제상태를 이유로 들었으며, 재활치료를 받았던 장소로는 병원이 18례(81.8%)로 가장 많았으며, 한방병원이 2례(9.1%)였는데, 이중 대학병원이 가장 많았다. 변형된 Barthel 지수는 평균 60.7 ± 37.1 점으로 이중 일상 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12례(26.1%), 약간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7례(15.2%), 완전 의존적인 경우가 7례(15.2%)로 나타났다. Craig 핸디캡 평가표는 평균 223 ± 95.8 점으로 이중 경제적 자족 영역이 6.5 ± 18.6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재활 및 복지 서비스에 대해 가장 바라는 요구사항은 재활치료로 나타났고, 국가나 사회에 가장 바라는 요구사항은 생계보장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후에 생존하는 환자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뇌졸중에 의한 지체장애인 수도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지만 병원에서의 급성기 재활치료 후 퇴원하면 지속적인 재활 추적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고, 위 결과에서 경제적 어려움이 재활치료의 걸림돌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는 바 초기 재활치료의 가장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병원의 전문인력과 저렴한 지역보건소 시설을 활용한 지속적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뇌졸중 재가장애인 재활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basic demand of community based stroke-disabled for rehabilitation program development in an urban area. Method: The subjects were 46 residencial stroke disabled over 6 month after disease onset. Two teams(composed of one physiatrist and one nurse, respectively) visited patient's home, and evaluated physical and functional status and surveyed for the status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and basic demand. Results: Forty two patients(91.3%) received primary medical care after onset of the stroke, and twenty two patients(47.8%) received rehabilitation therapy.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not having received rehabilitation therapy was low economic state. University hospital was the most common place of rehabilitation management. Mean score of Modified Barthel Index(MBI) was 60.7. Mean score of Craig Handicap Assessment and Reporting Technique(CHART) was 223 and economic self-sufficiency scale presented the lowest score as 6.5 ± 4.6. The desire of patients for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was rehabilitation management and the desire of subjects for the government and society was warrant for livelihood.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rehabilitation program utilizing common resource such as areal university rehabilitation team and facilities of community health center should be developed

      • 볼나사 너트부의 부하분포와 강성에 관한 연구

        박창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볼나사는 공작기계 등 정밀기계의 고속, 고정도화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접촉 메커니즘을 가지는 거의 모든 기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볼나사는 저마찰에 따른 높은 기계적 효율과 토크 전달의 효율성, 안정성을 보장하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1). 그러나, 볼나사에서는 볼, 너트와 나사축의 홈, 요소 사이의 접촉변형, 예압 및 조립조건, 그리고 다양한 부하조건에 따른 변형을 정확하게 규명하기 힘들기 때문에 정밀 위치결정 기구를 설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송계의 강성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2~4). 볼나사로 구동되는 이송계의 축방향 강성은 볼나사축, 너트축, 지지베어링 및 너트-지지부 브라켓의 축방향 강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에서 너트부의 강성은 Hertz contact deformation에 따른 비선형성 때문에 양함수적 모델을 구하는 것이 어렵다.(5~7) 또한, 볼나사는 제작 시에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하고, 예압 및 하중의 작용방향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서 강성이 수시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정밀위치결정이 가능한 기기의 제작을 위해서는 너트부 강성 모델의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볼나사의 조립조건과 부하조건에 따른 너트부의 정확한 양함수적 강성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제작오차를 고려한 볼나사 너트부에서의 부하분포를 우선 모델링하고, 접촉변형과 조립 및 작동 조건에 따른 너트부의 강성을 모델링한다. 그리고, 사례를 적용하여 정밀기계의 위치결정정도 예측과 향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Y6O5F8:Ho3+,Yb3+ 와 SrF2:Er3+,Yb3+상향변환 형광체의 합성 및 특성 연구

        박창일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낮은 에너지인 적외선 광원의 여기로부터 높은 에너지인 가시광을 방출하는 상향변환 형광체는 디스플레이, 온도센서, 바이오 이미지 등에 적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에멀젼, 수열반응, 용매열, 그리고 고상법 등의 합성방법으로 상향변환 형광소재를 합성하며, 모체에 희토류 이온이 치환하는 방식으로 합성을 다양하게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Yb3+와 Ho3+가 치환된 Y6O5F8 와 Er3+ 와 Yb3+가 치환된 SrF2 상향변환 형광체를 NH4F 융제를 사용하였으며 융제의 농도를 조절하여 고온에서 고상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형광체는 X-선 회절 분석을 이용하여 단일상을 확인하였다. 적외선 영역인 980nm 레이저 세기에 따라 Y5.67Ho0.03Y0.3O5F8 와 Sr0.91Er0.01Yb0.05F2 형광체의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효율적인 다 광자 메커니즘을 관찰하였으며 온도에 따른 발광 스펙트럼의 변화에 의한 온도센서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Sr0.91Er0.01Yb0.05F2 상향변환 형광체를 FIR(Fluorescence Intensity Ratio) 기법에 적용하여 민감도 (sensitivity)를 계산하였다. 금 나노입자를 도포한 Y5.67Ho0.03Y0.3O5F8 와 Sr0.91Er0.01Yb0.05F2 형광체에서는 표면 플라즈몬 현상을 관찰하였으며, 형광 세기가 향상됨을 비교 연구 하였다. Upconversion phosphors, which emit high energy (visible light) from the low energy (infrared light) excitation,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displays, temperature sensors, and bioimaging. Rare earth ions- doped upconversion phosphors were synthesized by emulsion, hydrothermal, solvothermal and solid state methods etc. In this study, Yb3+–Ho3+ doped Y6O5F8 and Er3+–Yb3+ doped SrF2 upconversion phosphors were prepared by solid-state method and the single phases were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analysis. The emission spectra of the Y5.67Ho0.03Y0.3O5F8 and Sr0.91Er0.01Yb0.05F2 phosphors were monitored under excitation wavelength at a 980 nm laser. The effective multi-photon process, and temperature sensitivity were verified based on the exploration of the emission spectra at different source power and temperatures, respectively. The sensitivity of Sr0.91Er0.01Yb0.05F2 phosphors was calculated by using FIR (Fluorescence Intensity Ratio) technique. When gold nanoparticles were applied on the surfaces of Y5.67Ho0.03Y0.3O5F8 and Sr0.91Er0.01Yb0.05F2 phosphors, the effect of surface plasmon resonance was observed through the enhancement of fluorescence intensity.

      • 生殖生長期 동안 持續的인 過濕이 콩의 生理的 特性에 미치는 影向

        박창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Soybean subjected to excess soil moisture condition during reproductive growth stage shows more serious damages than vegetative growth stage. In this experiment, the adverse effect of prolonged excess moisture stress after vegetative growth stage was investigated. The experiment is conducted in field and greenhouse. Seeds of two cultivar Taekwangkong (tolerant cultivar) and Hannamkong (susceptible cultivar) were planted in field and greenhouse on June 5 and June 7, respectively, in 2006. The treatment was imposed at August 2 at which soybean plants began flowering. Several growth characteristics, plant height, fresh and dry weight of plant, root activity,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were examined with three replication in field and greenhouse. Water potential was measured from 12 days after excess moisture treatment to physiological maturity with 7 days interval. The content of lecithin, a kind of phospholipid related to soybean quality, was measured at harvest. Growth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showed poor valued as compared to untreated control. Stem length, seed weight, and plant weight were reduced by excess moisture treatment. SPAD (chlorophyll content) was slightly lower in waterlogged plant during early stage. The content, however, was drastically lowered in treated plant from the seed growth stage in greenhouse grown plants. In field condition, the water potential showed difference persistently between excess moisture-treated and untreated plants during experiment. Chlorophyll fluorescence showed greatly lowered values after the seed growth stage in both of field and greenhouse experiment. Leaf water potential showed notable difference at early stages and the difference was maintained until physiological maturity. Root activity was the most sensitive character to excess moisture stress. The activity was greatly reduced by excess moisture in treated plants. Lecithin cont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t in Taekwangkong, however, the content was lowered in susceptible cultivar (Hannamkong) with excess moisture treatment. Chlorophyll fluorescence showed a few different from early stage but showed to exponential different of seed thickening growth stage. Leaf water potential is after two week excess moisture treatment different was continuing to last checking. Root activity showed excess moisture damage plant is low activity. Lecith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aekwangkong, however, in Hannamkong, the content was lowered by excessive moisture treat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content of functional component also affected by adverse soil moisture condition in sensitive variety.

      • 칼빈의 자연법 사상과 칼빈 이후 개혁주의 자연법 사상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연구

        박창일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자연법에 대한 칼빈의 신학을 다룬다. 자연법에는 체계적 진술을 요하는 주요 논점들이 있다. 먼저 자연법은 창세기 1장 26절과 27절에서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하신 인간의 본성에 새겨주신 것으로 하나님께 기원하는 것이라고 보는 견해가 칼빈의 견해임을 밝힌다. 다음으로 자연법의 개념에 대한 그의 자연법 사상을 밝힌다. 칼빈은 자연법의 개념에 대해 분명하게 밝혔다. 칼빈은 당대 뛰어난 법학자들에게 법학 교육을 받았다. 그러므로 그의 신학적 진술에도 규범성이 담겨 있는 자연법의 개념 정의와 주요 논점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관된 사고와 문자적, 역사적 해석방법이 들어 있다. 자연법이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시며 인간의 본성에 새겨주신 것으로 이해할 때에도 자연법이 무엇인가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들이 있다. 그리고 인간이 죄로 인해 타락했고 그 타락이 인간에게 미친 영향을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 자연법의 역할에 대한 주장들도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일반 은혜와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와 성령의 사역에 의해 자연법이 인간에게서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주장하는 견해인지, 아니면 인간의 이성의 우위나 자율을 인정하고 인간의 공로를 개입시키려는 견해인가로 이어진다. 지금까지 칼빈의 자연법 사상에 대한 연구들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에 대해 밝혀주었으나, 칼빈이 법학을 공부한 신학자로서 그의 자연법 사상의 체계가 전체적으로 체계적이고 일관적이어서 자연법 사상의 주요 논점들을 모두 분명하게 말하고 있음을 선명하게 드러내지 못했다. 따라서 칼빈의 자연법 사상이 일관적이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 충분히 반박하지 못했다. 그리고 칼빈이 분명하게 자연법의 개념을 말하고 자연법과 일반 은혜와 일반 계시를 구별하고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와 성령의 사역에 의해 자연법이 인간에게서 그 역할을 할 수 있게 됨을 체계적으로 진술하여, 인간의 이성의 우위나 자율을 인정하고 인간의 공로를 개입시키려는 주장들을 효과적으로 물리칠 수 있었음을 밝히는 데는 미흡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을 체계적으로 밝힌다. 더 나아가 칼빈 이후의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글에서 칼빈과 달리 자연법의 개념이 분명하지 않거나 체계적 진술에서 혼동이 있음을 밝히고, 타락한 인간의 죄를 억제하시고 창조 질서를 보존하시는 하나님의 은혜 앞에 인간의 이성을 높이고 이성의 자율성을 주장하여 공로를 인간에게 돌리려는 주장들을 효과적으로 물리치도록 개혁주의 자연법 사상은 칼빈의 자연법 사상과 더욱 연속성을 지키며 발전해야 할 것을 밝힐 것이다. This thesis deals with Calvin’s theology of natural law. There are key points in natural law requiring systematic statements. First, this thesis reveals Calvin’s concept is the view that natural law originates from God and was engraved in human nature in His own image by God(Genesis 1:26-27). To the next, it clarifies Calvin’s concept of natural law. Calvin defined his concept of natural law. He learned law from outstanding law professors. Therefore his remarks of the definition of natural law’s concept show it is normative. And He wrote systematic and consistent thoughts of natural law with literal and historical exegesis. Even though acknowledging man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natural law was implanted on the human heart in divine origin of natural law, different claims exists about the concept and role of natural law. They assert differently corruption by sin of a human being. Consequently, the role of natural law is attributed to the merit of human reason or the grace of God. Studies about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have revealed his views until now but they haven’t showed clearly that Calvin as a theologist who had learned law as a university student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revealed his observations of natural law about all main issues. Therefore they did not fully refute arguments that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is not consistent and they did not disclose enough that Calvin was able to defeat statements which want to accept superiority and merit of human reason through the concept of natural law with clear distinction between natural law and general revelation, common grace. Thus this thesis systematically reveals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Furthermore, this thesis discloses prudently that statements about natural law by theologists in Reformed tradition show indistinguishable concept of natural law and confusion of systematic distinction. Thereby God’s grace which suppresses the corruption by sin of human and preserves the created world is only praised to mankind’s civilization advances. Hereafter Reformed thought of natural law is to be continued with Calvin’s thought of natural law and will be developed.

      • 북한 혁명전통의 통치이데올로기화에 관한 연구 : 해방신학의 ‘해석학적 순환’을 중심으로

        박창일 북한대학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북한에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은 ‘혁명전통’의 정수(精髓)이다. 북한의 혁명전통은 당과 혁명의 역사적 뿌리이고 사람들을 혁명적으로 교양하는 귀중한 재부이다. 북한에서 혁명전통을 강조하고 교양시키는 목적은 무엇보다도 수령의 위대성을 인민들이 체득하게 하고, 수령께 끝까지 충성을 다하는 참다운 공산주의 혁명가를 키우는데 있다. 북한에서는 김일성이 항일무장투쟁시기에 이룩한 빛나는 혁명전통이 유일한 혁명전통이다. 수령 김일성에 의해 창시된 혁명전통은 후계자 김정일에 의해 계승·발전되었다. 김정일은 혁명전통의 역사를 소급시켜 해석하였다. 김정일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 경험을 1926년 결성된 타도제국주의동맹(ㅌ·ㄷ)으로까지 끌어올려 혁명전통을 풍부화시켰다. 북한은 혁명전통을 정권정통성의 기제, 경제발전의 기제, 사회통합의 기제, 리더십의 기제로서 활용하였다. 김일성은 수령으로서 유일영도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혁명전통을 전 인민들에게 내재화시켜 수령에 대한 충실성을 현실화시켰다. 북한은 혁명전통교양을 강화하여 수령의 유일영도체계 즉, 절대적인 리더십을 완성하였다. 김정일은 혁명전통을 통한 사상교양을 강화하여 당의 유일사상체계를 확립하여 나갔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유일지도체제를 구축하였다. 북한은 정치적, 경제적 위기에 직면할 때마다 김일성의 혁명전통에서 그 해법을 찾았다. 북한은 혁명전통을 시대의 사회정치적 상황에 따라 해석, 재해석하여 주체사상, 우리식 사회주의, 선군정치 등 통치이데올로기를 만들어왔다. 북한은 1950-60년대의 사회정치적 상황에서 혁명전통을 해석하여 사상에서의 주체, 경제에서의 자립, 정치에서의 자주, 국방에서의 자위, 외교에서의 자주 등 초기주체사상을 만들었다. 우리식 사회주의는 현실사회주의국가들의 붕괴시기에 대외적인 고립과 대내적인 위기를 극복하여 체제를 수호하고, 혁명과 건설을 위해 인민들을 동원하는 정당화의 논리로 만들어진 것이다. 북한의 공식 이데올로기인 주체사상으로는 현실사회주의 국가들이 붕괴하는 시대적 상황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주체의 사상, 이론, 방법을 시대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여 북한에서 혁명과 건설을 위해 사회주의체제가 존속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우리식 사회주의를 공식화하였던 것이다. 북한은 사회주의권의 붕괴와 미국의 제제와 위협 강화, 국내의 엄중한 경제난 속에서 혁명전통과 주체사상을 재해석하여 선군정치라는 새로운 통치이데올로기를 만들었던 것이다. 북한은 혁명전통을 그 시대의 사회정치적 상황에 따라 해석하여 통치이데올로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혁명전통에 대한 비판적 숙고 없이 혁명전통의 권위로 혁명전통의 내용을 사회정치적 현실에 무조건 ‘적용’시켰다. 또한 그 반대로 북한은 사회정치적 현실에서 행한 정치적 결단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혁명전통의 내용을 임의적으로 선택하거나 ‘자의적(字意的)’으로 해석하는 ‘근본주의’(Fundamentalism)의 오류를 범하기도 하였다. 북한은 혁명전통을 해석하여 통치이데올로기를 만드는 과정 속에서 해방신학의 성경해석 방법론인 ‘해석학적 순환’(Hermeneutic Circle)에서 경고하고 있는 두 가지, 즉 '적용'(Application)과 '정당화'(Justification)의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북한에서 혁명전통의 ‘해석학적 순환’이 올바로 일어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조건인, 북한이 당면한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한 강한 회의와 혁명전통에 대한 관습적인 해석에 대한 회의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혁명전통이 정권의 정통성으로써 절대화되어 있어 혁명전통의 관습적인 해석에 대한 회의가 전제될 수 없는 조건이고, 북한의 사회정치적 상황에 대한 비판과 회의는 유일사상체계에 함몰되어 있는 상황이라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이다. ‘해석학적 순환’에서 전제되는 이 두 가지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한 북한에서 혁명전통의 해석은 체제를 유지하고 강화시키는 정치적인 기제로 작용할 뿐이다. The quintessence of North Korea's 'revolutionary tradition' is Kim Il 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experience. The tradition, as a historical root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WPK) and the revolution, is much cherished as a valuable asset for revolutionary indoctrination and its purpose is to teach the people the greatness of the suryong(leader) and bring out 'true communist revolutionaries' among them. Consequently, the only revolutionary tradition to be recognized in North Korea is Kim Il Sung's 'brilliant revolutionary tradition' during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period. Kim Jong Il, the successor of Kim Il Sung, further developed and enriched the tradition by applying retrospective interpretation and pushing back the start da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own-with-Imperialism Union(DIU) in 1926. North Korea used its revolutionary tradition for many purposes, including the mechanisms for regime legitimacy, economic development, social cohesion and leadership. Kim Il Sung set up his monolithic system of leadership in the North by making the tradition deeply rooted in the minds of the people who subsequently pledged loyalty to the suryong. He then strengthened the indoctrination to complete the monolithic system, under which he exercised his absolute leadership as the suryong. As for Kim Jong Il, he intensified the ideological indoctrination on the revolutionary tradition experien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unitary ideology system of the WPK and establish his monolithic system of guidance. Whenever North Korea fell into political or economic troubles, they sought out answers from Kim Il Sung's revolutionary traditions, interpretation of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social, political situations of the time. The ruling ideologies that sprouted from such traditions include Juche ideology(ideology of self-reliance and independence), Our-Own-Socialism and Military-First Politics. In the adaptation process, North Korea us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s so as to 'apply' the contents dogmatically in the real world. At the same time, North Korea fell into traps of the fundamentalist errors with its arbitrary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s for the purpose of justifying its political choices in reality. In such process, North Korea is incurring the errors of application and justification as stipulated in the hermeneutic circle approach, a method for interpretation of the Bible in the Liberation Theology. If there is to be a positive hermeneutic circle of the revolutionary traditions in North Korea, it needs to cast doubts on its current socio-political situation as well as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s. The former seems impossible as criticism and reflec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is not tolerated under the monolithic ideology system. Neither is the latter likely to happen in the North, as revolutionary traditions continue to have absolute legitimizing authority in the regime. Unless the two prerequisites of the ‘hermeneutic circle’ are met in North Korea, any interpretation of its revolutionary traditions can only function as a political mechanism for regime maintenance and consolidation.

      • 진공포장과 함기포장이 사슴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창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슴(Elk deer ♀, 170±10㎏)의 도체에서 등심과 대퇴부위를 도축 직후 채취하여 polyethylene film으로 포장한 것(함기포장)과 0.1㎜ 두께의 PET/PE 적층 필름으로 포장한 것(진공포장)을 4℃에서 10일 간 냉장하며 경시적으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등심과 대퇴부위의 수분은 각각 74.46%와 75.47%, 조단백질 22.68%와 22.11%, 조지방 1.58%와 1.27%, 조회분 1.27%와 1.13%로 비교적 조단백질 함량은 높았으나 조지방함량은 적었다. 지방산의 경우 palmitic acid가 등심부위 35.16%, 대퇴부위 31.75%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많았다. 냉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포화지방산은 증가한 반면 불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는데 함기포장육이 진공포장육 보다 증감속도가 빨랐다. 등심과 대퇴부위의 아미노산의 경우 필수아미노산은 Iysine이 2,380.0㎎%와 2270.0 ㎎%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leucine (2,160.0 ㎎%, 2,085.0 ㎎%), valine(1,365.0 ㎎%, 1,312.5 ㎎%)의 순이었으며 비필수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4,145.0 ㎎%와 3,987.5 ㎎%로 가장 많았고, aspartic acid (2,462.5 ㎎%, 2,367.5 ㎎%), arginine (1,585.0 ㎎%, 1,535,0 ㎎%), alanine (1,507.5 ㎎%, 1,462.5 ㎎%)의 순으로 많았다. 무기질은 P가 등심부위 305.89 ㎎%, 대퇴부위 309.40 ㎎%로 가장 많았고 K, Na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대퇴부위의 pH는 등심부위 보다 높았으며 진공포장육 보다 함기포장육의 변화가 컸다. 냉장기간 중 사슴육의 TBA가의 변화는 대퇴부위(0.0650에서 0.377 ㎎MA/㎏) 보다 등심부위 (0.0598에서 0.5616㎎MA/㎏), 진공포장육 (0.0598에서0.2216 ㎎MA/㎏)보다 함기포장육(0.0598에서 0.5616 ㎎MA/㎏) 이 크게 변하였다. 휘발성염기태질소의 함량은 3.93~3.98 ㎎%의 범위에서 냉장 10일째에는 함기포장육이 6.35~7.30 ㎎%, 진공포장육이 5.32~5.41 ㎎%로 증가하여 진공포장육의 증가속도가 지연되었다. 표면색의 L^(*)값과 a^(*)값은 등심부위 보다 대퇴부위가 높았으며 b^(*)값은 거의 같았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냉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함기포장육과 진공포장육 모두 낮아졌다. 등심부위와 대퇴부위의 보수력은 80.68%와 80.38%이었고 저장 2일째에 낮아졌다가 4일째부터는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육즙손실은 냉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포장 방법에 상관없이 증가하였으며 진공포장육이 함기포장육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사슴육은 단백질이 많으면서 지방은 적고, 또한 아미노산과 무기질이 많아 영양학적으로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소비증대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vacuum and aerobically packed meat from Elk deer weighing 170±10kgs of 28 to 30 monthly age, chilled at 4℃ for 10 days. 1. The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in deer loin were 74.46%. 22.11%, 1.27% and 1.13% : the leg parts had 75.47%, 22.68%, 1.58% and 1.27%, respectively. The tendency of decreased moisture content was greater in aerobic packaging than in vacuum packaging. 2. Of the fatty acids in venison,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stearic acid were present in large amount, orderly. The saturated fatty acids increased and the unsaturated fatty acids tended to decreased and the tendency was greater in aerobic packaging than vacuum packaging. 3. The lysine content of loin and leg were 2,380 mg% and 2,270 mg%, and the glutamate content of loin and leg parts were 4,145 mg% and 3,987.5 mg%, respectively. On the whole, the loin contained more amino acids than leg part. 4. Of the mineral contents, phosphorus, potassium and sodium were present in large amount, orderly and decreased gradually with longer chilling period. The leg parts contained more potassium, sodium, phosphorus, zinc, magnesium and calcium than loin parts. 5. The pH value of loin was slightly lower than leg parts. The tendency was greater for aerobic packaging than vacuum packaging. 6. The TBA value of loin and leg were 0.0598 to 0.5616 mgMA/kg and 0.0650 to 0.377 mgMA/kg, respectively. The tendency for TBA increase during chilling period was slower in vacuum packaging than aerobic packaging and in loin than leg. 7. The VBN value of loin and leg were 3.93 to 7.31mg% and 3.98 to 6.35mg%, respectively. The VBN value increased more rapidly with the longer chilling period in aerobic packaging than vacuum packaging and in loin leg. 8. The L^(*) value of meat color decreased and a^(*), b^(*) value increased during chilling period and the tendency was slower in vacuum packaging than aerobic packaging. 9.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venison loin and leg were similar, however and tended to decrease at 2d and increase more slowly from 4d after chilling in vacuum packaging. 10. Aerobic packaging had more purge loss than vacuum packaging and leg showed more purge loss than loin during chilling period. In conclusion, vacuum packaging is considered more advantageous in preventing meat color change and microbial deterioration for consumers interest.

      • 해외충격요인이 원/달러 환율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창일 계명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원/달러 환율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해외요인들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해외요인들이 원/달러 환율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자본자유화 조치 이전과 이후 기간에 있어 해외요인들의 원/달러 환율 변동에 대한 영향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추출된 해외요인은 엔/달러 환율, 역외 차액결제선물환거래(non-deliverable forward : NDF) 원/달러 환율 및 외국인 주식 순매수이며, 연구 대상기간과 자료는 1998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의 주별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방법으로는 벡터자기회귀(Vector Autoregression : VAR) 모형을 채택하여 해외요인들의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본자유화조치로 인한 해외요인들의 원/달러환율에 대한 영향력 변동은 t 통계량과 회귀계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춀레스키(Cholesky) 분산분해를 이용하여 변수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의 변동 양상 및 조정속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엔/달러 환율의 변동이 원/달러 환율의 변동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본자유화 이후 기간에 대한 추정계수의 부호가 전체기간 및 자본자유화 이전 기간을 대상으로 했을 때와 반대로 정(+)으로 나타나 자본자유화 조치 이전과 이후의 기간에 있어 원/달러 환율에 대한 엔/달러 환율의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역외 NDF 환율의 경우 원/달러 환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정계수의 부호는 자본자유화 이전 및 이후 기간에 모두 부(-)로 나타나, 자본 자유화 조치 이전 및 이후 기간에 있어 역외 NDF 환율 변동의 원/달러 환율 변동에 대한 영향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외국인 주식 순매수가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본자유화 이전 및 이후 기간에 있어 그 영향의 방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해외요인 변수들이 원/달러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기존의 실증적 연구와 동일한지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 엔/달러 환율과 역외 NDF 환율, 그리고 외국인 주식 순매수의 원/달러 환율에 대한 영향은 추정계수의 부호 및 통계적 유의성 측면에서 다른 연구들과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추정기간 및 사용된 자료의 기간 구조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외요인들이 자본자유화 조치를 통한 시장 개방 상태에서 그 영향력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측정해봄으로써 지속적인 자본 자유화 조치가 이루어질 경우 이들의 영향력을 예측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러나 원/달러 환율에 대한 해외요인 변수들의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향후 환율의 연구 및 금융당국의 환율 정책 결정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다루지 못한 해외요인들과 국내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존에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해외요인의 원/달러 환율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ich foreign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o see if their influence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liberalization of the Korean capital market in the late 1990s. The weekly data of three foreign factors, the yen-dollar exchange rate, non-deliverable forward (NDF)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net purchase of Korean stocks by foreign investors from the period of June 1998 to May 2004 are subject to analysis. In this study, Vector Autoregression (VAR)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foreign factors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hile the changes of their influence after the liberalization of the Korean capital market was analyzed based on t-statistics and regression coefficient. Cholesky factorization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change pattern and the adjustment speed upon shocks to parameters.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fluence of the yen-dollar exchange rate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However, as the estimate coefficient after the liberalization of the capital market was positive while that of before the liberalization and the whole period was negative, the influence of the yen-dollar exchange rate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proved to have changed. Second, NDF won-dollar exchange rat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lso, its influence before and after the liberalization of the market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ird, the net purchase of Korean stocks by foreign investor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but the direction of its influence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liberalization of the capital market. This study aimed to confirm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factors and the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study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yen-dollar exchange rate, NDF won-dollar exchange rate and the net purchase of Korean stocks by foreign investors was different than other previous studies in its sign of estimate coefficient and its statistical importance. Such deviation seems to stem from the difference in the estimate period and the periodic structure of the data. By estimating the changes of foreign factors' influence after the liberalization of the capital market, this study enabled future forecast of their changes when further liberalization of the capital market are being made. However, since the influence of foreign factor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future studies on the exchange rate and exchange rate-related policies, other foreign factors not covered in this study as well as domestic factor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inally, this study contributed in establishing the ground for further studies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foreign factors on the won-dollar exchange 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