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박진아 연세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역기능적 정서조절이 유아기 정신병리의 주요증상이라는 임상적관점에서 불안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의 성과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이를 위하여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를 남아와 여아별로 각각 살펴보았다.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종합병원 소아정신과 1곳과 아동발달임상센터1곳에 심리진단이 의뢰된 만 4세 6개월-6세 임상유아 중 한국판 영유아 행동문제 평가척도(이경숙?신의진?신동주?전연진?박진아,2003)의 임상 하위척도인 불안척도에서 기준점(cut-offscore)이상으로 보고되고,심리진단 결과DSM-Ⅳ와 ICD-10 진단기준에 따라 불안장애로 진단된 유아 105명(남아 64명,여아 41명)과 그들의 어머니 105명이었다.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하여오현숙과 민병배(인쇄중)가 번안한 Goth(2003)의 The Junior TemperamentandCharacterInventory(JTCI)중 3-6세 유아용 기질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어머니의 행동을 관찰하여 본연구자가 번안한 Mash와 Terdal(1981)의 Parent-Child Interaction PlayAssessment(P-CIPA)에 따라 평정하였다.유아의 역기능적 정서조절은 유아에게 부정적 정서가 유발되는 MacArthurStory-Stem Battery(MSSB)를 제시한뒤,유아가 보이는 정서조절 반응을 관찰하여 본 연구자가 번안한 Fonagy와Target(2000)의 MSSB 정서조절 측정도구에 따라 평정하였다.자료 분석 방법으로 각 측정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와 t검증,부분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불안장애 남아는 여아에 비해 기질적으로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성향이 높았으며,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더 많이 보였다.불안장애 남아의 어머니는 여아의 어머니에 비해 유아의 감정이나 의사를 무시하고 지나치게 통제적이며 침해적인 양육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둘째,불안장애 유아는 기질적으로 위험회피 성향이 높을수록,사회적 민감성 성향이 낮을수록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더 많이 보였다.셋째,불안장애 유아의 어머니가 긍정적 양육행동을 적게 보일수록,부정적양육행동을 많이 보일수록 유아는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더 많이 보였다.넷째,불안장애 남아의 경우 위험회피와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어머니의 민감?반응성 수준이 낮고 침해성 수준이 높은 경우에만,남아의 위험회피 기질적 취약성이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에 불안장애여아의 경우 사회적 민감성과 역기능적 정서조절 간 관계는 어머니의 침해성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즉 어머니의 침해성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여아의 사회적 민감성 기질적 성향이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완화시키는일종의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는 어머니양육행동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특히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는 유아의 성에 따라 각기 다른 경향을 보였다.

      • 무화과의 향미성분

        박진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무화과의 휘발성분 분석을 위하여 성숙정도에 따라 채취한 것으로 200g씩 6회 반복하여 Strengh의 값을 이용하여 이것을 6개 군으로 분류하여texture, 색도, 유기산, 유리당, 휘발성분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무화과의 texture 측정결과 견고성은 미숙 무화과일수록 높게 나타나서 숙성될수록 감소하며, 탄력성은 stage 4까지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력은 숙성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점착성은 높아졌다가 차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깨짐성은 낮은 상태에 있다가 점차 증가하여 다시 stage 6일 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L)와 적색도(a), 황색도(b)가 감소하다가 증가하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의 조성으로 본 결과 citric acid와 malic acid가 가장 많았고, 두 성분 모두 신맛을 내는 주요 유기산으로 숙성될수록 신맛이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총 유기산 함량도 stage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후 감소하였다. 대표적인 11종의 당을 분석해 본 결과 galactose를 제외한 10종의 당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10종의 유리당 중 sucrose의 경우 점차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가장 많이 검출된 fructose는 숙성될수록 감소하다가 stage 4일 때 최저를 나타내고 다시 증가하였다. glucose는 증가 후 감소하였다가 완전히 숙성되었을 때 다시 증가하는 데 무화과의 총 유리당 함량도 glucose와 비슷하였다. 향미성분들은 실제 향과 맛에 관련된 성분으로 동결 건조한 무화과와 습식 무화과로 나누어 비교분석 하였는데 동결 건조한 무화과의 향미성분은 acid류 7종, alcohol류 17종, aldehyde류 18종, aromatic 7종, ester류 9종, hydrocarbons 40종, ketone류 10종, 그 외 10종이 검출되어 총 118개의 성분이 검출되었고, 습식 무화과는 acid류 14종, alcohol류 15종, aldehyde류 23종, aromatic 7종, ester류 10종, hydrocarbons 33종, ketone류 11종, terpene류 5종, 기타화합물 5종이 검출되어 총 123개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이 중 동결 건조한 무화과에서 숙성될수록 점차 증가한 hexadecanoic acid를 제외한 대부분의 acid류가 stage 3일 때 가장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고 다시 감소하였다. 습식 무화과의 경우 대부분은 숙성될수록 감소하였다가 완전히 숙성되었을 때 약간 증가하였으나 hexadecanoic acid는 동결 건조한 무화과와 반대로 숙성될수록 계속 감소하였다. 또한 동결 건조한 무화과의 ester화합물 중 가장 많은 성분이 검출 된 methyl salicylate는 stage 3까지 최고로 증가한 후 감소하였고, 습식 무화과에서는 ethyl dodecanoate, methyl hexadecanoate, ethyl hexadecanoate는 미량이지만 완전히 성숙되면 증가하는 성분으로 무화과 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결 건조한 무화과에서 ketone류의 변화는 일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습식 무화과에서는 dihydro-2(3H)-furanone, 6-methyl-5-hepten-2-one, 3-octen-2-one은 숙성될수록 계속 증가하는 성분으로 동결 건조한 무화과에 비하면 극미량이나 향에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무화과 향미성분의 비교 분석을 규명할 수 있었다. This study collected 200g of fig and classified them into six groups depending on its ripeness using value of strength to analyze volatile components of a fig. This study had measurements of texture, color, organic acid, free sugars and volatile components. In measurement of texture, the more unripe the fig, the higher the strength and the more ripe the fig, the lower the strength. Elasticity increased up to stage 4 and decreased again. The more ripened fig, the more increased cohesiveness and adhesion increased and tended to decline gradually. A brittleness stayed at a low level at first, but it increased little by little and decreased when it was at stage 6. In color of the fig, lightness, red-hue and yellow hue declined and increased agai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osition of organic acid, citric acid and malic acid were the most in amount. Both of them were primary organics which brought out acidity. The more ripen the fig, the less acidity. Total organic acid content stayed at the highest level of stage 4 and then decreased. From analysis of 11 typical fruit sugars, 10 fruit sugars, was detected except galactose. As for sucrose which is one of the 10 detected fruit sugars, increased gradually and decreased. Fructose, the most amount of detected sugars, declined when it was ripened and stayed in the lowest level at stage 4. After that it increased again. Glucose increased and decreased. After that, it increased again when it was ripened completely.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of the fig is similar to glucose. This study analyzed the flavor components, which are related to actual scent and taste by two different groups; freeze dehydrated fig and wet fig. Those compounds were composed of acid (17) alcohol (18) aldehyde (7) aromatic (9) ester (40) hydrocarbon (10) ketone (10) overall 118 species were detected in the freeze dehydrated fig. Those compounds were composed of acid (14) alcohol (15) aldehyde (23) aromatic (7) ester (10) hydrocarbons (33) ketone (11) terpene (5) and 5 other species of compounds; overall 123 species were detected in a wet fig. In case of the freeze dehydrated fig, most of the acids were detected when it was at stage 3 and decreased. But hexadecanoic acid increased gradually as it was getting more ripe. Most of the wet figs decreased and increased a little when they were ripened completely. However hexadecanoic acid decreased continuously as it was getting more ripen. Furthermore, methyl salicylate which was the most detected ester compound of freeze dehydrated fig increased up to stage 3 then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wet fig, ethyl dodecanoate, methyl hexadecanoate, ethyl hexadecanoate increased when they were ripened completely even if they were a very small amount. They influenced the smell of the fig. A change of ketone, which was one of freeze dehydrated fig was inconsistent. In wet figs, dihydro-2(3H)-furanone, 6-methyl-5-hepten-2-one, 3-octen-2-one increased continuously as they were getting more ripe. That has a big effect on minute amount or scent as compared freeze dehydrated fig.

      •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 학습 양상 탐색

        박진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 학습 양상 탐색 인천대학교 체육학과 박진아 본 연구는 체육고등학교에서 학생선수들에게 일어나고 있는 학습 양상을 탐색하 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세 가지 연구 문제는 A체육고등학교에서는 학생선수 학습 지원을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가?, 학생선수는 A체육고등 학교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는가?, A체육고 등학교 학생선수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이외에 어떤 방식으로 학습하고 있 는가? 이다. 본 연구를 위해 유목적 표집법을 사용하여 총 4명의 고등학교 3학년 여학생 2명, 남학생 2명이 모집되었고 영어, 수학, 과학, 국어, 체육 과목의 교사 5 명의 연구 참여자가 모집되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심층 면담을 활용하였다.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은 네이버 클로바 노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1차적으로 전사했고 전사한 자료들은 검토를 한 후 Nvivo 14를 사용하여 귀납적 범주화하였 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는 학생선수들의 교 육을 위해 교육과정과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해 교사들은 학교는 학생선수들에게 매우 충분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다며 만족하고 있 었다. 둘째, 학생선수들은 교사들과는 달리 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과 비 교과 프로그램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선수들은 과외나 학원을 통해 개별 학습을 하며 학업을 매우 열심히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이 지 않은 특수한 환경에 있는 학생선수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 실태를 살펴본 연 구는 부족하다. 소수의 학생선수들도 소외되지 않고 동등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이들의 상황에 맞춘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마다 다른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의 수준과 양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가장 먼저 현재 운 영중인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학습 실태를 전체적으로 탐색하는 연구가 진행 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spect of students-athletes in a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how to learning. To this end, we wanted to understand how the school provides learning support for student-athletes, how student-athletes perceive the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the school, and the actual status of individual learning taking place among student-athletes. Two female students, two male students and f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using individual interviews and a focus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cripted by using a software named Clovanote using and put the data into the code and analyzed 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established and operated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for the education of student athletes, and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is, saying that students were learning very well. Second, unlike the teacher’s cognition, the student-athletes feel not enough. Third, student-athletes were found to be managing their studies very diligently through individual study through private tutoring or academies. The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 are as follow: Firs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examining the learning status of student athletes in unusual and special environment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a curriculum tailored to the circumstances of minority student athletes so that they can receive equal education without being marginalized. Second, in order to reduc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and amount of education that appear in different curricula in each region, there is a need to first conduct research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learning status of student athletes in currently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 호텔예약사이트의 지각된 위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탐색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진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과 다양한 매체들을 통해 자유여행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다. 자유여행을 하는 경우에는 스스로 호텔을 예약해야하는데, 일일이 많은 호텔들을 비교할 수 없어 이용하는 것이 호텔예약사이트이다. 호텔예약사이트를 통해 예약하는 것이 편리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가지 위험 요인들이 등장한다. 본 연구는 호텔예약사이트의 지각된 위험과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정보탐색 유형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향후 호텔예약사이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1년 동안 호텔예약사이트를 통해 해외 호텔을 예약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431부 중 430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필요한 것을 제외하고 총389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 검증 전, 각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지각된 위험은 4개 요인으로, 만족도는 단일요인, 정보탐색 유형은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각 변수의 신뢰도도 확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위험과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보안 위험, 성과 위험, 재정 위험, 시간손실 위험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위험과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정보탐색 유형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정보탐색 유형은 보안 위험, 성과 위험과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극적 정보탐색 유형은 4개의 지각된 위험과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상적 정보탐색 유형은 4개의 지각된 위험과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지각된 위험을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호텔예약사이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various media, number of self-guided tourist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recently. In case of self-guided tour, one must reserve hotels by himself. Comparing various hotels is difficult task, and people use hotel reservation site to compare various hotels. However recently, there are several risk factors arising associated with this system. This study determines whether the information researching type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satisfaction. Its final goal is to suggest method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hotel reservation site in the future. The study was conducted on consumers who booked overseas hotels through hotel reservation site within a year. Out of 431 questionnaire given out, 430 were returned. Excluding missing or unnecessary responses, total of 389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alysis was done by SPSS 18.0, an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was tested before performing a hypothesis verification. Through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perceived risk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the information researching type into three factors, and the satisfaction factor as a single factor.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has also been obtained. Based on thi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analysis, security risk, performance risk, financial risk, and time loss risk were foun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satisf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satisfaction, information researching type was discovered to have the moderating effect. Active information researching type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security risk, performance risk and satisfaction. Passive information researching type has a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four perceived risks and satisfaction. But, routine information researching type showed no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with four perceived risks and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ived risk by subdividing it. It is important to suggest how to increase satisfaction of the hotel reservation site based on these results.

      • 비탈면 복원용 주요 초화류의 발아 및 피복특성

        박진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경제발전을 위한 도로확장 및 단지개발 등, 각종 인프라구축 사업에 따라 자연의 훼손은 불가피한 상태이고 훼손된 자연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산지가 많아서 훼손된 자연은 계단식 비탈면의 형태로 정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훼손 비탈면은 생육기반이 불량하여 자연적으로 복원되기 어렵고,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며, 그대로 방치할 경우 경관성 저하 및 토양침식으로 인한 붕괴현상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비탈면의 안정화와 효율적인 녹화를 통해 토양유실을 방지하고 경관미도 회복시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이다(김남춘, 1991). 이에 따라 적절한 토양 공법은 물론, 건조하고 척박한 토양 환경에서 발아 및 피복이 빠른 식물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비탈면 녹화용 식물의 발아와 피복에 관련된 연구에서 먼저 한지형잔디류 발아 및 피복에 관한 연구(김경남·남상용, 2003; 김재환·심상렬, 2009; 김경남 등, 2010)와 초화류의 발아 및 피복에 관한 연구들(심상렬·김재환, 2006; 유병득·심상렬, 2016)을 통해 발아와 피복이 빠르거나 피복률이 높은 초종을 살펴볼 수 있으나 일부 초종에 그치고, 전체적인 비탈면 복원용 식물을 대상으로 한 발아 및 피복 특성은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비탈면 복원 현장에서 발아 및 피복이 빠른 초종을 선정하여 피복하기 위해서는 비탈면 복원용 주요 식물의 발아특성 파악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 복원에 주요 사용되는 식물을 대상으로 하여 발아율과 발아속도 및 피복률과 피복속도를 규명하고 발아 및 피복패턴을 파악함으로써 비탈면 복원공사에 효과적인 초종을 선정하여 적용하고자 하였다. Research was initiated to investigate germination and coverage characteristics of 14(germination experiment)-19(coverage experiment) herbaceous plant entries used on the road slope . For germination experiment, an alternative germination condition for 19 herbaceous plant entries required by International Seed Testing Association(ISTA) was applied in the experiment, consisting of 8-hr light at 25℃ and 16-hr dark at 1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irst germination rate(0.3%~40.7%) and in the final germination rate(7.7%~93.3%). Days to the first germination(2~8days), days to the 30% germination(2~6days) and days to the peak germination (6~18days) were different among 14 herbaceous plant entries in the study. We could find out higher final germination rate of 14 herbaceous plant entries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forage crops and cool-season turfgrasses; Second, herbaceous flowers; Third, wild plants. We could also divide germination rate among 14 herbaceous plant entries as 6 groups(Ⅰ;very high, Ⅱ;high, Ⅲ;medium high, Ⅳ;medium low, Ⅴ;low, Ⅵ;very low) based on the final germination rate and divide germination speed as 5 groups(A;very fast, B;fast, C;normal, D;slow, E;very slow)based on days to the peak germination. Considering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14 herbaceous plant entries Medicago sativa, Lolium perenne, Festuca arundinacea and Cosmos sulphureus were regard as dominating species. while Lespedeza cuneata, Silene armeria, Lotus corniculatus var.japonicus, Coreopsis tinctoria and Centaurea cyanus as competitive species following dominating species. However, Chrysanthemum burbankii, Pennisetum alopecuroides, Chrysanthemum boreale.,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rundinella hirta were not almost expected to emerge. For coverage experiment, seeding was done mixed with sand in the 11cm upper diameter vinyl pot, filling with soil media and Masato for drainage. Each plant was seeded with 0.88g per pot based on 20g/㎡. The coverage rate was measured seven days after planting.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irst coverage rate with 4%-91.7% and in the final  coverage rate with 10%~83.3%. Days to the 30% coverage (14-126days) and  days to the 50% coverage (14-77days) were different among 19 herbaceous plant entries in  the study. We could also divide coverage rate among 19 herbaceous plant entries as 6 groups(Ⅰ;very  high Ⅱ high, Ⅲ;medium high, Ⅳ;medium low, Ⅴ;low, Ⅵ; very low) based on the  final  germination  rate and divide coverage speed as 5 groups (A;very fast, B;fast, C;normal,  D;slow, E;very slow) based on days to the 30% coverage. Considering coverage rate of 19 plant entries Coreopsis tinctoria Nutt., Chrysanthemum burbankii Makino, Centaurea cyanus L., Dianthus sinensis L., and Silene armeria L. were regard as high coverage rate of dominating species while Lolium perenne L.,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Lespedeza cuneata G.DON., Poa pratensis, Festuca arundinacea Schreb., Medicago sativa L., and Coreopsis lanceolata L. as competitive species following dominating species. However,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and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were regard as low coverage plants. As far as coverage speed concerned, Coreopsis tinctoria Nutt., Centaurea cyanus L., Silene armeria L., Medicago sativa L., Chrysanthemum burbankii Makino, and Dianthus sinensis L. had very fast coverage speed when compared with low speed plants of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Cosmos sulphureus CAV.,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 관계에서 역할 어려움의 매개효과

        박진아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역할 어려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 소재의 아동 전문 상담기관, 복지관 내 상담실/놀이치료실, 병원 내 상담실/놀이치료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등에서 근무하고 있는 놀이치료사들이다. 그 중 동일한 수퍼바이저에게 최근 1년 이내에 개인 수퍼비전을 받았거나, 현재 개인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놀이치료사로 한정하여 총 20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였다.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고, 매개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의 각 하위요인 과업지향성, 대인민감성, 호의성과 수퍼비전 만족도는 모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퍼비전 스타일의 하위요인 중 대인민감성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의 각 하위요인이 역할 어려움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수퍼비전 스타일의 하위 요인 중 대인민감성은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 중 역할갈등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의 하위요인 중 과업지향성과 대인민감성은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 중 역할모호에 모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할 어려움의 각 하위요인이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역할 어려움의 각 하위요인인 역할갈등과 역할모호는 수퍼비전 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 하위요인과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역할 어려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수퍼비전 스타일의 하위요인 중 대인민감성이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역할 어려움의 하위요인인 역할갈등과 역할모호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의 각 하위요인과 역할 어려움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수퍼바이지가 지각한 수퍼비전 스타일과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역할 어려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perceived by supervise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the supervision style scale, supervision satisfaction scale, and role difficulty scale for 204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at child counseling centers, counseling rooms/play treatment rooms in welfare centers, counseling rooms in hospitals, and play therapy rooms in university facil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have received personal supervision from the same supervisor within a year or at present tim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ask orient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favorableness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of each subfactor of supervision style perceived by supervisee.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 of supervision style perceived by supervisee on supervision satisfac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mong subfactors of supervision styl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pervision satisfaction.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each subfactor of supervision style perceived by supervisee on each subfactor of role difficulty. First, interpersonal sensitivity among the subfactors of supervision styl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ole conflict among the subfactors of role difficulty. Next, task orientation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among the subfactors of supervision style perceived by supervise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role ambiguity among the subfactors of role difficulty. Four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each subfactor of role difficulty on supervision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which are the subfactors of role difficulty.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sub-factors of supervision style perceived by supervisee and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mong the subfactors of supervision style was found to explain significantly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which are subfactors of role difficulty, to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by partially mediating. In the study, I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ach sub-factor of supervision style perceived by supervisee and role difficulties, and ident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role difficulties in relation to supervision style and supervision satisfaction perceived by supervisee.

      •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간의 관계

        박진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행동문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의 4학년 아동 127명(남아 67명, 여아 60명)과 6학년 아동 127명(남아 60명, 여아 67명)의 총 254명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254명이었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민하영과 유안진(1998)이 개발한 학령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행동문제는 Achenbach (1983)가 개발한 아동행동평가척도(Child Behavior Checklist : CBCL)를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와 하은혜(1997)가 표준화한 K- CBC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가 성과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각각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아동의 행동문제를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스 대처행동 4개 하위차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행동문제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하위차원 중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에서 성차와 학년차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아가 남아에 비해, 또한 6학년 아동이 4학년 아동에 비해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내면화 행동문제에서 성과 학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4학년 아동의 경우 여아가 남아에 비해 내면화 행동문제를 많이 보인 반면, 6학년 아동의 경우에는 남아가 여아에 비해 내면화 행동문제를 많이 보였다. 셋째, 아동의 성과 학년을 통제한 상황에서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행동문제에 대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내면화 행동문제는 아동이 소극/회피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할수록, 그리고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을 적게 사용할수록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외현화 행동문제는 아동이 공격적 대처행동을 많이 사용할수록, 그리고 사회지지 추구적 대처행동을 적게 사용할수록 많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schoolers' coping strategies and their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were 274 fourth and six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ir mothers. Children's coping with stress was assessed by Daily Hassles Coping Scaleffin & Yoo, 1998) and their behavior problems were obtained by their mothers through Korean version of Achenbach's Child Behavior Check List(Oh, Lee, Hong, & Ha, 1997).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wo-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ping strategies differed as a function of child's sex and age Girls used more passive/avoidant coping strategies than boys, while 6th graders used more passivye/avoidant coping strategies than 4th ones. Second, child's sex and ag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in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That is, 6th-grade boys had more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than 4th-grade boys, while 4th-grade girls had more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than 6th- grade girls. Finally, passive/avoidant coping strateg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internalized behavior problems, while aggressive on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Social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i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both of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s.

      • 학령기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설명글 쓰기에 나타난 결속표지 사용 특성

        박진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설명글 쓰기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응집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즉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설명글 쓰기에 나타난 응집성을 보기 위하여 이를 결속표지 총 사용빈도 및 사용비율, 결속표지 유형별 사용빈도 및 사용비율, 정확성으로 분석하여 그에 대한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인천에 거주하는 경도지적장애 아동 12명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2명으로 총 24명이었다. 경도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두 집단의 언어연령을 맞추기 위하여 표준화된 언어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언어연령은 만 8세-10세로 하여 선별하였다. 연구자는 아동에게 설명글 주제를 몇 가지 제시하고 아동으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하여 다른 친구에게 설명하는 글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쓰기 샘플은 결속표지 총 사용빈도 및 사용비율, 결속표지 유형별 사용빈도 및 사용비율, 결속표지 정확률로 분석하였다. 이를 경도지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 두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글 쓰기에서의 결속표지 총 사용빈도 및 사용비율을 분석한 결과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결속표지 총 사용빈도가 유의미하게 더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사용비율 역시 더 낮은 수치를 보였다. 둘째, 설명글 쓰기에서의 결속표지 유형별 사용빈도 및 사용비율을 분석한 결과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연결어미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어휘적 결속, 지시적 대용, 보조사, 접속부사 순이었다. 일반아동 역시 연결어미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어휘적 결속, 지시적 대용, 보조사, 접속부사 순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연결어미와 어휘적 결속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연결어미, 어휘적 결속, 보조사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명글 쓰기에서의 결속표지 정확률을 분석한 결과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적절하게 사용된 결속표지가 적으며 결속표지의 사용도 정확하지 못하였다. 연구 결과 경도지적장애 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을 비교하였을 때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결속표지를 사용하여 설명글을 쓸 수는 있으나 그 사용빈도나 사용비율이 일반 아동에 비해 그 수준이 더 낮게 나타났으며 결속표지의 정확성도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즉 경도지적장애 아동은 자신이 가진 배경지식으로 내용을 구조화하는 설명글을 쓸 때 그 글에서의 문장들이 의미를 갖도록 배열하고 조합하는 데 결속표지의 사용이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을 쓸 때에 결속표지를 정확하게 활용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문장들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지 못하며 각 문장들을 유기적으로 결속하여 하나의 글로써 엮어나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결속표지 사용 특성을 이해하여 이를 토대로 학령기에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설명글 쓰기에서의 응집성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중재 자료로써 필요성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 혈액종양 환자의 조혈모세포이식 경험

        박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Hematologic neoplasm is a malignant hematologic disorder that occurs in blood or lymphatic system, its patients are mostly composed of adults, and its death rate is more than twice higher than the average death rate of cancer patients.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suffer physical, mental distress and psychological problems more often compared to solid cancer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essential theme of experience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 (HSCT) by patients, to help the in-depth understanding on the experience of HSCT by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and the hermeneutic phenomenology research method of van Manen was applied. Research participants were 11 adults aged over 19, who were patients visiting the outpatient clinic, in whose cases more than three months have elapsed after they wer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upon receiving the HSCT, or who were members of a leukemia patients group, and data was collected by the researcher between December 2011 and October 2014,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and observation of participants, until the data was saturated. Interview data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greement with participants, and the process of phenomenological reflective writing focusing on the essence of experience was undergone. The phenomenon of experiencing the HSCT by participants was drawn as to 22 themes and 6 essential themes: ‘Being burnout in the isolation from the outside combined with aggravat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 ‘Fear of death became a reality through patients around’, ‘Fully appreciates the donor and wish to repay the donor’s favor’, ‘Confused by characteristic of the donor’, ‘Hard to go back to a previous life,’ ‘Seek of a different life after transplant’ The experiential meaning of HSCT by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can be translated as the whole process of enduring fear of complications and death in the midst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pain, experiencing a change to relations with peer patients, donors, and another ego, and pursuing another life after transplant. Most of all, participants actively managed their health, and found peace in mind after transplant, and experienced a relationship with another ego who wishes to serve others. Through this process, it can be seen that patients were applying a broader interpretation on the perspectives on him/herself and the society.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findings is that it proposed the necessity for nursing intervention in the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 care concerning the physical symptoms and emotional and social problems of pati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atients of HSCT,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ould be found in that it identified the experiential essence of HSCT and at the same time, provided an in-depth review of the participants’ living in aseptic room, confusion about one’s identity, occurrence of complications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being daunted in relations with others, and problems of returning to the society and adapting in it afterwards. 혈액종양은 혈액 또는 림프계에서 발생한 악성 혈액질환으로 혈액종양 환자들의 사망률은 전체 암환자의 사망률보다 두 배 이상 높고 고형암 환자에 비해 신체적, 정신적 고통과 정서 심리적 문제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혈액종양 환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이라는 경험에 특별한 의미를 가질 때 나타나는 현상에 초점을 두고 이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돕고자 van Manen (200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받고 퇴원하여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와 백혈병 환우회 회원으로 만 19세 이상의 연령을 가진 성인 11명 이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12월부터 2014년 10월까지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와의 심층면담과 함께 관찰, 수기, 연구자의 경험, 문학과 예술작품을 통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세분법, 선택적 방법, 전체론적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참여자의 조혈모세포이식을 경험하는 본질적 주제는 6가지로 도출되었다: ‘외부와의 단절과 심신의 고통이 가중되어 소진됨’, ‘주위 환자를 통해 죽음의 공포가 현실로 다가옴’, ‘기증자에 대한 보은의 마음이 가득함’, ‘기증자의 특성이 나타나 혼돈스러움’, ‘이전의 일상생활로 돌아가기가 힘듦’, ‘이식 전과는 다른 삶을 추구함’. 참여자는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해 입실한 무균실에서 생소한 환경에 넋을 잃고 항암제로 인한 신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단절된 생활과 합병증 발생과 관련된 죽음의 공포를 경험하며 동료와의 단절된 체험을 겪었다. 한편으로 자신에게 조혈모세포를 제공해준 가족 또는 생면부지의 기증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자신도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기증을 하고자 하는 확대된 체험을 겪으면서도 참여자에게 가장 혼란스러웠던 것은 자신의 몸 안에서 기증자의 성격과 신체적 특징이 나타남으로 인한 정체성 갈등이었다. 그러나 정체성 갈등은 잠시였고 퇴원 후에도 지속되는 합병증으로 인한 고통과 함께 특히 경제적 어려움, 대인관계의 위축, 사회 복귀로의 자신감 상실 등의 고통이 지속되었다. 무엇보다 참여자들은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며, 이식 전과는 달리 마음의 여유를 갖고 봉사하고자 하는 자신에서 타인으로 관심의 시각이 확대되면서, 자신과 사회에 대한 견해가 폭넓게 해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혈액종양 환자 간호에서 환자의 신체적 증상, 정서적, 사회적 문제뿐 아니라 대인관계의 변화를 포함하는 간호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