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지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박 지 아 지도교수 조 현 철 본 연구는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개인적, 사회적으로 성숙하는데 필요한 스포츠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적극적이며 긍정적인 자세로 여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권장하여 신체적 자기개념을 발달시켜 긍정적이고 균형 잡힌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5년 현재 G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임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중학교 2개교 각 155부씩 총 310부를 배포하였으며, 통계처리는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 30부를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킨 후 총 280부를 IBM SPSS(Win Ver.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측정척도 항목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성요인별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 간의 상관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과 각 변인의 영향력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외모)에 미치는 영향력은 컨디션(p<.01), 사교(p<.01), 외적과시(p<.001)순으로 상대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은 외적과시(p<.01)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유연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컨디션(p<.01), 외적과시(p<.01)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규칙적 운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컨디션(p<.001), 외적과시(p<.001)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체지방)에 미치는 영향력은 건강과 체력(p<.05), 컨디션(p<.05)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근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외적과시(p<.05), 컨디션(p<.001)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외적과시(p<.001), 컨디션(p<.001)에서 상대적으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여가 스포츠 참여 동기 요인이 신체적 자기개념(지구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컨디션(p<.05), 외적과시(p<.001)에서 상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2016년부터 전면 시행될 자유학기제가 도입됨에 따라 다양한 청소년 문제와 학업 스트레스에 노출 되어 있는 학생들에게 스포츠 활동을 통한 건강과 체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관조적 태도로 바라보기

        박지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So many people in this fast paced world are living their life in repeated patterns and are bombarded with complex relationships. Therefore, it is quite difficult for us to have time to rest our mind and body. Physical rest is obviously important but if our mind and spirit don’t get a proper rest, then we will not have peace of mind. This can lead us to becoming overly sensitive to things, face unintended consequences, and negative side effects such as anxiety, fear, anger, and nervousness. Jon Kabat-Zinn once said, “You cannot stop the waves. But you can learn to surf.” It is difficult to control inevitable problems that come in our way and gain instant relief from painful emotions derived from stress, but there is a way to overcome and manage these problems. My work began from my motive to solve this issue. When spending time in solitude, I can look back upon myself in a calm manner and observed issues in a contemplative way; thus, I was able to achieve inner peace. So, the paper shows how having a ‘contemplative attitude’ enables a person to overcome stress and have a peace of mind and based on the context of ‘positive solitude,’ we have come up with ways to create external measures that the person may need to recognize the ‘positive attitude’. And based on this way, I studied the subject matter and method of expression in my work. First, this paper points out the term contemplative attitude as an outlook where a we observe and accept our undesirable situations and negative experiences rather than reacting emotionally to them. A Chinese thinker Zhuāngzǐ proposed ways to give less of an attachment to our minds and achieve the positive ‘attitude. Similar to context of the contemplative attitude can also be found in Buddhist meditation practices, called ‘Mindfulness’. To achieve this, we intentionally confines ourselves in solitude to reflect on life; it must be emphasized that we are performing willingly on our own behalf to create a positive solitude. Within the process of this experience, we can empty our mind and spirit, thus feeling secure and restful. I wanted to proactively gain a contemplative attitude by way of practicing mindfulness and delve further into my inner state through the works. My work mostly consisted of a figure, looking at something in a contemplative gaze and showing subtle things that indirectly evoke the figure’s inner state. And in order to express the strong resilience and flexibility of its mind, the outer form was purposely made in vague structure and repeatedly applied lighter colors by using light colored technique. So I studied these formativeness and technique. To add on top of the subject of this work, going through numerous amounts of time painting images of myself alone and using repetitive processes by applying various light colors made me realized that I was experiencing the contemplative attitude in and of itself. Although it was unintended, I was actually meditating throughout the process of my work. In this foregoing thesis, it proposes series of steps on how we can easily rest our inner mind and spirit to obtain the contemplative attitude and present the situation with the importance of positive solitude. And the completion of the research, it provided atheoretical background relating to the content of my work and it further consolidated the main subject and laid a strong foundation of my work. Moreover, I’ve found that how to express visual imagery the experience of contemplative attitude by using image and formativeness and technique. And I had a chance to review my works and seek the direction of my works in future. 세상을 살아가는 수많은 사람들은 빠르게 돌아가는 사회 속에서 반복된 일상을 보내고 다른 사람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생활한다. 이러한 삶 속에서 우리는 심신의 휴식을 가질 수 있는 시간을 갖기 쉽지 않다. 신체의 휴식도 분명 필요하지만 그보다 우리의 정신과 마음이 쉬지 못하게 되면 내면의 평안과 여유가 없어 지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자신에게 일어난 원치 않는 상황이나 사건에 필요 이상으로 예민하게 반응하기도 하며 걱정, 근심, 불안함, 두려움, 분노 등 여러 부정적인 감정이나 생각에 사로잡히게 된다. 존 카밧진(Jon Kabat-Zinn)은 “당신은 파도를 멈출 수 없다. 그러나 파도를 타는 법을 배울 수 있다.”고 말한다. 이는 우리의 삶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를 우리의 힘으로 멈출 수가 없고 스트레스로 인한 고통스러운 감정을 한 번에 떨쳐버리기는 어렵지만, 이것을 극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찾으려 했던 본인의 내적 동기가 본인의 작업 주제의 출발점이 된다 할 수 있다. 아무도 없는 공간 안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보냄으로써 차분하게 스스로를 돌아보았다. 그 시간동안 본인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들에 대해 거리를 두고 관조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고, 마침내 정신적, 심적으로 편안해 질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정신과 마음의 휴식을 갖기 위한 방법으로 ‘관조적 태도’를 제시하였고 그러한 태도를 취할 수 있도록 환경적 수단으로써 갖는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 즉 ‘긍정적 고독’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본인 작업의 주제와 표현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말하고자 하는 관조적 태도는 자신에게 일어나는 원하지 않는 상황이나 부정적인 경험으로 야기된 생각, 감정들에 지나치게 반응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며 수용하는 태도이다. 이에 대해 중국의 사상가 장자가 제시한 관조적 태도와 명상 수행법의 하나인 ‘마음 챙김’에서도 관조적 태도의 속성을 가진다 생각하여 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관조적 태도는 ‘긍정적 고독’이라는 환경에서 더욱 잘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긍정적 고독은 조용히 자신을 돌아볼 수 있도록 적극적, 의도적으로 택한 혼자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안에서 관조적 태도를 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정신과 마음의 안정, 즉 내적인 ‘쉼’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인은 마음 챙김을 실천하여 관조적 태도를 얻고자 하였으며 작품을 통해 이러한 관조적 태도를 취하는 본인의 내적 상태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주로 혼자만의 시간과 공간 속에서 관조적인 시선으로 무언가를 바라보고 있는 인물이나, 그 사람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사물을 소재로 사용하여 나타냈다. 이와 같은 내용을 드러내고자 이미지의 외곽선을 불분명하게 하여 형태를 모호하게 표현하고 담한 색을 사용하여 채색하였는데 이러한 조형성과 표현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의 내용 및 표현 방법 뿐 아니라 혼자 있는 시간 안에서 본인 자신의 모습을 계속해서 그리며, 담하게 여러 번 채색하는 반복적인 작업 방식이 수행과 같은 특성을 보였기에 이 또한 관조적 태도를 반영한 경험이라 생각했다. 이상의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마음의 쉼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취할 수 있는 내적 자세인 관조적 태도와 이러한 태도를 얻도록 하는데 필요한 긍정적 고독이라는 상황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인 배경을 마련하여 작업의 주제를 더욱 확고히 하는 기틀을 잡을 수 있었다. 그리고 관조적 태도라는 추상적인 내용을 회화라는 시각적 형태로 표현하는데 있어서 사용하는 소재나 조형적인 표현 방법에 대해 연구 할 수 있었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의 작업 방향에 대해 모색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 기업교육 강사 선정기준에 관한 기업교육 담당자의 인식 연구

        박지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the improved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 selection system, by identifying how corporate training staffs recognize with respect to instructor selection, what kind of standards they select instructors by, and what kind of factors affect it. To this end, the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 what is the priority of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 selection standards which training staffs think important?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riority of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 selection standards depending on the nature of training staffs? Third, what about preferences of corporate training staffs for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 selection standards?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corporate training staffs selected instructors, No.1 of the standards they thought important was instructor’s career, No.2 was the status of working corresponding types of business, No.3 was fee required level, No.4 was gender, No.5 was education, No.6 was age, No.7 was appearance, No.8 was social status and prestige, No.9 was the status of having teaching-related qualifications, and No.10 was marital status, so the awareness level on instructor’s career among 10 kinds of selection standards was highest.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iority of training staffs’ instructor selection standards by properties, looking at training staffs’ difference by properties on instructor’s career, corporate training staffs with less than 1 year of working in the 20s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level on the priority of instructor’s caree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each company type, large company staffs considered instructor’s gender first compared to staffs in other company type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gender differences, male staffs’ awareness level on instructor’s age and appearance showed higher, female staffs appeared higher awareness level on instructor’s education. In addition, looking at a difference by age, 30s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level on the status of working corresponding types of business, 50s showed the highest awareness level on fee required level and marital statu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ference of corporate training staffs on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 selection standards, corporate training staff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s career was less than 5~7 years,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s fee required level was less than 100,000~200,000 won, they preferred female instructors to male instructors,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s education was college graduation, the most preferred instructor’s age was 30s, instructor’s appearance they thought most important was face/expressio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current corporate training staffs’ selection standards were evaluated to be relatively reasonable, it was confirmed that factors to affect internal elements of training activities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s should do was emphasized relatively more than external element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training staffs affected instructor selection. Finally, training staffs’ awareness on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 selection standards was confirmed specifically. The study can be said to have significance as a starting study to prompt studies involved in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 selection, even though it has several limitations. Meanwhile, although a lot of research in various fields of corporate training has been done, the study of instructor selection has not nearly been done. In such situations, this study can derive instructor selection-related follow-up studies. Moreover, it’s significant to become an opportunity to give practical help in acting as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s by providing the information about what corporate training instructors prepare and try. 본 연구는 기업교육 담당자들이 강사 선정과 관련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기준에 의해 강사를 선정하고, 또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무엇인지 등을 확인함으로써, 개선된 기업교육 강사 선발 체제 구축을 위한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담당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업교육 강사 선정기준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담당자들의 특성에 따라 기업교육 강사 선정기준의 우선순위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기업교육 강사 선정기준에 대한 기업교육 담당자들의 선호도는 어떠한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교육담당자가 강사를 선정 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기준 1위는 강사의 경력이었고, 2위는 강사의 해당업종 근무 여부, 3위는 강사의 수강료 요구수준, 4위는 강사의 성별, 5위는 강사의 학력, 6위는 강사의 나이, 7위는 강사의 외모, 8위는 강사의 사회적 지위나 명성, 9위는 강사의 강의 관련 자격증 소지여부, 10위는 강사의 결혼유무로 10가지 선정 기준 중 강사의 경력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담당자의 특성별 강사선정기준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었다. 강사의 경력에 대한 담당자의 특성별 차이를 주목해보면, 20대이면서, 근무기간이 1년 미만의 기업교육담당자가 강사 경력의 우선순위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형태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기업 담당자들이 다른 기업형태의 담당자들에 비해 강사의 성별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성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자 담당자가 강사의 나이와 외모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고, 여성은 강사의 학력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았다. 또한 연령대별 차이를 살펴보면, 30대는 해당업종근무여부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50대는 수강료 요구수준과 결혼유무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교육 강사 선정기준에 대한 기업교육담당자들의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기업교육 담당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강사의 경력은 5년~7년 미만이었고, 선호하는 강사의 수강료 수준은 10만원~20만원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 여성강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선호하는 강사의 학력은 대졸로 나타났으며, 가장 선호하는 강사의 연령대는 30대로 나타났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강사의 외모는 얼굴/표정이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현재 기업교육 담당자들의 선정기준이 비교적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될 수 있으며, 기업교육 강사가 수행해야 할 교육활동의 내적 요소에 영향을 미칠 요소를 외적인 요소보다 상대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업교육담당자의 특성이 강사선정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업교육 강사 선정기준에 대한 담당자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여러 가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기업교육 강사 선정과 관련된 연구들을 촉발해 낼 수 있는 시발적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기업교육영역의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강사 선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강사선정과 관련된 후속 연구들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교육 강사들이 어떠한 것들을 준비하고 노력해야 하는지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기업교육 강사로 활동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치주염, 치주병원균 및 전신건강지표 간 연관성 : 병원기반 건강검진 수검자를 중심으로

        박지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Periodontitis is a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periodontal tissue including alveolar bone loss by immuno-inflammatory response between the host immune system and microbes. The periodontal pathogens in dental biofilms, its lipopolysaccharide,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tiopathogenesis of periodontitis. In addition, the local inflammatory mediators have effect on systemic inflammation, and periodontitis interacts with many complex systemic conditions including obesity,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u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health in various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periodontopathogens and health screening indices reflecting the systemic health status,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hensive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health screening indices by using the complex periodontal indices combined with the presence of periodontitis and distribution of periodontopathogens. The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37 people who underwent a comprehensive health screening at the center for health promotion and optimal aging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xtra oral examinations from March 2013 to March 2105. In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were the data for seven categories of health risk factors and systemic diseases (systemic health status) including obesity, cardiovascular abnormal conditions, diabetes and insulin resistance, bone metabolism, inflammatory and oxidative stress, tumor markers, and medical history and health habit (systemic health behaviors) including smoking, alcohol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collected. In the oral examinations, were the examination for periodontitis (peridontal health status) and the interview for oral health habit (oral health behaviors) conducted. Also, the 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six periodontopathogens (Porphyromonas gingivalis, Treponema denticola, Tannerella forsythia, Prevotella intermedia, Fusobacterium nucleatum, and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 in subgingival biofilms and gingival crevicular flui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As inducing the complex periodontal indices combined with the periodontitis and the quantitative levels of pathogens, the association between three periodontal indices of periodontitis, periodonto-pathogens, and periodontitis-periodontopathogen indices and health screening indices were analysed in multivariate logistic and linear regression model. Several health screening indi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the quantitative levels of six periodontopathogens, and complex periodontitis- periodontopathogen status. Complex periodontal indices were widely associated with health indices compared to single periodontitis or periodontopathogen indices. The detailed results for the association between comprehensive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health screening indices were as follows. 1. Of health screening indices, serum apolipoprotein B, alkaline phosphatase, homocysteine, and a tumor marker cancer antigen-125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whereas another tumor marker carbohydrate antigen-19-9 was done negatively. These indices also had the association with periodontopathogens and complex periodontal status including P. gingivalis, T. denticola, T. forsythia, P. intermedia, and F. nucleatum. 2. Several health screening indices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presented the association with periodontopathogens and periodontitis- periodontopathogens complex indices. Major health risk factors such as obesity, cardiovascular status, and diabetes were mos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P. gingivalis, T. denticola, T. forsythia, and P. intermedia. F. nucleatum-related indices were also associated with some diseases in extra-oral body parts and tumor markers, and A. actinomycetemcomitans-related indices were negatively done with some health indices such as diabetes. 3. In stratification analysis according to sex, as the sex had the effect on the interaction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systemic health status, the direction of associa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men and women. Most health indices such obesity and hyperlipidemia showe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periodontal health indices in women, which was stronger whereas the significance was weaker or disappeared in men. In conclusion, the complex periodontal indices combined with the presence of periodontitis and the quantitative levels of periodontopathogens explained comprehensively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systemic health problems. In other words, the simultaneous consideration for clinical and microbial periodontal indices presented higher prediction for the interaction between periodontal tissue and systemic health problems. Keyword: health risk factor, health screening indices, periodontitis, periodontopathogens, systemic disease 치주염은 대표적인 구강상병으로 치주병원균과 숙주면역체계 등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한 지속적인 면역염증반응이 치조골 등 치아주위조직의 파괴를 유발하는 만성염증질환이다. 치주염의 병태기전에 Porphyromonas gingivalis 등 치주병원균과 그 내독소,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국소적 염증매개물질들이 전신 염증에 영향을 주어 비만이나 제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 여러 전신질환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치주질환과 전신건강 간 상호관리가 중요하므로 치주질환과 전신건강의 연관성을 다각도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번 연구는 치주염 및 치주염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치주병원균과 전신건강상태를 반영한 다양한 전신건강지표 간 연관성을 평가하고, 치주염 이환 여부와 치주병원균 분포를 조합한 복합치주지표를 활용하여 종합적 치주건강상태와 전신건강지표 간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3년 3월부터 2105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 건강증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과 별도의 구강검진을 받은 총 237명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종합건강검진에서 임상검사와 설문조사로 비만과 심혈관계 건강상태, 당뇨병 및 인슐린저항성, 골 대사,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 종양표지자, 병력 등 7가지 주요 건강위험인자 및 전신질환(전신건강상태) 선별 자료와 흡연과 음주, 신체활동 등 건강관리습관(전신건강행동)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구강검진에서는 치주염(치주건강상태) 진단검사와 구강건강인지 및 구강관리습관(구강건강행동)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치면세균막 및 치은열구액을 채취하여 실시간 유전자증폭기술로 6종의 치주병원균 P. gingivalis 및 Treponema denticola, Tannerella forsythia, Prevotella intermedia, Fusobacterium nucleatum,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을 정량분석 하였다. 치주염 이환 여부와 치주병원균 양적 수준을 조합한 복합치주지표를 산출하고, 치주염 및 치주병원균, 치주염-치주병원균 복합지표의 세 가지 치주지표와 전신건강지표의 연관성을 다변량 로지스틱 및 선형 회귀분석으로 파악하였다. 여러 전신건강지표가 치주염 이환 여부, 치주병원균 6종의 양적 수준, 그리고 치주염-치주병원균 복합치주상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단일 치주염 또는 치주병원균 지표보다는 치주염-치주병원균 복합지표가 더 많은 전신건강지표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종합적 치주건강상태와 전신건강지표 간 연관성의 상세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전신건강지표 중 혈청 아포B지단백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호모시스테인, 암표지자 CA-125 농도는 치주염 이환 여부와 뚜렷한 양의 연관성을, 암표지자 CA-19-9 농도와 골다공증 병력은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P. gingivalis 및 T. denticola, T. forsythia, P. intermedia, F. nucleatum 등 치주병원균 수준 또는 치주염-치주병원균 복합지표와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단일지표보다 복합지표에서 연관성의 범위가 넓었다. 2. 임상적 치주염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던 여러 전신건강지표가 치주병원균 수준 또는 치주염-치주병원균 복합지표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비만과 심혈관계 건강상태, 당뇨병 및 인슐린저항성 등 주요 건강위험인자는 P. gingivalis 및 T. denticola, T. forsythia, P. intermedia와 대체적으로 양의 연관성을 보였다. 구강 외 다른 신체부위의 몇몇 질환과 종양표지자는 F. nucleatum과도 연관되었으며, A. actinomycetemcomitans는 당뇨병 등 일부 지표와 음의 연관성을 보였다, 이 또한 단일지표보다 복합지표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경우가 더 많았다. 3. 성별에 따른 층화분석 결과, 성별이 치주건강상태와 전신건강상태사이에 효과변경인자로 작용하여, 남녀에서의 그 연관성 방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비만과 고지혈증 등 주요 전신건강지표들은 여성에서 양의 연관성을 보이며 그 유의성이 강해진 데 반해, 남자에서는 그 유의성이 상실되는 경향이었으며 흡연경험이 중요한 교란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주염 이환 여부 및 치주병원균 수준을 조합한 복합치주지표가 치주건강상태와 전신건강지표의 연관성을 더 적절히 설명해주었다. 즉, 치주건강상태와 전신건강문제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데 있어, 임상적 지표와 미생물학적 지표를 동시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더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주요어 : 건강위험요인, 건강지표, 전신질환, 치주병원균, 치주염

      • 공동심리소유권(CPO)과 조직 성과의 관계에서 공유 리더십의 매개효과 : 아이쿱 생협 이사회를 중심으로

        박지아 성공회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협 이사회의 공동심리소유권(CPO)이 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동심리소유권(CPO)과 조직 성과 간 공유 리더십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동심리소유권(CPO)은 조직의 구성원들이 소유 대상을 ‘우리의 것’으로 느끼는 집단적인 소유의식으로 공동소유라는 당위적 명제를 갖는 협동조합에서 중요한 개념이다. 공유 리더십은 영향력이 분산되어 집단적으로 발휘되는 수평적 리더십으로 민주적 운영이라는 협동조합의 운영 원리와 적합한 개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이쿱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의 전국 78개 지역 조합, 453명의 이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이사회의 공동심리소유권(CPO)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공유 리더십의 매개효과에 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협 이사회의 공동심리소유권(CPO)이 조직의 사회적 성과와 민주적 성과, 운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동심리소유권(CPO)과 조직 성과 간 공유 리더십의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협동조합의 성과를 위해서는 공동심리소유권(CPO)의 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공유 리더십이 공동심리소유권(CPO)을 성과와 연결시킬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임을 시사한다.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박지아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finding out whether th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o this end, a survey involving 253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W City, Gangwon-do was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scales. In the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 the FRS-A which was developed by Jurkovic & Thirkield(1999), adapted by Shin(2003) and Jo(2004),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un(2006) was used. As for the measure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 for Korean, which Lee & Kim(2008) produced by validating the scale developed by Ryan & Deci(2002, 2004), was used. Finally, in order to measure interpersonal problems, the short form of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KIIP-CS), which Hong Sang-hwang et al. standardized based on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IIP) which was developed by Horowitz et al.(1988) and reorganized by Alden et al.(1990), was employed. For the examination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simple correlation of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the SPSS/WIN 19.0 program was used. Furthermore, in order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by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 test were analyzed. Moreover,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measuring scales of the each item in the survey, Cronbach’α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the university students' parentification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addi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whether the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played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entification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and relatedness turned out to play the role of partial mediation. This indicates that parentification experience not only has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by the medi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especially autonomy and related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when a university student who has parentification experience complains of interpersonal problems, the problems can be reduced by raising the level of autonomy and relatedness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Finally, discussion and suggestion of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기본심리욕구, 그리고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W시에 소재하는 3개 대학교의 대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화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서 Jurkovic과 Thirkield(1999)가 개발한 FRS-A를 신주연(2003)과 조은영(2004)이 번안한 내용을 토대로 문비(2006)가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기본심리욕구를 측정하기 위해 Ryan과 Deci(2002, 2004)가 개발하고 이명희와 김아영(2008)이 타당화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인관계문제는 Horowitz 등(1988)이 개발하고 Alden 등(1990)이 재구성한 대인관계문제검사(IIP)를 토대로 홍상황 등(2002)이 표준화한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단축형(KIIP-S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SS/WIN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하였다. 또한 각 설문 문항에 대한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내적합치도(Cronbach’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은 대인관계문제와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기본심리욕구와는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본심리욕구와 대인관계문제도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본 결과, 기본심리욕구가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요소 중에 자율성과 관계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반면, 유능성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부모화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기본심리욕구 특히 자율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문제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화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할 때, 기본심리욕구 중에서도 자율성과 관계성의 수준을 높임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이 인식한 가족관리방식 유형별 자가관리, 자율성 인식 및 자율성 지지

        박지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이 인식한 가족관리방식 유형을 분석하고, 가족관리방식 유형에 따른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의 자가관리, 자율성 인식 및 자율성 지지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 두 곳 종합병원의 소아청소년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한 만10세에서 22세의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23일부터 2020년 1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가족관리방식은 Knafl과 Deatrick(2006)의 가족관리유형이론(Family Management Style Frame work[FMSF])을 근거로 개발한 Family Management Measure[FaMM]를 김동희, 임여진(2013)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한국형 가족관리방식 측정도구(Korean FaMM)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가관리는 Sullivan(1979)의 DAS(Diabetics Adjustment Scale)을 한지영(2004)이 번역・수정하여 개발한 소아당뇨인의 자가관리 척도로 측정하였고 자율성 인식은 Ryan과 Deci(2000)의 기본심리욕구 척도를 바탕으로 이명희, 김아영(2008)이 수정·번안한 한국형 기본심리욕구 척도 중 자율성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율성 지지 중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김소현, 김아영(2012)의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척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의료진의 자율성 지지는 Williams 등(1996)이 개발한 Health care climate questionnaire를 서영미(2008)가 수정・보완한 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ANOVA, Scheffe’s 사후검정,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형 당뇨 아동·청소년 총 112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를 실시한 결과에서 평상시 당뇨관리에 대한 인식은 5.27, 당화혈색소는 8.46으로 나타났다. 둘째,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이 인식한 가족관리방식 유형을 군집분석한 결과 3가지 유형, 곧 군집 1(가족관리 비관형), 군집 2(낙관적 가족주도형), 군집 3(심각한 노력형)으로 구분되었다. 군집 1(가족관리 비관형)은 46명이었으며, 아동일상생활 2.91±0.35, 아동상태관리능력 2.98±0.26, 부부(부모님)간 상호성 3.02±0.15, 상태관리를 위한 노력 2.98±0.26으로, 세 집단 중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가족생활의 어려움은 3.09±0.28로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군집 2(낙관적 가족주도형)은 45명이었으며, 아동일상생활 3.27±0.50, 아동상태관리능력 3.58±0.50, 부부(부모님)간 상호성 3.18±0.39, 상태관리를 위한 노력 3.58±0.50으로, 아동상태의 영향력 3.02±0.54로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군집 3(심각한 노력형)은 21명이었으며, 아동상태의 영향력 4.14±0.36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아동상태관리능력 3.00±0.00, 상태관리를 위한 노력 3.00±0.00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가족생활의 어려움은 2.14±0.36으로 세 집단 중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이 인식한 가족관리방식 유형별 자가관리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군집 3(심각한 노력형)의 경우 자가관리가 세 집단 중 가장 높고, 군집2(낙관적 가족주도형)는 자가관리가 낮은 집단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이 인식한 가족관리방식 유형별 자율성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군집 2(낙관적 가족주도형)는 자율성 인식이 낮고, 군집 3(심각한 노력형)은 자율성 인식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이 인식한 가족관리방식 유형별 자율성 지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군집 1(가족관리 비관형)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낮고, 군집 3(심각한 노력형)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군집 1(가족관리 비관형)과 군집 2(낙관적 가족주도형)는 의료진의 자율성 지지가 낮고, 군집 3(심각한 노력형)은 의료진의 자율성 지지가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이 인식한 가족관리방식 유형별 자가관리, 자율성 인식 및 자율성 지지의 정도・차이를 파악한 결과, 군집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군집분석은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1형 당뇨 아동·청소년의 연령과 발달단계에 맞춘 개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 descriptive research survey to analyze the types of family management styles perceiv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and investigates differences in their self-management and autonomy percep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management measure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hat targeted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d Type 1 diabetes and were between the ages of 10~22. All the subjects had visited one of two university hospitals in the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nd Internal Medicine as outpati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tween July 23, 2019 and January 22, 2020. As a research tool, the study used the Korean Family Management Measure (FaMM) to measure family management styles (Kim and Im, 2013). Self-management was measured with the Self-Management Scale for Patients with Childhood Diabetes developed by Han (2004). Autonomy perception was measured with the Autonomy Scale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Scales - Korea(Lee and Kim, 2008). Autonomy support from parents was measured with the Scale for Mothers'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Children (Kim and Kim 2012). Autonomy support from healthcare professionals was measured with the Healthcare Climate Questionnaire (Seo, 2008). Using SPSS WIN 23.0 program,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their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post hoc test. The cluster analysis was coud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of all 112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show that they scored 5.27 points on the perceptions of usual diabetes management and 8.46 on Glycated hemoglobin. 2. The cluster analysis identified three clusters of family management measures perceiv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Cluster1 (Pessimistic about family management), Cluster2 (Optimistic and family-led), and Cluster3 (Serious efforts). Cluster1: Pessimistic about family management included 46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cluster scored 2.91±0.35 points in children's daily life, 2.98±0.26 in the ability of managing children's conditions, 3.02±0.15 in reciprocity between parents, and 2.98±0.26 in effort to condition management, recording the lowest scores of all three clusters. Cluster 1 scored overall high points of 3.09±0.28 in difficulties with family life. Cluster2: Optimistic and family-led included 45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cluster scored the lowest points across the items including 3.27±0.50 in children's daily life, 3.58±0.50 in the ability of managing children's condition, 3.18±0.39 in reciprocity between the couples (parents), 3.58±0.50 in effort to condition management, and 3.02±0.54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conditions. Cluster3:Serious efforts included 21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cluster scored the highest points of 4.14±0.36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conditions, scored significantly lower points of 3.00±0.00 in the ability of managing children's conditions and 3.00±0.00 in effort to condition management, and recorded the lowest points of 2.14±0.36 in difficulties with family life of the three clusters. 3.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clusters, cluster 3 (Serious efforts)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self-management and Cluster 2 (Optimistic and family-led) recorded a lower level. 4.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perceived autonomy according to the clusters, cluster 2 (Optimistic and family-led) recorded the lowest level and cluster 3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autonomy perception wit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5. There were statisf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lusters in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The cluster 1 (Pessimistic about family management) recorded a lower level and cluster 3 (serious efforts)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perceived autonomy support. While Cluster 1 (Pessimistic about family management) and Cluster 2 (Optimistic and family-led) recorded a lower level of autonomy support from healthcare professionals, Cluster 3 (Serious efforts)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autonomy support from them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of and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autonomy perception, and perceived autonomy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s of family management styles perceived b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identifying three clusters based on cluster analysis results and demonstrating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luster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serve their purpose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programs customized for the age and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1 diabetes.

      • Skemp의 도구적 이해와 관계적 이해를 통한 중학교 수학에 관한 연구

        박지아 中央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교육은 수학의 기초 개념과 원리, 법칙을 학습하여야 하며 이를 통하여 사물의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하고 사고하는 능력을 길러 여러 가지 문제를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학교육은 많은 시간을 수학학습에 투자하고 있지만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이 자주적으로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를 이해하기 보다는 암기, 계산 위주의 학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교육 과정의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 교과서는 대부분의 학생들로 하여금 관계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구성되어 있지만 본 논문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과거의 우리와 같이 도구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치고 있다. 평가 위주의 현실에서 관계적으로 이해하는 것보다 단시간 내 도구적으로 이해하는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학생들의 수학 교육의 현장은 교실이며, 교실의 수업을 이끌어 가는 것은 교사이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이 이끄는 수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올바른 교수 방법으로 전달되고 있는지 항상 점검해야 한다. 본 연구는 교과서의 각 부분이 학생들이 관계적으로 이해하도록 기술되어 있는가를 점검하여, 교육 의도와는 다르게 기술되어 있는 부분들의 개선을 기대하고, 혹시 부분적으로나마 교사가 관계적이 아닌 도구적으로 가르치고 있지는 않은지 반성의 기회로 삼으려고 한다.

      • 도미니크 곤잘레스-포에스터의 '트로피컬 모더니티(Tropical mdernity)'에 관한 연구

        박지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researches Dominique Gonzalez-Foerster(1965~)’s investigation into ‘Tropical Modernity’. Traveling between France and Brazil, the contemporary artist Gonzalez-Foester practices Nicolas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like other 1990’s artists. He locates his works in the intersection of academic studies as well as the exchanges of ideas within the realm of social participation where communities and collaborations are produced; and he also collects images through the nomadic life of migration and travel. This thesis considers ‘Tropical Modernity’ to provide multiple perspectives on understanding Gonzalez-Foerster’s works which have often been introduced as one of examples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interpreted as the method of ‘relational collaboration’. First, it researches how Gonzalez-Foerster brings the modern architectures located in the tropical regions, ‘Tropical Modernity’, into visual art. ‘Tropical Modernity’ is the trace of the hybridization which was accomplished by Le Corbusier’s consideration of modern architecture as well as the tropics’ environmental, climatic conditions. Instead of Brazil’s exotic cityscape, Gonzalez-Foerster suggests dystopian imagination and thoughts about alternative modernity in ‘Tropical Modernity’ which has been encroached and weakened by a climate and exuberant tropical plants. Also, it is valuable to consider artistic approach to ‘Tropicalism’ which is Brazil’s resistance movement in 1960’s in regard to Gonzalez-Foerster formal influence by Hélio Oiticica’s inter-relational work <Tropicaliá>. This theory, similar to the way of modernism’s intervention in Brazil’s architecture and culture, investigates how Gonzalez-Foerster intervenes in places through ‘Tropicalizaiton’. Creating the scenery where literature, architecture, and films are intersected, Gonzalez-Foerster perceives ‘Tropicalization’ as the possibility of metabolization. This possibility appears as the environment where disparate space and time are multilayered and reveal the tropical presence as an empty stage. Moreover, by the hybridization between art and literature, Gonzalez-Foerster’s exhibition functions as ‘Expanded Literature’. By its complex and abundant visual expression, it provides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of the perfect perception experience, and Gonzalez-Foester’s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engaged environment reveals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space’ as well as the regulation of ‘place’ which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The process of Gonzalez-Foerster’s practice to perceive the city as the image and to relocate it by using city’s fragments resembles the employment of contemporary images which increases and decrease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modern cityscape because it not only mirrors contemporary media environment but also reflects our changing lives according to a changing climate. It reconsiders human’s lif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r independent recognition among biological relationships. Thus, ‘Tropical Modernity’ is worthy to consistently discuss since it reflects Gonzalez-Foerster’s perception of contemporary issue beyond existing relational collaboration. 본 논문은 도미니크 곤잘레스-포에스터(Dominique Gonzalez-Foerster, 1965~ )의 탐구주제 ‘트로피컬 모더니티(Tropical Modernity)’에 관한 연구이다. 프랑스와 브라질을 오가며 활동하는 현대미술가 곤잘레스-포에스터는 1990년대 동시대 작가들과 함께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의 ‘관계미학(Relational Aesthetics)’을 실천한다. 그는 공동체와 협업의 생산이 이루어지는 사회 참여적 관점 안에서 학문의 교차점과 아이디어 교환에 자신의 작업을 위치시키고, 이주와 여행의 유목적 삶을 통해 이미지를 수집한다. 본 논문은 국내에 다소 ‘관계 미학’으로만 소개되고, ‘관계적 협업’의 방식으로 작품 해석이 머물러 있는 작가의 다층적 이해를 목적으로 ‘트로피컬 모더니티’ 탐구주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우선 브라질의 도시풍경과 건축환경에 주목한 곤잘레스-포에스터가 열대지방에 위치한 모더니즘 건축양식 ‘트로피컬 모더니티’를 어떻게 시각예술로 가져오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트로피컬 모더니티’는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모더니즘 건축양식과 열대지방의 환경 및 기후 조건을 고려해 만들어진 혼성화의 흔적이다. 곤잘레스-포에스터는 유토피아적 상징으로서 브라질의 이국적인 도시풍경 대신 기후와 무성하게 자라는 열대식물로 인해 침식되고 잠식되고 있는 ‘트로피컬 모더니티’ 건축풍경 속에서 대안적 모더니티에 대한 사유와 함께 디스토피아적 상상을 제안한다. 또, 상호 관계적 작업을 선보인 헬리오 오이치시카(Hélio Oiticica)의 ‘트로피칼리아(Tropicaliá)’에서 형식적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1960년대 브라질의 저항운동인 ‘열대주의(Tropicalism)’ 속에서 예술적 접근 방식을 고려한다. 본 논문은 모더니즘이 브라질의 건축과 문화 속에 틈입하는 방식과 같이, 곤잘레스-포에스터가 ‘열대지방화(Tropicalization)’를 통해 장소에 틈입하는 방식을 탐구해보았다. 문학, 건축, 영화 등 다양한 참조점들이 교차하는 풍경을 만들어내는 곤잘레스-포에스터는 ‘열대지방화’를 생태학적으로 신진 대사 작용(metabolisation)의 가능성 중 하나로 바라본다. 이는 구체적인 작업에서 이질적 시공간이 중첩된 환경으로 등장하고, 빈 무대로서 도시의 열대적 현전을 드러낸다. 뿐 만 아니라, 문학과의 이종교합을 통해 곤잘레스-포에스터의 전시는 ‘확장된 문학(Expanded literature)’으로서 기능한다. 복잡성과 풍부한 성격을 드러내는 시각적 표현으로 관객에게 완벽한 지각 경험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사회 및 환경과의 친밀한 관계를 맺는 곤잘레스-포에스터의 환경은 세계화에 의해 달라진 ‘공간’ 개념과 ‘장소’에 대한 규정을 재사유할 필요성을 드러낸다. 곤잘레스-포에스터가 도시를 이미지로 바라보고, 도시의 파편들을 사용하여 재배치하는 과정은 증식하고 침식되고 있는 동시대 이미지의 사용과 닮아있다. 동시대적 매체환경을 반영할 뿐 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해 점점 변화하는 우리의 삶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현대적 도시풍경에 대한 재사유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생태학적 관계망 속에서 인간의 삶과 주변환경, 그리고 우리의 주체적 의식을 재고하는 것이다. 따라서 ‘트로피컬 모더니티’에 대한 논의는 기존의 관계적 협업의 방식을 넘어 곤잘레스-포에스터가 가진 동시대적 문제의식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논의할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