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노인복지 분야 종사 의사에 관한 연구

        박중순 호남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노인복지분야 종사의사를 측정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려는 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문화적 성향(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노화불안, 효도 태도,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복지 분야에 종사할 의사를 파악한다. 둘째, 노인복지분야 종사의사에 영향을 여러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탐구한다. 셋째, 대학생의 노인복지분야 종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과 관련하여 논의하고 정책 함의를 도출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론에 따라 수행되었다. 먼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본 연구의 변수를 설정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어서 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으며, 아울러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이자 단독연구로서의 성격에 수반되는 제한점으로 인해 부득이 일부지역의 대학생만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격적인 자료수집에 앞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는데,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설문을 재구성한 다음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G광역시와 J도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5개 대학을 설문조사 대상 학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집단조사(group survey) 방식을 사용하였다. 먼저 사회복지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을 선정한 후, 연구자가 해당 학교를 방문하여 자료수집 활동을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09년 5월 11일부터 5월 30일까지 약 3주간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배포된 설문지 450부 가운데 385부가 수거되었다(회수율 85.6%). 이 가운데 사회복지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이 작성한 25부를 제외한 36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자 11명, 정규성과 이상치 문제가 있는 64부를 제외하고, 총 285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 ANOVA 분석 등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 AMOS 5.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연구모형의 검증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 적합도 지수를 보면, 은 2.531, 자유도(df)는 243, 유의확률 p는 .000으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p(.000)이 유의수준 (0.05)보다 작지만 다른 검증법을 확인해보면 GFI는 0.902, AGFI는 0.911, IFI는 0.961로 1에 가깝게 나타났고, RMSEA는 0.061로 0.08보다 작게 나타나 적합지수들이 대부분 최적모형의 적합수준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고 있어 검증적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가설검증 결과 외생변수와 내생변수 관련 8개의 가설 가운데 7개는 지지, 1개는 기각되었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주의 성향은 노화불안(표준화 경로계수 -0.590, p<0.001)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가설1(개인주의 성향은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은 지지되었다. 그러나 개인주의 성향은 효도에 대한 태도(표준화 경로계수 -0.151, p=0.262)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가설 2(개인주의 성향은 효도에 대한 태도에 대하여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둘째, 집단주의 성향은 노화불안(표준화 경로계수 0.701, p<0.001)과 효도에 대한 태도(표준화 경로계수 0.600, p<0.001)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가설 3(집단주의 성향은 노화불안에 대하여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가설 4(집단주의 성향은 효도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분석 결과에 의하여 모두 지지되었다. 셋째, 효도에 대한 태도는 노화불안(표준화 경로계수 0.200,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5(효도에 대한 태도는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도 지지되었다. 넷째, 노화불안은 노인에 대한 태도(표준화 경로계수 0.341, p<0.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6(노화불안은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도 지지되었다. 다섯째, 효도에 대한 태도는 노인에 대한 태도(표준화 경로계수 -0.141,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7(효도는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도 지지되었다. 여섯째, 노인에 대한 태도는 노인복지 분야의 종사의사(표준화 경로계수 0.162 p<0.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석 결과에 의하면 가설 8(노인에 대한 태도는 장래 노인복지 분야에서 일할 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한 지지 되었다. 끝으로, 성별, 결혼상태, 노인복지 관련 강의의 수강경험은 모두 외생변수와 내생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가설 9-1 내지 9-3(성별, 결혼상태, 노인복지 관련 강의 수강경험에 따라 개인주의, 집단주의, 노화불안, 효도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복지분야 종사의사가 달라질 것이다)은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지지 With the increasing elder population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e need for social workers and other helping professionals with gerontological knowledge and skills will increase. The baby boomer generation with its diverse needs will begin arriving at the age of 65 with the next decade or so. Population aging suggests the need for more social workers to be able to work effectively with older people and respond to the diversity of older people's lives. Among current older people the incidence of depression is substantial at the moment and, sooner or later, is projected to increase. In addition, the incidence of Alzheimer's disease is also projected to increase. From this prediction, social workers are expected to have the potential to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for this growing and diverse population. In spite of the growing need for gerontological social workers,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students who have a career preference to serve older clients is minimal. According to literature review, the major predictors for future work with elders for the part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are cultural orientation (individualism-collectivism), aging anxiety, filial piet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content and level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aging anxiety, filial piet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clients in the future for the part of social welfare students. Second, this study also assess the propos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Finally, this study tries to make discussions and draws out policy implications in relation to predi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terest in working for the elder-related work in the future. A number of hypotheses were proposed to examine the contextual an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relation to social welfare students'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A proposed structural model to the realm of the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mentioned above has also been identified to have a structural explanation for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ism, collectivism, aging anxiety, filial piet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A quota sampling together with a judgement sampling was taken of students majoring social welfare in 5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and J Province.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as distributed and 385 were returned, giving a response rate of 85.6 per cent. Finally, 285 usable questionnaires were employ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mploys a number of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 collectivism, aging anxiety, filial piet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and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That is, individualism had a negative and direct effect on aging anxiety; collectivism ha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aging anxiety; collectivism also ha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filial piety; filial piety ha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aging anxiety; aging anxiety ha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filial piety also had a negative and direct effect on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finally,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had a positive and direct effect on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r significant paths were identified: ⒜ individualism → aging anxiety →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 collectivism → aging anxiety →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 collectivism → filial piety → aging anxiety →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and ⒟ collectivism → filial piety →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 intention to work for the elderly. As a result, discussion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ovided. Third, the present study also identified the existence of the moderated effect of gender, marriage status, and gerontological education. In this respect, policy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It is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affect university students' intention to choose careers working for older people by way of various measures including gerontological course. Due to sampling limitations, however, caution must be exerted when generaliz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the generalizability of these findings to other groups of social welfare students. In particular,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 and filial piety is needed since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