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 간 교통시설 투자가 중심지 체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에 관한 연구

        박준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지역 간 교통시설의 투자는 통행시간을 단축시키거나 교통관련 비용을 절감시켜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경제성장과 국토 공간구조의 변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Berg and Pol, 1998; Merk, 2012). 그러나 교통시설의 투자 효과에 대해서는 기존의 공간구조를 균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연구와 불균형적으로 변화시킨다는 두 가지의 상반된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문헌을 살펴보면, 교통시설의 투자와 국토 공간체계의 변화를 연계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이론이 정립되어 있지 못해, 이와 같이 두 가지 상반된 주장에 대한 논의에 대한 해답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통시설의 투자로 인해 향상된 접근성이 공간구조에 미치는 변화를 제시할 수 있는 분석 Framework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국토 공간구조의 변화는 중심지 체계의 변화로 전제한다. 교통시설의 투자가 중심지 체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에서 제공하는 산업제품의 수요측면에서 접근 할 수 있다. 교통시설 투자의 일차적 효과는 지역 간 접근성을 향상시켜 교통비의 절감과 구매력 향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교통시설의 투자는 산업제품의 수요증가임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러한 변화가 종국적으로 중심지 체계의 변화로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 교통시설 투자로 인한 중심지 체계의 변화 분석 과정은 4단계로 이루어진다. 제 Ⅰ 단계에서는 지역에서 제공되는 산업제품의 위계가 구분된다. 산업제품의 위계는 다지역투입산출표에서 분류된 지역별·산업제품을 지역 내 수요와 지역 외부 수요 구분을 토대로 구분된다. 제 Ⅱ단계에서는 접근성 향상과 지역 간 교통비의 변화에 대한 분석 틀이 제시된다. 제 Ⅲ단계에서는 지역별 교통비 변화에 따른 산업제품의 가격 및 수요변화가 도출되고, 마지막으로 제 Ⅳ단계에서는 수요변화에 따른 중심지 체계의 변화과정이 제시된다.

      • 역기능적 가족구조가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박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역기능적 가족구조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해서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남학생 170명, 여학생 158명으로 전체 3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연구를 했다. 측정도구는 역기능적 가족구조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했고 분석방법은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사용했다. 연구 결과 첫째, 남학생 집단에서는 역기능적 가족구조의 요인 중 부부갈등, 분리 불안, 부모- 자녀 역할 전도 순으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학생 집단에서는 역기능적인 가족구조의 요인 중 부부갈등만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 집단에서 부부갈등은 우울에 대한 직접적인 경로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경로가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리 불안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경로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 집단에서는 역기능적인 가족구조 요인 중 부부갈등만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해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역기능적 가족구조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부갈등이며, 역기능적인 가족구조의 영향은 여학생 집단보다는 남학생 집단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자기효능감과 우울에 취약하게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그리고 이후의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on depression using self 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with an emphasis on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Data from 328 university students, 170 males and 158 females, were analysed. Instruments were Family Structure Survey(FSS; Lopez, 1986), Self Efficacy Scale(SES; Sherer et al, 1982)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Beck).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four dysfunctional family structure subscales, marital conflict, fear of separation and parent-child role reversal had effects on men's self efficacy. For women, only marital conflict had an effect on self efficacy. Regression analyses also revealed that self efficacy mediated the influence of marital conflict on men's depression. In addition, marital conflict had a direct effect on men's depression. And the influence of fear of separation on men's depression was mediated by self efficacy without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In case of women, only marital conflict had an effect on depression mediated by self efficacy.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the most influencial factor of dyfunctional family structure on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is marital conflict, and men are more negatively influenced by dyfunctional family structure on their self efficacy and depression than wome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로베르트 슈만의 『Liederkreis』 Op. 39 분석 연구

        박준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슈만의 『리더크라이스』 op. 39를 분석하고 특징을 파악하여 전체적인 작품의 구조에서 나타나는 음악적 특징들을 밝히고, 나아가 그 음악적 특징들에서 시적인 의미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은 19세기 낭만주의 작곡가 중 독일 가곡을 발전시킨 작곡가이다. 특히, 슈만의 가곡은 시의 내적인 의미를 표현하는데 비중을 두었다. 이런 슈만의 가곡이 나올 수 있었던 것은 그 시대적 배경과 슈만의 문학적 재능이 결합된 결과물이었다. 본 논문은 먼저 슈만 가곡의 특징을 밝히고, 『리더크라이스』의 각 곡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리더크라이스』의 구조에서 나타난 순환곡적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리더크라이스』가 단순한 가곡집이 아닌 순환곡적 작품이며, 『리더크라이스』의 12곡이 조성적인 계획 하에 작곡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시와 음악의 결합에서 시의 표현을 위해 슈만은 여러 선율적인 기법과 시의 각운을 사용하여 시적인 의미를 강조해 주었다는 것이 규명된다. 또한 여기서 슈만은 제1곡과 제6곡, 8곡을 ‘타향’(Fremde)이라는 같은 주제를 사용하여 작곡하였는데, 이 곡들은 『리더크라이스』의 중심이 되어 ‘이중성’, ‘방황하는 자아’를 나타내 주고 있다. 결국『리더크라이스』는 순환적인 조성 구조를 통해 ‘방황하는 자아’를 나타내 주고 있다. 또 조성적인 구조를 통하여 각 곡들을 연결함으로서 『리더크라이스』가 단순한 가곡집이 아니라 하나의 연가곡적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musical characterristics and the overall structure found in Schumann's "Liederkreis op. 39" Furthermore, this paper tries to find how Schumann deals with poetic composers, R. Schumann(1810-1856) followed F. Schubert's (1797-1828) footsteps by devoting himself into his German lieder. His art songs are the great masterpieces combined his time period with literary talents. In this piece Schumann demonstrates (or transforms) his own (or new) interpretation of J. Eichendorff's poems by utilizing tonality, rhythm, melodic structure, piano accompaniment, according to rhyme scheme. Specifically, Schumann incorporates the first, sixth, and eighth songs with the same theme "Fremde" and those songs are the core of this cyclic. They also express 'dualism' and 'roaming ego'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these 12 songs, I find the cyclic nature in its structure. That is, these songs are not mere assemblage of the different songs, rather presents a narrative or a story as a whole.

      • 최면상담이 운동선수 수행붕괴 개선에 미치는 영향

        박준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압박감이 느껴지는 상황에서 급격하게 수행이 저하되는 수행붕괴(choking under pressure)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최면상담이 운동선수 수행붕괴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2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먼저 수행붕괴를 경험하는 선수들을 선별할 수 있는 수행붕괴 척도를 제작하고 타당화하였다. 선행연구와 질적연구 결과를 토대로 91문항의 예비척도를 제작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적합도 지수와 해석가능성을 반영하여 4요인 36문항으로 구성된 척도를 개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요인 구조의 적합도가 양호함을 확인하였고, 수렴 및 준거관련 타당도 확인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수행붕괴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측정도구임을 확인하였다. 이어 개발된 척도로 수행붕괴를 경험하는 운동선수들을 선별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최면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처치효과를 검증하였다. 처치집단과 비처치 통제집단에 각각 25명과 27명을 배치하였고, 처치집단 25명을 대상으로 1회 3시간 30분씩 2회 총 7시간의 개별 최면상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는 개발된 수행붕괴 척도, 경쟁상태 불안(CSAI-2), 그리고 스포츠 자신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처치집단과 비처치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측정치에 대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면상담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수행붕괴 4개 모든 하위요인과 경쟁상태 불안에서 유의한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스포츠 자신감은 유의하게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 참여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개의 핵심주제와 20개의 공통상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결과 나타난 핵심주제는 수행붕괴의 체험과 극복 노력, 최면상담 과정의 체험, 그리고 최면상담의 영향이었다. 참여자 선수들은 깊은 최면상태에서 공통적으로 ‘생각하지 못하던 기억을 체험하고 말하였다’는 기억능력의 향상과 ‘이미지 체험이 생생하였다’는 감각체험을 보고하였으며, 선수들의 최면상담 과정분석을 통해 수행붕괴를 촉발하는 무의식적인 성격적-인지적 취약성의 형성과정과 이에 변화를 주는 최면상담의 개입 방안을 조명하였다. 최면상담의 영향에 대해 선수들은 운동제어와 정서, 인지, 지각, 그리고 신체반응의 변화와 개선이 있었음을 보고하였고, 대회성적과 경기력이 향상되면서 자신감과 확신이 증가하고 운동에 대한 재미와 의욕을 되찾았다는 선수들도 있었다. 공통적으로 선수들은 최면상담의 영향으로 시합 중에 불안과 긴장이 덜하고 압박감과 부담이 감소되면서 수행붕괴가 개선되었음을 보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hat can measure choking under pressure, which is abruptly lowered when pressure is felt, and to test the effect of hypno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choking under pressure of athlet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es were performed. In Study 1, preliminary studies were conducted to establish and validate measures of choking under pressure to screen players who have experienced choking under pressure.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preliminary scale of 91 items was constructed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n reflecting the fitness index and interpretability, a scale consisting of 36 items with four factors was develop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our factor structure was fit. Through the confirmation of convergence and criteria relev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sures of choking under pressur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reliable and valid. Then athletes who have experienced choking under pressure were screened using the developed measures and then hypno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m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Subjects were allotted to treatment group and non-treatment control group as 25 and 27 respectively. On the 25 subjects in the treatment group, three and half hour individual hypnotherapy program was given twice(7 hours in total). Measurement tools were Measures of Choking under Pressure developed in preliminary study, Competitive State Anxiety(CSAI-2), and Sports Confidence Scale.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analysis on pre-post measures of treatment group and non-treatment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all four sub-factors of choking under pressure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in hypnotherapy treatment group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sports confidence of hypnotherapy treatment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In Study 2,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on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Study 1. Three core themes and 20 common top topics were derived. The core themes were experience and overcoming efforts of choking under pressure, experience of hypnotherapy process and influence of hypnotherapy. Participants reported improvement of memory and emotional experience in common such as that they have experienced and spoke about memory that they have not had thought and images were vivid. Through the analysis of hypnotherapy process of athletes, the formation process of unconscious personality-cognitive vulnerability that triggers choking under pressure and the intervention plan of hypnotherapy which change the formation process were highlighted. Regarding the effects of hypnotherapy, athletes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improvement in motor control, emotion, cognition and perception and changes in physical responses. There were some athletes who become confident and more enthusiastic for sports as a result of the improvement in the performance and better records in the competition. In common, athletes reported that choking under pressure was improved as anxiety and tension during the game became lowered and pressure and burden de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hypnotherapy.

      • 지역진단 지표개발 및 발전전략 수립에 관한 연구

        박준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aper attempts to develop indicators for evaluating regional growth status, and to provide regional growth strategies. This thesis deals with significant issues of regional development: what component is required for regional self-sustaining development; how regional development should be analyzed; and what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should be built up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se issues, indicators for regional diagnosis are developed in each cities and countries, on the basis of the critical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and experts's opinion. The indicators consist of five components including economic performance, infrastructure, social-culture resources, life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The five components are weighted measured through the method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based on the method of investigating the consistency and quantity among the expert groups. The evaluation of cities and countries' conditions that include local development based on social and economic data of the 31-city in Gyeonggido, Korea were standardized nt the standardization score. Consequently, the 31-city is largely classified into 4-type reg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gional development; developed region, potentially developed region, development-suspended region, and stagnated region. Finally, the indicators established through this research are expected ot reflect regional development for public awareness. Also, they can contribute to provide the policy direction for regional growth. 세계화(globalization)에 따른 추세 속에서도 지역균형발전은 어느 나라에서나 중요한 이슈이다.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은 각 지역이 지역발전의 주체로서 자신의 고유한 지역성을 이용하여 경쟁력을 키워가는 이른바 ‘지역화 된 전략(regionalized strategy)'의 수립이다. 그러나 지역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진단 없이 지역전략이 수립되기 때문에 그 결과 지역전략의 유효성은 낮아지고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전략의 모색을 위해서 지역을 진단하고, 지역의 현황 및 특성에 맞는 발전방안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경기도 31시·군을 대상으로 지역을 진단하고 지역발전의 기본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발전진단 지표의 개발과정을 설명한다. 지역발전진단 지표는 우선 기존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경제, 기반시설, 사회·문화, 생활, 환경의 지역발전 구성부문을 도출하고, 구성부문에 대해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선정한다. 그리고 지역발전 구성부문 및 평가항목은 전문가 설문조사와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쌍대비교법을 통해 가중치가 결정 된다. 마지막으로 구성부문과 평가항목별 가중치는 표준화된 점수에 적용시켜 지역발전 지수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자체별 종합 지역발전지수를 도출한다. 여기에서 평가지표와 설문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지역발전진단 구성부문 및 평가항목간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지역발전 구성부문에서 경제(0.329)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으며, 기반시설(0.203)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생활(0.174)과 환경(0.163)은 비슷한 수준의 중요도를 나타낸 반면, 사회·문화(0.132)는 덜 중요하게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발전을 진단하는데 있어서 경제 및 기반시설 등 정량적 가치가 환경 및 삶의 질 등 정성적 가치보다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수도권 규제정책의 내용을 살펴보고, 앞에서 도출한 지자체별 종합 지역발전지수를 이용하여 경기도 31개시·군 지역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지역발전지수를 이용하여 지역발전정도에 따라 발전지역, 잠재적발전지역, 발전유보지역, 정체지역으로 그룹화 할 수 있었다. 이들 유형화된 4개의 그룹들은 환경과 생활수준은 비슷한 반면 경제, 사회·문화, 기반시설 수준은 발전지역에서 정체지역으로 갈수록 큰 폭으로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경기도 31시·군 지역에 있어서 지역의 경제성장과 기술발전이 지역발전을 선도하는 중요요인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역진단결과와 수도권 규제정책을 반영하여, 유형별로 지역이 경제성장할 수 있는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