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조경적 관점으로 본 암각바둑판의 입지와 장소 특성

        박주성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문화유산에는 우리 선조들의 삶과 사고방식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으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자연에서 향유하고자 하였던 선인들의 생활문화와 자연과 함께 영위하는 가운데 삶 속에 배어있는 전통의 향기를 찾을 수 있다(박주성, 2004). 예부터 거문고, 바둑, 글씨 그리고 그림을 ‘琴棋書畫’라 하여 ‘俗世를 떠난 境地에서의 예술적 풍류’이자 문인의 대표적인 고상한 취미로 간주되어 왔다. 바둑[棋]은 우리 선인들이 여가 선용의 한 방편으로 품격 있게 즐겨온 놀이이자 교양으로, 또 바둑은 나른한 일상생활에서의 여유를 만끽하는 풍류놀이로 발전되어 왔다(김윤조, 2002; 유주희, 2006․2007). 더 나아가서 바둑은 문화 오락적 기능을 넘어 哲學的․神話的 談論을 생산하는 遊戱이기도 했다. 이렇듯 막연히 실내 놀이로 알려져 온 바둑의 現場이 室內나 內園을 떠나 室外 더 나아가서 깊은 산 속이나 하천 계류 주변에서 행해졌다는 결정적 증거가 남아있는데 그 흔적이 바로 ‘돌바둑판’ 또는 '嚴刻 바둑판'으로 불리는 시설이자 전통문화 공간이다. Go bears significant meanings in terms of cultural and entertaining functions in Asia Eastern such as China and Japan. Beyond the mere entertaining level, it produces philosophical and mythic discourse as well. As a part of effort to seek an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culture, this study traced back to find meanings of rock-go-board and taste for the arts which ancestors pursued in playing Go game,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correlation among origin of place name, nearby scenery, carved letters and vicinal handed-down place name. At the same time, their position, shape and location types were interpreted through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of stone-go-boards including rock-go-board. Particularly, it focused on the rock names related to Sundoism(仙道) Ideal world, fixed due to a connection between traces of Sundoism and places in a folk etymology. Series of this work is to highlight features of the immortal sceneries, one of traditional landscaping ideals, by understanding place identity and scenic features of where the rock-go-boards are carved. These works are expected to become foundation for promotion and preservation of the traditional landscaping remains.

      • 한국어 자음-후음 연쇄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박주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한국어의 자음-후음 연쇄에서 발생하는 음운현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그 방언분포와 통시적 발달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의 《한국방언자료집》을 바탕으로 자음-후음 연쇄를 보이는 어휘들을 수집하여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논의의 대상이 되는 자음-후음 연쇄는 장애음-ㅎ, 공명음-ㅇ[ɦ], 공명음-ㅎ이다. 각각의 장은 자음-후음 연쇄의 종류에 따라 구성된다. 그리고 각 연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음운현상을 기술하고 각 연쇄가 발견되는 적용환경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방언분포를 살핀다. 이 방언분포와 문헌 자료를 종합하여 각각의 음운현상의 통시적 발달 과정과 방언 분화의 요인들을 밝히고자 한다. 2장에서는 장애음-ㅎ 연쇄에서의 음운현상을 논의한다. 2.1에서는 이 연쇄에서 발생하는 역행적 유기음화와 ㅎ 탈락에 대해서 음운론적으로 기술한다. 그리고 2.2에서 이 연쇄를 보이는 환경을 복합어 형성, ‘-하다’ 결합, 조사 ‘-하고, -한테’ 결합으로 나누고 각 환경에서 발생하는 음운현상의 방언분포를 살펴본다. 2.3에서는 중세국어시기 문헌에서 이 연쇄가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세부적으로 분류한 적용환경을 바탕으로 각 음운현상의 발달 과정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개신의 음운현상인 ㅎ 탈락이 다른 지역으로 전파되고, 또 저지되는 요인을 추정해보고자 한다. 3장에서는 공명음-ㅇ[ɦ] 연쇄에서의 음운현상을 논의한다. 3.1에서는 이 연쇄에서 발생하는 공명음 복사현상과 ㅇ[ɦ] 탈락의 발생 요인을 음운론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3.2에서는 ㅇ[ɦ] 탈락의 방언분포를 살펴보면서 ㅇ[ɦ]의 고형이라고 할 수 있는 ㄱ이 나타나는 경우도 함께 살핀다. 이때도 형태소 내부, 피사동접미사 결합, 특수어간 교체의 활용과 같이 적용환경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그 방언분포를 살피고자 한다. 3.3에서는 중세국어시기 문헌에서부터 공명음 복사현상의 발달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볼 것이며, ㅇ[ɦ] 탈락 현상이 널리 전파되지 못한 요인을 고형과의 관련성을 바탕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4장에서는 공명음-ㅎ 연쇄에서의 음운현상을 논의한다. 4.1에서는 이 연쇄에서 발생하는 공명음 뒤 ㅎ 탈락을 공명음 뒤 ㅎ 약화와 관련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이 연쇄에서도 발생하는 공명음 복사현상의 발생 양상도 함께 논의해보고자 한다. 4.2에서는 선행하는 공명음의 종류에 따라 ㄹ이 선행하는 경우와 ㄴ이 선행하는 경우로 분류하여 각 연쇄에서 발생하는 음운현상의 방언분포를 살펴본다. 이때도 형태소 내부, 한자어 간 결합, 부사파생접미사 ‘-히’ 결합, ‘-하다’ 결합과 같이 세부적인 환경을 나누어 그 분포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4.3에서는 문헌에서 공명음 뒤 ㅎ 탈락의 발달 양상을 논의하고 방언형들을 바탕으로 한국어의 ㅎ이 공명음 뒤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탈락하게 되었는지를 추정하고자 한다. 5장에서는 논의를 종합하고 정리한다. This research aim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occur in consonant-glottal sound chains in Korean and to examine their dialectal distribution and diachronic development. Based on the Korean Dialect Data Colle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Mental and Cultural Research, lexemes that exhibit consonant-glottal sound chains are collected and used as the main research objects. The consonant-glottal sound chains that will be discussed are 'obstruent-h', 'sonorant-ɦ', and 'sonorant-h'. The chapters a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nsonant-glottal sound chain. It describes the phonological phenomena that can occur in each of these chains and analyzes the dialectal distribution of these chains by detailing the application environments in which they are found. By synthesizing these dialectal distributions and the literature, we hope to reveal the diachronic development of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and the factors of dialectal differentiation. Chapter 2 discusses the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obstruent-h chain. Section 2.1 provides a phonological description of the regressive aspiration and h deletion that occurs in this chain. Section 2.2 divides the environments in which this chain occurs into compound word formation, the '-하다' conjunction, and the investigative '-하고, -한테' conjunction, and examines the dialectal distribution of the phonological phenomenon in each environment. Section 2.3 examines how this chain is reflected in the literature of the Middle Korean period, and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each phonological phenomenon based on its specific application environment. Finally, we will try to estimate the factors that prevented the spread of the new phonological phenomenon, h deletion, to other regions. Chapter 3 discusses phonological phenomena in the sonorant-ɦ chain. Section 3.1 provides a phonological explanation of the sonorant duplication that occurs in this chain a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ɦ-deletion. Then, in Section 3.2, we examine the dialectal distribution of the ɦ-deletion, including the occurrence of a /g/, which can be considered a past form of /ɦ/. We also examine its dialectal distribution by categorizing the application environment in detail, such as the use of internal morphemes, passive suffixes, and substitution between special words. In Section 3.3, we will take a closer look at the development of sonorant duplication in the literature of the Middle Korean period, and we will try to identify factors that may have contributed to the lack of widespread dissemination of the ɦ-deletion, based on its association with past forms. Chapter 4 discusses phonological phenomena in the sonorant-h chain. In Section 4.1, we examine the h deletion after sonorant that occurs in this chain in relation to the h weakening after sonorant. We will also discuss the development of sonorant duplication, which also occurs in this chain. In Section 4.2, we will examine the dialectal distribution of phonological phenomena that occur in each of these chains, categorized by the type of sonorant that precedes them. We also examine the distribution in different environment, such as within morphemes, between Chinese characters, adverbial derivational suffixes '-히' conjunction and '-하다' conjunction. Finally, in Section 4.3, we discuss the occurrence of h-deletion after sonorant in the literature and try to estimate the process by which Korean h-deletion after sonorant based on dialectal patterns. Chapter 5 synthesizes and organizes the discussion.

      • 청소년 예배 활성화를 위한 예배음악 활용 방안 연구

        박주성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찬양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하나님께서 인간을 창조하신 목적이 바로 하나님을 찬송케 하는데 있다고 이사야 선지자는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호흡이 있는 자마다 여호와를 찬양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러한 찬양은 피조물의 마땅한 일이고 동시에 유익을 얻게 된다. 한국 교회의 청소년 예배는 너무 침체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예배를 통해서 하나님을 만나는 감격을 체험하기보다는 그저 주어진 시간을 채우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예배를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표적인 것이 있다면 그것은 찬양과 말씀일 것이다. 좋은 말씀이 선포되고, 이에 대한 인간의 반응이 있는 아름다운 찬양이 있을 때 그 예배는 살아있는 예배가 되며 이러한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특히 청소년 예배에 있어서 찬양과 예배는 따로 구분할 수 없을 만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찬양은 경배의 원형이라고도 할 수 있고, 찬양을 드리는 청소년들이 하나님을 잘 예배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예배 중 인간 편에서 하나님께 존귀와 영광을 표현하는 것이 곧 찬양이기 때문이다.

      • 심층학습을 이용한 효과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주성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전통적인 방식의 수동적인 콘텐츠 등록 및 분류 작업 체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시스템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의 한 분야인 심층 학습(deep learning)을 적용하여 기존의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콘텐츠 관리 구조를 벗어나 좀 더 능동적인 방식으로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기존보다 향상된 방식의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콘텐츠 관리시스템이 흔히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콘텐츠의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심층 학습(deep learning)알고리즘의 컨볼루션 뉴럴 네트워크(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와 리커런트 뉴럴 네트워크(RNN, Recurrent Neural Network)를 사용하여 학습 모델을 구성하고, 학습된 모델을 활용하여 학습된 카테고리 체계에 맞게 자동 분류를 진행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구조 설계와 간략한 프로토타입을 제시한다. 콘텐츠의 분류 단계별로 각각의 학습 모델을 가지고 있으며, 최종 분류에 사용될 기준 모델은 별도로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제안하는 구조의 프로토타입 콘텐츠 관리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CNN 모델과 RNN 모델로 구성된, 총 3개의 집합을 사용하여 37개의 레이블로 자동 분류가 가능하다. In this paper, we apply deep learning, which is an area of machine learning, to the content registra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system in the traditional way, We propose a new structure of content management system which can manage contents in a more active way beyond the existing contents management structure of traditional contents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applied to the exist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a learning model is constructed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of deep learning algorithm. And, we use the learned model to design the basic structure of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automat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tegory system learned by deep learning and propose a basic prototype. Each content model has its own learning model for each classification stage, and the reference model to be used for final classification is separately configured. As a result, in the prototype content management system of the propos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lassify the multimedia contents into 37 labels using three sets of CNN model and RNN model.

      • 상악동에서 발생한 종물에 대한 증례보고 및 문헌고찰

        박주성 전남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76-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to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maxillary sinus pain. Radiologically, a soft tissue mass was observed in the maxillary sinus area, and histologically, mutiphenotypic structures such as cribriform architecture, squamous differentiation, and basaloid cells were observed, leading to a tentative diagnosis of HPV-related multiphenotypic sinonasal carcinoma (HMSC). However, as the patient was negative for HPV and the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were inconsistent with HMSC, a final diagnosis of non-keratinizing squamous cell carcinoma (NSCC) was made. HMSC, one of the main diseases to be differentiated from NSCC, is not easy to diagnose because of its clinical, histologic, and radiologic similarities to NSCC. If the patient was positive for HPV, it could be diagnosed as HMSC, which was first reported by Bishop et al, so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HMSCs present as destructive masses in the nasal cavity or paranasal sinuses and are associated with HPV infection in high-risk individuals. They are histologically multiphenotypic. (초록) 76세 여자 환자가 상악동 통증으로 전남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상악동 부위에 연조직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조직학적으로 체 모양, 편평상피분화, 기저양 세포 등의 다형적 구조가 관찰되어 HPV-related multiphenotypic sinonasal carcinoma (HMSC)로 잠정 진단하였다. 그러나 Human Papilloma Virus (HPV)에 음성, 그리고 면역조직화학검사 결과가 HMSC와는 일부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어, Non-keratinizing squamous cell carcinoma (NSCC)로 최종 진단하였다. NSCC와 감별진단해야 할 주요 질환 중 하나인 HMSC는 NSCC와 임상적, 조직학적, 방사선학적으로 유사점이 많아 진단하기 쉽지 않은데, 만약 환자가 HPV에 양성이었다면, Bishop 등이 처음으로 보고한 HMSC로 진단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행하였다. HMSC는 비강이나 부비동에 파괴적인 종괴 형태로 나타나며, 고위험군의 HPV 감염과 관련이 있다. 조직학적으로 다형적인 특징을 보인다.

      • CPS기반 가상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등 정보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박주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PS기반 가상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등 정보과학영재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등 정보과학영재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CPS 모형과 가상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교육을 이용하여 IT융합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로봇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적용은 중학교 2학년 정보과학영재를 대상으로 전통적인 물리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과 CPS기반 가상 로봇 프로그래밍 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사전 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즉,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CPS기반 가상 로봇 시뮬레이션 프로그래밍 교육이 중등 정보과학영재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