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박종희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전공 박종희 지도교수 박성옥 본 연구는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전시에 위치한 B초등학교 저소득층 대상의 초등학교 4학년 22명으로 구성 되었다. 그 중 11명은 실험집단, 11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하였다. 주 4회(총 12회기) 50분씩 집단음악 활동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결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4주후 추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아존중감 검사와 스트레스 검사를 사전, 사후, 추후검사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박연희(2007), 어유란(2008), 신은용(2009)의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중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를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선별하고 참고하였다. 본 연구자가 재구성한 집단음악활동을 12회기에 나누어 집단음악활동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실시하지 않았다. 측정된 검사도구의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집단음악활동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둘째, 집단음악활동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감소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셋째, 효과의 지속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주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추후 검사의 수치를 점수화해서 결과를 나타냈다. 넷째, 아동의 행동 변화 관찰을 위해 진행자는 매회기 관찰, 기록 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척도를 점수화해서 수치로 기록하고,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아동의 행동 변화를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존중감에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점수는 사전보다 높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점수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감소에서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점수는 사전보다 낮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점수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敎科書 編輯 디자인이 學業沒入度 및 學業成就度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종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cent trend is showing a transition from the rational design to the emotional design. The design of textbooks are in its transition from the contents focused style, which was seen in the past, to the style where the sensitive factors are regarded important. However, we are sure how such trend affects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al effect, learning motivation, interest motivation, concentration on work and achievements. This study has a purpose of finding a way which may help students with their learning. It has drawn a question that how designs of textbooks, focused on the image editing, which has been regraded less important as the internal factors of textbooks have been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the external factors, may affect students with their learning activities. And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as specified below. In the aspect of external design, some chapters from Korean textbook for 7th grade were newly edited. With this textbook, some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actual student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n the devotion and achievement of schoolwork after I proved verification. From 2 classes of 7th grade students 40 students were selected, 20 from each class, in order of their academic grades, to confirm the identicalness of groups, then they were classified as a group for experiment and a group for comparison. Then a pre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Korean subject textbook and the status of level of immersion, then the existing textbook, rationally designed textbook, were given to the group of comparison and emotionally designed textbook were given to the group of experiment then they were asked to study with given textbook for 1 week. After 1 week, another examination, with identical question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level of concentration on study, then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20 questions to examine their achievements. After the test, the following result was obtained. Firstly, a result on the devotion of study shows a highly distinctive fact for a group using an emotional design appealing textbook compared to a group using conventional textbook. Secondly, a result on achievement of schoolwork shows a highly distinctive fact for a group using an emotional design appealing textbook compared to group using a rational design appealing textbook. Therefore, it is proven that a newly edited textbook, an emotionally designed, is effective on increasing achievement of schoolwork. Thirdly, among students who studied with the emotionally designed textbook, students with higher emotional propensity showed better level of concentration on their study than students with lower emotional propensity. Fourthly, the level of achievements did not show a great change among students who studied with emotionally designed textbook with their level of emotion. Lastly, it is observed that background aspects such as layout, color, typography, illustration and pictures which can be referred as surrounding traces used as an efficient and effective tool to persuade students. And it plays a role to change low involvement showing student (with high emotional propensity) into high involvement showing student. This agrees to the theory of Paivio(1971), picture is better memorized than word and to the research of Erdelyi & Becker, (1974), the memory of picture slowly disappears compared to the memory of word. As those theory and research show, it is proven that the effectiveness of schoolwork increases when the textbook was designed with related pictures rather than using word oriented since it is well memorized and remember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 must admit that the outcome of the study may not be generalized as of the limited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test and the insufficient length of test period. However the importance of emotionally designed textbooks were able to be realized and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level of concentration on study and their achievements. This clearly proves that changes ar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extbooks, and it would be a meaningful study if similar tests were conducted with mathematics, physics and chemistry textbooks, which are relatively rational subjects, to see if emotionally designed textbooks may provide a positive effect to such subjects as well. 최근 디자인 트랜드가 이성적으로 소구하던 디자인에서 감성적 소구 디자인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교과서 디자인에서도 과거의 내용 중심에서 감각적 요소들을 중요시 하는 방향으로 관심이 부상하고 있으나 이러한 감각적 요소들이 실질적으로 학생들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즉 학습동기 유발, 흥미 유발, 학업몰입 및 성취도 향상에 있어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그동안 내적 요소를 중요시 하는 특징 때문에 외적 요소를 소홀히 다루었던 교과서 편집 디자인에 감성적 소구 디자인, 즉 이미지 중심의 편집 디자인을 적용하였을 때 학생들의 학습효과에 얼마나 도움이 될 것인가? 라는 문제 제기와 함께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디자인 측면에서 기존의 교과서와의 차별성을 가진 감성 소구 디자인으로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일부 단원을 기획·제작하였으며, 이를 실제 학생들에게 실험해 봄으로써 교과서 디자인이 중학생들의 학업몰입도 및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도록 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으로 동질성 집단 확인을 위해 중학교 1학년 2개 반을 성적순으로 상위 20명씩 40명을 선정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다음, 현 국어교과서에 대한 만족도와 학업 몰입도의 현황을 알기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비교집단학생 20명에게는 기존의 교과서 즉, 이성소구 디자인 교과서를, 실험집단학생 20명에게는 감성소구 디자인 교과서를 각각 나누어 주어 1주일간 학습하게 하였다. 1주일간 학습 후에는 학업몰입도 측정을 위해 사후검사를 똑 같은 문항으로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시험문제 20문항을 풀게 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행하였다. 실험 후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감성소구 교과서로 공부한 집단의 학업몰입도가 기존 교과서로 공부한 집단의 학업몰입도에 비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감성소구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들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이성소구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나 감성소구 교과서가 국어교과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감성소구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들 중 감성성향이 높은 학생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들에 비해 학업몰입도가 더욱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감성소구 교과서로 공부한 학생들의 감성성향 수준에 따라 국어교과의 학업성취도는 크게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변적 배경요소인 레이아웃, 컬러, 타이포그래피,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등의 주변 단서들이 학생들을 설득하는 효율적, 효과적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이미지 중심의 감성적 접근 편집디자인이 저관여 된 학습자(감성적 성향이 강한)를 고관여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그림이 단어(word)보다 더 잘 기억된다는 Paivio(1971)의 이론과 그림에 대한 기억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언어적인 기억만큼 빨리 사라지지 않는다는 Erdelyi & Becker(1974)의 연구처럼 교과서 디자인도 문자 위주로 된 것보다 문자의 내용과 짝 연합이 잘 되는 그림이 첨부 되었을 때 더 잘 기억되고 오래 기억되어 학습효과가 높음을 입증하였다. 제한된 조사대상수와 부족한 실험처치기간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감성적 소구 디자인의 중요성과 함께 편집디자인이 학생들의 학업 몰입도 및 성취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많은 변화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되며, 국어교과 외에 타 교과, 특히 이성적 성격이 강한 수학, 물리, 화학에 있어서도 감성적 디자인이 교육적 효과가 높은지 연구하는 것 또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 하천복원사업에 따른 퇴거상인의 이주패턴 연구

        박종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청계천 복원 사업으로 퇴거상인의 비자발적 이주가 대거 발생하였지만 대체상가인 가든파이브에 현재 남아있는 상인은 소수에 불과하다. 용산참사는 퇴거상인에 대한 보상·이주대책의 미비가 주요 원인이었다. 하지만, 퇴거상인의 이주패턴에 대한 실제적 연구는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퇴거상인을 접촉하거나 그들의 현재 위치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이 연구는 퇴거상인의 이주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론적 고찰에서 하천복원사업 등 각종 도시재생사업의 개념·법제·보상 및 이주대책을 살펴보았다. 이주행태에 대하여 주거이주, 상가입지, 비자발적 이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론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전면철거식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퇴거상인 이동 개념도’ 를 고안하였다. 실제적 연구는 2009년에 대전천 목척교 주변 정비·복원사업에 따라 철거된 홍명상가의 퇴거상인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답사 시 탐문하여 폐업상가와 이주상가 현황을 수합하고,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퇴거상인의 폐업률을 점포소유여부·연령·업종 별로 정리하였다. 또한 이주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이주점포의 분포와 이주거리 및 군집도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으로 상가이주요인과 상권인식 및 원도심 살리기에 대한 의견 등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퇴거상인의 상당수가 폐업하였다. 둘째, 기존상가 가까운 곳으로 재입지하는 근접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퇴거상인 끼리 모여서 분포하는 군집화 패턴이 나타났다. 이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 확보 및 퇴거상인의 보상·이주대책 수립 시 활용 가능성이 증대될 것이다. The Involuntary migration of the displaced shopkeepers had occurred in great numbers due to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but only a few shopkeepers currently has remained in the alternative shopping area of Garden Five. Regarding the cause of the tragic incident in Yongsan, the lack of the compensation and migration policy for the displaced shopkeepers was the main reasons. However, there are no practical studies on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displaced shopkeepers related to it. It is considered to be due to the reason of having difficulty in having contact with the displaced shopkeepers or acquiring the information of their current lo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patterns of the displaced shopkeepers. Through theoretical study, the concept, legislation, compensation and migration alternatives of various urban restoration projects such as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s were examined, and by regarding the migration behavior, the household migration, location of the shopping area, and involuntary migration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theory and case study,‘a conceptual diagram of the movement of displaced shopkeepers by urban regeneration as a way of urban renewal’was created. In the empirical study, the target area was the displaced shopkeepers of Homgmyeong Arcade that was demolished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and restoration project around Mokcheok Bridge in Daejeon River in 2009. During the field survey, the status of closed shops and migrated shops were collected, and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his data was used to arrange the closed rate of the displaced shopkeepers per possession of shops, age and types of business. In order to identify the migration patterns, the distribution of the migrated shops and the migration distance from the demolished shopping area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and the in-depth interview, the factors of shopping area migration, the awareness of the shopping area and opinions about restoring the old downtown were summarized. As a result, the main conclusions are shown as follows. First, a considerable number of displaced shopkeepers had closed their shops. Second, there was a trend of relocating near the existing shopping area. Third, there was a clustering pattern aspect of the displaced shopkeepers. This study will have more possibility of application when securing the public concern of the urban restoration project and when establishing the compensation and migration policy for the displaced shopkeepers.

      • 상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 유지장치 종류와 구개 피개 여부가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

        박종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ttachments and palatal support in maxillary implant overdentures. Materials and methods: Four maxillary overdenture 3-D models with four implants placed in the anterior region were fabricated with Computer Aided Design. 1) Ball-F: Non splinted ball attachment and full palatal coverage, 2) Ball-P: Non splinted ball attachment and partial palatal coverage like horseshoe design, 3) Bar-F: Splinted milled bar attachment and full palatal coverage, 4) Bar-P: Splinted milled bar attachment and partial palatal coverage like horseshoe design. Stress distribu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3-D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100 N vertical load was applied at the right first molar unilaterally and maximum stress was calculated at the implant, peri-implant bone and mucosa. Results: In all models, the maximum stress was concentrated on the most distal implant, peri-implant bone and the most distal mucosa of alveolar ridge on loaded side. The stress at the most distal peri-implant bone was concentrated on the cortical bone. The use of the ball attachment showed lower maximum stress on implant and peri-implant bone than the use of the milled bar attachment. But it showed contrary tendency in the mucosa. Regardless of attachment, full palatal coverage showed lower maximum stress on implant, peri-implant bone and mucosa. Conclusion: Ball attachment incorporating stress breaking material improved stress distribution rather than milled bar attachment in maxillary overdenture. Also, full palatal coverage is more beneficial in stress distribution.

      • 갈근이 혈액학적 면역지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종희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갈근이 혈액학적 면역 지표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갈근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의 혈액내 T cell에서 분화되는 TH1/TH2 cell의 cytokine인 IFN-γ, IL-4, IL-2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였다. 실험은 생후 8주령 되는 BALB/c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였으며, 실험동물은 각각 정상군, 대조군, 한약투여군, 양성대조군인 스테로이드(Dexamethasone) 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한약투여군은 갈근을 녹인 생리식염수를 각각 200 mg/kg, 500 mg/kg, 1000 mg/kg의 농도로 7일간 경구 투여하였고, 정상군, 대조군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다. Dexamethasone투여는 Anti-CD3를 투여하기 18시간전에 복강주사하였고, 8일이 되는날 대조군, 한약투여군, Dexamethasone투여군의 미정맥에 Anti-CD3를 주사하였고, 90분후 심장채혈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갈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청 IFN-γ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Dexamethasone 투여군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2. 갈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청 IL-4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Dexamethasone 투여군 역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3. 갈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혈청 IL-2는 유의성 있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고, Dexamethasone 투여군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모든 면역지표를 억제하는 부신피질호르몬제제인 Dexamethasone과는 다르게, 갈근 추출물은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TH2 cell cytokine인 IL-4를 선택적으로 억제하고, 항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는 TH1 cell cytokine인 IFN-γ를 선택적으로 증가 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갈근추출물이 TH2 cell의 과항진으로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에 유의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ueraria thunbergiana Benth(Puerariae Radix, PR) on blood levels of Immune markers. Balb/c mice were orally given with various doses of PR extract for 7 days. Dexamethasone(DEX)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to mice. On day 8, anti-CD3 antibody was intravenously injected and serum was obtained 90 minutes after anti-CD3 injection. In the serum, the levels of Th1/Th2 cyotkines(IFN-γ, IL-4, IL-2) were measured, and effective results were achieved from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erum IFN-γ was increased statistically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2. Serum IL-4 was decreased statistically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3. Serum IL-2 was not changed statistically in experimental group than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PR has the effect of anti-allergy in mice, and suggested that it could be used in allergic disease.

      • 한국 현대회화에 나타난 민화적 요소에 관한 연구

        朴鍾喜 西原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화는 우리민족의 미의식과 정서가 함축된 회화로서 서민의 생활과 철학을 잘 반영한 질적으로도 뛰어난 한국적인 취향을 갖춘 회화다. 또한, 전통회화의 기법과 화법에 얽매이지 않은 다양한 표현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민화만이 지니고 있는 독특한 표현기법과 자유롭고 천진스러움은 민화가 현대에 와서 관심을 끌 수 있는 매력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19세기 무명화가들이 일반서민 대중의 시각적 욕구에 부응하여 그들의 소박한 미의식을 실생활에 적용시켜주었던 민화는 온갖 형태의 특이한 화법과 양식으로 인해 새롭게 재평가되고 있다. 민화는 근대에 들어서면서 단순히 화가들의 눈요기감에서 벗어나 직접 작가들의 작품세계에 도입,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현대미술에 접목되어 한국화의 창조적 방향모색에 밑거름이 되고 있다. 오늘날 현대회화에 민화적인 구도, 선, 색채의 표현과 그 소재적 원용, 도입이 활발히 시도되어 전통적으로의 회귀나 단순한 복제가 아니라 한국인의 정서와 생활습관, 그리고 삶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나가는 하나의 문화적인 기틀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민화의 개념, 형성배경 속에서 민화의 회화적인 특성과 현대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나타난 민화적 요소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민화의 고유 특성은 1. 표현에 있어서 거짓 꾸밈과 교묘함을 싫어하는 소박한 미의식, 그리고 가공된 것보다 천연스러운 것에서 아름다음을 느끼는 민족성 자체의 성격에서 나온 회화임을 알 수 있었다. 2. 민화의 선은 두툼하고 힘차며 빠르게 그려져 속도와 움직임을 느끼게 한다. 또한, 전통적인 선의 기법을 탈피하여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3. 단순화, 과장 그리고 반복적인 수법에서 추상형에 가까워지고 혹은 비형식적인 형태로 나타나게 되어 사실적 형태와 대립적인 표현으로 묘사되었다. 4. 구도에서 시점이 한곳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좌우상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등에 상호관계가 화면에 표현되었고 입체감이나 사물 상호간에 공간감이 무시된 채 평면화 되어 그려졌다. 즉흥성, 해학성, 상징성(추상성), 역동성으로 나누어 고찰해 본 결과는 현대 작가가 표현한 민화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단순한 형태와 색채, 원근법을 무시함으로서 자유롭게 표현하였고 한국적 정서의 소박함을 표현하고 있다. 2. 인간이나 동물상을 익살스러움이나 민담적인 분위기로 토속적이고 해학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3. 주제와 소재를 반복적으로 표현하거나 형상화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전통적인 미의식을 바탕으로 표현된 민화의 조형성은 현대 회화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전통을 기초로 한 현대 한국 채색화의 다양한 실험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오늘날 우리의 현대회화와 민화가 공존 할 수 있는 것은 시대의 사상적 기저에서 오는 독특한 시점과 채색기법 등에서 비롯된 민화의 독특한 표현방법 때문이다. 그러므로, 서민의 생활미술인 민화는 참다운 가치를 찾아 민중의 보편적인 감정이 진솔하게 표현되고 우리 민족 공동의식을 구현한 대표적인 민족회화로서 올바른 평가를 받아야 하며 또한, 우리겨레의 미의식과 정감이 함축된 민화를 자리 매김 해야 할 것이다. Folk paintings are high quality Korean art, which reflected the lives of common people and philosophies. In addition these paintings reflected a variety of expressional skills, which are outside of the traditional rules for folk paintings. These special expressional skills, which only folk paintings have, as well as freedom and innocence are reasons to be interested. In the 19th century anonymous painters followed the peoples desires of the visual angles and applied simple beauty to their real lives, The people are starting to reevaluate how they view folk paintings because of the new variety of special skills and styles. In the past, folk paintings were simply a feast for the viewers eyes, but in modem ages folk art is used to inspire new art. So the folk art is sacrificing itself to the benefit of modern Korean painting. Nowadays, composition line colors, the replication of ideas, and the use of these ideas are attempted a lot. Nonetheless, these are not just copies or replicas of the traditional work, but positive reflections and developments of a culture.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conducted into artistic specification in the definition of folk paintings and element of folk painters work are as follows. Native specific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 Folk paintings are from a simple beauty that doesn't like fake and deception. In addition, Korean people feel a greater sense of beauty from nature than from non-natural elements. 2. The lines of folk paintings are thick, strong and active so the speed and movement can be felt. It was expressed in many different ways and was different from traditional lines. 3. The paintings have changed from simple, exaggerated and repeated techniques to abstract or informal techniques so they do not necessarily reflect reality. 4. Mutual relation was expressed in the painting, where a visual point is not fixed in one place. The visual point could move freely up and down or to the left and right. As the results, which were investigated by non-planning, humor, movement and special features expressed by modern painters are as follows: 1. The painters painted freely and ignored simple shapes, colors and perspective. Furthermore, the painters expressed maltreatment of Korean emotion through their work. 2. The painters depicted human beings and animals in a humorous way like in folk tales. 3. Painters repeated the subjects and the main ideas of the original folk paintings in a phenomenal and symbolic way. The shape of folk paintings which are based on traditional beauty can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and require many different examinations of Korean paintings based on tradition. Therefore, the ways in which our modern paintings and folk paintings coexist is a specific expression from a special visual point and coloring skills. So folk paintings showed the true value and were an expression of the peoples true universal feelings. This being said, folk paintings should be regarded as a national representative art. In addition, we should create folk in which shows our nations beauty and feel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