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맥 유무에 따른 속담 이해 능력 :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및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박정희

        박정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학령기는 가정뿐 아니라 학교나 지역사회 등에서 비유적 언어의 이해와 사용을 요구하는 기회가 늘어난다. 비유 언어의 유형 중 속담은 어린 아동들이 해석하고 이해하기에는 매우 어려운데, 속담 이해와 같이 문맥 속에서 비문자적인 방법으로 언어를 이해하는 능력은 후기 언어 발달기(advanced language period)의 중요한 발달 중 하나이다. 선행 연구들은 청소년기 전에는 속담 이해를 주로 문맥과 상관없이 문자적 의미로 해석한다고 보고했으며,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거치면서 속담과 같은 비유적 표현에 관한 이해력은 꾸준히 증가함을 밝혔다. 또한 여러 연구에서 속담과 같은 비유 언어의 이해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야기 문맥을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속담에 관한 평가 및 중재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서 속담 이해 능력에 관여하는 변인들에 대해 알아보고, 그 변인들 중 특히 연령에 따른 문맥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그리고 성인 각각 40명씩을 대상으로 하여 총 30문제의 속담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는데, 절반에 해당하는 15개의 속담에는 문맥 없이 독립적으로 속담만을 제시(Isolation)하고 나머지 15개의 속담에는 속담과 함께 문맥을 함께 제시(Context)하였다. 또한 네 가지의 다른 뜻을 제시한 보기 중에서 속담의 뜻이라고 생각하는 가장 적당한 보기를 선택하는 필기검사였다. 문맥 유무에 상관없이 정답이 아닌 오답, 즉 속담만 읽었을 때 추측할 수 있는 오답(plausible figurative interpretation), 속담을 문자적으로 해석했을 때의 오답(literal interpretation), 속담의 뜻과 관련이 없는 오답(implausible figurative interpretation) 등 세 가지의 오답 유형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6학년 아동과 중학교 2학년 학생 및 20대 성인 집단의 속담 이해 능력은 문맥 유무에 상관없이 성인 집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에 중학교 2학년, 그리고 초등학교 6학년 집단 순이었다. 또한 초등학교 6학년 아동과 중학교 2학년 학생 및 20대 성인 집단에서 문맥이 제시되지 않은 과제의 평균보다 세 문장으로 구성된 이야기 문맥이 제시된 과제의 평균이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2학년, 성인 집단 간의 속담 이해 능력의 유의미한 차이는 후기 아동기 이후의 언어 발달에 있어 진단이나 중재의 도구로서의 속담의 역할을 시사한다. 그리고 속담의 비유적인 의미 파악을 위해서는 속담과 속담의 의미에 관한 단서를 주는 문맥의 앞과 뒤를 적극적으로 적용하여야 함을 제안한다.

      • 가정환경에 따른 고등학생의 귀인성향 차이분석

        박정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variabl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ttributional Styles (internal, others, and chance) and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To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like the following: 1. Physical home environment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1-1. The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1-2.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1-3 The occupation of father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1-4. The occupation of mother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1-5. The income of father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1-6. The income of mother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2.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2-1. Accomplished and unaccomplished environment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2-2. Open and closed environment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2-3. Affectionate and rejective environment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2-4. Self-control and other-directed environment will caus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3.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To verify the assumptions of this thesis, 367 second grade students in the high school located at S city Gangwondo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To measure the physical home environment, academic background and vocation classification used in Lee Suk's study(1988) were utilized. Home environment diagnosis test made by Jung Won-sik(1985) was used to measure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To measure Attributional Styles, the locus of control test Levenson(1981) made and Ahn Gi-duk(1981) translated into suitable Korean circumstances. was us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According to highschool student's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 Attributional Styles was analyzed as internal, others, and chance. Also ANOVA based on the mean(M) and standard deviation(SD) was used. To analyze correlation, Pearson's moment correlation quotient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physical home environment caused the difference in high 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The higher the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and mother, the more internal Attributional Styles appears. Educational background affected the difference of chance Attributional Styles. The more professional vocation of parents is, the more internal Attributional Styles appears. The income of parents made no difference in Attributional Styles. Seco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caused the difference in highschool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If psychological process of home is accomplished-oriented, open, affectionate and self-control atmosphere is higher, internal Attributional Styles showed up. Third, physical and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was correlated partially. The academic background of father had static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openness and self-control, and the school career of mother had static correlation with achievement and openness. The job of father had static correlation with openness and self-control, while the vocation of mother had no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environment. The income of father and mother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environment. Fourth, Parents should recognize that psychological atmosphere of home had effect on the formation of Attributional Styles and personality because student's Attributional Styles differed according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Programs which help parents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home environment and parents' rol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Also teachers should grasp Attributional Styles as well as personality of students and try constantly to establish reasonable and positive students' attitude and value.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물리적, 심리적 가정환경과 귀인성향(내적지향, 타인지향, 우연지향)이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 간에 상관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가정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1. 부의 학력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2. 모의 학력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3. 부의 직업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4. 모의 직업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5. 부의 소득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1-6. 모의 소득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가정의 심리적 환경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1. 성취-비성취 환경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2. 개방-폐쇄 환경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3. 친애-거부 환경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4. 자율-타율 환경에 따라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S시에 소재하는 남녀 고등학생 2학년 3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가정의 물리적 환경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숙(1988)의 연구에서 사용한 학력분류와 직업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정원식(1985)의 가정환경진단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귀인성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Levenson (1981)이 개발한 귀인성향 검사를 안귀덕(1986)이 우리의 실정에 맞게 번역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등학생들의 물리적 가정환경과 심리적 가정환경에 따라 귀인성향을 내적지향, 타인지향, 우연지향으로 분석하였고,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기초로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피어슨(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 활용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가정환경에 따라서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차이가 있었다. 부와 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귀인성향은 내적지향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에 따라 우연지향의 귀인성향에 차이가 있었다. 부와 모의 직업이 전문직일수록 귀인성향은 내적지향이었다. 부와 모의 소득에 따른 귀인성향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심리적 가정환경에 따라서 고등학생의 귀인성향은 차이가 있었다. 가정의 심리적 과정이 성취지향적 일수록, 개방적 일수록, 친애적일수록, 그리고 자율적인 분위기가 높을수록 귀인성향은 내적지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은 부분적으로 상관이 있었다. 부의 학력은 성취, 개방, 자율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모의 학력은 성취, 개방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부의 직업은 개방, 자율과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모의 직업은 심리적 환경과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부의 소득과 모의 소득도 심리적 환경과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귀인성향은 가정의 물리적, 심리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학부모들에게 가정의 심리적 분위기가 학생들의 귀인성향과 성격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시키고, 가정환경의 중요성과 올바른 부모의 역할 교육을 받을 수 있게 하는 단계별 학부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인성뿐만 아니라 귀인성향까지 파악하여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태도와 가치관이 성립될 수 있도록 교육활동에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Butanol fraction of Cordyceps scarabaeicola inhibits inflammatory mediators by suppressing NF-κB activation

        박정희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0Cordyceps scarabaeicola is a parasitic fungus and has long been used as Chinese medicine to treat illnesses, promote longevity, relieve exhaustion, anticancer and increase athletic power. It is traditionally called "Dong-chung-ha-cho"(summer plant, winter worm) in China. Cordyceps scarabaeicola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then methanol extract was further fractionated with hex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actions of C. scarabaeicola on inflammation has not been clearly elucidated. To reveal the mechanism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C. scarabaeicola Butanol fraction (CSBF), we examined its effect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esponses in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SBF showed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productions of nitric oxide (NO)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Consistent with these observations, CSBF was effective on the inhibition of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Furthermore, CSBF inhibited the LPS-induced DNA binding activity of nuclear factor-κB (NF-κB), and this was associated with the prevention of inhibitor B (IκB) degradation and a reduction in nuclear p65 protein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SBF suppresses inflammation through suppression of NF-κBB-dependent inflammatory gene expression, suggesting that the CSBF may be beneficial for treatment of endotoxin shock or sepsis. Macrophage는 혈액의 monocyte로부터 유래되어 생체내 면역반응 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이다. 혈액이나 임파구 또는 다른 여러 조직에 존재하며 식세포 작용을 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Macrophage는 host에 침입한 병원성 세균에 저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표적 기능은 박테리아나 또는 박테리아에 의해 감염된 부위에서 이들을 직접 죽이는 기작과, T cell이나 주변세포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activator에 의해 활성화되어, 손상부위 및 염증 관련 cytokine생성 유도를 통해 식세포 작용, 손상복구 과정을 돕고, 일부 세포들의 사멸과정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생리적 병리적 환경 하에서 발생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유전자의 조절기전에 대한 정확한 기전을 밝히고자 함에 목표를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충하초는 모든 곤충군의 유충, 번데기, 성충 등의 전시기에 걸쳐 침입하며 곤충을 죽게 한 후, 이를 기주로 하여 충체 전반에 자실체를 형성하는 버섯이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비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결핵, 황달 등의 치료와 강장제로서의 효과가 인정되어 이용하고 있으며, 주로 병후의 신체조절, 보양 등에 사용되는 한방약제이다. 최근 들어 과학 문명 및 생활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식품 외에도 부수적인 건강에 기호성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 등을 선호하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은 더 나아가 식품으로서 기능뿐 아니라 의약 산업과도 관련을 갖게 되는데, 그 예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전세계적으로 미래의 대체식품으로 칭하는 버섯류에 대해서는 상당한 관심이 집중되어 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풍뎅이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믈에 의한 염증유발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에 관해 살펴보았다. 염증은 손상된 세포나 조직에서 유래되는 면역반응의 하나로 국소의 혈관과 체액의 각종 면역 세포들이 상호작용하여 효소의 활성화, 매개 물질의 분비, 체액의 침윤, 세포의 이동, 조직 파괴 등을 유발하는 복잡한 일련의 생체 방어 반응이다. 염증반응에는 leucocyte, macrophage, lymphocyte등이 관여하는데 이들이 분비하는 TNF-α등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다음단계의 기작에서는 cyclooxygenase경로를 통하여 prostaglandins, 활성 산소, nitric oxide (NO) 같은 많은 매개물질들이 염증성 cytokine 들과 상호 작용하여 복잡한 network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염증반응 조절을 위한 분자적 접근 연구가 많이 진행중에 있으며, 현재에는 천연물에서 추출 정제된 물질 등을 통해 항산화 작용 및 항 염증 작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곤충을 숙주로 자라는 풍뎅이 동충하초라는 천연물을 통해 endotoxin인 LPS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를 유도한 후 염증반응에 중요한 매개 인자로 알려진 TNF-α생성, cyclooxygenase를 통해 생성되는 prostaglandins (PGs), nitric oxide (NO)생성이 억제됨을 살펴보았고, 더 나아가서는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이 전사인자로 알려진 NF-κB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써 염증반응 매개인자의 활성화를 억제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 NOXA 단백질의 미토콘드리아 표적화 도메인에 의한 세포괴사 연구

        박정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NOXA is a Bcl-2 homology 3 (BH3)-only protein of the Bcl-2 family and a weak apoptosis activator consisting of a BH3 domain and a mitochondrial-targeting domain (MTD). While BH3 domain binds Mcl-1, Bcl-xL, and Bcl2A1 and inhibits their anti-apoptotic activities to induce apoptosis, MTD not only delivers BH3 to mitochondria, but induces mitochondrial fragmentation and cell death. MTD, fused with cell penetrating peptides (CPPs) such as octa-arginine, penetrates into the cytosol, opens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pore (mPTP) to increase intracellular calcium, and induces cell necrosis. In this study, dual forms of MTD peptid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necrosis induced by MTD. First, MTD was fused with a CPP, octa-arginine (R8:MTD), as the way used in the other studies, to penetrate cell membrane. Second, the MTD with its flanking region derived from NOXA (extended MTD, eMTD) showed a considerable cell killing effect without additional CPP motifs and was used for this investigation. In both cases, R8:MTD and eMTD opened mPTP and induced necrosis in 10 minutes. With R8:MTD, intracellular calcium influx was induced and originated not only from mitochondria but also from the extracellular space. R8:MTD induced mitochondrial permeability transition pore opening, fragmentation, and swelling. These mitochondrial events and necrotic cell death were not inhibited by cyclosporin A (CsA), a cyclophilin D (CypD) inhibitor, but DIDS, a VDAC inhibitor. Furthermore, R8:MTD disrupted endoplasmic reticulum (ER) structures but not peroxisomes or Golgi. eMTD induced intracellular calcium influx and necrosis as well. eMTD induced mitochondrial swelling, fragmentation, and opening of mPTP. The opening of mPTP induced by eMTD could be regulated by binding of MTD to VDAC2, since down-regulation of VDAC2 and the VDACs inhibitor DIDS inhibited mitochondrial events and necrotic cell death in a CypD-i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eMTD could perforate cell membrane and membrane protein free liposom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fter internalization, MTD interacts with VDAC2 and disrupts mitochondria and ER to induce necrotic cell death. If we could find the physiologic relevance of this lethal effects of MTD, i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apoptosis and necrosis. Furthermore, this rapid lethal effect of MTD peptide could be applied usefully to cancer therapy. NOXA 단백질은 Bcl-2 homology 3 (BH3) 도메인을 하나만 가지는 Bcl-2 family에 속하는 단백질로서,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하는 단백질이다. NOXA는 BH3와 MTD (mitochondrial targeting domain, 미토콘드리아 표적화 도메인)라는 두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BH3도메인은 세포사멸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Mcl1, Bcl-xL, Bcl2A1 등의 단백질과 결합하여 이들을 억제하고 결과적으로 세포사멸을 일으키게 된다. MTD 도메인은 NOXA 단백질을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기능뿐만 아니라 미토콘드리아를 분열시키고 세포사를 일으키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졌다. MTD 도메인은 CPPs (cell penetrating peptides, 세포 투과 펩타이드)와 결합시킨 펩타이드의 형태로 세포의 내부로 들어가게 했을 때 미토콘드리아의 PTP (permeability transition pore)를 열어 세포 내부의 칼슘 농도를 올리고 세포괴사 (necrosis)를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MTD 도메인이 펩타이드의 형태로 세포 내부에 주입되었을 때 벌어지는 일들을 알아보고 설명하기 위해서 두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첫번째로는, 기존의 방법과 같이 MTD 펩타이드를 잘 알려진 세포 투과 펩타이드 중의 하나인 8개의 아르기닌 아미노산과 결합시켜서(R8:MTD) 세포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두번째로는, NOXA 단백질의 일부인 MTD 도메인을 더 연장하여 만들었을 때(extended MTD, eMTD) 이 역시 세포 내부로 들어가는 현상을 발견하여 이를 이용하였다. 두 가지 경우에서 MTD는 모두 10분 내로 미토콘드리아의 PTP를 열어 세포괴사를 일으키는 모습을 보였다. R8:MTD는 세포내 칼슘 농도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래될 뿐 아니라 세포외부에서도 유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R8:MTD는 미토콘드리아의 분열과 팽창을 야기하고 PTP를 열어서 세포 내부의 칼슘 농도를 올리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는 잘 알려진 CypD (cyclophilin D) 억제제인 CsA (Cyclosporin A)에 의해 억제되지 않았으며, 반면에, VDAC (voltage dependent anion channel) 억제제인 DIDS를 통해 억제되었다. 또한 VDAC을 발현하는 또다른 세포소기관인 소포체 역시 R8:MTD에 의해 망가지는 현상을 보였다. eMTD 역시 R8:MTD와 마찬가지로 세포내 칼슘 농도의 증가를 유발하고 세포괴사를 유발하였다. 미토콘드리아의 분열과 팽창이 일어나고 PTP가 열렸으며, 이는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에 존재하는 VDAC2와 MTD의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 eMTD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들은 역시 CsA에 의해서는 억제되지 않았으며 DIDS에 의해 억제되었다. 또한 eMTD는 세포막에 직접 구멍을 내면서 세포 내부로 확산되어가는 양상을 보이며, 막단백질이 존재하지 않는 리포좀의 지질막 역시 손상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MTD는 세포 내부로 들어간 후에 미토콘드리아의 외막에 존재하는 VDAC2와 작용하여 미토콘드리아와 소포체의 손상을 일으키고 PTP를 열어서 세포괴사를 일으킨다고 추론해 볼 수 있다. MTD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괴사가 실제로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면, 세포사멸과 세포괴사와의 분자생물학적 연결고리를 찾아내는 새로운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10분 내외로 작용하는 MTD 펩타이드의 세포괴사 양상은 임상에서 응용하여 더 강력하고 부작용 적은 항암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박정희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임파워먼트 수준을 파악하여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즉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와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밝히는 실증연구에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경기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요양보호사 240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 한 후 분석에 부적절한 32부를 제외한 208부에 대하여 최종 분석 하였다. spss 18.0을 사용하여 자료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 분석결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의 평균은 총점을 5점 만점으로 하였을 때 3.53점으로 나타나 비교적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임파워먼트를 구성하고 있는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의미성이 3.8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역량 3.72점, 자기결정성 3.46점으로 나타난 반면, 영향력은 2.98점 순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의 평균은 4.34점으로 나타나, 서비스 질에 대한 평균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응성 4.47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성 4.47점, 보증성 4.37점, 공감성 4.23, 유형성 4.17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관관계분석 결과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서비스 질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 수준은 서비스질의 공감성(r=.811), 신뢰성(r=.767), 유형성(r=.749), 보증성(r=.697), 대응성(r=.682)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파워먼트 하위 영역 중 의미성(r=.341)과 역량(r=.290)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셋째, 요양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위계회귀분석 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을 투입한 경우 설명력은 22.3%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F=4.625, p<.001). 임파워먼트 하위 요인 중 요양서비스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미성과 역량의 요인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기요양기관의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가 전체적으로는 서비스질의 공감성과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높게 나타나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을수록 서비스 질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은 노인요양시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질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높이기 위한 역량지원, 현장밀착형 보수교육강화, 요양보호사 전문성 제고방안 등 정책적, 실천적 대책이 요구되어진다. 임파워먼트 요인 중에서 요양보호사의 업무에 대한 가치의 의미성과 어려운 업무임에도 자신의 능력을 성공적으로 달성 할 수 있다는 의미성과 역량부분에서 서비스 질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요양보호사의 역량이 서비스 질과 밀접하게 관련 되어있어 요양보호사의 중요한 업무의 의미를 인식하고 소명의식이 있는 인적 자원을 양성하기위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제고방안과 직업적 자긍심을 갖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동기부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요양보호사의 전문성은 지식과 기술, 태도가 바탕이 되어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져야하며, 이 세 요소를 어떻게 학습하고, 체득해 가는가에 따라 요양서비스의 질이 좌우 될 수 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업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숙달하고 있다면 어려운 직무를 성공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내적변화로 인하여 요양보호사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케어 질 향상을 위한 케어매니지먼트 기능을 강화하도록 케어 전문가를 배치하여야 한다. 노인의 신체 기능적, 심리 정서적, 환경적 문제 등의 복잡한 상황에 대한 사정(assessment)을 하고 욕구를 도출하여 욕구맞춤형 서비스제공계획을 수립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상자의 욕구해결을 위한 서비스를 연계하고 조정하여 서비스제공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한 케어 전문가 양성이 필요하다. 주제어: 요양보호사, 임파워먼트, 요양서비스질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caregiver’s empowerment on service quality by empiricall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empowerment and service quality. To conduct survey, 240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area were drawn by purposive sampling. After 32 samples that are inappropriate to analysis had been deleted, final 208 samples were analyzed.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18.0,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 of caregiver’s empowerment was 3.53 on a 1–to- 5 Likert scale, showing relatively high level of empowerment. Regarding the sub-dimensions of empowerment construct, meaning scored highest (m=3.88), followed by competence (m=3.72), self-determination (m=3.46), and impact (m=2.98). The caregivers’ service quality exhibited high level of mean score of 4.34. Among the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responsiveness scored highest (m=4.47), followed by reliability (m=4.47), assurance (m=4.37), empathy (m=4.23), and tangibles (m=4.17). Second,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mpowerment of caregiv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service quality. Empower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each five factor of service quality: empathy (r=.811), reliability (r=.767), tangibles (r=.749), assurance (r=.697), responsiveness (r=.682), 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meaning (r=.341) and competence (r=.290) among sub-dimensions of empowerment.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edicting service quality revealed that when demographic variables and sub-dimensions of empowerment were entered, the model explained 22.3% of variance and was significant (F=4.625, p <.001). Among sub-dimensions of empowerment, meaning and compet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care service quality. In conclusion, as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empowerment of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generally have significant impact on empathy and reliability of service qual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mpowerment, the better the service quality. Namely, the level of caregiver’s empowerment is highly related to the service quality provided by elderly care facilities.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based on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to improve care giver’s empowerment level, it is required to establish political and practical plan such as support for competence, intensification of field-contact type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caregiver’s expertise. Among sub-dimensions of empowerment, meaning of value regarding care giver’s tasks and competence regarding successful achievement of own ability showed large gap on service quality. Like this, as caregiver’s competence is closely related to service quality, it is necessary to look for plans to bring human resources who recognize important meaning of tasks and have a sense of vocation. Second, it is important to motivate caregivers to improve expertise and have vocational self-esteem through diverse program. Caregiver’s expertise in service should be provided based on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and thus care service quality can vary depending on how caregivers learn and acquire those three factors. Accordingly, when caregivers are proficient at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to their tasks, belief that they can achieve difficulty tasks successfully will lead them to have high level of empowerment. Third, it is necessary to place care-expert to strengthen care management function for care quality improvement. Care-expert should assess the complex conditions such as elderly men’s self-care status and psychological, emotion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draw their needs, and then set up needs-customized service supply pla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ain care-expertise who has competence to set service-offer plan by linking and adjusting service for meeting recipient’s needs.

      • Assumed mode method를 이용한 연결구조물 경계조건 및 고유진동수 규명에 관한 연구

        박정희 조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Many studies using the assumed mode method have been found for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f stiffened plate with known elastic boundary conditions. However many local structures such as tank edges and equipment foundations consist of connected structures and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suitable elastic boundary conditions. In this study combined polynomials which satisfy simply boundary conditions and fixed boundary conditions are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has been applied to tanks which bounded by bulkhead and a deck.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good agreements with these obtain by the FEA S/W.

      • 학교컨설팅에 대한 학교컨설팅 관리자·의뢰인·학교컨설턴트간의 인식 비교 : CIPP평가모형을 중심으로

        박정희 부경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among School Consulting Manager·Client·School Consultant on School Consulting -Focusing on CIPP Evaluation Model- Park, Jeong-Hee Departmen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Educational Consulting,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esults of school consulting, which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capacity of teachers to resolve the problem. The concret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o define the result of school consulting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participants in the perspective of CIPP evaluation model. 2. To define the result of school consulting with the differences of understanding under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the perspective of CIPP evaluation model. This study will identify the validity of the school consulting and propose a discussion on various approaches to the capacity of teachers to resolve the problem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ar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and professions in elementary education(junior supervisor and researcher) in Busan who has experience as participants in school consulting. The constitution of teachers are randomly sampled from each 15 elementary schools of 5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in Busan. The amount of research objects is 1,167, of which 1,090 are supervisors(principal and vice-principal), teachers(head teacher, grade head teacher and teacher) and 77 are educational professions(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its 4 direct institution). The method of measurement is the inquiry for『The Analysis of three group’s perception of school consulting by CIPP evaluational model』. The inquiry was composed of questions measuring the perception gap according to general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ve position of the participants in school consulting. The result of school consulting was based on CIPP evaluation model and measured evaluation on 4 fields, preparation, resource input, procedure and outcome. The medium for the measurement for the understanding of school consulting was reconsituted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 of valuation basis development for school consulting by CIPP evalutation model”(Cho, Yang-Suk, 2015). And the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s in current school consulting was developed by myself referred to the preceding research. The method of measurement for the result understanding of 3 groups, which was finally developed as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survey, has total 53 questions and Cronbach’s α was resulted in .900. Finally developed Cronbach’s α secures reliability and validity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s; the evaluation of the situation as .909, the evaluation of the resource input as .870, the evaluation of the procedure as .905, the evaluation of outcome as .909. The material was collected from 12. December to 29, 2016 by post and e-mail, distributed 1,400 inquiries, of which 1,215 was replied and the reply rate was 86.8%. Except incorrect replies 1,167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the material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cross analysis and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for Windows 21.0.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for school consulting showed overall positive awareness on the school consulting result, with the average point 4.10 / 5 in the overall awareness level of the school consulting result. From each aspects, evaluation of the preparation situation as 4.30, of the resource input as 3.79, of the procedure as 4.29, of the outcome as 4.01. Second, the awareness of 3 groups on the results in each aspects of school consulting was distinguished from the positions as manager, client and consultant. For the awareness on the results in the preparation situation, the consultants were more positive than managers and clients. For the awareness on the results of input resources, the clients were more positive than managers and consultants. For the awareness of procedure, clients were more positive than managers and consultants on the item of implement procedure, but showed no remarkable differences on the items of overall procedure. For the awareness on the results in outcome, consultants were more positive than clients in the item of changes on inside awareness. Based on the main result of this research,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and succeeding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share the consulting results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consulting, reflecting in the education policies and provide an institutional strategy which enables to extend consulting, arranging compensations and supporting plans for the consulting. Second, to develop school consulting,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hould build a professional supporting center for consulting, affiliated Office of Education. Regarding to the advanced researches and this study which state the capacity to solve the problems of teachers depends on the professionality of consultants, consulting requires continuous and voluntary efforts to expand professional knowledges and experience in the relevant field. Third, local Ministry of Education is required to expand the consulting field. The current lessons oriented consulting should be expanded to the other fields such as school management, educational guidance etc. Fourth, the schools should create the moods encouraging the voluntary will to resolve the problems.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of the school should lead the will of resolving problems of teachers, creating the moods for supporting the teachers to apply for consulting, if necessary. School consulting can lead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this atmosphere should raise the self sustainable power of the education. Fifth, regarding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articipants of school consulting, it is also necessary to research the awareness of non-participants of school consulting who can have different awareness on the school consulting. Furthermore, considering the differentness of managing state of school consulting depended on local and levels, it is required to search the improvement plan by expanding the research objects, such as comparisons of classes or nationally expanded research.

      •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또래교사의 사전학습 유무가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또래교사의 사전학습 유무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데 있으며, 본 실험을 위하여 또래교수는 학급의 모든 학생들이 2명씩 한 팀이 되어 또래교사와 또래학습자의 역할을 번갈아가며 과제를 가르치고 배우도록 했다. 본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S도시에 소재한 Y중학교 3학년 8개 학급 중 3개 학급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또래교수활동 이전에 사전학습검사지를 제공받은 사전학습 또래교수집단 31명, 사전학습검사지를 제공받지 않은 일반 또래교수집단 30명, 그리고 어떠한 실험처치도 받지 않은 통제집단 29명을 대상으로 총 90명이 실험에 무선배치 되었다. 본 실험에서 활용한 학습과제는 티볼의 스윙동작과 송구동작으로 선정되었으며, 이는 잘 알려지지 않은 학습과제로 실험처치의 영향을 그대로 나타내었다.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사전학습 또래교수집단과 일반 또래교수집단의 학생들은 원활한 또래교수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 2차시에 걸친 또래교수훈련을 받았으며, 이후 세 집단 모두 동일한 수업시간과 환경에서 총 10차시동안 실험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운동기능학습검사와 인지학습검사를 실시했다. 이 때 운동기능학습의 평가는 티볼의 스윙동작과 송구동작에 대한 질적동작분석을 실시하여, 스윙동작의 평가는 스윙자세를 6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0점부터 2점까지 부여하고, 송구동작의 평가는 송구자세를 7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 0점에서 최대 2점까지 부여했다. 모든 학생들은 총 2회의 시도 기회를 가졌으며 2회의 기록 중 최고점수를 평가점수로 채택하였다. 인지학습 검사는 10차시동안 배운 티볼의 스윙동작과 송구동작을 올바른 수준에서 수행했는지 기능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 여부를 질문지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학생들의 운동기능에 대한 인지여부를 분석하였다. 질문지는 개방형으로 제작되었으며, 내용에 대한 결과분석을 위해서 학생들이 질문지에 기록한 내용은 일일이 카드에 기록되었다. 수업 만족도는 사전학습 또래교수집단과 일반 또래교수집단, 통제집단의 학생들이 10차시 동안의 수업을 마친 후, 수업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개방형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 세 집단 간 운동기능학습과 인지학습, 수업만족도에 대해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사전학습 또래교수집단의 학생들이 일반 또래교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운동기능수준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둘째, 사전학습 또래교수집단은 일반 또래교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인지학습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다. 셋째, 사전학습 또래교수집단은 일반 또래교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수업만족도가 높았으며, 성별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요약해보면, 또래교수활동을 실시한 두 집단은 교사중심의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통제집단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전학습 또래교수집단의 철저한 수업준비와 사전지식이 다른 두 집단보다 운동기능학습과 인지학습, 수업만족도에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중심 교수방법에 새로운 대안적인 교수법으로 또래교수활동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래교사에 대한 교육과 연구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학교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또래교수활동에서 또래교사의 역할이 또래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수업만족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앞으로 또래교사에 대한 중복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 tutor’s preview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in th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90 middle school student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experimental study. Al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fferent treatment groups; preview peer tutoring group(received the preview test), general peer tutoring group(no preview test), and control group. Tee ball swing and handball was the task used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to be a noble task for the students. Total training days were 2 days for the teacher’s specific guidance and 10 days for committment of peer tutoring.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wing and handball motor skills, cognitive understanding on skill process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confirmed through the open questionnaire. Kruskal Wallis nonparametric test and frequency analysis were 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tor skill learning and cognitive understanding on skill process characteristics. In addiction, All the satisfaction answers from open questionnaire was categorized into upper level to low level. Reliability for the content analysis was accomplished at the 9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eview peer tutoring group performed better than any other groups. They also revealed that their knowledge on skill learning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Also, preview peer tutoring group reveal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other groups on the satisfaction for their study.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on satisfaction. The interesting finding in this study was that even though students were provided equal learning opportunities, preview peer tutoring group showed the best scores on all the dependent variables. This facts indicates that learner should have proper understanding on their task to be performed before committment for peer tutoring. Also students who had higher motor skills and cognitive learning effects have better positive satisfaction.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proper peer tutors’ preview before tutoring activity begins. Peer tutoring can be a new alternative teaching method to the teacher-centered teaching environment and overcomes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teacher centered teaching. However, considering that peer tutor’s preview role in peer tutoring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duplicate research on the effects of peer tutor’s preview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