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도심거주자의 주거 선택요인 및 주거만족도 분석 : 도시환경정비구역 주상복합건물을 중심으로

        박정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if the residents who moved to urban regions lately live well in respect of urban revitalization along the prevention of decline in urban center & policy of securing residential population in urban region that are being progressed as a part of urban revitalization and restoration of Cheonggyecheon in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urban regions of Seoul city that has the structure the multipurpose buildings of high density have to be built due to high price of land as commercial area and housing policy that reflects the urban characteristics, the multipurpose buildings take their places as main houses in urban area owing to high quality and safet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construction of multipurpose buildings increases steadily at urban environmental renewal districts and Sewoon regeneration promotion district, etc. in urban regions even hereafter through urban environmental renewal project. This study was willing to reflect it to the suggestion of direction regarding urban housing policy of Seoul city & improvement of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of project operators by grasping the causes of moving to urban regions & further moving plan and analyzing satisfaction with residence they feel while they live & the influential factor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m with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the residents who actually reside in the multipurpose buildings at the initial period when moving population entered to urban regions of Seoul for multipurpose building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m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uses of moving to urban regions, it appeared that No. 1 is the advantage from job-housing proximity, No. 2 is traffic convenience of running in all directions and No. 3 is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 affluent cultural facilities. Second, as the results of grasping residential satisfaction the urban residents feel during their residence, overall satisfaction with urban residence appeared very high, and as the results of classifying it to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outdoor complex environmental factor, location environmental factor, social factor & economic factor and analyzing them, the satisfaction with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appeared highest and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factors such as interchange with relatives & neighboring residents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investment value & the level of rent appeared relatively lower. It is judged that it reflects the merits of multipurpose buildings such as high quality & safety and demerits such as expensive rent & poor interchange with neighbors and it showed current situation of real estate recession as well.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by regression analysis, it appeared that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es most on the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and economic factor does as the next one. As the results of analyzing detailed factors, it appear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interior/exterior design of buildings, indoor safety & residential comfor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sequential order as the indoor resident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satisfaction with green tract of land & landscape architecture, satisfaction with protection of privacy and satisfaction with view & securement of view in sequential order as the outdoor complex environmental factor. Regarding location environmental factor, it appeared as clean street environment, affluent urban culture/convenience faciliti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sequential order. Regarding social factor, it appeared that the interchange with neighbors influences much on the satisfaction and investment value, brand of apartment & re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sequential order as economic factor. It appeared tha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at the residents of urban multipurpose buildings in Seoul feel were considerably high in general and it seems to need to increase the value of real estate by raising quality of interior/exterior design of buildings, improving indoor safety & comfort and maximizing the urban attraction such as traffic convenience of running in all directions, advantage from job-housing proximity, affluent urban convenience facilities, affluent parks & resting space like Namsan, Cheonggyecheon & old palace. Key word : Decline in urban center, Gentrification, Urban environment renewal project, multipurpose building, Housing selecti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fluential factor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재생의 일환으로 추진 중에 있는 도심공동화 방지 및 도심 주거인구 확보정책과 청계천 복원에 따른 도심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최근 도심으로 이주하고 있는 거주자들이 주거환경에 만족하며 살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서울시 도심은 상업지로 높은 지가와 도심의 특성을 반영한 주거정책으로 고밀도의 주상복합건물이 입지할 수 밖에 없는 구조로서, 고급성과 안전성을 장점으로 주상복합건물은 도심에 주된 주택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앞으로도 도심에는 도시환경정비구역 및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등에서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하여 주상복합건물의 건축이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서울 도심에 주상복합건물을 통하여 주거인구가 유입되기 시작하는 초기에 주상복합건물에 실지 거주하고 있는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도심으로의 이주요인과 향후 이주계획을 파악하고, 거주하면서 느끼는 주거만족도와 이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므로써, 향후 서울시 도심 주거정책에 대한 방향제시 및 사업시행자들의 도심 주거환경 개선에 반영토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으로의 이주요인을 분석한 결과, 1순위는 직주근접에 따른 이로움, 2순위는 사통팔달 발달된 교통의 편리성, 3순위는 각종 편의시설과 문화시설의 풍부함 때문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심 거주자들이 거주하면서 느끼는 주거만족도를 파악한 결과, 도심거주 전체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실내 주거환경요인, 실외 단지환경요인, 입지환경요인, 사회적요인, 경제적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실내 주거환경요인에 따른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친지 및 이웃 주민들과의 교류 등 사회적 요인과 투자가치 및 임대료 수준에 따른 경제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이는 주상복합건물의 고급성과 안전성에 대한 장점과 높은 임대료 및 이웃과의 교류가 잘 안되는 단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지며, 또한 최근 부동산 불경기의 시대적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도심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실내 주거환경요인이 도심거주자들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경제적 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요인별 분석결과, 실내 주거환경 요인에서는 건물 내·외관 디자인의 만족도, 실내 안전성, 주거의 쾌적성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외 단지환경 요인에서는 녹지 및 조경에 대한 만족도, 사생활보호에 대한 만족도, 조망 및 시야확보에 대한 만족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환경 요인에서는 깨끗한 거리환경, 풍부한 도시 문화·편의시설, 교육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이웃간의 교류가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요인에서는 투자가치, 아파트 브랜드, 임대료 순으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도심 주상복합건물 거주자들이 느끼는 주거만족도는 전반적으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 주거환경요인과 경제적요인이 도심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에 큰 영향력을 지녔으므로, 건물 내·외관 디자인과 거주 유닛을 개선하고, 실내 안전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켜야 하며, 부동산 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 사통팔달 발달된 교통 및 직주근접, 풍부한 도시 편의시설, 남산과 청계천, 고궁 등 풍부한 공원 및 휴식공간 등 도심이 주는 매력을 극대화하고, TOD와 같이 도심부 역세권 지역에 주거기능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 도심공동화, 도심회귀, 도시환경정비사업, 주상복합건물, 주거선택, 주거만족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 분말슬러지에 의한 구리(II)이온 및 염료의 생물흡착

        박정훈 東亞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축산, 하수 및 염색폐수 처리공정에서 배출되는 슬러지를 물리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여 분말슬러지(powdered waste sludge, PWS)를 제조한 후 흡착제 관련 특성을 검토하고 수용액 중에서 구리이온 및 반응성 흑색 5 염료(reactive black 5, RB5)의 생물흡착에 대한 실험내용을 토대로 하여 흡착제로서 분말슬러지의 활용가능성을 기술하였다. PWS-NS는 요오드가 372.2 mg/g, 메틸렌블루 탈색력 57.56 mL/g, 비표면적 204 ㎡/g, 미세세공 표면적 142 ㎡/g, 중간세공 표면적 62 ㎡/g 및 평균 세공크기 44.049 Å이었다. PWS-CS는 요오드가 451.33 mg/g, 메틸렌블루 탈색력 57.97 mL/g, 비표면적 353 ㎡/g, 미세세공 표면적 254 ㎡/g, 중간세공 표면적 99 ㎡/g 및 평균 세공크기 33.008 Å이었다. PWS-AL은 요오드가 468.40 mg/g, 메틸렌블루 탈색력 62.60 mL/g, 비표면적 371 ㎡/g, 미세세공 표면적 273 ㎡/g, 중간세공 표면적 98 ㎡/g 및 평균 세공크기 31.033 Å이었다. 회분흡착 실험결과 구리이온은 pH 5에서 제거효율이 우수하였고 평형흡착량은 3.04 mg․Cu/g․SGW-200, 2.45 mg․Cu/g․PWS-NS, 2.82 mg․Cu/g․PWS-CS 및 2.83 mg․Cu/g․PWS-AL이었다. 구리이온의 흡착 속도상수(k1)는 SGW-200 3.0745 h-1, PWS-NS 1.6977 h-1, PWS-CS 1.7951 h-1 및 PWS-AL 2.6355 h-1이었으며 Freundlich 지수 1/n 값은 SGW-200 1.3375, PWS-NS 1.2024, PWS-CS 1.2427 및 PWS-AL 1.2751이었고 K 값은 SGW-200 0.2281, PWS-NS 0.1554, PWS-CS 0.2076 및 PWS-AL 0.2072이었다. 반응성 흑색 5 염료는 pH 7에서 제거효율이 우수하였고 평형흡착량은 0.96 mg․RB5/g․SGW-200, 0.84 mg․RB5/g․PWS-NS, 0.87 mg․RB5/g․PWS-CS 및 0.91 mg․RB5/g․PWS-AL이었다. 반응성 흑색 5 염료의 흡착 속도상수(k1)는 SGW-200 5.1655 h-1, PWS-NS 3.7121 h-1, PWS-CS 4.5739 h-1 및 PWS-AL 4.8146 h-1이었으며 Freundlich 지수 1/n 값은 SGW-200 0.5774, PWS-NS 0.5288, PWS-CS 0.5543 및 PWS-AL 0.5685이었고 K 값은 SGW-200 0.0758, PWS-NS 0.0016, PWS-CS 0.0366 및 PWS-AL 0.0602이었다. 연속흡착 실험결과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120분 일 때 구리이온의 평형흡착량은 2.66 mg․Cu/g․SGW-200, 2.10 mg․Cu/g․PWS-NS, 2.42 mg․Cu/g․PWS-CS 및 2.45 mg․Cu/g․PWS-AL이었고 구리이온의 파과 속도상수(k2)는 SGW-200 1.0644 g/mg․h-1, PWS-NS 1.4544 g/mg․h-1, PWS-CS 1.2869 g/mg․h-1 및 PWS-AL 1.1469 g/mg․h-1이었다.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60분 일 때 반응성 흑색 5 염료의 평형흡착량은 0.92 mg․RB5/g․SGW-200, 0.71 mg․RB5/g․PWS-NS, 0.82 mg․RB5/g․PWS-CS 및 0.84 mg․RB5/g․PWS-AL이었고 반응성 흑색 5 염료의 파과 속도상수(k2)는 SGW-200 1.2640 g/mg․h-1, PWS-NS 2.3125 g/mg․h-1, PWS-CS 1.4517 g/mg․h-1 및 PWS-AL 1.4333 g/mg․h-1이었다.

      • 서비스 사이언스에 기반한 외식체인기업의 다점포 경영을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 혁신에 대한 연구

        박정훈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Multi-units restaurant chain businesses are introducing new management methods to grow and expand their operations. The fastest way to expand the restaurant chain is franchise system establishing more stores by borrowed capital besides direct investment and management by the parent company. Some restaurant chain businesses maintain the same quality by utilizing a standardized system and convey identically their corporate images. These days competition among chain businesses is keen and customer requirements are various. So it is difficult to come up to customer expectations contentable. The government's latest policy for promoting service industry has been reinforced.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nnovation index for multi-units restaurant chain business' efficient service process. To secure intergroup identity did a preliminary survey. And then the empirical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multi-units restaurant like Nolbu, Outback Steak House and BBQ. First, the study of franchisee employees' perception on service process showed three factors, i.e. simplification, automation and standardization. Building on the findings, employees were divided into groups by the perception level on service process innovation factors and conducted cluster analysis. It was summarized the results as follows. Perception level of Nolbu employees on service process innovation index, i.e. simplification, automation and standardization was higher than other restaurant employees'. This study indicates that abstract concepts of service science and process innovation take shape and this new implication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multi-units restaurant chain business and individual. In case of Nolbu, research and training for Korean food service process has done to expand its market. As an example quality of Kimchi supplied by Nolbu franchisor is supposed to taste the same at the other restaurants in the chain. Nolbu has tried to establish trust in franchisees, business associates and employees and implemented aggressive marketing campaign on quality, price, type, current market, potential market, sales forecasting, goal setting, estimated profit, etc. In particular, annual paper contest exhibit for graduate and undergraduate was an opportunity such a jump. Their human oriented management philosophies and trust management indicates that the business would enjoy long life over 20years. This business have kept faithfully the essence of restaurant and built up a unique organizational culture and growth infrastructure at the same time. After confirming growth potential in chinese market through the spot market research for a long time, to invest directly was a cutomization strategy in multi-units business. Nolbu achieved a fixed quantity on Korean food and the fact was a connection with this study results. Service process innovation could be an important factor to provide swiftly and exactly. It would make gradual progress from intangible service to quantitative service, if make a special study on IT related. 다 점포 외식 체인기업들은 기업의 성장 및 확산을 위해서 체인경영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체인기업의 성장과 점포의 확장에 따른 체인기업 확산의 가장 빠른 방법으로는 체인기업에서 직접 자본을 투자하고, 운영하는 형태의 경영방식도 있지만, 타인의 자본을 이용해서 점포를 증설하는 시스템 포맷 형의 프랜차이즈 형태가 있고, 일부 외식 기업들은 이미 기업 확장에 표준화된 시스템을 이용해서 동질성을 유지하고 동질 성 있는 매뉴얼로 고객들에게 회사의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의 경쟁력 높아지고,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급진 적 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고객들의 기대에 부응하기에 부족하다. 근래의 국가정책도 서비스 산업육성에 대한 지원과 확대를 중장기적으로 집중 투자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외식체인기업의 다 점포 경영을 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 혁신적인 방법을 통해 다 점포 외식체인기업의 운영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효율적인 생산 프로세스를 위한 구성요소를 밝혀내고자 연구하였고, 본 연구를 위하여 설문대상자 선정과 다 점포 외식 체인기업에 대한 선정, 집단간 동질성을 확보를 위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점 포 외식 체인기업의 유형별 운영 형태별로 그 차이와 프로세스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놀부, 아웃 백, BBQ 세 개의 기업을 선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과제 분석을 위해 서비스 프로세스에 대한 가맹점 직원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다 점포 경영을 위해서 단순화, 자동화, 표준화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서비스 프로세스 혁신 지표에 대한 직원들의 인식을 집단 별로 구분하여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군집분석결과 외식기업별로 프로세스 혁신 지표의 차이를 살펴보면, 먼저 운영의 단순화 정도, 표준화 정도, 자동화 정도 모두의 지표에서 놀부 기업에서 근무하는 가맹점 직원들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서비스 사이언스 와 프로세스 혁신에서 추상적인 개념으로 다루어 졌던 부분들이 구체화 되고, 새로운 분야의 결과로 앞으로 다 점포 외식 체인기업을 운영 하려고 하는 기업이나 개인에게 새로운 시사점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외식 체인기업들의 프로세스 혁신에 관한 직원들의 인식이 놀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부는 시장을 넓히기 위해서 본사 차원에서 우리 한식 실정에 맞는 프로세스를 연구하고 교육하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실례로 놀부가 가맹점에 공급하는 김치의 경우 완제품을 납품함으로써 전국 어디서든지 놀부만의 김치를 맛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놀부는 가맹점과 거래업체간의 신뢰, 직원과의 신뢰를 포함하고, 마케팅 분야에서도 품질, 가격, 유형, 현재시장, 잠재시장, 판매 예정 량, 목표설정, 예정이익 등을 포함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매년 실시되는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의 놀부 논문 공모전은 이들이 한층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되고 있고, 놀부가 20년간 이상 장수를 누리는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는데 는 인간중심 경영 철학과 신뢰경영도 큰 몫을 했다. 외식기업으로서의 본질을 충실히 지키면서 놀부만의 고유한 조직문화 및 성장 인프라를 꾸준히 구축해 왔고, 특히, 해외 시장과 관련 오랜 기간 중국 현지 소비자 조사를 통해 우리 음식에 대한 충분한 시장 가능성을 확인 후 직접 투자를 결정 한 점은 다 점포 경영에서 ‘고객화’와 관련이 깊은 전략이다. 놀부의 경우 정량화가 어려운 한식을 정향화 하였는데 이것은 연구결과로 나타난 놀부의 우위와 무관치 않음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서비스의 프로세스 혁신은 보다 고객들에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이러한 연구가 IT와 관련된 연구로 진행이 된다면, 무형의 서비스가 정량화된 서비스로 한층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생의 문화 및 쓰기 교육을 위한 영화와 TV드라마 활용

        박정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written with the object of applying suitable movies and TV dramas to high school classroom. While most of the former theses have focused on using movies and TV dramas as the main class materials, I studied how to apply them as more practical class teaching aids. Writing is a series of processes that needs the writer's devoted attention and elaborate workmanship. As most of the students in high schools are poor at writing even in Korean, English writing in class is much more difficult for them. To make the writing class go smoothly,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must be thoroughly prepared. For a good condition in the writing class, writing materials, sentence patterns and writing subjects should be practical to use. We can easily find suitable ones in TV dramas and movies. From controlled writing to free writing, students are to take steps followed by teachers in and out of the classes. Free writing will be suitable for the homework not in class, only after many hours of writing practice with the help of teachers. Peer Feedback may also be a bigger help than that from a teacher. Movie and TV drama clips for culture class should have moderate features for each class, neither too long nor too short, neither too typical nor too extraordinary. It is not easy to make good selection of suitable materials in movies and dramas. However time―consuming it might be, teachers must be prepared to show various culture features to her or his own students. If students are shown not just a piece of culture information but also cultural context, they'll engrave them deep in their mind more easily. It is not easy to teach culture and writing at the same time. As culture itself cannot be separated from everyday life, culture must be taught within the context. In writing sentences and paragraphs, many cultural points are affecting the content and style. To teach cultural points and effective writing, they must be taught through agents, such as TV dramas or movies. Therefore, it is good for teachers to make use of movies and TV dramas in writing and culture classes as much as possible.

      • 위험회피 기질과 자극추구 기질이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검증

        박정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위험회피 기질과 자극추구 기질이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342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기질, 정서조절의 특성, 문제 행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내재화 문제에 대해서는 위험회피 기질이, 그리고 외현화 문제와는 자극추구 기질이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을 대상으로 중다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적 명료성의 부족과 정서조절전략 접근 제약은 위험회피 기질이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자극추구 기질이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모두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동통제곤란은 자극추구 기질과 외현화 문제에서 가장 큰 간접효과를 보였다. 이는 정신건강에 취약한 기질적 특성을 보일지라도 개입을 통해 자신의 정서에 대한 명료성을 높이고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한다면, 기질적 취약성이 정서 및 행동 문제로 발현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높은 자극추구 기질을 갖고 있고, 동시에 외현화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에는 자신의 충동적인 행동을 통제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개입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기의 최적 형상 설계에 관한 연구

        박정훈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석유를 포함한 각종 연료비의 상승으로 에너지 문제 또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던 중 2011년 3월 11일 대지진에 의해 발생된 쓰나미로 인해 일본 후쿠시마에 위치한 원자력발전소가 침수되어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육상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게 될 경우 설치 공간의 제약과 소음 공해 등으로 인해 설치에 제약을 받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풍력 발전기를 점차 해상으로 설치하게 되었다. 최근 건조·개발되고 있는 해상 풍력 발전기는 대형화, 대수심화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연근해에서 설치하는 해상 풍력 발전기가 아닌 바다에 띄우는 형식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Floating Offshore Wind Turbine)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기 중 반잠수식(Semi-submergible type)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기의 하부구조물에 대한 최적설계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설계 대안을 설정하고 운동성능 해석 수행을 위해 UOU-in house code와 UOU-FAST를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그 후 도출된 RAO(Response Amplitude Operator)를 Head sea, Oblique sea, 그리고 Beam sea에 대해 비교·분석한 후 최적 설계 대안을 선택하였다.

      • 콘크리트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프로그램 개발

        박정훈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건설 산업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지속됨에 따라 건설재료 및 건설제품의 제조특성을 고려한 탄소저감형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제품의 경우 사용목적별·제조업체별 다양한 배합설계를 바탕으로 기존의 일반콘크리트를 비롯하여 고성능, 탄소저감형 특수콘크리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전과정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고 이를 저감 및 관리하기 위한 평가기술 및 평가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콘크리트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 평가기술은 부산물의 생산내역 및 재료의 회수, 재사용과정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평가에 고려되지 않아 전과정평가가 국제적·표준적인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종류 및 제조특성에 따른 에너지사용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제조현장데이터의 체계적인 할당방법이 부재하며 평가자별로 할당방법이 상이함에 따라 평가사례를 비교 및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제조특성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적으로 평가를 위해 표준적인 전과정평가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세부 평가단계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특히, 배합설계단계, 제조공정단계의 제조현장데이터가 체계적으로 할당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 전용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범위를 전과정 평가기법 및 평가프로그램 분석, 시스템 프로세스 구축, 요소기술 개발, 전과정 평가프로그램 개발로 설정하였다. 전과정 평가기법 분석 및 전과정 평가프로그램의 분석에서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건설재료부문의 전과정 평가프로그램을 목적, 범위, 방법, 요소기술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스템 프로세스 구축에서는 평가프로그램의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요소기술 개발에서는 도출된 개선사항을 바탕으로 데이터할당 기술, 전과정평가자동화 기술, 평가분석·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으며 관련된 세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데이터할당 기술은 제조현장데이터를 평가범주에 부합하도록 평가프로그램 내 적절하게 분배 및 배치시키는 작업을 의미한다. 전과정평가 자동화 기술은 평가단계별 세부절차를 평가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자동으로 수행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평가분석·관리 시스템은 평가프로그램을 통해 도출된 평가결과를 재료사용측면, 에너지사용측면, 폐기물·부산물배출측면에 따라 분석하고 이를 타 평가사례와 비교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방안 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구축된 요소기술을 콘크리트 전과정평가기법에 적용하였으며, visual basic 소프트웨어 개발도구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기술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 전용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와 물질목록의 영향평가를 통한 비교분석이 가능한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콘크리트 전용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프로그램을 평가요소기술인 데이터 할당 기술, 전과정평가 자동화 기술, 결과분석 및 관리기술을 통해 개발하였다. 2) 데이터 할당 기술은 현장수집데이터들의 평가단계별 자동 분배 및 배치를 목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부산물에서 자원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공정과 콘크리트 종류별 제조설비의 가동시간의 차이를 고려한 투입물질 산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 3) 전과정평가 자동화기술은 평가결과데이터들의 비교분석 활용성을 위해 표준적인 평가체계의 개발을 목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해 공정흐름도작성, 물질흐름정보입력, 목록분석, 영향평가단계를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4) 결과분석 및 관리기술은 평가결과를 온실가스 배출, 자원 재활용, 에너지 효율에 대한 영향분석과 타 프로젝트 평가결과와 상호비교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5) 사례분석의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결과는 본 연구 프로그램의 결과값과 탄소성적표지프로그램의 결과값이 매우 근접하게 나타났으며 오차율은 0.4 % 미만을 나타내었다. 회수재료 사용율 평가결과는 A 업체의 Case1, 2 에서 각각 5%, 5.22%를 나타내었고 그 외의 콘크리트는 모두 2%를 나타내었다. 에너지 사용량 평가결과는 본 연구 프로그램은 Case3 의 고강도 콘크리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탄소성적표지프로그램은 모두 동일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되어진 Megalocytivirus의 유전학적 다양성

        박정훈 여수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viruses belonging to the genus Megalocytivirus in the family Iridoviridae, have caused mass mortalities to various marine and freshwater fish species in many Asian countries. However, the genetic diversity of megalocytiviruses isolated from different fish species and geographical regions is unclear. In this study, nucleotide sequences of major capsid protein (MCP) gene in fourteen Korean and Japanese isolates of megalocytiviruses were performed and compared with known other iridoviruses to evaluat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em. From the result of phylogenetic analyses, four major clusters appeared; the first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Lymphocystivirus, the second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Iridovirus, the third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Ranavirus, and the remaining cluster consisted of the genus Megalocytivirus. The fourteen new isolates used in this study appeared in the genus Megalocytivirus. The sequence identities among megalocytivirus isolates were more than 93.0 % and 89.2 % at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s, respectively. Moreover, the genus Megalocytivirus was subdivided into three minor clusters (subgroup I; Korean strains eighteen, Chinese strain one, subgroup Ⅱ; malaysia strain one, Chinese strain one, Indonesia strain one, subgroup Ⅲ; Korean strains fifteen, Japanese strains eight, Chinese strains two, Thailand strain one). This suggests that viruses belonging to the subgroup Ⅲ widely distribute in various fish species in many Asian countries. Conversely, the viruses belonging to subgroup Ⅰ and Ⅱ may be still locally spreading and correlated with host fish species, i.e., viruses belonging subgroup Ⅰ mainly distribute in flatfish species in Korea and China whereas those of subgroup Ⅱ distribute in freshwater fish in mainly Southeast Asian countries. Genus Megalocytivirus는 family Irido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최근에 양식어류에서 생태학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이 바이러스는 해산어와 담수어에 감염되며 숙주의 범위가 넓고 당년생뿐만 아니라 2~3년생의 어류에도 폐사를 유발시킨다. family Iridoviridae에 속해 있는 genus Megalocytivirus는 여러 종류의 어류에서 분리되고 있지만 이 바이러스의 다양성은 밝혀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양식장에서 서로 다른 어종(red seabream, Pagrus major;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turbot, Scophthalmus maximus; sea bass, Lateolabrax sp; mackerel, Scomber japonicus;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gold striped amberjack, Seriola lalandi; striped jack, Pseudocaranx dentex), 지역 (한국의 남해, 진주, 고창, 여수 그리고 일본의 미에현, 오이타현) 그리고 시기 (1997~2004년)에 걸쳐 시료를 채집하여 분리한 14종의 이리도바이러스의 major capsid protein(MCP) gene에 대하여 sequences를 분석하고 Genbank에 등재되어있는 49종의 reference strains의 sequences와 비교하여 유전학적인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실시하였다.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한 14종의 strains은 family Iridoviridae 내의 genus Megalocytivirus에 분류되었다. 그리고 the genus Megalocytivirus은 다시 3개의 subgroup (subgroupⅠ; Korea type, subgroupⅡ; ISKNV type, subgroupⅢ; RSIV type)으로 분류되는데 14종의 strains은 2개의 subgroup(subgroupⅠ, subgroupⅢ)에 위치하였다. 또한 genus Megalocytivirus에 포함되어있는 모든 megalocytiviruses의 유전학적인 비교에서는 nucleotide sequences가 93.0~100%, amino acid sequences가 89.2~100%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genus Megalocytivirus로 분류되는 바이러스들은 숙주어종들 사이에서 교차감염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또한 megalocytiviruses의 경우 subgroupⅠ은 한국과 중국의 산둥지역, subgroupⅡ는 중국의 광동지역, 말레이지아 및 인도네시아, subgroupⅢ는 한국, 일본, 남중국해 및 태국에서 분리되는 것으로 보아 지역에 따른 차이로 인해 유전적으로 다른 형태의 변종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