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室生犀星의 시 연구

        박정숙 釜山外國語大學校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室生犀星は、日本近代文学史で犀星ならではの独創な詩の世界を土台に重要な足跡を残した。 本論文は、このような犀星の文学史的位置と詩における表現の抒情性及び、詩的イメージを綿密に分析した。そして、既存の抒情詩で重要視された文学的な修飾技法と自然の情景と詩人の感情調和との伝統的な詩作方式と異なった犀星の抒情詩特徴を把握することを動機に置いた。 特に、『抒情小曲集』に表れている抒情表出のため、形式的技法とイメージ表現及び、情緒的な特徴を集中的に考察することで、新しい抒情詩の領域を開いた犀星の抒情詩特徴を明らかにしようとすることを研究の目的に置いた。 研究の流れは、本文の第一章では、犀星の伝記的な考察を通し、犀星の抒情意識の根源及び、『抒情小曲集』の詩作背景と詩業について調べた。 第二章では、犀星の年齢23才から26才の間、青春時代に詩作した『抒情小曲集』の成立と内容、『抒情小曲集』を作り出した詩作中心としての犀星の内面的詩観と、その抒情方法について調べてみた。 第三章では、本格的『抒情小曲集』に表している詩の感傷な表現表出とリズム及び、イメージ分析を中心に検討を行なった。 このような研究に基づき、詩集『抒情小曲集』を中心に詩の特性を把握した。その結果、三点の特徴が現われた。 第一に、同時期の抒情詩に主流をなした自然の美しさを言語的な修辞で表記した詩類を犀星は、人生の希望と苦悩を直接的な表現した。そういった表現を通し、近代日本抒情詩において他の詩人と差別化された詩風という観点から犀星の抒情詩の特徴がもっとも著しく表われていると考えられる。 第二に、当時の詩壇を主導した北原白秋と萩原朔太郎のような既存の詩人達も短歌的なリズムと俳句的リズムで詩を歌った。しかし、犀星は俳句の詩作を基礎にして自然を観望し繊細な抒情的表現と簡潔な表現で7ㆍ5調形式のリズムを入れ、文語体定型詩と口語自由詩の特徴を同時に表現している。 第三に、出生と生い立ちの悲哀に関連された内面的な葛藤とここから抜け出そうとする上昇と願いを文学を通して乗り越え表現し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 以上のように室生犀星の詩、抒情的特質と意味を研究してみた。人生を自然に対応させ、純粋に表現した詩集『抒情小曲集』は便利で豊かな生活を送っている私たちに自然と抒情的な詩作品を通し人間中心の価値観を植え付けてくれた。そして、現在も日本の代表的な詩人として多くの読者ファンに愛されている。

      • 미역마카로니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박정숙 전남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 국 문 초 록 】 미역 마카로니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 활성 전남대학교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박 정 숙 지도교수 안 창 범 기능성 재료를 추출하기 위해 다섯 종류의 proteases(alcalase, flavourzyme, neutrase, trypsin, protamex)와 여섯 종류의 carbohydrases(AMG, dextrozyme maltogenase, promozyme viscozyme, celluclast)을 이용한 미역 마카로니의 효소가수분해가 수행 되었고, 전자회전공명분광기(ESR)를 이용하여 DPPH, hydroxyl, superoxide, alkyl radical에 대한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이 연구되었다. 각 효소 추출물은 투여량의존방법으로 DPPH radical을 억제하고, trypsin과 promozyme 추출물들이 지배적인 활성을 보여 주었다. 활성도는 2.0mg/ml에서 각각 57.1%, 45.5% 였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도(scavenging activity)에서는 alcalase과 maltogenase 추출물들이 다른 효소 추출물보다 더 높은 소거활성도를 나타냈다. 그 활성도는 1.0mg/ml에서 각각 68.8%, 59.3% 였다. 반면, 각 추출물은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하여 약한 소거활성도를 나타내며, alkyl radical에 대하여서는 소거활성도가 관찰되지 않았다. 【Abstract】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from Sea Mustard Macaronis Major in Nutrition Education ,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ark, Jung-Suk Associate Professor An, Chang-Beom Enzymatic hydrolysis of sea mustard macanonis using five kinds of proteases (alcalase, flavourzyme, neutrase, trypsin and protamex) and six kinds of carbohydrases (AMG, dextrozyme maltogenase, promozyme viscozyme and celluclast) was performed to extract functional material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were investigated using electron spin resonance (ESR) spectroscopy against DPPH, hydroxyl, superoxide and alkyl radicals. Each enzymatic extract quenched DPPH radical with dose-dependent manner, and trypsin and promozyme extracts showed a dominant activity. The activity was 57.1% and 45.5 % at 2.0 m/ml, respectively. In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calase and maltogenase extracts revealed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than other enzymatic extracts. The activity was 68.8% and 59.3% at 1.0 mg/ml, respectively. In other side, each extract showed weak scavenging activity against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no scavenging activity were observed against alkyl radical.

      • 비만 중학생의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식생활 실태 연구 : 전라북도 남원시 중심으로

        박정숙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s, blood parameters, and food intakes by 24 hour recall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obese children in 4 middle schools at downtown in Namwon, Jeonbuk provi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prevalence of obesity,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food habits in obese students. This study furnish the foundation materials for nutrition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y perceive nutrition problem of an adolescent period. The obesity prevalence of total middle school students was 10.8%(104 persons of 966) at Namwon in Jeonbuk province. Thirteen percent of boys(63 persons) and 8.5% of girls(41 persons) were obese. Average age of obese students was 12.2 years old, height was 156.4cm of boys and 155.3cm of girls, and average weight is 65.1kg of boys and 64.9kg of girls, and BMI was 26.2kg/㎡ of boys, 26.8kg/㎡ of girls. Waist/hip ratio of boys(0.89) was higher than girls(0.85) significantly difference(p<0.001). According to obese index of Korean Pediatric Association, mild obese group, moderate obese group, and severe obese group were 49.0%(51 person), 42.3%(44 person) and 8.7%(9 person), respectively. Weight of mild obese group, moderate obese group, and severe obese group were 59.6kg, 69.2kg, 76.0kg, respectively(p<0.001) and BMI were 24.6kg/㎡, 27.5kg/㎡, 31.8kg/㎡ respectively(p<0.001). Waist/hip ratio of severe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ild obese group(p<0.001). Systolic blood pressure of moderate obese group, and severe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ild obese group(p<0.001). Diastolic blood pressure of moderate obese group, and severe obes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ild obese group(p<0.01) also. The person who has more than 3 out of 5 is calle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obese students was 2.9%. And the person who has 2 out of 5 was 22.1%, and 1 out of 5 was 39.4%. The prevalence of each diagnosis items was abdomen obesity(46.2%) > hyper triglyceride(23.1%) > high blood pressure(20.2%) > high HDLcholesterol( 2.9%) but the hyperglycemia hadn't been found. 3 of 10 students watched TV and played computer games more than 2 hours in a day, and 4 out of 10 students did not act at all. 1 out of 10 students never had physical exercise for a week. Under 1 person of 10 students had physical exercise that less than 1 hour. 4 out of 10 students slept more than 8 hours per day. The students who skipped their breakfast were 7.7%. Slow eater was 10.6%, but fast eater was 43.2%. Obese student's out-eating of rate was twice a month(32.6%) > less than once a month(27.9%) > once a month(26.0%) > more than once a week(13.5%). The frequency of snack was 2~4 times in a week(44.3%) > once a day(25.0%) > under once a week(24.0%) > over twice a day(6.7%). The kinds of snacks were milk· dairy products·ice cream > fruits > bread·rice cakes. The frequency of eating fast food was once a month > don't eat > over twice a month > once a week > twice a week. Frequency of carbonate drinking was in order almost don't drink'(55.8%) > more than 1 bottle in a week > 1 bottle in a day > 2 bottles in a day. Students who had unbalanced diet of obese students was 51.9%. The kind of food they didn't have was in order fungus(26.9%) > green grocery(25.9%) > shell fishery(8.7%) · kim-chi(8.7%) > fruit(5.8%) > meat(8.7%) · dairy products(4.8%). Nutrient intakes of 3 groups didn't different significantly, mean Energy intake was 1817.9kcal, carbohydrate was 265.7g, protein was 72.2g, and fat was 51.9g. Nutrient adequacy ratio(NAR) of protein, phosphorus, iron content, vitamin A, vitamin niacin, vitamin C was proper, except calcium. Mean adequacy ratio(MAR) of 9 nutrients was 0.95 in mild obese group, 1.01 in moderate obese group, and 1.00 in severe obese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 significantly. Seventy point two percent of the obese students knew 'obesity is a disease', and 49.0% of the subjects didn't know the complication of the obesity. Fifty one point nine percent of obese students recognized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but 72.1% of the subjects didn't took nutrition education class. We suggest that the Nation enforce policy for early detect and treatment of metabolic risk factor for adolescence, and nutrition education for obese students is necessary. 전라북도 남원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비만아 104명 을 대상으로 비만 이환율, 대사증후군 유병률, 식생활 실태를 알아보고자 질문 지 조사와 혈액성상 및 24시간회상법을 이용하여 식품섭취량 분석을 실시하였 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남원시 거주 비만 청소년의 비만 이환율을 파악하여 이 지역 학생의 영양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비만 청소년의 대 사증후군 유발 인자를 알아보아 성인비만과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전라북도 남원시 전체 중학생의 비만 이환율은 10.8%(104명)이었으며, 남학 생 13.0%(63명), 여학생 8.5%(41명)로 나타났다. 비만 중학생의 평균연령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12.2세이고, 신장은 남학 생 156.4cm, 여학생 155.3cm였고, 체중은 남학생 65.1kg, 여학생 64.9kg이었으 며 BMI는 남학생 26.2kg/㎡, 여학생 26.8kg/㎡로 나타났으며, 허리둘레/엉덩 이둘레비는 남학생 0.89, 여학생 0.85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01). 대한소아과학회의 비만도에 따라 경도비만군, 증등도비만군, 고도비만군은 각각 49.0%(51명), 42.3%(44명), 8.7%(9명)로 나타났다. 비만 중학생의 체중은 경도비만군, 중등도비만군, 고도비만군 각각 59.6kg, 69.2kg, 76.0kg로 나타났고 (p<0.001), BMI는 경도비만군은 24.6㎏/㎡, 중등도비만군 27.5㎏/㎡, 고도비만 군이 31.8㎏/㎡였다(p<0.001). 비만 중학생의 허리둘레/엉덩이둘레비는 고도비 만군이 경도비만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중등도비만군과 고도비만 군의 수축기 혈압은 경도비만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01), 중등 도비만군과 고도비만군의 이완기 혈압 역시 경도비만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5가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할 때를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비만 중학생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9%였으며, 대사증후군 위험 인자가 1개 이상인 경우는 39.4%, 2개 이상인 경우는 22.1%로 나타났다. 대사 증후군 진단 항목별 유병률은 복부비만증(46.2%)>고중성지방증(23.1%)>고혈압 증(20.2%)>고HDL-콜레스테롤증(2.9%) 순이었으며, 고혈당증에 해당하는 대상 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비만 중학생의 생활습관을 살펴보면, 10명 중 3명이 하루 2시간 이상 TV시 청·컴퓨터·게임을 하며, 10명중 4명이 활동적이지 않았다. 1주일 동안 운동 을 전혀 하지 않는 학생이 10명중 1명이며, 운동 시간은 10명 중 1명 이하가 1회 1시간 미만이다. 수면시간은 10명 중 4명이 하루 8시간 이상으로 나타났 다. 비만 중학생의 아침식사 결식률은 7.7%였다. 식사속도가 느린 비만 중학생 은 10.6%에 불과하였고, 식사속도가 빠른 비만 중학생은 43.2%이었다. 비만 중학생의 외식 빈도는 월 2회 정도(32.6%)>월 1회 미만(27.9%)>월 1회(26.0%)> 주 1회 이상(13.5%)로 나타났다. 간식 빈도는 주 2~4회(44.3%)>1일 1회 (25.0%)>주 1회 미만(24.0)>1일 2회 이상(6.7%)의 순이었으며, 간식 종류는 우 유·유제품·아이스크림>과일>만두·떡볶이 순이었다. 비만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 빈도는 월 1회 이상>거의 먹지 않는다>월 2회 이상>주 1회>주 2회 이상 의 순이었다. 탄산음료 섭취 빈도는 ‘거의 안 마신다’(55.8%)>주 1병 이상>1일 1병>1일 2병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비만 중학생 중 편식을 하는 학생은 51.9%로 나타났으며, 편식 종류는 버섯류(26.9%)>채소류(25.0%)>조개류 (19.2%)>생선류(8.7%)·김치류(8.7%)>과일류(5.8%)>육류(8.7%)·유제품(4.8%) 순이었다. 비만 중학생의 영양소 섭취량은 비만도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 체 에너지 섭취량은 1817.9kcal, 탄수화물 265.7g, 단백질 72.2g, 지방 51.9g 로 나타났다. 영양소 적정도(NAR)은 단백질, 인, 철분, 비타민 A, 비타민B1, 비타 민B2, 나이아신 , 비타민 C로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는 적정 비율로 섭취 하였다. 9가지 영양소들의 평균 영양소 적정도(MAR)는 중등도비만군 1.01, 고 도비만군 1.00, 경도비만군 0.95순으로 나타나났으며 비만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의 질병인식과 합병증은 비만도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비만이 ' 질병이다'라고 응답한 학생이 70.2%인 반면 비만의 합병증에 대해서는 49.0% 가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영양교육을 받아 보지 못한 학생이 72.1%로 나타 났는데 전체학생의 51.9%가 영양교육이 필요성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비만 청소년의 생활 습관과 식습관 및 대사증후군 유발인자를 관찰함으로써, 심혈관계 질환 등 비 만과 연관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조기 발견하고 치료하는 정책을 국가적으 로 시행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영양교육이 뒷받침 되어야겠다.

      • 대학생 소비자의 돈에 대한 태도 유형별 의복구매행동

        박정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 소비자들의 돈에 대한 태도가 의복 구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어떤 요인이 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지, 그 태도가 의복구매행동에 주는 영향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오늘날 대학생들의 돈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유형화하였고, 개인변인, 가족환경 변인, 경제 변인에 따라 그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의복 구매시 돈에 대한 태도가 구매의사결정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선 분석자료를 위해 서울ㆍ경기, 대구, 전주에 소재한 전문대 및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는 빈도분석, 백분율,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군집분석, 카이 스케어(X²- 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소비자들의 돈에 대한 태도요인은 성공의 상징과 권력의 원천요인,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수단요인, 미래 안전의 도구요인, 인색함과 불신감 태도인, 감정충족의 도구요인의 5개로 나뉘어졌다. 둘째, 요인점수에 따라 군집분석을 한 결과 3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고, 이는 돈을 성공과 미래의 안전도구로 여기는 군집, 인정과 감정충족의 도구로 여기는 군집, 인색하고 불신하는 경향이 있는 군집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변인과 가정환경변인, 경제변인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개인변인에서는 학년과 성장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고, 가정환경변인에서는 거주상태와 어머니의 직업,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그러하였으며, 경제변인에서는 가계소득, 생활수준과 용돈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돈에 대한 태도 유형별 의복구매행동을 의사결정단계별로 살펴보았다. 문제인식단계에서는 구매동기를 살펴보았는데, 스트레스 해소&기분전환, 친구나 주위사람과 맞추기 위해서, 유행하는 의복이므로, 소유한 의복과의 조화에서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보탐색 단계에서는 정보원천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판매원의 조언, 방송매체 광고와 유명인이나 주위사람 의복관찰에서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대안평가 단계에서는 의복 선택기준을 살펴보았는데, 디자인이나 스타일 색상, 유행성, 상표 유명도에서 집단간의 유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매단계에서는 구매시기, 구매빈도, 구매비용, 점포선택기준, 구매장소, 대금지불 방법, 동행인과 영향정도를 살펴보았는데, 구매시기는 특별한 행사나 명절, 마음에 드는 옷을 봤을 때, 뜻밖의 수입이 생겼을 때, 필요한 경우 아무 때나와 할인·세일기간에서 집단간의 유미한 차이를 보였다. 상품선택기준은 상품의 품질과 상표명에서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매빈도와 월 평균 의복 구매 비용, 구매장소, 대금지불방법, 동행인은 돈에 대한 태도 유형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행인의 영향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이면서도 중요한 변수인 돈에 대한 태도를 선정하여 대학생 소비자들의 비체계적인 의복구매행동을 살펴보고자 시도하였다. 더불어, 돈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특성변수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 지 알아보았다. 이 결과물은 대학생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구매생활을 할 수 있도록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학교나 사회차원에서 돈에 대한 태도를 형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소비자 자신이 스스로가 돈에 대해 어떤 태도유영에 속하는지, 의사결정단계별로 어떤 성향을 가지는지 자각하여 비합리적인 구매행동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In this study: first, what attitudes to money have an influence on clothes buying behaviour; second, what factor is brought to an attitude to money; third, what is an influence of that attitudes on clothes buying behaviour has been the purpose. For the purpose of that, attitudes to money are investigated and materialized. And differences of that attitudes are examin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m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And when they buy the clothes, influences of their attitudes to money on purchasing decision are also investigated. For analytical material for this study, making up questions to 2-year-college and 4-year-college students in the Capital area, Taegu and Chonju are executed; obtained materials from a preliminary and main investigation are analysed in statistical techniques, Mean, Frequenci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X²- test, Anova. The summary of important conclusions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s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o money is divided among five factors: the source factor as the symbol of success and power, the means factor for approval of another person, the measure factor for future safety's sake, the attitude factor on stinginess and distrust, the measure factor for filling up emotions. Second, according to the factor points, three clusters are obtained: cluster of considering the money as a tool for future safety's sake, a way of approval and filling up emotions, and inclination toward stinginess and distrust. Thir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an attitude to money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n individual factor, a home environmental factor and an economic factor. Especially,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nging factor as an academic year and grown ground, and in a home environmental factor as the living conditions, mother's jobs and the level of educated parents, and in an economic factor as home income and an allowance. Fourth, In each type of attitudes the clothes buying behaviour is looked as the four steps of decision making. In the first step of the problem cognition the motive of buying is noticed; for getting rid of stress, diversion, tuning with their family or friends, following the fashion, matching with their existing clothes are th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second step of the gathering information the source of information is noticed; from an service worker's advice, through media of ad., from observations on their neighbours or celebrities are th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third step, evaluation of a counterproposal the choosing criteria of clothes is noticed; as design, style, fashion, and the brand levels are th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fourth step of purchasing, time, frequency, expenses, selecting a shop, a place, the way of paying and the rate of a fellow's influence is noticed; as for the time to buying, a special event or holiday, seeing favourite clothes, earning an income by chance, a bargain sale, and anytime as occasion demands are there remarkable differences. In choosing criteria there ar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quality and brands. It is shown that buying frequency and monthly expenses, a place to buy, a way of paying and fellows have a remarkable differences. But degrees of an influence of fellows have no striking differences. This research was attempted to look around a non-systematic clothes-buying- behaviour of college students by paying attention to money which influence customer's buying-behaviour and is the subjective, critical factors; to try to know what is the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 on the attitudes to money. And it could be used as the useful materials of similar cases for researching attitude to money. If the customers realize their own attitudes, it will be easy to improve their irrational buying-behaviour.

      •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한 SNS특성이 고객만족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호텔외식사업부 SNS이용자 중심으로

        박정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perceived availability and usability according to SNS characteristics and the causal between satisfaction and continual use intention in the use of SNS by customers of a hotel restaura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to figure out the effect factors on the use of SNS based on TAM suggested by Davis(1989). An empirical analysis was executed to verify relation between customer and continual use intention by means of perceived availability and usability as mediator variables. As for factors affecting SNS use in searching hotel restaurant information, th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by relation, interaction, joy and social reality. The research objects were those who had an experience of search of hotel restaurant information using SNS within recent one year.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m. Total 570 sheets were distributed among which 520 were collected with 91% collect rate. 492 sheets were valid samples except for some insufficient our outlier sheets. The positive analysis was made using SPSS 16.0 and AMOS 5.0 package program.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al meth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udy model ver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arried ou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492 valid samples were examined, majority (80.5%) used mobile and wired internet together as SNS use environment. This indicates they used SNS freely not only in the company or at home also on the move or on business trip to find eat out places. Second, when the characteristics of hotel restaurant consumers who searched information through SNS, the scope covered from youth in their 20s to the middle ag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smart phone, smart phones took up far majority as SNS devices. It indicates the information provision of hotel via SNS seems to be effective in marketing. Third, when the effect of the perceived availability of SNS characteristics was examined, interaction and perceived joy had significant relation only with perceived availability. As for the effect of SNS on the perceived usability, interaction and perceived jo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usability. Fourth, as for the effect of perceived availability on perceived usability, perceived availability had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usability. Such result demonstrates that people perceived usefulness of information search through SNS if it had no difficulty in the use. Fifth, as for the effect on the perceived availability and usability, both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as for the effect of perceived availability and perceived usability on continual use intention, both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ntinual use intention. Sixth, as for the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continual use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ntinual use intention. Thus, customer satisfaction was proved to be an important prerequisite in the improvement of continual use inten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below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the integrate model considering SNS types simultaneously was developed and positively verified research was systematized in order to support theoretical foundation and reasons for SNS related studies. Second, the fact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2 variables relation and social reality on availability and usability indicates that relation variable itself is partly accepted like interaction to some degree, and that access via mobile or computer could not replace actual human relation yet.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iculty in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no clear sampling over the population was made. Second, there was a bit confusion i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variable on the relation and interaction among SNS characteristics deducted from previous studies, which made the participan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difficult to grasp proper concept. Third, there was no distinction on the management methods between direct operation or commissioned operation. Fourth, it is recommended to survey by adding another variable to SNS characteristics. Fifth, extensive model type in combination with TAM is recommended.

      • 경험 서사를 활용한 시 창작 교육 방법 연구 : 경험 서사의 스토리텔링 활동을 중심으로

        박정숙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시는 인간의 마음을 언어를 통해 표현하는 예술이다. 시를 읽고 쓰는 활동을 통해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며,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의 반영을 통해 소통하면서 문학적 체험뿐 아니라 개인의 성장까지 기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시 감상 및 창작에 관한 내용이 빠지지 않고 수록 되어 있다. 초등학교 1학년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두루 시를 배우지만 학생들은 반복되는 단어의 나열이나 흉내 내는 소리 등을 섞어 시를 상투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을 보이며 학생 스스로 시 창작을 부담스러워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는 시를 쓰는 효과적인 방법 제시나 구체적인 안내보다는 주제와 제목만 주고 시를 쓰는 것이 통용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 창작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의 경험을 스토리텔링 하는 기법으로 시 창작을 접근해 보려고 한다. 살아 있는 솔직한 어린이 시를 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나를 알아야 하고, 나를 알기 위해서는 나의 경험을 살피고 그 경험으로부터의 생각이나 느낌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자신이 직접 경험한 일을 바탕으로 시를 진솔하게 창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본 연구를 다음과 같이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연구 내용 및 방법을 검토한 후 Ⅱ장에서는 경험 서사의 개념과 특징, 스토리텔링의 개념을 알아본 후 경험 서사와 스토리텔링의 관계에 대해 파악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주요 속성이 인간 행동과 사건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시간적 순서에 따라 표현이 되기 때문에 인간 경험 서사와 스토리텔링은 깊은 관련이 있다. 서사의 범주를 삶 속에 만연되어 있는 모든 이야기로 보고 그러한 서사를 이야기로 전달하는 모든 과정을 스토리텔링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리하여 자신의 경험을 글로 전달하는 것,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 시로 표현하는 것 등 일괄의 활동을 스토리텔링의 영역에 포함된다고 보고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경험 스토리텔링은 학습자의 기능적 글쓰기 능력의 향상 차원을 넘어서서 학습자 스스로 자신을 성찰하고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시 창작에서의 경험 스토리텔링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Ⅲ장에서 구체적으로 설계해 보았다. 예비 연구를 진행한 후 예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창작 방법 수업을 다음과 같이 구성해 보았다. 첫째, 경험 스토리북을 활용하여 경험 서사를 기록하여 시 창작의 글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경험 서사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시 창작 방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접근을 하였다. 경험을 이야기화하는 방법(생각그물로 표현하기, 시각, 청각 등의 감각적인 경험 위주로 표현하기), 경험을 이미지화 하는 방법, 경험의 시점을 바꾸는 방법이 그것으로 각각의 전략을 세워 보았다. 마지막으로 경험 서사를 활용한 시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고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고안한 구체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제 수업을 통한 연구를 진행하고 수업 결과를 분석해 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의 설계 및 진행을 통해 본 연구에 나타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시 창작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시를 처음 접해 보고 어려울 것만 같다고 느꼈던 학생들이 경험 서사의 스토리텔링 활동으로 시를 창작하는 것을 통해 시를 쓰는 일이 어렵기만 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 솔직하게 쓰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양한 경험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해(이야기화, 이미지화, 시점 변화) 시를 창작하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생활 속 언어를 선택하여 시로 표현하게 되었다. 둘째, 시를 통해 친구들을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 시 창작 후 활동으로 친구의 시를 읽으면서 친구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되고 그 이야기 안에 있는 사건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그 안에서 슬픈 이야기, 힘들었던 이야기, 기쁜 이야기를 발견하고 자신의 이야기도 나누면서 서로 이해하는 시간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런 시간을 통해 문학적으로 소통하면서 한 단계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경험 스토리텔링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은 주변의 이야기를 수집하여 스토리북에 메모하는 습관이 생겼다. 학급의 반 이상의 학생들이 좀 더 다양한 글감을 모아 두기 위해서 수시로 있었던 일을 메모하기 시작했다. 학생들이 자신의 이야기가 소중한 글감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상의 논의로 경험의 스토리텔링이 시 창작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비서와 상사의 역할관계가 비서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리더-구성원 교환관계를 중심으로

        박정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국제화, 개방화에 따른 무한경쟁의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업들은 변화하는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고자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기업들이 장기적으로 성장·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적자원 개발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리더십 이론 중에는 상사와 부하의 관계를 바라본 이론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이론(Leader-Member Exchange Theory)이 최근에 등장하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리더와 구성원이 개인의 특성과 능력에 따라서 차별적 관계를 맺고 있다는 수직 쌍 연결이론(Vertical Dyad Linkage Theory)에서 발전되어 나온 개념으로, 리더와 구성원이 양자적 관계(dyadic relationship)에 따라 서로 다른 감독이나 역할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상사와의 역할관계에서 비서는 상사의 지시만 수행하는 소극적인 역할이 아니라, 적극적이고 솔선 수범하여 책임을 맡아 관리업무를 관장하는 상사의 업무파트너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 상사의 업무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비서에게 역할내 행동(in-role behavior)뿐만 아니라, 역할외 행동(extra-role behavior)인 조직시민행동(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까지 필요로 하게 된다. 역할내 행동이란 구성원이 직무기술서 상에 서술된 직무, 즉 고용주가 요구하는 바를 완수하는 것이며, 고용주가 요구하는 것 이상의 행위를 하는 것을 조직시민행동이라고 한다. 선행연구들을 살펴볼 때, 비서와 상사간 대인관계는 비서의 직무태도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실제로 비서와 상사간의 역할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십 이론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이론을 토대로 하여, 상사-비서간의 역할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검증하고, 상사-비서간 역할관계가 비서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직비서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189부를 SA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통계기법은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 t-test 등이며, 실증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정도, 성장욕구 강도, 상호작용 빈도, 그리고 과업다양성 순서로 상사-비서의 교환관계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그리고 과업분석 가능성은 부(-)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것은 비서가 상사와 원활할 의사소통을 하며, 비서 자신이 다양하고 도전적인 일을 좋아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의욕이 높고, 상사와 업무상 또는 비업무상 접촉의 빈도가 많고, 비서의 업무가 단순·반복적이지 않는 것 등이 상사-비서의 교환관계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상사-비서간 교환관계는 비서의 정당한 행동, 호의적 행동, 양심적 행동, 이타적 행동, 그리고 참여적 행동 순서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것은 상사-비서간 교환관계의 수준이 비서가 조직 내 발생하는 문제나 고충을 잘 인내하며, 조직을 위해 건설적인 노력을 기울이게 되고, 문제 예방 행동을 하며, 요구 이상의 역할행동을 수행하고, 타인의 조직 내 관련업무나 문제를 도와주며, 조직 내 활동에 책임의식을 갖고 참여하는 행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상사-비서간의 커뮤니케이션 정도와 비서의 성장욕구 강도는 상사-비서의 교환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비서의 과업분석 가능성은 상사-비서의 교환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사와 비서의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그리고 비서가 다양하고 도전적인 일을 좋아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의욕이 높을수록, 상사-비서의 교환관계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과업분석 가능성이 상사-비서의 교환관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비서의 업무가 예상하지 못한 일들과 규칙적이지 않은 일들을 수행할 경우, 업무처리를 위하여 상사로부터 많은 지침과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상사와의 교환관계도 발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상사-비서의 교환관계는 비서의 양심적 행동, 정당한 행동, 그리고 호의적 행동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서가 상사를 신뢰하고 존경하며, 공동운명 의식을 공유하는 내집단 관계에 있을수록, 비서는 자신에게 요구되는 수준 이상의 역할행동을 수행하고, 문제예방 행동을 하며,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문제나 고충을 잘 인내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사-비서의 교환관계의 영향요인을 탐색적으로 실증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서 상사-비서의 역할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비서의 역할을 상사와의 관계측면에서 살펴보았고, 그것이 비서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비서의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후속연구에 바탕을 마련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상사-비서의 역할관계 개선과 비서의 조직시민행동 실천을 위한 비서·상사·조직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비서는 상사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며, 맡은 바 역할 외의 업무라도 상사와 조직의 효율성 증진을 위하여 솔선하여 책임을 맡고, 상사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자신의 능력 및 자질을 개발하여야 한다. 상사는 비서에게 보다 많은 책임과 자율성을 부여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적극적인 지원 자세를 취해야 한다. 또한 상사는 비서의 존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비서로 하여금 존중받는 부하라는 인식을 가지도록 동기부여 해줄 때, 비서로부터 기대이상의 성과로 보답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조직은 비서의 능력개발을 위한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비서직에 대한 승진제도를 도입하여 동기부여를 해주며, 비서의 직무재량권의 확대를 통해 공동체 의식 속에서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y and superior directly influences secretary's job satisfaction and product, but study on it lacks. In the traditional theories of leadership, it was assumed on measuring the relationship of leader and member by observing which attitude the leader has on the average toward the members. However, in the Leader-Member Exchange(LMX) Theory which becomes even more on popularity in the recent studies on the leadership, it is assumed that the leader discriminates treatment members and develops a specifically dyadic relationship with each memb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s the one that contributes to the effectiveness of an organization. Because it is a factor that as a voluntary behavior of an organization with no official rewards not only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makes it easy to do leader's duty but it also enhances the change of success on the side of its secretaries themselves, it is an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be managed with careful consideration. The research model and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Hypothesis 1-1> secretary's growth need strength will influence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Hypothesis 2-1> Interaction frequency between leader and secretary will influence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Hypothesis 2-2>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leader and secretary will influence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Hypothesis 3-1> secretary's task variety will influence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Hypothesis 3-2> secretary's task analyzability will negatively relate to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Hypothesis 4-1>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will influence secretary's altruism. <Hypothesis 4-2>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will influence secretary's conscientiousness. <Hypothesis 4-3>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will influence secretary's sportsmanship. <Hypothesis 4-4>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will influence secretary's courtesy. <Hypothesis 4-5>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will influence secretary's civic virtue. This study model in the above verified through an empirical survey on 189 secretaries who were working for Korean or foreign companies of Seoul, Kyunggi-do, and Kyungbuk a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analys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task analyzabil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But task analyzabil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Second, secretary's growth need strength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with leader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Especially,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leader and secretary had influenced strongly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And secretary's task analyzabi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Therefore, results supported Hypothesis 1-1, 2-2, and 3-2. Third, The quality of leader-secretary exchange relation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secretary's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and courtesy. Therefore, results supported Hypothesis 4-2, 4-3, and 4-4. The results suggested that secretaries who have high growth need and high quality of communication with leader would perceive higher quality of LMX relationship. And they will also act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and courtesy for their leader and co-workers. Therefore, both of leader and secretary should try to enhance the quality of LMX relationship to induce their best competences to accomplish the goals of organization an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human resources.

      • 중년여성의 통합적 폐경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박정숙 고신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One of the most important health management in the middle aged women is health management related menopause. In connection with menopause symptom, many middle aged women visit the hospital but there is lack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menopause management in women's health nursing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sign a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derived theoretical framework of King(1981)'s goal attainment theory model for the middle aged women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model including nonequivalent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one OBGY hospital in B city, South Korea and 20 women made up the control group and another 17 women made up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assent to participate.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follows: Experimental instrument was a integrated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which was devised by researcher using agreement tool of the way for nursing goal achievement developed by Lee, Young-Eun(1992) on the basis of theoretical framework of King(1981)'s goal attainment theory. The contents of integrated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include physical, psychoemotional, social and spiritual aspects. The program were consisted of eight times of group interchange activity for sixty minutes during eight weeks, once a week and sixteen times of individual interchange activity for five minutes during eight weeks, twice a week. To verify effect of the integrated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MENSI(Menopause Symptom Index) developed by Choi, Myung-Sook(2001) was used to measure menopause symptoms. Menopause knowledge was measured by menopause knowledge tool which was developed by Song, In-sook(1984) on the basis of Polit and Larocco(1980)'s menopause knowledge tool and revised by Song, Ae-Ree(1997). Menopause attitude were measured by menopause attitude tool which was developed by Neugarten et al(1963) and complemented by Choi, Myung-Sook(2001). Menopause management were measured by one tool originally developed by Song, Ae-Ree(1997).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May 28th to September 29th, 2009 and data was collected by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 in the SPSS/Win 17.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Hypothesis No.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applied the integrated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would have a higher decrease in the score of menopause symptom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applied the integrated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was support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decrease in the score of menopause symptom(F=5.936, p= .010). 2. Hypothesis No. 2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higher increase in the score of menopause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 in the score of menopause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F=12.031, p= .001). 3. Hypothesis No. 3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higher increase in the score of menopause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f menopause attitude of the two group(F=0.105, p= .374). 4. Hypothesis No. 4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have a higher increase in the score of menopause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after experimental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crease in the score of menopause management than the control group (F=5.861 p= .010). In conclusion, although the integrated menopause management program derived theoretical framework of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was not so effective for improving menopause attitude of the middle aged women, but it was effective for reducing menopause symptom and improving menopause knowledge and menopause management. Thus, it is recognized that this program can be actively utilized as a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menopause management of the middle aged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