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폐스펙트럼 자녀를 둔 미술치료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박정선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탐구는 자폐스펙트럼 자녀를 성인기까지 양육하면서 살아온 미술치료사의 삶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들의 삶의 경험은 기존 미술치료사들과 무언가 다른 삶의 가치가 있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을 해명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간의 경험을 이야기로써 이해하기 위한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를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참여자 선정은 목적 표집 방법으로 성인기 자폐스펙트럼 자녀를 두었으며 미술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연구자인 ‘나’를 포함한 총 3명의 연구 참여자가 선정되었다. 연구 참여자가 선정된 후, 연구자와 참여자의 면담이 시작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자전적 글쓰기를 통하여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연구자를 돌아보는 과정을 보냈다. 면담은 2019년 9월부터 11월까지 참여자 개인별로 3회 진행되었으며, 면담 시간은 1회 1시간 30분∼2시간 내외로 이루어졌다. 또한 면담 과정을 통하여 녹음된 자료는 모두 축어록으로 전사되었으며, 미술매체를 이용하여 심상을 표현한 10장의 그림이 수집되었다. 3명의 연구 참여자의 경험이야기를 통하여 도출된 자폐스펙트럼 자녀를 둔 미술치료사의 삶의 의미는 ‘자녀를 통하여 성숙의 길로 나아가다’와 ‘미술치료는 더 넓은 세상으로 삶을 매개하다’는 의미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장애자녀로 인하여 절망을 경험하며 낙담하였으나 자신의 품에 들어온 자녀를 힘껏 사랑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이 선택은 참여자의 삶을 성장시켰으며 성숙의 길로 나아가게 하였으며, 미술치료를 만남으로 또 다른 삶의 전환기를 맞이할 수 있었다. 미술치료는 참여자의 사고를 확장시켰으며 생각의 폭을 넓혀 주었고 단순히 자녀를 돌보는 과정을 넘어 또 다른 타자를 돌보는 역할을 하는 미술치료사의 길로 나아가게 하였다.

      • 프로그램 구조에 따른 복잡도에 관한 고찰

        박정선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5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ward reducing software cost. To this end,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programming tasks The objective has been to develop measures of software complexity that can be used for cost projection, manpower allocation, and program and programmer evaluation. Despite the growing body of literature devoted to their development, analysis, and testing, software complexity measures have yet to gain wide acceptance Early claims for the validity of the metrics have not been supported, and considerable criticism has been directed at the methodology of the experiments that support the measures. Nonetheless, new complexity easures continue to appear, and new support for old measures is earnestly sought. Complexity measures offer great potential for containing the galloping cost of softwar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Successful software-complexity-measure development must be motivated by a theory of programming behavior. An integrated approach to metric development, testing, and use is essential as development should anticipate the demands of the measures usage Testing should be performed with specific applications in mind, and where possible the test environment should simulate the actual use. Complexity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without any particular use in mind Lacking a theory of programming behavior, researchers have sought meaningful applications through experimentation The results of these explorations are difficult to interpret and provide only weak support for the use of complexity measures. Until more comprehensive evidence is available, software complexity measures should be used very cautiously. Software complexity measures are believed to provide the most objective and quantitative means of controlling software projects. In this paper, we discuss major properties and weakness of control complexity measures, investigate hybrid measures and structuredness which complement the demerits of single component measures, and analyzes properties of control flow complexity measures and investigate a new complexity metrics using regular expression and S to measures program structuredness. To show the complexity according to the structured of programs, COMl and COM2 are presented

      • 여성 과민성방광 환자에서 항무스카린제 치료 후 재치료에 영향을 주는 치료 전 인자

        박정선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Prospecting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after antimuscarinic treatment in female patients with overactive bladder syndrome Purpose: To evaluate prospecting factors that contribute to retreatment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bladder condition after discontinuation of successful treatment with antimuscarinics for 3 month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3 and April 2007, We analyzed 135 patients with overactive bladder. Of the 135 patients, 95 were followed up for 12 weeks. All patients were asessed by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urinalysis, frequency/volume charts and uroflowmetry prior to treatment. After discontinuation of 3 months of successful treatment, we analyzed pre-treatment factors, subjective perception of bladder condition, duration to recurrence between maintence and retreatment group. Results: The mean age was 49.6 (18-70) and mean symptom duration was 5.7 years (6 months-23 years). Before the treatment, mean frequency of micturition, nocturia and urgency score was 11/day, 2.5/night and 1.9, respectively. Of the 95 patients, 73 (76.8%) recurred after treatment and mean duration was 9.39 weeks (1-24).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respect to urgency scores (p=0.034).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of age, symptom duration, frequency, nocturia, functional bladder capacity, mean voided volume, maximal flow rate and residual volume. Conclusions: Our data suggest that pre-treatment urgency score is a significant in indicator for re-treatment in female patients with overactive bladder symptoms.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

        박정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관계에서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심리적 자원으로써 소명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현재 어린이집에 종사하고 있는 교사(담임교사, 누리 보조교사, 영아 보조교사, 연장 반 교사 포함) 231명을 대상으로 전국 단위의 온라인 설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ver 26.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 & Kenny(1986)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도, 소명감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명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소명감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소명감을 매개했을 때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교사가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더라도 소명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심리적 소진으로 인해 직무만족을 경험하기 어려운 보육교사의 개입 방법으로 소명감을 고취 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 연수에 지속해서 반영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방지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어: 심리적 소진, 직무만족도, 소명감, 보육교사 In this study,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 burnout on job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nse of calling as a psychological resource that could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these relationships was verifi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ationwide online questionnaires from 231 teachers (including homeroom teachers, child assistant teachers, infant assistant teachers, and extended class teachers) currently engaged in daycare.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6.0 Program. In addi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 Kenny (1986) was perform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performing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burnout ,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call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 sense of calling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burnout on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 sense of calling has a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burnout had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when mediating a sense of call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ven if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psychological burnout, the higher the sense of calling,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is is expected to help prevent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by developing a program that inspires a sense of calling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childcare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experiencing job satisfaction due to psychological burnout and continuously reflecting them in teacher training. Keywords: Psychological Burnout, Job Satisfaction, Calling, Childcare Teachers

      • 중도·중복장애학생 미술교육에서 특수교사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박정선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미술교과를 지도하고 있거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실시한 인터뷰 기법의 질적연구이다.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을 가르치는 현장교사들의 미술교과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인 인터뷰를 통해 교육의 방향성과 실천적 지도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체장애 특수학교에서 현재 중도·중복장애학생들의 미술교과를 지도하고 있거나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3년 6월부터 6개월 이였으며,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상위범주 3개, 하위범주 9개를 도출하였고 범주화한 내용을 근거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은 주변의 도움 없이는 움직일 수 없고, 수업활동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교육은 많은 자료들을 보여주기 보다는 느리지만 지속적으로, 어렵지만 관심을 가지고 소통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의 방법이 이들의 경험을 수용할 수 있고 즐거운 삶을 누리도록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둘째, 미술교과 교육에 대한 확신과 준비가 부족하고 여러 가지 과목을 가르쳐야 하는 상황,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적용하기 어려운 교육과정, 무분별한 교수적 수정, 부족한 보조 인력 등으로 인해 미술교과를 가르치기 힘들어한다. 이에 효과적인 미술교과 교육을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교사양성과정의 제도적 개선, 학생 수 만큼의 질적인 보조 인력 지원, 적용 가능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과정 운영, 미술교과내용이 포함된 체계적인 교수적 수정, 재료와 도구 및 미술실 배치 등 미술교과 교육 환경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불비한 미술교과 교육 환경 속에서도 미술교과는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교육적으로 접근하기 좋은 교과로 인식되고 있다. 셋째, 미술교과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을 갖춘 교과담당교사 배치, 교과에 대한 자기 확신, 미술교과와 직업 연계, 적용 가능한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재편성과 운영 체제가 필요하다. 또한 교사 개인적 측면에서 교과에 대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 국가적 차원에서 질적인 교과교육 연수나 보수 교육 지원 체제가 요구 된다.

      • 노인 장루보유자의 가족지지, 우울 및 삶의 질과의 관계

        박정선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노인 장루보유자의 가족지지, 우울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관련성 및 그 영향력을 분석하여 노인 장루보유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상자에게 효율적인 간호 중재와 배우자 및 가족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 효과적인 일본어 한자어 지도 방법연구

        박정선 慶尙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日本語は韓国語と同じ漢字文化圏に属し、語順や文法的な体系が類似しているので、韓国人の学習者にとっては最も習いやすい外国語だと言われている。しかし、平仮名、カタカナ、漢字、ローマ字、各種符号等で構成されている日本語の表記の内、漢字は異なる字体や、音読み、訓読みなどの用法があるため日本語学習者にとっては漢字の習得が困難である。しかし、日本語学習にとって漢字の学習は必ず必要なものである。 本研究では、日本語を習い始める初級学習者を対象にして、漢字の字体だけではなく語彙的にも効果的な日本語漢字の指導方法を提示しようとした。 まず、序論では日本語教育についてなぜ漢語の指導が必要であるかとその重要性について述べた。 本論では韓国と日本の漢字およびその教育の變遷史に基づいて漢語の指導方法を提示した。その方法は次のようである。 第一、マインドマップを利用する方法である。マインドマップは資料を組織化して、核心単語を使って長期記憶をすることができる。作り方も易いのでだれでも面白く学ぶことができる。 また、マインドマップを活用した漢語の指導は学習者の認知を活用するばかりでなく、右脳の機能であるイメージを活用して学習内容を有意義に再構成して内在化することができる。必要な単語、重要なキーワードだけを主題に関連させて心の中でイメージしながら視覚的に表象するので、学習者が語彙を効果的に学習することができる。 第二、空欄埋めを利用する方法である。これは語彙力や文法知識など、文脈を理解するのに必要な言語的知識と言語外的な状況について学習者が持っているスキーマが使われる。このような空欄埋めは漢語の読み取り能力を養う教授方法としてもその活用価値は非常に高いものである。既知及び文脈の推理を通じて漢語を捜して覚える方法であるだけに漢字及び漢語に対する学習量が自然と多くなって漢語習得に役に立つものだといえる。 第三、文脈を利用する方法である。目標となる語彙を選定してその単語の意味を前後文脈に合わせて漢語を学習する方法で特に文章読解に効果的である。またこの方法は語彙学習を長期記憶させるので漢字に対する拒否感を持ちやすい初級学習者にとっては、親しみを持って学習することができる方法である。 第四, ゲームを利用する指導法である。ゲームは学習者を集中させることだけではなく、楽しく語彙習得することができるので效果的な漢語学習であるといえる。 漢語学習は学習者ひとりひとりの環境, 水準, 年齢、そして教師によってその方法が違ってくる。必ず本論文で提示した方法が最も效果的であるとは言い切れないが、この論文での方法を少しでも教育現場で活用することを通し、語彙学習に、より役立つ事を期待する。

      • Delphi 기법을 적용한 심화형 정보 영재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연구 : 중학교 개정 교육과정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

        박정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영재교육과정은 심화보다 속진으로 운영되고 있다. 속진은 영재들의 학습 준비도를 간과하기 쉽고 흥미와 내적동기를 유발하기에 역부족이다. 다양한 사고력, 창의력, 과제집착력 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심화가 더 효과적이며 정규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정보영재를 위한 심화형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정보’ 교육과정 중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delphi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제 해결 방법과 절차’ 영역의 1, 2, 3단계를 대상으로 3라운드 delphi 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로는 정보교사(교수), 정보영재 교사(교수), 정보영재 학생이 선정되었으며 총 44명이 참여하였다. 각 단계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육 평가 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응답을 분석하여 구조화된 문항을 설계하였다. delphi 조사를 통해 전문가의 합의를 거쳤으며 중요한 항목을 선정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Korea shows that an acceleration curriculum is more general than an enrichment curriculum. The acceleration curriculum might not only overlook learning readiness of gifted children but also discourage their academic interest and internal motivation. The enrichment curriculum is more effective in cultivating thinking ability, task commitment and so on, which should be opera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nrichment curriculum connected to the Revised Vers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Middle School for gifted children in Informatics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field of 'Problem-solving method and its procedure' in Informatics curriculum and used a Delphi method to organize the curriculum. This study carried out a three-round delphi survey in 'Problem-solving method and its procedure' field from grade 1 to grade 3. The expert group for this study was made up of teachers and professors of Informatics, experienced teachers and professors who have taught gifted children, and students who have taken the curriculum for gifted children in Informatics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the expert group is 44.) In this study, first, the expert group responded about educational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ducational evaluation of each grade.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Second, organized items were designed. Finally, important items were selected and used for the new enrichment curriculum.

      • 전통놀이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박정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융합적 사고 향상을 위해 공동체 전통 놀이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적용해 보았다. 공동체 활동을 위한 학급 분위기 조성과 융합적 사고 향상을 위한 공동체 전통 놀이 활동 전개를 연구의 주제로 설정하였고 공동체 활동을 위하여 학기초 공동체 세움주간을 운영하여 함께 활동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융합적 사고 향상을 위한 활동으로서 세시 활동과 전통놀이 활동을 전개 하였다. 세시 활동은 삼짇날, 단오, 추석의 세가지 주제로 운영하였고 전통놀이 활동의 경우 월 1회의 3학년 전체 학생들이 함께하는 전통놀이 시간은 학급 놀이 시간에 여러 전통 놀이 가운데 여러 인원이 함께 할 수 있는 놀이에 대한 적합성을 논의하여 활동 계획을 세워 실행한 뒤 그에 대한 반성 및 협의 시간을 갖고 놀이 방법을 바꾸어 실행해 보고 다시 평가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놀이라는 익숙한 상황에서의 조건 변화는 학생들로 하여금 발생할 문제를 예상하여 해결하고 적합한 규칙을 세우는 과정을 유도하였고 학생들은 변화되는 것과 변화되지 않는 조건을 판단하고, 자신들이 가진 여러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 역할놀이가 시설아동의 우울, 공격성, 주의산만행동에 미치는 효과

        박정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began with the recognition of problem that a psychological support would be necessary since children in a institution showed a more instability and depression in terms of emotion than ordinary children and showed the problematic propensity of revealing a careless,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with their experience of environmental injury and special condition in the institu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role-playing on the depression, agg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For the purpose of this, the author selected 6 children in ○○ children's home of C city as an experiment group and implemented the role-playing program for 21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 of a role-playing and its durability, the author selected 6 children having the similar level of depression, agg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to the experiment group as a control group and implemented the pre-test, the first post-test, and the second post-test 3 months after the closing.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charge each session, the author examined the individual change of children. In addition, the author analyzed the quantitative change in depression, agg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role-playing program as well as the behavioral change in the process of role-playing and the qualitative change in picture test and thus studied the effect on individual change of the role-playing. Through this research, the following result was drawn.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role-playing statistic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e in depression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Namely, the depression marks of experiment group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Such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the role-playing helped the group members easily express themselves, enhance their values, and have a positive mind.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the role-playing statistic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tion in aggression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In other words, the marks of aggression of experiment group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is result, children seem to have experienced the communication skill, sympathy to understand other's feeling, understanding on rules and cooperative spirit, etc. through the role-playing. Third, it was found out that the role-playing statistical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e in attention deficit 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Namely, the attention deficit behavior marks of experiment group statistically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Such result can be interpreted as the fact that the role-playing enhanced the self-control ability of the group members and helped them maintain a relationship in a more positive manner. Four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hange in picture test (HTP, KSD) per child in individual case after implementing the role-playing to institutionalized children, the first post-test showed a more stable and positive expression than the picture in the pre-test. However, although the second post-test was stable in comparison to the pre-test, it gradually showed depression, agg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in comparison to the first post-test so that it was limited in terms of durability in the effect of role-playing. Fifth, in case of examining the change in dynamic nature of a group occurring in the process of role-playing, they felt difficult in role-playing in an early stage and found trouble in expressing their role into a language and behavior. And they made a lot of negative feedback to the group members. However, as children came to have a emotional stability in a group through a warming up and a double ego technique in role-playing, the expression on a role came out gradually and the words or behaviors to consider others came out through a role reversal technique. At the closing stage, they came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mutual discussion and compromise with a natural role allocation and showed the behavior in a confident attitude in such a process. In consideration of such research result, the role-playing not only decreased depression, agg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but also had an effect on overall behavioral change of individual child. In conclus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role-playing program was effective in depression, aggression,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it will be utilized as the means to prevent and cure the problem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이 연구는 시설아동이 환경에 의한 상처를 경험하고 시설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있게 되면서 일반 아동에 비해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우울하며, 부주의하고 공격적이며 과격한 행동을 표출하는 등의 문제 성향을 보이고 있어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역할놀이가 시설아동의 우울, 공격성, 주의산만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C도시 ○○ 육아원 아동 6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1회기 동안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역할놀이의 효과와 그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우울, 공격성, 주의산만행동 수준이 유사한 아동 6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역할놀이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사전검사와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후검사, 그리고 종결 3개월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매회 담당 보육 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 아동의 개별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역할놀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아동들의 우울, 공격성, 주의산만행동의 양적 변화를 분석하였고, 역할놀이 과정에서의 행동변화와 그림검사의 질적 변화를 분석하여 역할놀이가 개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역할놀이는 시설 아동의 우울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우울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역할놀이가 집단원들의 자기표현을 용이하게 도왔으며, 자신에 대한 가치를 높이며 긍정적인 마음을 갖게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역할놀이는 시설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공격성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 결과는, 아동들이 역할놀이를 통해 의사소통 기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공감능력, 규칙에 대한 이해와 협동심 등을 경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역할놀이는 시설 아동의 주의산만행동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의 주의산만행동의 점수는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어 역할놀이가 집단원들의 자기 조절능력을 향상시키며, 보다 긍정적인 방법으로 관계할 수 있도록 도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시설아동에게 역할놀이를 실시한 후 개별 사례 아동별로 그림검사(HTP, KSD)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의 그림에 비해 안정적이며, 긍정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그러나 추후검사는 사전 검사에 비해 안정적이지만, 사후 검사에 비해 우울, 공격성, 주의산만행동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어 역할놀이 효과의 지속성에는 제한적이었다. 다섯째, 역할놀이 과정 안에서 나타나는 집단 역동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역할놀이를 어려워하였고, 자신의 역할에 대해 언어와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을 힘들어하였으며, 집단원에게 부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하였다. 그러나 워밍업과 역할놀이의 이중자아기법을 통해 아동들이 집단 안에서 정서적 안정감을 얻게 되면서 조금씩 역할에 대한 표현도 나타나고, 역할전환기법을 통해 타인을 배려하는 말이나 행동이 나타나게 되었다. 종결단계에서는 자연스럽게 역할분배를 하며 서로 토의하고 타협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었으며, 그 과정 안에서 자신감을 갖고 행동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역할놀이는 시설아동의 우울, 공격성, 주의산만행동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개별 아동의 전반적인 행동변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역할놀이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우울, 공격성, 주의산만행동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시설아동의 상담과 치료, 인성교육을 위한 심리적 지원체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표집에 한계가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아동들에게 역할놀이를 실시하는 동안 시설이나 학교 상황에서 발생하는 변수를 통제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