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自願奉仕 參與者 活動滿足度의 影響要因에 관한 硏究 : 서울特別市 中浪區를 中心으로

        박정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Korea, due to the legislation of Framework Act 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 2005, it has raised the awareness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 lot compared to the past, but still i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To meet the social problems effectively, it is important various systems or policies of the governmen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many volunteers and civic grou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method that existing volunteers would work continuously and to suggest a way to help developing programs or giving better treatments to volunteers by analyzing influence factors of activity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t was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residents who do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round Jungnang-gu, Seoul. The total 178 questionnaire were used as analysis data an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as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hypothe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the average activity satisfaction of volunteer service was appeared 3.87. The average about family support belonged to relationship factors was appeared 2.46, the average about familiarity was 3.69 and the averag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officer in charge was 3.39. As for the period participated in volunteer service belonged to participation factors, it was appeared less than 12 months was the highest and it was appeared whether forming group or not individual 72 people and group 106 people, and the average about participation motive was appeared 4.16. The average about work awareness belonged to factors related to work was appeared 3.56 and the average about work propriety was 3.73. Second, as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mily support was appeared significantly to comprehend influence factor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activity satisfaction of volunteer service establish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refore, the study hypothesis was selected for the family support of relationship factors has influence on activity satisfaction of volunteer service. Other independent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 they were dismissed. As for the factor which showed the most powerful influence on utilizing satisfaction of volunteer service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was appeared family support of relationship factors. And then it was appeared in the order of work propriety of factors related to work, participation period and participation motive of participation factor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organize the system to support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he ordinance to support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was legislated by most of local governments but the support for volunteers are nonexistent due to budgetary deficit, and difficulties of calculating support fund and people to be supported etc. For this, the financial aid for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be preceded. Second, it is required to place experts and educate to foster experts at volunteer service centers of each borough. Currently, at the volunteer service center of each borough, administrative workers are working mostly, so there is a limit to develop professional programs. The propriety and awareness of works are the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beginning to develop programs, so there is a need to apply more systematic management technique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to develop programs.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required to place experts and to educate to foster experts at the volunteer service centers that manage and operate this. Third, it is required to improve educational program for volunteers. As the volunteers would do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part from the education for the volunteers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performed autonomously in each borough, the management of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required by making manual for volunteer service by subdividing curriculum according to field specialties and activity features of education for the volunteers from the aspect of the government. Fourth,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volunteer service programs. It need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such as attracting attentions of family by developing service programs with family members, and discovering groups which forms a bond of sympathy such as hobbies or interests to increase familiarity with colleagues, and grafting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with hobbies etc. Fifth, it should be revitalized volunteer service due to connection with companies. Companies would be connected with volunteer service organizations, and it is possible to revitalize volunteer service due to the method the company would expense require expenses or funds whenever volunteer service organizations would do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t is possible constant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for companies could promote images of companies and volunteer service organizations could relieve burden to spend basic expenses and the local government would have an effect to expand the insufficient budget. 우리나라는 2005년도에 자원봉사활동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이 예전에 비해 많이 높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선진국의 수준과 비교해 볼 때 부족한 부분이 존재한다. 사회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가기 위해서는 정부의 다양한 제도나 정책이 중요하고 많은 자원봉사자들과 시민단체들이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 참여자의 활동 만족도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기존의 자원봉사자에게는 지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자원봉사자의 처우개선 또는 프로그램 등을 계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서울특별시 중랑구를 중심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 총 178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결과, 자원봉사 활동만족도는 평균 3.87로 나타났다. 관계 요인에 속한 가족의 지지에 관한 평균은 2.46, 친밀도에 관한 평균은 3.69, 담당직원과의 관계에 관한 평균은 3.39로 나타났다. 참여 요인에 속한 자원봉사 참여기간은 12개월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룹형성 여부는 개별 72명, 그룹 106명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동기에 관한 평균은 4.16으로 나타났다. 업무관련 요인에 속한 업무인식도에 관한 평균은 3.56, 업무적절성에 관한 평균은 3.73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로 설정한 자원봉사 활동만족도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영향요인을 파악함에 있어 가족의 지지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관계요인의 가족의 지지가 자원봉사 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연구가설이 채택되었다. 다른 독립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기각되었다. 종속변수인 자원봉사 활용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인 요인으로는 관계 요인의 가족의 지지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업무관련 요인의 업무적절성, 참여요인의 참여기간, 참여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지니고 있는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지원을 위한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 자원봉사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는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되어 있으나, 자원봉사자에 대한 지원은 예산 부족, 지원 대상과 지원 금액 산정 등의 어려움으로 전무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 정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 지원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자치구 자원봉사센터 전문가 배치 및 양성교육이 필요하다. 현재 각 자치구의 자원봉사센터에는 대부분 행정직 직원이 근무하고 있어, 전문가적인 프로그램 계발에는 한계가 있다. 업무의 적절성과 인식도는 프로그램을 계발할 때부터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프로그램 계발 전 과정에 걸쳐 보다 체계적인 관리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관리운영하고 있는 자원봉사 센터의 전문가 배치와 전문가 양성 교육이 필요한 이유이다. 셋째, 자원봉사자 교육 프로그램 개선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 활동을 함에 있어, 자치구에서 자율적으로 시행하는 지역특성에 맞는 자원봉사자 교육과는 별도로 정부 차원에서 자원봉사자 교육을 분야별 전문성, 활동 성질별로 교육과정을 세분화하여 자원봉사 매뉴얼을 제작,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자원봉사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다. 자원봉사센터에서는 가족과 함께 하는 봉사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가족의 관심을 이끌어 내고, 동료와의 친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취미나 관심사 등 공감대가 형성되는 그룹을 발굴, 취미활동과 자원봉사활동을 접목하는 등 다양한 프로그램 계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기업과의 연계로 자원봉사를 활성화해야 한다. 기업과 자원봉사 단체를 연계하여 자원봉사 단체가 자원봉사 활동을 할 때마다 기업은 소요되는 경비나 기금을 지출하는 방안으로 자원봉사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은 기업 이미지 제고를 할 수 있고 자원봉사 단체는 기본 경비를 지출해야 하는 부담감 해소로 지속적인 자원봉사 활동이 가능할 것이며, 지방자치단체는 부족한 예산을 확충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미용관련 직업훈련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광주시 지역을 중심으로

        박정란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미용관련 직업훈련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란 지도교수: 김춘득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용업의 교육훈련은 교육훈련에 대한 인식부족과 실시 체계상의 미비 그리고 교육훈련 업무를 수행할 조직과 인력 및 예산지원 등 교육훈련 제도상에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어 직업교육기관이 제공하는 교육서비스를 교강사, 교육내용, 교육방법, 시설장비, 취업지원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류하고, 서로 어떤 요인에 의해 교육생의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직업교육기관에서 제공한 교육서비스가 타인추천의도와의 전체적인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0대 이상의 고용노동부 미용관련 직업훈련 참가자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3월 14일부터 4월 14일 까지 자기기입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무응답자료를 제외하고 28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육내용 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생 만족도는 .435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방법 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생 만족도는 .261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시설장비 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생 만족도는 .125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취업지원 만족도가 높아지면 교육생 만족도는 .109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생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관련 직업훈련 교육프로그램의 하위요인별 교육내용, 교육방법, 시설장비, 취업지원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2. 교강사, 교육내용, 시설장비, 취업지원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즉, 취업지원 만족도가 높아지면 추천의도는 .260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강사 만족도가 높아지면 추천의도는 .219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교육내용 만족도가 높아지면 추천의도는 .199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시설장비 만족도가 높아지면 추천의도는 .187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천의도 향상을 위해서는 미용관련 직업훈련 교육프로그램의 하위요인별 교강사, 교육내용, 시설장비, 취업지원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3. 교육생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교육생 만족도가 높아지면 추천의도는 .677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천의도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생 만족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직업훈련교육프로그램과 교육생만족도 및 추천의도, 일반적 특성 및 이용특성에 대한 정보의 제공과 함께, 무엇보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인 직업훈련교육프로그램이 교육생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생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직업훈련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육생만족도 및 추천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생이 직업훈련기관을 찾는 기본적인 목적은 교육 후 취업을 통해 보다 더 낳은 삶을 제공 받기 위함이고, 이러한 기본적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질 좋은 교육프로그램을 제공 받는 것이다. 결국 미용관련 직업훈련 기관에서 가장 중요시 할 것은 체계적인 직업교육훈련 요인을 찾아서 전문인으로서의 자긍심을 찾게 하여야 하며, 특히 기술적, 기능적 역량개발과 미용인으로서의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정보를 제공하려는 연구의 목적이 있다.

      • 가상현실 기반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별과 학습양식에 따른 공간능력의 차이 분석

        박정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인 성별과 학습양식에 따라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업에서 공간능력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공간능력과 관련된 학습자의 특성이 가상현실을 활용한 학습에서 어떻게 고려되고 반영되어야 하는지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Ⅰ> 가상현실 기반의 학습에서 공간능력은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Ⅱ> 가상현실 기반의 학습에서 공간능력은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Ⅲ> 가상현실 기반의 학습에서 공간능력은 학습자의 성별과 학습양식의 차이에 따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천안시 소재 C초등학교 6학년 256명을 대상으로 학습양식검사를 실시하였고, 응답률이 양호하고 학습양식의 구분이 명확한 149명을 선정하여 적응자 42명, 분산자 31명, 융합자 37명, 수렴자 39명의 학습 집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지는 Kolb의 학습양식 검사를 초등학생에 맞게 번역한 것과 초등교사와 교육 공학자에 의해 검증된 공간능력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학습 환경은 가상현실 세계인 Second Life를 활용하였고, 학습 프로그램은 공간능력 학습에 필요한 구체물을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학습내용은 제 7차 교육과정 수학과 공간감각단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을 참고로 하여 2차원 회전, 3차원 회전, 반사, 블록의 수, 입체 찾기, 패턴으로 도형 유추하기를 학년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실험 결과는 사후검사와 사전검사의 차이를 이원변량분석을 하여 학습효과를 검증하였다. 위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은 기각되었다. 즉, 가상현실 기반 학습에서 공간능력은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F=.000, p>.05). 이것은 가상현실 기반 학습에서 남녀간의 공간능력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2. <가설 2>는 긍정되었다. 즉, 가상현실 기반 학습에서 공간능력은 학습양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것은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공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공간능력 학습은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3. <가설 3>은 긍정되었다. 즉, 가상현실 기반 학습에서 공간능력은 성별과 학습양식의 상호작용에 따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0.647, p<.05). 이것은 성별에서 나타나지 않던 차이가 학습양식과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가상현실 기반 공간능력 학습에서는 학습자의 특징이 반영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한 공간능력 학습은 학습양식에 따라, 성별과 학습양식의 상호작용에 따라 학습효과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가상현실 기반 학습에 적응적인 학습자가 있음을 의미하며, 가상현실 기반 공간능력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 특성이 반영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성별의 경우 사전 사후검사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가상현실 기반 학습에서도 남녀간 공간능력의 차이가 좁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가상현실 기반 공간능력의 연구에서는 성별뿐만 아니라 성별과 함께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다른 특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different spatial ability according to learning style and gender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formulated : 〈Hypothesis 1〉The space ability there will b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learner gender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Hypothesis 2〉The space ability there will be the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learning style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Hypothesis 3〉The space ability there will be the meaningful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learning style and gender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To verify the above hypothesis, I composed 42 accommodator, 31 diverger, 37 assimilator, 39 converger among 149 six grade through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in C-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and ability test paper that verifi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education technology scholar and translated so as to meet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 were used for this study. Learning program used experiment disposition that produced embodied thing need to learning in virtual reality program, Second Life. The learning contents are things reconstructed to meet school year 2 dimensions of rotation, 3 dimensions of rotation, reflecting, a number of block, a solid searching, analogizing a diagram with pattern refer to mathematical spatial sense in the seventh educational process. The experiment results verify learning effects applied two way anova as null factor in difference between advance and after inspection. The results that verified the above hypothesis are as follows : 1. Hypothesis 1 was not accepted. That is, the space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learner gender(F=.000, p>.05). this mean results that there is no difference spatial abi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2. Hypothesis 2 was accepted. That is, in the space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learning style(p<.05). this mean that spatial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have to consider learning style. 3. Hypothesis 3 was accepted. That is, in the space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there are meaningful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learner gender and style(F=.40.647, p<.05). This results mean that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re reflected in the space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so that the difference that this did not appear at gender appears at relation with an education form.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re are influences on leaning effects according to learning style, gender and interaction of learning in the spatial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This results mean there are learners who adopted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and it must be reflected design learne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aise an effect space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The fact that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test in case of gender reveals that gender difference of space ability is getting narrower more and more. Therefore, the study of space ability in virtual reality based learning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hat learner's other characteristic influenced gender as well as gender.

      •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조손가정 아동의 우울감 감소와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정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depression and self-respect of four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ourth year students raised by grandparent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Ganggyeong-eup, Nonsan-gun where there are mor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an any other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nam-do. The students raised by grandparents were eight children, who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4) and control group(4).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bibliotherapy, and the ones of control group were provided no measure.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third week of July, 2008 to the second week of Oct, 2008, and 13 sessions were held in total (90 minutes per each session). Based on the specific stages of bibliotherapy which Bath Doll & Caroll Doll (1997) suggested, bibliotherapy program was reconfigur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by this researcher. As for the literary works used at each session, the ones which were proper for the subject were selected, referring to the standard for selecting the materials of bibliotherapy(Hynes & Hynes-Berry, Kim Hyeon Hee 2003). The questions in the program were organiz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bibliotherapy, the principle of identification -catharsis-insight. As for the test of self-respect in this study, the scale which Choi Bo Ga and Jeon Gwi Yeon(1993) made by reorganizing the scale of Coopersmith(1967) and Pope, Mcchaie & Craighead(1998) was adapted and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r the measurement of depression, Korean type depression scale for children was used, which Han Yu Jin(1993) adapted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CDI), which was developed by Kovacs & Beck(1997), for the situation of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t-Test of pre- and post-test o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ults of the change of children observ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it was indicated that bibliotherapy program was statistically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the depression of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s a result of pre-and post-test of depression, it was certified that depression continued to increase significantly in control group during posttest, compared with pretest, however, it was reduced a little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econd, it was indicated that bibliotherapy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the self-respect of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As for the sub-sections of self-respect, the general self slightly dropped in control group,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and it slightly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oth groups. As for family self, it improved in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however, it didn't significantly change in posttest compared with pretest. That's why there was a limit to the short bibliotherapy program in changing family environment which was connected with other family members. As for the social self, it dropped significantly in control group, and improved significantly in experimental group. The significant result of experimental group was that during the program, childr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group relation in the activities that they open their heart, understand, and sympathize one another. So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the biggest effect in the social self. In school self, experimental group slightly improv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both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chool self improved in both groups regardless of bibliotherapy program.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as the sub-sections of self-respect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 over all,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ibliotherapy was effective on experimental group. Third, it was certified that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children raised by grandparents, that is, their depression was reduced and self-respect improved with the program.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ere given good modeling by the main character of books through bibliotherapy program as well as by their friends who were participating in it. The child whose self-respect was low recovered his or her self-confidence by being motivated by his or her friends whose one was high. Through this process,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gave and received much effect from sociality, such as the peer group relations. Also, there was the effect that the child whose depressive emotion was high showed the reduction of depression by reducing the psychological burden with the consolation from his friends whose environment is similar to his or hers.

      • 專門大學 齒衛生科 學生의 專攻科 및 臨床實習에 대한 態度

        박정란 慶北大學校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과 및 임상실습에 관한 만족도 및 전반적인 태도를 조사하여 임상실습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국 10개교 치위생과 2학년 2학기에 재학중인 학생 717명을 대상으로 1990년12월 한달동안 설문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치위생과 선택동기는 경제적 여건 및 취업률을 고려한 학생이35.6%로 가장 많았고, 전공과에 대한 만족도는 12.7%로 낮은 편이었다. 졸업후 진로에 대해서는 55.0%가 심각하게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졸업후 취업 희망 분야는 보건기관이 42.3%로 가장 높았다. 대상자의 93.7%가 공중구강보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61.1%는 공중구강 보건을 위해 지역사회내에서 일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고,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25.1%로 비교적 낮았다. 대상학생의 54.6%만이 임상실습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임상실습평가에 대해서는 31.2%만이 만족하다고 하였으며, 40.6%만이 임상실습시 최선을 다했다고 하였다. 이러한 임상실습과 관련된 사항은 실습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는데, 보건기관에서 실습한 학생에서 긍정적인 대답이 많았던 반면, 대학병원에서 실습한 학생에서는 부정적인 대답이 많았다. 학생이 임상실습 장소에서 경험하는 불만요인을 조사해 본 결과, 환경적 불만요인에서는 새로운 상황의 직면이 43.9%, 대인관계 불만요인에서는 치과의사와의 관계미숙이 54.5%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역할분야 불만요인에서는 실습생이 임상실습 장소에서 단순한 기능적인 일만 반복하기 때문이 62.1%로 가장 높았고, 치위생 행위분야의 불만요인에서는 업무수행시 전문적 기술의 부족함을 학생 스스로 느낀다가 57.4%로 가장 놓았다. 이 불만요인들은 실습장소에 따라서 큰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대학병원 실습생은 실습학생에 대한 인식부족, 선배치과위생사와의 관계미숙, 학생자신의 역할이 모호한 점을 불만요인으로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학생들은 전공과 선택시부터 충분히 진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입학후에는 전공과에 대한 적극적인 자세와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학과차원에서 전공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등 을 명확히 설정 지도해야 할 것 이며, 임상실습에 대하여서는 실습지별로 특성을 파악하여 세밀한 사전계획과 운영방안을 지속적으로 연구 검토하여 학생들의 임상실습 만족도를 높이고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각 학교의 임상실습방법 및 내용의 조정도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know basic matters of students needed for curriculum o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nd also to provide reform measure on clinical training curriculum of them. At ten Junior college 717 sophomores o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 about attitude on their department of special study and clinical practice during the month of december 1990.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major motive for choice o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as 'consideration of economic condition and the probability of employment'(35.6%).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ir department of special study was low as 12.7%. 55% of students surveyed answered that they had thought about couse after graduation seriously and 42.3% of students hoped to work at health facilities after graduation. 93.7% of students surveyed recognized need of public oral health, 61.1% answered that they had an intention to work in community for public oral health. Degree of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was relatively low as 25.1%. Major discontent factors experienced by students at clinical practice place by fields were 'face of new environment in field of environmental discontent factors', 'poor association with dentists in field of personnal relationship', 'repetition of simple and mechanical work in field of role', 'shortage of professional skill in field of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In consideration of above findings, future course must be considered from choice of department of special study, after entrance into a school, professionals of department of special study must lead students with well-defined goal and content of education in order that students have active attitude about subject of special study and for clinical practice, close prearranged plan and managerial program for efficient and desirable education must be studied continuously to promote degree of student's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 연구

        박정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job problem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is a core actor for th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Reflecting that, unlike male new residence seekers, the female counterparts are experiencing a job ceiling as ‘women’ in South Korea as well as North Korea. The job problem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is required to be analyzed apart from men’s cas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job problem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First of all, this study expands and systematizes work value concepts and divides the sub-categories of work values into two: intrinsic work values and extrinsic work values. The existing researches invest jobs with just instrumental values or extrinsic work values because they regard jobs only as a tool to pursue after economic resources and/or power, making much of individualism and social recognition. In contrast, this study expands extrinsic work values and adds intrinsic work values to them, considering jobs as a means to realize workers’ aptitude and interest, display their abilities, contribute to their society, develop human relations, persue after their ideal, and develop and express themselves. This study approaches the context of the life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coming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from a value-centered perspective, with a view to determin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maladjustment the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encounter in relation to their jobs. The existing researches take only not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ho suffer difficulties in ‘selecting’ their career after fleeing from North Korea’s socialist economic system to lead a life in South Korea. In this lin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s into the said difficulties and attempts to make a detailed analysis of them. South Koreans are concerned that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from North Korea encounter a sudden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in South Korea and feel uneasy about the orientation of work values and the instability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t calls for a deep analysis of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from North Korea are faced with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a cultural and technological investigation,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is employed since its rationale is consistent with that of a contextual approach and that it is useful fo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is aimed to contextually approach the experienc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after fleeing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thereafter; determine a trend in the chang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ork values and the details, types and reasons for the change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work value types shown dur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ontextual approach is applied to research into a change in the work valu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ho have fled from North Korea to enter South Korea via a third country. The approach shows that a change in the work values of the seekers results from interactions with changes in their living environment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Moreover, the interactions are developed between the reasons for & the background of changes in work values, between work values, and between the reasons for & the background of changes and work values. Work values are intensified or weakened while they are interacted with the changes in their living environment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Below described is a more detailed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on all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As for the continuances of work values, those who pursued after intrinsic work values in North Korea are inclined to do the same in South Korea as well, and so are those who pursued after extrinsic work values in North Korea. As for the changes in work values which can be discussed in sub-categories of work values, it is analyzed that the seekers do not any more pursue ardently after intrinsic or extrinsic work values as they did in North Korea but they seek after various work values. In particular, all the sampled cases demonstrate that the seekers make more of extrinsic work values than intrinsic ones after entering South Korea. Depth interviews with the seekers show that a diversity of their value orientation after they entered South Korea clouds the clarity of their work values, brings about disorder and inconsistency due to mixed work value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has negative features. Next, the reasons for and the background of the changes in work values of the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include the process of their political socialization in North Korea, a deepened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school education in North Korea, capitalism they tasted in North Korea and a third country, information on the South Korean society, work experiences in North Korea and a third country and South Korea, social service experiences in South Korea, recognition of the South Korean society, discrimination, inferiority, and antagonism felt by them as a refuge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ntensification of family ties they experience after entering South Korea, uncertainty about aged people’ declining years, and a career aptitude test they went through after entering South Korea. Depending upon the continuance of or changes in work values sub- categories which are predominantly interac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ork values typ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The following 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comprises career motivation step, career preparation step, career decision step, and feedback step.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first type or the sustainable self-ability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positive achievement motives, 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adjustable career decision. The second type or the changeable stability pursuing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negative achievement motives, im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self-abased career decision. The third type or the changeable self-ability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negative achievement motives, im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evasive career decision. The fourth type or the sustainable economy- preferred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positive achievement motives, im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roundabout career decision. This study finds that three step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or each of the types are interconnected, and the seekers’ career is decided and made a success or a failur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and preparation of their career. In addition to superior work values for each of the types, other work values emerge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n particular, those who made much of the values recognized by the North Korean society take a negative attitude against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n South Korea. It calls for counsels on careers to be given to them with care. Analyzing which effect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of the seekers ha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t is revealed that motivation for career achievements have been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and from ‘family-oriented’ to ‘career-oriented’ and career obstacles changed from ‘evasion and reduction’ to ‘arbitration and gyration.’ Analyzing which effect the seekers’ pursuance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ha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t is revealed that career preparation has been changed from ‘mature’ to ‘immature,’ career expectation level changed from ‘fixed’ to ‘adjustable,’ and job duties from ‘unsatisfactory’ to ‘satisfactor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its conclusion is stated as suggestions for career guidelines to be given to the aforesaid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여성 새터민의 직업문제는 남한 사회 적응에 있어 핵심적 부분이며, 남성 새터민과 비교 시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여성’으로서 갖는 진로장벽(job ceiling)을 경험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여성 새터민의 직업문제는 남성과 별도의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새터민의 직업문제로 연구 내용을 국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직업가치 개념의 확대 및 체계화 - 직업가치 하위영역 구분은 우선 내재적 직업가치(intrinsic work values)와 외재적 직업가치(extrinsic work values)의 두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기존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 온 외재적 직업가치로서 경제적 도구, 권력추구, 개인주의와 사회인식 중시 등의 직업을 도구적 가치로 보는 측면 외에도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실현하여 자기능력을 발휘하고, 사회에 헌신하며,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이상을 추구하며 직업을 통하여 발전을 이루므로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직업 그 자체에 가치를 두는 내재적 직업가치 지향의 내용을 추가·확대 - 하고, 북한에서부터 남한에 이르기까지 여성 새터민의 삶을 맥락적으로 접근하여, 직업가치의 변화 및 지속의 흐름과 그 요인 및 배경을 분석하므로 여성 새터민들이 남한사회에서 겪고 있는 직업과 관련한 문제의 근본적 원인을 찾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직업가치 외에도 본 연구에서 다룰 내용인 진로의사결정과정은 여성 새터민들이 북한의 사회주의계획경제체제 하에서의 생활로 남한 입국 이후 ‘선택’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는 기존 연구의 지적에서 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여성 새터민들의 북한에서 남한이라는 급격한 사회구조 변화 경험은 직업가치 지향과 진로의사결정과정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맥락적 접근을 통해 여성 새터민들이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어떠한 변화와 지속을 나타내고 있는 가에 대한 심층적 분석은 그 의의가 크다 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사용된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문화기술적 연구는 맥락적 접근 논리와 일치점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의 변화와 지속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리라는 판단 하에 사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새터민들이 북한에서부터 탈북과정을 거쳐 남한에 입국한 이후까지 경험에 대한 맥락적 접근을 통해 여성 새터민들의 직업가치 변화 방향과 그 내용 및 요인, 유형을 밝히고 직업가치 유형별로 나타나는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락적 접근을 통한 여성 새터민의 북한과 제3국, 남한 입국이후의 직업가치 변화 연구 결과 여성 새터민들의 직업가치는 북한, 탈북 이후 제3국, 남한이라는 환경 및 구조 변화와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직업가치 변화의 요인 및 배경 간에, 직업가치 간에 나타나는 상호작용과 직업가치 요인 및 배경과 직업가치 간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으로 얽혀 있었으며, 직업가치는 북한과 제3국,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환경과 구조 변화 속에서 지속되기도, 변화되기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여성 새터민의 전체적인 직업가치 변화와 지속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직업가치의 지속은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하면서 북한에서 내재적 직업가치를 지향한 사례들은 내재적 직업가치, 북한에서 외재적 직업가치를 지향한 사례들은 외재적 직업가치를 지속하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직업가치의 변화는 직업가치 하위영역 수준에서 논의할 수 있는데, 북한에서 보다는 내재적, 외재적 직업가치의 뚜렷한 지향이 사라지고, 다양한 가치 지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특히 전체 사례들이 북한에서 보다 남한에 입국해서 내재적 직업가치 보다 외재적 직업가치를 중요시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심층면접 결과 남한 입국 이후의 가치 지향의 다양성은 오히려 직업가치의 명료성을 흐리고,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직업가치의 혼재로 인한 혼란과 일관성 결여를 초래하여, 부정적 측면을 내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북한에서부터 제3국 체류 기간,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여성 새터민들의 직업가치 변화 요인 및 배경에 대한 분석 결과, 우선 북한에서의 정치사회화 과정, 경제위기 심화, 학교 교육 등과 북한에서와 탈북 후 제3국에서 접한 자본주의 및 남한사회에 대한 정보, 북한과 제3국, 남한 각기에서의 직업경험, 남한 입국 이후의 요인 및 배경으로서 사회봉사경험, 남한 사회에 대한 인식, ‘탈북자’로서 느끼는 차별과 열등감·적대감, 가족주의의 강화, 중고령자들의 노후에 대한 불안감, 진로 적성검사 등이 제시될 수 있었다.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 유형은 진로의사결정과 우세적 상호작용을 하는 직업가치 하위영역의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지속과 변화 여부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 별로 나타나는 진로의사결정과정 즉, 진로동기단계, 진로구체화(준비)단계, 진로결정 및 피드백 단계에서의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유형인 지속적(sustainable) 자기능력가치 유형의 진로의사결정과정은 적극적 성취동기, 성숙한 진로준비, 조정적(adjustable) 진로결정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 유형인 가변적(changeable) 안정추구가치 유형은 소극적 성취동기, 미성숙한 진로준비, 축소적(self-abasement) 진로결정을 보이고 있었으며, 세 번째 유형인 가변적(changeable) 자기능력가치 유형은 소극적 성취동기, 미성숙한 진로준비, 회피적(evasive) 진로결정으로 나타났고, 네 번째, 지속적(sustainable) 경제우선가치 유형은 적극적 성취동기, 미성숙한 진로준비, 선회적(roundabout) 진로결정의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네 가지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진로의사결정과정의 세 단계는 상호 연결된 과정으로서 진로동기화와 진로준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따라 그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의 성패가 가름되는 맥락을 보이고 있었다. 각 유형별로 나타나는 우세적 직업가치 외에 혼재된 직업가치로 인한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특히 북한에서 사회인식중시가치를 중요시했던 사례들의 경우 남한 입국 이후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부정적 태도를 야기하고 있어 진로지도 시 유의를 요한다.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직업가치의 지속과 변화가 진로의사결정과정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보면, 성취동기의 ‘적극성’ 대 ‘소극성’, ‘진로지향’ 대 ‘가정지향’, 진로장벽의 ‘조정·선회’ 대 ‘회피·축소’의 차이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내·외재적 직업가치지향의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함의는 진로준비의 ‘성숙’ 대 ‘미성숙’, 진로기대수준의 ‘조정’ 대 ‘고정’, 직무 ‘만족’ 대 ‘불만족’의 차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여성 새터민 진로지도를 위한 제언을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 회화에 나타난 '파토스적인 이미지' 표현연구

        박정란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가는 대상의 실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그 이면의 본질에 항상 눈을 뜨고 있어야 한다. 즉 대상의 본질적인 기원에 대해서 아니면 그것의 생명력에 대해서 또는 그것의 새로운 면모에 대해서 항상 관심을 기울여야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예술가는 그 실상의 숨결을 느끼고 작품에 반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예술의 언어는 영혼이며 이것은 다시 한 인간을 통해서 새롭게 형상화된다. 삶을 관조하는 예술가의 특별한 시선이란, 새로운 미의식, 고정관념의 파괴, 일상으로부터의 창의적인 재발견 등 예술가는 이러한 작업을 수도 없이 해왔고 고뇌하며 살아간다. 현대 생활을 이루고 있는 정서나 윤리, 의상, 유행 등에 대해서 지나쳐 버리기 쉬운 순간 및 영원한 모든 암시에 자신을 집중할 수 있는 것이 예술가의 특권이고 지금까지의 지배적인 문화의 흐름을 재해석하고 다시 창조하는 것이 문명이나 문화를 이루는 힘이 되었다. 문화사적으로 인간은 부단히 죽음이나 생명으로서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관찰해 왔고, 삶의 이해는 삶이 죽음을 통해 사라지기를 바라는 잔인하고 환원적이며 그리고 이미 악마적인 지식에서만 가능해진다. 작품을 통해서 드러내는 본질은 근원적인 인간의 죽음과 에로티즘, 동물적 잔혹이 갖는 광기 등에 상징적인 힘의 표현의지를 담으려 했다. 신비하고 기이하면서도 생동감 있는 아름다움을 끌어내는 것이 본인작품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열정적이면서도 서글픈 어떤 것, 추측해 봐야할 여지가 남아있는 조금은 모호한 어떤 것이다. 조르쥬 바타이유(Georges Bataille,1897~1962 프랑스철학자)는 예술은 "치유되지 않는 상처에서 태동한다"고 했다. 본인에게 상처는 무의식의 상처, 운명의 상처, 진실의 상처, 현재의 상처이다. 개인은 가장 내부 깊숙한 속으로 파고 들어가 각자의 집단과 공유하는 심리적 메카니즘들을 넘고 명확하며 조직화된 사고를 초월하여 예술작품은 자기 존재의 기초 즉 무의식에서 자양분을 얻는다. 무의식적인 것에 관하여서는 인간 내면의 어떠한 연결고리가 개입되는데, 이 연결고리의 한 부분이 광기이다. 일반적으로 예술에서의 광기는 그 창조적 세계에 대한 과민한 열망과 혼동되어 사용되어 왔지만 이러한 열의 있는 창조적 작업이 작품을 만들어 내고 어떠한 한계를 넘어가기 위한 위험한 도구로 사용될지라도 우리는 끊이지 않고 이러한 것들에 유혹을 받아왔다. 일부 이름 있는 예술인의 광기는 그의 천재성과 결부되어 일류에게 희망적 메시지를 보여주었지만, 그렇다고 광기자체를 천재성과 연관시키는 것은 집합적 구성관계를 잘못 보는 것이다. 정상인의 광기는 일부에게는 비정상적인 행태에 지나지 않는다고 매도되기 마련이다. 광기의 도전에는 역사적으로 무의식이라는 가정에 의하여 대답하여졌다. 무의식이란 비-의미에까지 확장된 의미의 시스템 속에서 광기를 (그리고 더욱 일반적으로 모든 이상하고 비정상적인 것을) 생각하도록 허용해 주는 상징 논리적인 장치이다. 이 논리적 장치는 의미로 해결 안되던, 미친것에 대한 공포에서 즉, 차후로 심리현상, 충동, 억압 등의 담론으로 이해된 공포들에서 자신의 자리를 만들 것이다. 존재론은 '나는 사유한다'의 우선 성을 건너뛰어서 '음울한 메카니즘, 얼굴 없는 결정, 어두운 그림자의 전지평'을 탐색하도록 추구한다. 이 희미하고 어두운 밤의 영역을 가로질러서 사드와 고야에서와 마찬가지로 푸코(Michel Foucault,1926~1984,프랑스철학자)에서도 만연하였다. 이것들은 대개 어둠의 이미지이다. 그렇다고 본인의 탐색이 어두움에 있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밝고 찬란함을 강조하는 면이 다분하다. '밝은 면에서의 광기' 이것은 생경하게 느껴질지 모른다. 그러나 본인이 인식하는 광기는 위에서 언급한 광기의 메카니즘 측면에서의 차용이지 어떤 이론에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본연구의 관심에 표면적인 선상에서의 과제는 무의식에 생기는 공간적 의미들 성욕, 잔혹, 폭력, 광기 등 디스토피아적인 반항에 대한 공포에 기인한 것이다. 무의식과 내재된 욕망은 인간의 원초적인 내재적 본능으로 인식하고, 이것을 본인의 작품에서 혼돈적 기호와 상징의 코드로 표현을 하는 것이다. 즉, 생명력의 강한 생동감을 잃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연구의 의의와 작품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가 되는 것이다. 그것은 또한 내 안에 존재하는 어떤 광인의 발상으로 불안과 공포로 변형되며 그것은 이질적인 낯설음이다. 나의 욕망은 나와 나 아닌 것을 구별하는 경계를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공포에서 시작한다. 비 존재와 환상이 기거하는 여성적 그로테스크로 어둡고 물질적인 동물적 이미지와 메두사와 같이 고대 여성이미지로 기이하고 애매함을 옹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외부적인 것이 아닌 삶의 본질 속에 잠재하고 있는 자아의 이미지 속으로 더 나아가 인간의 내부 깊숙이 들어가 인간 영혼의 최악의 것, 더러움, 사악함, 죽음, 부패의 이미지를 끌어내 보여주는 것이다. 그것은 정신적인 외상의 경험과 내적 반응의 표출로써 이미지를 형상화시키고 내부세계를 상징화된 조형언어로 가시화 시키는 데에 있다. Artists will form a new view on aestheticism, break away from fixed conception and rediscover daily routines with the help of special insight. They have a privilege to focus on fleeting moments such as feelings, ethics, clothes and fashion and all the permanent clues. Their activities have been concerned with the reinterpretation and recreation of the trends of dominant culture or civilization. Culturally speaking, man has continued to observe death or life. On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life through the wicked knowledge of life disappearing through death in a circular and cruel fashion. The researcher tried to express the death of human beings, eroticism, and craziness like animals as symbolic motifs. The researcher sought to draw out beauty which is mysterious, extraordinary and vigorous. It is concerned with something energetic, sad and ambiguous. Georges Bataille(1897~1962 French philosopher) said, "Art is born from wounds unable to be healed." The wounds to the researcher are connected with the unconscious, fate, the truth and the present. An individual goes into the deepest part of the inner world and goes beyo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he or she shares with his or her group and transcends clear and structured thoughts so that artistic works thrive on the unconscious, or the baseline of his or her being. The unconscious is linked with a certain thing in the human mind, which is insanity. The challenges of craziness were historically answered by the unconscious. The unconscious serves as a symbolic logical device allowing us to think of madness. This local device makes its own room from fear of things which one cannot understand, fear of insanity, psychological phenomenon, impulse and repression etc. Ontology seeks to go beyond the castle 'I think' and to look for grim mechanism, faceless things, and the whole horizon of dark shadows. Marquis do Sade, Goya and Michel Fourcault(1926~1984; French philosopher) depended on the world of dim and dark night. After all, these are the images of darkness. The researcher is interested in fears based on such distopia resistance as sexual impulse, cruelty and insanity coming from the unconscious. As the unconscious and inner desires are regarded as human instincts, which are expressed with chaotic signs and symbolic codes. Wha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work is not to lose the vitality of living force. It is also the flow of unconsciousness in me, which is converted into anxiety and fear, or alien strangeness. My desire comes from fear toward what is not known between me and things that are not I. They are feminine grotesque where nonexistence and fantasy reside, advocating things absurd and ambiguous and being related to dark, material and animal-like images and Medusa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out and display the images of the worst of the human spirit, things dirty and wicked, death and corruption by getting deep into the images of the self and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s immanent in the essence of life.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visualize the inner world with symbolic and formative language by expressing the experience of mental trauma and inner response.

      • 농인의 수화사용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정란 평택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농인이 일상생활을 수화라는 언어를 통해 경험한 삶과 경험과정을 알아보고 그 속에서 수화사용경험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지를 총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수화라는 언어의 의사소통방법은 농인사회와 청인사회라는 이중문화속에서 상호인정을 동시에 구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농인의 개인사, 서사적 설명, 은유, 민속적 지식 등을 통해 의미가 담긴 이야기를 구체화하고, 사회문화적 경험을 내러티브(narratives) 방법으로 가족, 수화통역센터, 학교, 직장 등 지역사회 안에서 상호작용하는 농인의 수화 경험을 살펴보았다. 농인이 청인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체계들 가운데에서 문화적 갈등, 타협적인 과정을 어떻게 교류하며 상호 변화하는 가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농인의 수화이용 경험은 어떠한가?’, ‘농인의 수화이용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하는 연구문제를 고찰하여 봄으로써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켜줄 연구논리로 사회체계이론을 제시하고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채택하였다. 내러티브 연구방법은 참여자의 개인적인 경험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가장 좋은 방법으로 무엇이 사실인지 발견하고자 하는 탐색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충족시켜 줄 참여자 선정은 연구의 충분성과 적합성의 조건을 갖춘 4명의 농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8년 9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문헌고찰, 심층 면담, 관찰, 현장노트, 연구일지, 연구자와 주고받은 메일, 참여자의 저술, 인터넷자료, 관련 영화나 수화 단어 그림, 시, 영상물 등을 포함하였다. 면담은 연구자가 직접 수화로 인터뷰하였으며 참여자에게 미리 동의서를 얻었다. 면담 과정을 캠코더로 촬영한 다음 필름을 다시 CD로 제작하여 수화를 한국어로 번역한 후 바로 녹취작업을 하였다. 분석과정은 연구 참여자 각 이야기를 연구문제에 초점을 두고 의미를 찾기 위해 분석과 해석이 반복되는 과정을 거쳤다. 농인의 수화사용경험에 관한 이야기는 수화사용 전 경험, 수화사용 후 경험, 수화통역서비스 경험으로 구분하여 수화의 의미와 수화사용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수화사용 전 <가>씨는 <말(구화)을 강요받음>, <놀림받음>, <청인만남의 거부감과 두려움>을 경험했고, 수화사용 후 <가>씨의 경험은 <시원한 대화를 표현하게 됨>, <엄마를 변화시킴>, <생활이 재미있어짐>으로 나타났다. <가>씨에게 수화통역서비스는 <서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 구심점>, <청인사회 속에서 자신감이 생김>, <통역사의 능력에 따라 세상이 바뀜>으로 경험되었다. 그래서 <가>씨는 수화의 의미를 <사회와의 연결고리>라고 정의하였다. 수화사용 전 <나>씨의 경험은 <가족에게서 외로움을 느낌>, <구화 강요받음>, <자신의 무기력함을 느낌>이었고, 수화사용 후 <나>씨의 경험은 <시원하고 후련한 대화를 함>, <수화로 청인 자녀 키우기>, <청각장애통역사가 됨>이었다. <나>씨에게 수화통역 서비스 경험은 <자녀통역 과중함>, <능력에 따른 수화통역서비스>, <농인에게 맞춰주는 수화통역서비스>로 경험되어졌다. 그래서 <나>씨는 수화의 의미를 <유일한 의사소통 통로>라고 정의하였다. <다>는 농 가족으로 구성된 선천성 농 아동으로 출생하여 수화사용전의 경험이 없었다. 수화사용 후 <다>씨는 수화가 학습이 아닌 <습득되어진 언어임>, <수화 안에서의 가족의 화목함>을 경험하였으며, <다>씨에게 수화는 <농인의 자존심으로 다가옴>이었다. <다>씨에게 수화통역서비스는 통역사의 수화실력이 부족한 관계로 <의미전달 어려움>, <한계로 와 닿음>이었다. 하지만 수화통역서비스는 <생활을 여는 키(key)와 같음>이기도 하였다. <다>씨는 수화의 의미를 <농인의 언어적 권리>라고 정의하였다. 수화사용 전 <라>씨는 가족과 수화로 대화하지 못하고<Home Sign 대화>하였고, 다른 사람의 귀와 같은 모양이었으나 <들리지 않는 귀 발견>하였다.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주변상황을 늘 늦게 파악할 수 밖에 없었던 <라>씨는 <아무 생각 없이 따라다님>으로 경험하였다. 수화사용 후 <라>씨는 대화의 내용과 수업의 내용을 읽게 되어 <할 수 있다는 의미로 다가옴>이었고, 부인하고 싶었던 장애를 긍정적으로 <장애인임을 받아들임>으로, 꿈을 이룰 뿐만 아니라 사람<사는 맛을 느낌>을 경험하게 되었다. <라>씨는 수화통역서비스를 통해 <강의가 이해 됨>, <변화되어진 느낌>을 경험하였다. 또한 <라>씨는 <진실하고 겸손한 수화통역사>를 원하였다. <라>씨에게 수화의 의미는 <꼴등에서 일등으로 정체감을 찾음>으로 정의하였다. 참여자의 수화사용 경험의 이야기는 마치 참나무와 소나무가 서로 달리 자라다가 어느 날 가지가 맞닿아 한 나무로 변화한 ‘연리지’같은 은유적 의미로 도출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청인과의 문화적 차이로 경험하는 심리적으로, 사회적으로 당면하는 갈등과 도전에 대해 능동적으로 타협하며 수화를 통해 새롭게 변화를 만들어갔다. 농인과 청인이 수화로 상호 교류함으로 이중문화정체성을 만들어나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life and experience process through the sign language for the daily life of the Deaf and comprehensively search for the implication in the sign language using experience within. Communication method of language in sign language would be a way to bring out the mutual recognition simultaneously within the 2Bi in the Deaf society and the hearing-person society. Through the personal history of the Deaf, lyrical description, metaphor, and folk knowledge and others, the story with implications would be solidified, and the socio-cultural experience as the narratives method to search for the sign language experience of the Deaf with the mutual reaction within the local comunity, such as, family, sign language translation center, school, occupation and others. Under the social systems for the Deaf to live with the hearing-person, the attempt was made to find out how to communicate for the cultural conflict and compromising process, understand the mutually changed experience and find out the change of lives. By contemplating the research issues in ‘how about experiencing the sign language use of the Deaf?’ and ‘what is the implication of sign language use experience?’, detailed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 This researcher has presented the social system theory as the research theory to satis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nd adopted the narrative search method with the appropriate research method.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 is the best method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personal experience of participants that this search method would be to discover what would be the fact. Selection of the participants to satis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made for the subject of 4 Deafs having the requirements of sufficiency and adaptability of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2008 to November 2009, and it included the documentary contemplation, in-depth interview, observation, on-site notes, research daily, mail exchanged with researcher, description of participants, Internet data, relevant movie or sign language words and paintings, poems, video materials and others. Interview was made by the researcher with the personal use of sign language and the consent was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in advance. After filming the interview process with the camcorder and product the film in CD to translate the sign language into the Korean language with the recording work. The analysis process had the focus on the research issues for each story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went through the process to repeat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o find the implications. Stories on the sign language using experience of the Deaf were classified into experience before using sign language, experience after using sign language, and experience in s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to seek for the implication of sign language and sign language use experience. Prior to use the sign language, <A> experienced <demand for oral communication>, <poke fun at deaf>, and <fear of meeting the hearing-person and sense of denial>, and after using the sign language, experience of <A> was shown to be <express the feel relieved conversation>, <change mother>, and <living is more fun>. The s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to <A> was experienced for <turning point to understand better of each other(hearing-person)>, <confidence within the hearing-person community>, and <turning the world following the capability of interpreter>. Therefore, for <A>, the meaning of sign language was the <ring to the society>. Prior to use the sign language, <B> experienced <feeling of loneliness to family>, <demanded of oral communication>, and <feeling of lethargic self>, and after using the sign language, experience of <B> was shown to be <making fresh and pleasant conversation>, <growing the hearing-person children with sign language>, and <become the Deaf interpreter>, and the s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was on <excessiveness for children's interpretation>, <different capability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fit for the Deaf>.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B> was the <unique communication route>. <C> was born as the child born with the Deaf that is organized with the farming family without any experience of learning sign language before. After using the sign language, experience of <C> was shown to be <language acquired>, <harmony within use sign language>, and <approached as the pride of the Deaf>, and s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to <C> was to experience in <difficulty of conveying the implication>, <same as the key to open the life>, and <reached as the limit>.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sign language for <C> was the <linguistic right of the Deaf>. Prior to use the sign language, <D> experienced <Home sign dialog>, <discovery self to Deaf>, and <follow without thinking>, and after using the sign language, experience of <D> was shown to be <approached as the meaning to accomplish>, <accept the fact of the disabled>, and <feeling of how to live>. And, the sign language translation service to <D> was to experience in <understand the lecture>, <feeling to change>, and <wanting of genuine and humble sign language interpreter>. Therefore, the implication of sign language for <D> was the <find the identity from the last to the first>. Such stories of experiencing the sign language use of participants were formulated in metaphorical implication in ‘Yeon-ri-ji’ that has the oak tree and pine tree to live separately but met in one day to turn into a tree.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and challenge encountered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 due to the cultural difference of the Deaf and the hearing-person, it makes the compromise and change actively to make the mutual exchange of the Deaf and the hearing-person as it implicates the dynamic process made for new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