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방의회의원 개인적특성의 의정활동에 대한 영향력분석 -서울특별시의회를 중심으로(제6대~제8대)-

        박재민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1991년 지방자치가 부활되고, 2016년 현재까지 20년 넘게 시행되어 온 우리나라 지방자치는 세계화·정보화·지방화에 따라, 지방분권을 통한 지방자치제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그 어느 때 보다 더 중요한 시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지방자치가 한 단계 더 성숙하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장치와 환경적인 여건을 보완하는 부분도 필요하지만, 유권자인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관심과 정치지도자로 선출된 지방의원의 적극적 활동이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더 나아가 지방의원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지방의원의 개인적 특성과 관련된 성별·연령·학력·직업·소속정당·당선횟수인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의정활동(조례발의 건수·시정질문 건수·청원 건수의 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서울시의회(제6대~제8대) 의원 총32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방의원의 개인적 특성이 특히, 학력과 당선횟수가 의정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았다. 학력은 의정활동에 긍정적인 영향, 당선횟수는 의정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그 밖에 지방의원의 성별·연령·직업·소속정당은 의정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첫째, 당선된 지방의원 개인에게는 지속적인 연구 및 노력을 통해서 의정활동에 힘써야 함을, 둘째, 유권자인 지역주민들에게는 선거 시, 적극적으로 후보자를 분석하여 성별·직업·나이·소속정당에 상관없이 고학력의 열정을 가지고 의정활동을 열심히 할 수 있는 후보자에게 투표하여야 함을, 마지막으로,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에 대한 시민·사회단체의 지속적인 평가 및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만 본 연구는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과 관련하여 인성·성격 등 질적인 측면을 제외한 성별, 학력, 연령 등 양적인 측면에 치중하였고, 의정활동 평가 지표가 조례발의 건수, 시정질문 건수, 청원 건수 3가지로 한정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지방의원의 의정활동을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한 후 지방의원의 개인적 특성과 연계한 후속적인 연구가 나오길 기대해 본다. Since the resurgence of local autonomy system in 1991, it has been implemented for more than 20 years, and now it is the critical perio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of our country in compliance with the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localization age. To develop the local autonomy system to a higher level, it is necessary to redeem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trategy. Furthermore, the interest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the active performance of the member of a local council, who are elected by the local voters, are indispensable. Besides, the continuous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 of the local council should be conducted.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 of the Seoul Metropolitan Council on parliamentary activity is analyzed. The investig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from the 6th to 8th Council as independent variables are restricted to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own party, and elected terms, and the influence of these characteristics on the parliamentary activit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are the are studied in terms of the sum of proposed ordinances, policy questions, and petitions.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local council, academic background, and elected terms have a potential to influence on parliamentary activities. The higher academic backgrou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while the elected terms influence the activities negatively. In addition, it is proven that the othe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occupation, and own party have an insignificant effect. First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required for the member of a Local Council to endeavor to serve parliamentary activities by doing a continuous study and giving effort. Secondly, local community as local voters should actively analyze candidates regardless of gender, occupation, age, and own party, and should elect a member who have a higher academic background and who can perform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vigorously . Lastly, it indicates that local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hould keep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parliamentary activities of the member. These results are estimated selectively from the quantitative factors of gender, academic background, age, and others without including the qualitative factors, such as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 and the evaluation index for the parliamentary activity is limited to the three conditions: proposed ordinances, policy questions, and petitions. Therefore, to complement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evaluation indexes become more specified and objective, and the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exes of the member can be considered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factors on the parliamentary activity.

      • 고대 신라 향가 3首에 붙인 이준복의 가곡 분석

        박재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본문에서는 작곡가 이준복의 1단계 3작품, 2단계 2작품 및 ‘기능4도화성’이 완성 단계에 이르러 쓰여진 3단계 3작품에 대해 살펴보았다. 1단계 작품에는 조성의 틀에 4도 화성이 실험적으로 접목되어 작곡되어져있다. 1단계 3작품에서는 두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첫 번째 작품 ‘500년 도읍지를’은 조성의 틀에서 쓰여졌으며, 리듬의 변화와 박자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작품인 ‘청초 우거진 골에’는 조성의 틀 안에서 다양한 리듬과 잦은 변박의 사용과 불협음향이 많이 나타나는 복잡하고 자유스러운 형태가 보여졌다. 세 번째 작품인 ‘이화에 월백하고’는 다양한 리듬과 잦은 박자의 변화는 없지만 조성의 틀 안에서도 현대적 기법인 ‘기능4도화성’의 쓰임이 보여졌다. 결과적으로 1단계 작품은 조성이라는 틀 안에서 쓰인 단순한 형태와 자유스럽고 복잡한 형태의 두 가지로 작품을 나누어 볼 수 있다. 2단계 작품에는 조성의 틀에서 벗어나 ‘기능4도 화성’이 체계를 갖추어가는 모습이 보여졌다. 2단계 2작품인 ‘청산별곡’, ‘정읍사’ 에 비슷한 형태가 나타나는데 ‘기능4도화성’의 틀에서 다양한 리듬의 사용과 잦은 변박, 그리고 다양한 선법의 변화가 보여졌다. 결과적으로 2단계 작품은 ‘기능4도화성’이라는 틀 안에서 쓰인 자유스럽고 복잡한 형태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대 향가 재현 기법의 완성 단계에 쓰여진 3단계의 마지막 세 작품은 완성된 체계를 갖춘 ‘기능4도화성’의 틀에서 쓰여졌다. 첫 번째 작품 ‘찬기파랑가’는 가사로 비추어 보아 화랑의 강인함과 숭고함이 표현되어있다. 용맹한 화랑의 정신을 음악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복화음이나 잦은 첨가음을 사용하였다. 또한, 다양한 리듬 변화와 잦은 선법의 출현으로 보다 자유스럽고 어느 형태에 얽매이지 않았다. 두 번째 작품 ‘처용가’는 규칙적인 음악의 반복으로 처용에 대한 모습과 역신에 관한분노의 가사 내용이 더 경쾌하고 해학적으로 표현했다. 세 번째 작품 ‘제망매가’는 불교적 영향을 받아 목탁소리와 같은 반복적인 리듬을 사용하여 종교적으로 표현했다. ‘처용가’와 ‘제망매가’는 첫 번째 작품 ‘찬기파랑가’와는 다르게 ‘기능4도화성’의 틀 안에서 일관된 반주 형태와 주제의 형태가 많은 변화 없이 반복 되어지는 모습을 보아 조성에서의 화성의 법칙과 쓰임이 정해져 있듯 현대적 기법인 ‘기능4도화성’을 사용하면서도 어떤 규칙이나 정돈된 형태로 쓰여짐을 알 수 있다. 결국 작곡가 이준복은 고대 향가를 작곡함에 있어서 ‘기능4도화성’을 근거로 두 가지 일정한 틀을 갖춰서 쓰여지는 형태와 온전히 작곡가의 상상력에 의해 자유롭게 쓰여지는 형태를 상정하고 현대적인 기법을 접목 사용하여 재현하고자 했다. Modern composers pursue new trends in music based upon the history of traditional music. 20th century composers created a new trend with experimental theory emphasizing specialties that lie within the generality of music. Junpok Lee is a modern experimental composer who tried various approaches to create oriental thoughts and emotions from existing western music.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how Junpok Lee made the modern revival of the 8 Korean ancient folk songs. In this thesis, the 8 modern arias such as ‘The 500 year old capital city is’, ‘In the valley with rampant green grass’, ‘The white moon with pear blossom’, ‘Chungsan unrhymed verse’, ‘Jungeup-Sa’, ‘Chant Giparang’, ‘Cheoyong’s song’ and ‘Je Mang Me’s song’ are analyzed in 3 stages as follows: In the first stage, the rhythm variation of the three arias is analyzed after determining the major key. In the second stage, two arias are analyzed to show how he broke the composition and used various rhythms and modes. In the third stage, Junpok Lee’s three arias, which recreated the old Korean folk songs, are analyzed by ‘mode’, ‘function forth code’ and rhythm vari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ve, the following is determined. The arias in the first stage are divided into two styles including simple, as well as free and complicated. The arias in the second stage show that over a period of 20 years, Junpok Lee tried the experimental 'mode' and the 'function forth chord'. Various rhythms were used with the free and complicated style characterized by frequently changing rhythm and mode. In the third stage, the three arias complete the modern recreation of Korean folk songs and they are divided into a simple style, as well as a free and complicated style. Both styles exhibited the complete form of ‘function four code harmony’. As a result, Junpok Lee completed the modern recreation of Korean folk songs in his own and unique way.

      • 코다이와 오르프의 음악교육법에 따른 유아음악교육 : 우리전통음악의 적용방안을 중심으로

        박재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다이는 음악교육의 대상을 대중으로 확대시키며 음악의 생활화와 더불어 단계적인 음악교수법을 제시하면서 모든 사람을 위한 음악으로 음악교육의 위상을 확립시키는 데 공헌하였다. 유아음악교육에 있어 가창을 중심으로 ‘코다이 계명창법’, 코다이 손기호‘, 코다이 그림설명’ 등 유아들이 좀 더 친숙하고 쉽게 익힐 수 있는 교수법을 마련하였다. 오르프의 경우에도 유아들의 음악교육을 단순한 음악교육만이 아닌 언어, 동작 등 유아의 총체적인 경험들을 종합하여 음악교육과 접목시켰으며, 생활주변의 소재를 사용하여 민족성과 그 나라의 동요를 사용하는 등 개인이 가장 음악을 손쉽게 대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려 애썼다. 두 음악학자의 음악교육론과 교수방법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우리 국악교육에 많은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능하면 우리 전통장단 그대로 유아에게 지도하되 코다이와 오르프가 어린이를 위한 음악교육을 위해 창안하고 적용하였던 교수법을 적용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느낀 가장 큰 문제점은 유아음악교육의 현실 속에서 국악교육은 너무나 낯설고 유아교육기관 내는 물론이거니와 가정 등 모든 유아의 주변생활이 서양음악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 속에서 나오는 국악교육의 적용방안들은 아무리 그 방법들이 우수하고 다양하다 할지라도 자료상의 방안으로 끝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음정과 박자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유아들에게 악보에 대한 강박관념을 갖지 않게끔 하며 유아들이 즐겁게 국악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을 염두에 두었다. 우리의 국악장단을 들으면 어깨를 들썩일 수 있고 장단에 맞춰 호흡할 수 있고 생활 속에서 놀이를 하면서도 우리의 전래동요를 흥얼거릴 수 있다면 나머지 국악교육은 기능적인 부분만 남을 것이다. 기능적인 부분들은 유아들이 성장해가면서 선택해 가는 과정이라 판단되며 그 선택의 과정 속에서 훌륭한 국악전문가나 지도자가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끝으로 본 논문의 국악교육 적용방안들은 실제 아동들을 대상으로 검증을 거치지는 못하였다. 유아들을 대상으로 이와 같은 국악교육의 적용방안들이 검증과 실험단계를 거쳐 체계적인 국악교육안이 마련될 수 있었으면 한다. Kodaly expanded the object of music to the public and presented a musical pedagogy by stage together with making music everyday life. He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phase of music education as music for everybody. He made efforts to realize a natural and systematic curriculum of music with superior music teacher from early days centering around singing and set much value on like 'Kodaly solmization', 'Kodaly hand sign' and 'Kodaly picture illustration' to improve children's ability of music. He also developed fine quality teaching materials like folk songs, children's songs, children's a cappella chorus and etude. Orff did not seek common musical education, but grafted children's integrated experience of language and motion onto musical education. He tried to find the easiest way to experience music as the use of daily material or the use of national folk song. The theory of music education and pedagogy of both musicologists present much possibility to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that is subject to backwardness. This research tried to teach children in the traditional rhythm as it is as long as possible, but to apply the pedagogy that Kodaly and Orff made and applied. However, there are several propositions before applying the plan to current education. The biggest problem revealed during this study was that the edu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is so strange in the reality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and the musical surroundings of children, home and teaching institutes, are western music-centered. The application plan of Korean classical music out of such environment couldn't but end as data, no matter how superior or various the methods are. This study considered that children lacking of the concept of interval and rhythm can take part in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delightfully with no obsession of score. If children can move their shoulders and breathe according to the rhythm of Korean classical music and hum the traditional folk song while playing in life, there will remain just the func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function might be the part that children select while growing up, and through such a course of selection, superior specialists or leaders of Korean classical music may be cultivated. Finally, the plan of application in this study did not pass an inspection with actual students. It is desirable that this plan of application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should go through the stage of inspection and test with children to prepare a systematic plan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 센서고장으로 인한 가솔린엔진의 유해배출가스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재민 동의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는 인간에게 많은 편의성을 가져다주는 문명의 이기인 동시에, 인간을 위협하는 무서운 존재이기도 하다. 대기오염으로 인한 지구환경의 파괴는 곧 인간에게 예측 불허의 재앙을 불러오게 하고 있다. 2004년 12말 동남아시아를 휩쓸고 지나간 츠나미(Tsunami)와, 파키스탄의 대지진, 그리고 미국 남부의 허리케인 카트리나와 리타 등은 바로 지구의 온난화 현상이 빚어낸 인간의 재앙이며, 앞으로 이보다 더한 자연재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지구환경 과학자들은 우려의 목소리로 경고하고 있다. 자동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가운데 가장 심각한 것은 엔진에서 나오는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 오염, 지구 온난화 및 산성비, 에어컨 냉매(R-12, R-22), 리싸이클링(재활용) 문제 및 대도시에서의 매연 스모그 문제 등이 환경 문제로 심각한 상태로 대두대고 있다. 다양한 환경 문제 중 특히 대기오염 문제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쳐 각 국에서는 공해방지 차원에서 공해유발에 대해 강력한 규제를 실시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문명의 발달과 함께 급속하게 증가한 자동차의 배출가스는 전체 대기 오염의 약 82%를 차지하고 있다¹⁾. 자동차에 의한 대기 오염 물질로는 일산화탄소(CO: carbon monoxide), 탄화수소(HC: hydrocarbons), 질소산화물(NOx: nitric oxide) 및 입자상물질(PM: particulate matters) 등이 있으며, 호흡을 통해 이들 물질이 체내에 들어오면 산소 결핍증, 폐 기능 저하 및 각종 질병 유발과 같은 직접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환경 규제를 강화해 대기환경 오염의 주범인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여 나가려고 힘쓰고 있다. 자동차에서 연소에 의한 유해 배출물질의 저감을 위한 신기술 개발, 즉 연소효율의 개선, 유해 배출물질의 생성 억제 기술 및 정화기술 등의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와 병행하여 국가적 차원의 환경 보존 및 생존권 보호를 위한 각종 유해물질 배출 규제의 강화 등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3). 현재 우리나라의 자가용 이용도는 일일 평균 62 km로 선진국에 비해 2~3배 많은 연 2만여 km를 운행하며4) 전국 대기오염 배출량 중 일산화탄소는 80%, 질소산화물은 45%, 미세먼지는 33%가 자동차에서 배출되고 있다5). 이렇듯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대기 중의 질소산화물과 오존농도 및 미세한 부유먼지 농도를 증가시켜 대기오염의 패턴을 바꾸어 놓았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은 사용연료 및 차종에 따라 규제항목 및 규제기준을 구분하여 설정하고, 경유자동차의 경우 연식 및 차종에 따른 매연을 규제하고 있다. 또한 현행 자동차 관리법에서 시행하는 안전위주의 정기검사를 강화하기위해 대기환경보존법에 운행차의 정기검사 관련 조항을 마련하였다. 수도권 지역은 지난 10년간 아황산가스(SO2), 일산화탄소(CO), 납(Pb) 등은 크게 개선되었으나, 이산화질소(NO2), 미세먼지(PM10), 오존(O3) 등은 자동차 증가 등에 따라 계속 악화추세(10년간 20~70% 증가)에 있으며, 미세먼지는 런던의 3.5배, 이산화질소는 파리의 1.7배 수준에 이르는 등 심각한 수준에 이르자, 수도권 특별법을 제정하여 그 배출 기준을 강화하였고 또한 대기환경규제지역을 점차 전국으로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6).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가용 검사기간은 2년 주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산소센서와 같은 센서가 고장이 나더라도 운행을 계속하여 검사기간 동안 많은 질소산화물을 배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 영아보육시설 서비스에 대한 부모만족도 연구

        박재민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3세 미만의 영아기 자녀를 보육시설에 보내고 있는 부모님들의 보육서비스에 관한 만족도와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라서 부모님의 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여 보육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영아보육의 개념, 영아보육시설의 유형과 기능, 영아보육서비스의 구성요인, 선행연구 등을 고찰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작성한 조사 도구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1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로 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서울 노원구, 강북구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6곳과 민간어린이집 8곳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은 국공립어린이집 121부, 민간어린이집 84부로서 총205부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의 구성은 ① 영아보육시설의 이용하는 부모님들의 일반적인 사항-6문항, ② 영아보육시설 이용실태-6문항, ③ 물리적 환경-5문항, ④ 운영관리-3문항, ⑤ 보육 프로그램-3문항, ⑥ 영양, 건강, 안전-4문항, ⑦ 시설장과 교사의 자질-5문항, ⑧ 부모교육-4문항, ⑨ 지역사회와의 연계성-4문항, ⑩ 부모의 요구-5문항으로 총 4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의 빈도분석, 백분율, 산술평균,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절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실태에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중복응답을 실시 한 결과 민간 보육시설의 경우에는 거리상 이용하기 편해서(54.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국공립 보육시설은 직장을 다니기 위해서(9.4%)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에 대하여 중복응답을 실시한 결과 민간 보육시설은 경제적 부담감(25%)과 아이가 아플 경우 부모가 병원에 데리고 가야한다(25%)라고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꼈으며, 국공립 보육시설은 아이가 아플 경우 부모가 병원에 데릴러 가야 한다(14.3%)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영아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낼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에 대하여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 모두 건강·안전·위생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보육시설의 반 구성에 대하여는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보육시설 모두 1년 차이로 영아보육시설의 반을 구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제2절 영아보육시설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시설에 대한 전체적인 부모 만족도를 살펴보면 5점 평점 중 3.68로 나타나 비교적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보육시설(3.64)보다는 국공립 보육시설(3.71)에서 전체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하위 영역에 대한 부모 만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리적 환경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67이 민간 보육시설(3.57)보다 국공립보육시설(3.74)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운영관리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63이며 민간보육시설(3.47)보다 국공립 보육시설(3.74)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프로그램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92이며 민간 보육시설(3.93)이 국공립보육시설(3.92)보다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 건강, 안전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74이며 민간 보육시설(3.54)보다 국공립보육시설(3.88)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자질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4.27이며 민간 보육시설(4.23)보다 국공립보육시설(4.29)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부모교육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27이며 민간 보육시설(3.54)이 국공립보육시설(3.08)보다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41이며 민간 보육시설(3.52)보다 국공립보육시설(3.34)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아보육시설 전체에 대한 보육서비스의 만족도는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자질영역, 보육프로그램영역, 영양·건강·안전영역, 물리적 환경영역, 운영관리영역,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영역, 부모교육영역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낮은 만족도 수준을 보인 일반적인 운영관리영역과 부모교육영역,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영역에 대한 보육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제3절 부모님들의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시설에서의 영양관리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 모두 영양사가 작성한 식단에 의한 방식이 가장 좋다고 응답하였고, 영아보육시설에서 가장 시급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하여 민간보육시설의 경우에는 실내·외 환경(31.0%)을 들었으며, 국공립 보육시설의 경우에는 교육 프로그램(27.3%)을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시설 기관의 운영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 모두 정부기관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비 부담체계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보육시설 모두 학부모와 국가의 공동부담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정책적 지원 중 가장 원하는 형태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살펴보면, 민간 보육시설은 자녀 양육비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가장 원하고 있으며, 국공립 보육시설은 직장 내 보육시설의 설치를 가장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보육시간의 다양화, 둘째, 영아를 위한 보육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셋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이 화대, 넷째, 보육교사에 대한 교육훈련 강화 및 자질 향상, 다섯째, 보육정보센터의 기능 활성화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육서비스는 아동, 가정, 사회를 포함하는 총체적인 서비스이므로,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때 보육시설의 수요자인 부모의 시각까지 포함하여 만족도와 욕구를 반영함으로서 더욱 효과적인 보육서비스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what parents satisfy at and need of nursing service, whose children under three years of age go to nurser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nursery type. Based on it, it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nursing service To accomplish the purpose, both literature study and survey research are done. In literature study, it reviews the concept of infants nursing, type and function of infants nurseries, constituent of infants nursing service, the development and present state of nursing service of the state and prior studies. Based on literature study, survey tool is prepared and a questionnaire is surveyed. The questionnaire is done with 6 national/public nurseries and 8 private ones located in Nowon-gu and Kangbook-gu, Seoul from October 10, 2001 to October 27, 2001.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analyzed totals 205 pieces, consisting of 121 pieces for national/public nurseries and 84 pieces for private ones. The survey tool has 45 items in total as follows; ① General matters of parents who use infants nurseries-6 items, ② Use state of infants nurseries-6items, ③ Physical environment-5items, ④ Management-3items, ⑤ nursing program-3items, ⑥ Nutrition, Health, Safety-4items, ⑦ Directors' and teachers' qualification-5items, ⑧ Parents education-4items, ⑨ Connection to community-4items, ⑩ Parents' need-5items. SPSS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erms of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rithmetic mean, t-test, one-way ANOVA. The result is summarized below; 1. The following relates to the use state of infants nurseries. First, Duplicate response is used to find why parents use infants nurseries. Thus, the highest is 'convenient of distance' for private nurseries(54.8%) and 'to work' for national/public nurseriesⅠ(9.4%). Second, for the difficulty in using infants nurseries, shown in duplicate response, private nurseries is found to be difficult to use in economic burden(25%) and parents' bringing children to hospital if they are sick(25%), whereas national/public nurseries have the greatest difficulty in parents' taking children out to go to hospital if they are sick(14.3%). Third, health·safety·hygiene are indicated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parents consider when sending children to infants nurseries for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For class composition,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tend to compose class with 1 year age gap on the whole. 2. The follows relates to parents' satisfaction at infants nurseries service. First, for the general satisfaction of parents at infants nurseries, it is 3.68 of 5 marks, showing their being satisfied relatively. National/public nurseries(3.71) shows general satisfaction higher than private ones(3.64).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 Second, it looks at parents' satisfaction at sub-items as follows; In physical environment, total mean value is 3.67,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74) higher than at private ones(3.57).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management, total mean is 3.63, with parents' higher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74) than at private ones(3.47).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nursing program, total mean is 3.92,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private nurseries(3.93) rather than at national/public ones(3.92),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 In nutrition, health and safety, total mean is 3.74,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88) rather than at private ones(3.54%),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directors' and teachers' qualification, total mean is 4.27,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4.29) higher than at private ones(4.23). I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arents education, total mean is 3.27,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private nurseries(3.54) higher than at national/public ones(3.08),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it. In connection to community, total mean is 3.41, showing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34) higher than at private ones(3.52),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Considering all the result above, it shows satisfaction at the nursing service of entire infants nurseries in order as follows; directors and teachers' qualification, nursing program, nutrition·health·safety, physical environment, management, connection to community, parents education. So it need to be sought how to improve nursing service in teems of parents education and connection to community. 3. The following relates to parents' need of infants nursing service First, for need of nutrition care in infants nurseries,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answer that using menu by dietician is the best. For pressing issues to improve infants nurseries, it shows Indoor-outdoor environment(31.0%) for private nurseries, while education program(27.3%) for national/public ones. Second, for parents' need of infants nurseries management, it finds that parents think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run by the government agencies is the best. For education charge, it shows that parents want to share with government for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use. Third, regarding what parents want as a policy support for infants nursery services. it shows private nurseries want fostering expenses support most, while national/public ones want to have nursery on the job. Based on the result of parents' satisfaction at nursing service, I have suggestion as follows; First, variation of nursing time. Secon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nursing program for infants. Third, increasing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Fourth, increase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improvement for teachers. Fifth, function variation of nursing information centers. Nursing service is total service including children, family and society. So when it reflects parents' satisfaction and need as consumer, in view of parents, the improvement of nursing service will be sought more effectively.

      • 초등학교 사회교과목을 위한 가상참고서가의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박재민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에 있어서 교사와 학생의 인터넷 이용실태와 학교교육의 변화를 파악하고, 그 속에서 학교도서관이 제공할 정보서비스로 가상참고서가를 제안함과 동시에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가상참고서가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가상참고서가의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해야 할 정보서비스의 내용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실제 초등학교의 교수-학습에 바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세부분으로 이루어졌다. 첫 부분은 정보화 시대의 학교교육과 학교도서관 서비스의 변화, 학교교육에서 가상참고서가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는 국내·외 초등학교에서 운영하는 가상참고서가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세 번째는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사회교과목의 가상참고서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가상참고서가 모형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상참고서가는 주제, 교과서 단원, 과제 해결, 교수활동의 정보제공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주제별 정보제공은 사회과목의 내용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관련 웹사이트를 제공하였다. 둘째, 교과서 단원별 정보제공은 각 단원과 관련된 학습정보를 제공하였다. 셋째, 과제해결을 위한 정보제공은 교사와 사서교사와의 협의하에 과제나 예습·복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넷쩨, 교수활동을 위한 정보제공은 여러 교육기관이나 인터넷상의 교수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모형이 향후 교수-학습 지원의 역할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참고서가상에 구축된 웹사이트나 자료들의 검색을 위해 검색기능이 첨가되어야 한다. 둘째, 구축된 모형은 실제 초등학교에서 이용해 보고,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한 학교에서 전학년의 교과목에 대한 가상참고서가를 구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여러학교에서 과목이나 단원별로 분담하여 구축한 후, 지역이나 국가차원의 통합정보 제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d develop an ideal virtual reference shelf model that provides information services from school libraries based on an evaluation of teacher and student Internet use and the impact of its use on school education. Our results describe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virtual reference shelf model but also how the information services contained may be used for teaching and learning at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investigates changes that have developed in school education and school library services during the Information era, and also deals with the theoretical requirements of a virtual reference shelf in school education.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existing virtual reference shelves currently operating in domestic and overseas elementary schools. The final section takes into account matters dealt with in sections one and two, and uses this information to develop an ideal model of a virtual reference shelf for elementary schools. The contents of the virtual reference shelf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consist of information services related to: a) subjects; b) textbook units; c) homework solutions; and d) and teaching guidelines. In summary, the information services provide: a) subject related and subject categorised links to websites. b) learning material related to each textbook unit. c) learning material related to homework or related to preparation for and review of lessons, according to agreement between teacher and librarian. d) teaching material from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or the Internet. However, this model above needs further development so as to enhance its role in teaching and learning. It requires a website and data search function. It also needs to be tested in the elementary school environment for problems that may arise and possible improvements that could be made.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single comprehensive virtual reference shelf that covers all grades and subjects. One solution may be to share subject and unit information between virtual reference shelf at different schools, making a communal virtual reference shelf. Additionally, for such a comprehensive service to operate regional or national support would be needed.

      • 압전센서를 이용한 복합재 구조물의 손상탐지 시스템 평가

        박재민 경상국립대학교 항공우주특성화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2000s, more than 50% of the structural weight of the civil aircraft B787 has been used as a composite. As the proportion of composite material use in aircraft increases, technology development for the inspection methods for composite structures is also rapidly progressing. Among them, in the case of conventional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the technology level has been verified, but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excessive inspection time and cost. In particular, the intervention of inspection professionals is required, and probes or equipment must be accessed to structures that require inspection. And if it is not accessible, aircraft structures may be required to be disassembl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limitations, the development o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method that can quickly detect and follow up defects through sensors mounted on structures is currently underway. In this pape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piezoelectric sensors is applied to composite specimens and evaluat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raditional ultrasonic detection tests.

      • 복합운동과 유산소운동이 고혈압환자의 혈류역학적 변인 및 건강관련체력에 미치는 영향

        박재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on hemodyna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hypertensive pati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aged women who were suffered form hypertension and enrolled in the Public Health Promotion Center of the C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hree groups: aerobic exercise group(n=10), combine exercise group(n=10), and control group (n=10). The aerobic exercise group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an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treadmill walking for 12 weeks with frequency of 3 times per week. The combine exercise group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an exercise program consisting of treadmill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for 12 weeks with frequency of 3 times per week.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prior to and after the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and they included hemodynamic factors(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arterial pressure, pulse pressure, heart rate, rate pressure product), and health-related fitness(VO2max,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body composition). In the current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1. The hemodynamic factors of systolic pressure, diastolic pressure, mean arterial pressure, pulse pressure, heart tate, rate pressure produc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after treatment in both combine and aerobic exercise groups before treatment. However, no significantly difference combine and aerobic exercise groups. 2. The heath-related fitness index of VO2max, grip strength, sit-up, trunk forward flex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after treatment in both combine and aerobic exercise groups before treatment. However, no significantly difference combine and aerobic exercise groups. Also the weight,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after treatment in both aerobic and combine exercise groups before treatment. However, no significantly difference aerobic and combine exercise groups. Consequently, the aerobic and combine exercise during 12 weeks effect positively on hemodynamic factors and heath-related fitness of hypertension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