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와 원어민 저자 영어 교재의 쓰기 활동 비교 분석

        박재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riting activities of the first year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in comparison to those of English textbooks written by native speakers in terms of Tomlinson’s standard of classification of writing types, ratio of integrated activities, standard of categorization of topics, and scope of participation, so 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kinds of textbooks, and to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to improve English textbooks for enhancing authentic writing skills. For this analysis, writing activities from thre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wo English textbooks written by native speakers are selected as comparative activities. There are four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controled, guided, and free writing activiti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English textbooks written by native speakers. The former shows unbalanced distribution in which the number of controled writing activities is much more than other types compared to the latter. Especially, the ratio of free writing activities in the former, which put stress on free processing of thought and content, do not reach the ratio in the letter completely. In addition, the pattern of free writing activities in the former is so limited to one pattern that those activities have difficulties on improving authentic writing skills and on arousing students’ interest.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integrated activities shows that English textbooks written by native speakers contain writing activities which involve speaking skills much more tha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even one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does not include speaking-associated writing activity. Moreover, the activiti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have inferior quality and authenticity than the activities in English textbooks written by native speakers Third,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opics, though there is no remarkable ranking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kinds of textbooks, the result shows the lack of some topics related to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lture, national security, and unification,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Fourth, it turns out that the ratio of pair, group, and class activiti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compared to those in English textbooks written by native speakers, is very low. In the latter, in addition, the class activities reflect real life communication and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are designed to work in group, but not in the former. In other words, the class activities in the former are so mechanical and unnatural, and not only controlled but also mostly offered as an individual task. From the results above, it is suggested that current writing activities of our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should be revised to increase the ratio of guided and free writing activities, to add the tasks integrated with speaking skills, and to supplement various topics like culture so that topics are distributed evenly.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the textbooks should contain pair, group, and class writing activities more and that they should increase the authenticity of overall activities so as to improve students’ real communication ability.

      • 건축 시공업체의 환경관리 효율화 방안

        박재두 中央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공사 착수 이전에 시공업체의 환경 관리를 위한 계획과 그에 따른 환경 영향 요인의 분석 및 합리적인 관리가 실제 현장에서 미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시공단계만을 제한하여 시공업체의 환경관리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환경관리 방안은 건축공사 현장의 각 공종별 발생 가능한 환경영향 요인의 분석과 환경관리를 공사 참여주체자간의 환경 관리 수준의 결정과 이에 따른 요인의 중요도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관리수준 이상의 환경요인을 선정,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축공사 현장의 환경관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문제점으로는 실제 현장에서 체계적인 환경영향 요인의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공사가 계획되고 진행된다는 것이다. 현장 실무종사자들조차도 환경영향에 대한 인식마저 미흡하고 환경관리를 위한 노력으로 ISO 14000등의 인증을 통한 형식적인 계획의 수립과 현장소장의 경험과 관행적인 환경관리계획에 의해 공사가 수행되고 있다. 2) 이에 본 연구는 시공업체의 건축공사 예산의 편성 및 계획 시에 환경영향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에 의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환경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3) 우선 각 공종별 잠재적 환경영향 요인들을 관련 문헌이나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전문가의 면담을 통한 환경영향 요인의 파악하였다. ISO 14000인증업체의 환경관리 계획서를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환경영향 대상인 대기질, 수질, 소음,진동, 폐기물에 대한 영향을 공종별로 분류하였다. 4) 분류된 환경영향 요인들을 건축공사 중에서 아파트공사의 환경관리를 위한 관리방안으로 이를 적용하였다. 적용방법으로써 실제 현장의 종사자의 토의 과정을 통하여 환경관리 수준의 결정 및 환경영향 요인의 중요도를 산출하여야 하나 여러 제약으로 설문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관리수준은 W.G. Russel에 의해 제안된 5개의 환경관리 목표로 관리의 수준을 제안하고 이를 체크리스트로 작성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설문조사결과로써 아파트공사의 경우 중요도 누적비율 80%이상으로 대기질의 경우 18개, 수질은 9개, 소음,진동은 11개, 폐기물은 15개의 주요 환경영향 요인이 분석되었다. 이를 환경관리 수준의 결정을 통하여 주요 관리요인의 선정과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