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munoaffinity-HPLC를 이용한 수산자원의 미량비타민 비오틴(vitamin B7)과 코발라민류(vitamin B12)의 동시분석 유효성 검증

        박은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Vitamins are essential micronutrients for the normal functioning of the human body. Since vitamins are not synthesized in the human body, they must be consumed daily as food or supplements. Among vitamins, in particular, water-soluble vitamin B7 (biotin) and B12(cobalmins) are present at a trace level. In this study, simultaneous extraction, immunoaffinity clean-up and HPLC was applied for determination of vitamin B7 and B12 in seafood and validated. Sodium phosphate buffer (0.15 M, pH 7.0) and sodium acetate trihydrate buffer (0.2 M, pH 4.0) were tested for simultaneous extraction of vitamin B7 and B12,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including enzymatic extraction, ultra-sonication (none, 10 min at room temp., 30 min at 50℃) and heating (30 min at 100℃ and 121℃) were tested for simultaneous extraction of vitamin B7 and B12, The biotin and cobalamin contents of the standard reference material (SRM 3280-multi vitamin) were simultaneously analyzed under the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ultra-sonication treatment, temperature and pH). Recovery of biotin (96.2%) and cyanocobalamin (83.9%)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in heat treated (100°C) extraction followed by ultra-sonication (10 min at room temperature) using 0.2 M sodium acetate trihydrate buffer(pH 4.0) extraction solution. Recovery of biotin (96.9%) and cyanocobalamin from SRM 1849a by simultaneous analysis were (97.0%) were within the acceptable range. The coefficient variations (CV) of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biotin analysis were 4.7% and 4.0%, respectively. The CVs for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cyanocobalamin analysis were 4.8% and 5.2%, respectively. Extraction efficiencies of individual and simultaneous analyses for biotin and cobalamins were compared from 5 kinds of seafood (Japanese-Spanish mackerel, squid, ark shell, Japanese squillid mantis shrimp, and common sea squirt). Percent recovery of biotin and cyanocobalamin by simultaneous analysis were 71.4~129.0% and 63.6~103.0%, respectively. In this study, a simple and rapid simultaneous extraction and immunoaffinity-HPLC analysis for biotin and cobalamin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which was efficient for the determination of biotin and cobalamins in seafood.

      •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은 소아의 최종 신장

        박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성장 장애는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에게서 발견되는 흔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기에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아들의 최종 신장을 분석하여 장기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남대학교 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환아 중 이식 당시 연령이 사춘기 이전이면서 추적 관찰이 최종 신장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식 후 신장 감소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이식시와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standard deviation score, SDS)를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는 남아 7명, 여아 8명이었다. 조혈모세포 이식시 평균 연령은 12.8±2.4세(범위, 6.3-14.7세)로 최종 신장은 18.1±1.5(범위, 16.0-21.8세)에 측정되었다.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는 2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 범위였다.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는 -0.5±1.2로서 이식시 신장의 표준편차점수 -0.8±0.8과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식시 연령이 적은 군(6.1-10.0 세, 5명)에서 이식시 연령이 많은 군(10.1-15.0세, 10명)에 비해 의미있게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가 낮았고(-1.5±0.6 vs -0.1±1.1, P< .05), 표준편차점수 변이값(Δ SDS)도 차이를 보였다(-1.2±0.7 vs 0.5±0.8, P < .05). 또한, 이식 전처치에 방사선 조사가 포함된 군(6명)에서 포함되지 않은 군에 비해 최종 신장의 표준편차점수가 감소를 보였다(-1.4±0.8 vs 0.0±1.1, P< .05). 하지만, 성별, 질병의 종류, 이식의 종류, 이식편대 숙주병의 유무 등은 최종 신장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환아는 이에 대한 장기 합병증으로 2차 성장 장애가 발생 가능하나, 본 연구의 대부분 환아(13/15)에서는 정상 최종 신장을 획득하였다. 성장 장애와 연관된 인자는 이식 당시 연령이 어린 경우와 방사선 조사가 포함된 치료를 받은 경우로 확인되었다.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은 환아에서 정기적인 신체계측과 이의 결과에 따른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유아는 인간관계를 비롯한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달하고 성장한다. 본 연구는 유아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효과는 어떠한가? [2-1]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2]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3]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의 절차와 방법을 연구문제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프로그램 개발에 앞서 전문가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및 음악활동 관찰을 순환적 과정을 통해 실시하여 유아 음악활동의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유아 음악활동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점 및 시사점을 추출하였고,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수립한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문헌고찰을 토대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8729;학습 방법, 평가, 교사 역할로 구분하였으며, 선정 과정에서 전문가 자문과 교사 협의를 통해 수정&#8228;보완하였고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쳤다. [연구문제 2]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I유치원 2학급 만 4세 유아 51명(실험집단: 25명, 통제집단: 26명)이다. 연구도구는 박은영(2011)이 제작한 교사용 유아 음악적 태도, 한국가이던스(2000)의 유아 음악 적성을 통해 유아의 음악적 능력, 김경회(1998)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정서 지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기간은 2010년 12월 22일~2011년 2월 18일까지 주 3회씩 7주 동안 총 21차시이며, 실험집단은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은 일반 음악활동을 하였다. 실험 처치 후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 점수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가 음악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민감하고 수용적인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능력을 신장시키며, 정서 발달과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여 음악을 즐기고 생활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목표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을 통해 음악에 대한 심미적 경험과 긍정적인 태도 형성, 음악적 능력과 정서 지능 증진이다. 내용은 활동 영역, 이해 영역, 제재곡을 구성하였다. 활동 영역은 듣기와 음악 감상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 연주하기, 음악 만들기, 신체 표현하기이다. 이해 영역은 강약, 고저, 리듬, 빠르기, 음색, 화성이다. 제재곡은 감상곡과 노래이다. 교수&#8729;학습 방법은 교수&#8729;학습 원리, 교수&#8729;학습 과정, 교수&#8729;학습 전략, 교수&#8729;학습 매체로 구분하였다. 교수&#8729;학습 원리는 교사-유아 상호주도, 반응적 소통, 생활주제 연계, 유아의 발달 수준과 흥미 고려, 융통성, 활동 중심이다. 교수&#8729;학습 과정은 도입 단계(주의 집중하기, 주제 관련 활동하기), 전개 단계(탐색하기, 반응적 표현하기), 마무리 단계(평가, 마침 노래, 차시 예고)이다. 교수&#8729;학습 전략은 교류하기, 리더하기, 단서주기, 반응하기, 집중하기이다. 교수&#8729;학습 매체는 악기와 활동 자료이다. 평가는 음악활동에 대한 교사의 자기 평가, 유아에 대한 교사 평가, 유아의 자기 평가, 유아의 또래 평가이다. 교사 역할은 민감한 반응자, 비평가적 수용자, 비형식적 안내자, 상호작용 촉진자, 환경 구성자이다. 둘째,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유아의 음악적 태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개방성과 표현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적극성, 주의집중, 호기심, 흥미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음악적 능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화성과 감상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강약, 고저, 리듬, 음색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아의 정서 지능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또래와의 관계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자기 정서 인식 및 표현, 자기 정서 이용, 교사와의 관계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적 능력, 정서 지능을 증진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유아가 음악활동에서 음악적, 비언어적, 정서적 행위를 주고받는 반응적 상호작용을 통해 음악적 소양과 정서 발달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응적 상호작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박은영 광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국국문문문초초초록록록 유유유아아아교교교사사사의의의 놀놀놀이이이치치치료료료 경경경험험험에에에 관관관한한한 질질질적적적연연연구구구 박은영 지도교수:김 현 진 철학박사 광신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연구 참여자는 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두 유아교사이며,연구진행은 대학원 입 학 전부터 졸업이후 현재까지 두 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의미 탐색으로 이루어 졌다.연구절차는 질적연구의 순환적 연구 과정을 토대로 진행되었으며,참여관찰, 심층면담,연구일지,연구자 일기,기타 면담 및 협의,문서 자료를 수집하여 자료 의 분석과 해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및 해석 결과 첫째,두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은 놀이치료 경험 전,놀이치료Ⅰ,공백기,인터넷 강좌,놀이치료Ⅱ,인턴쉽,현재 일곱 단계로 나누 어 분석과 해석되었다.놀이치료를 경험한 두 교사는 놀이치료 이론이 실제가 되 어 자신의 삶과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천적 지식으로 자리매김 되어가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었고,놀이치료 경험 전보다 놀이치료 경험 후 인격적으로 더욱 성숙 해 졌다. 둘째,두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는 개인사적인 의미와 유아교사로서 의 의미로 분석과 해석되었다.두 교사는 놀이치료를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 형성을 통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하며,현재 진심어린 교사로 살아가게 되었다. 두 유아교사의 놀이치료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한 본 연구가 놀이치료 의 유아교육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와 놀이치료사를 훈련하는 수퍼바이저,교수, 놀이치료 관련 대학과 유아교사 양성대학들을 위한 놀이치료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 고등학생들의 기술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박은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술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기술관련 진로 선택에 어떠한 관계가 있었는지, 또 성별에 따른 기술 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요인에 있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관련 진로교육의 계획과 구성 등을 새로이 하여 학생들이 기술 관련 진로에 대해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대부분이 기술관련 진로를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기술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해 올바른 정보와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성별 차이에서 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기술 관련 진로를 더 많이 희망하였다. 분석 결과에서 보면 성별에 따라 여학생들은 기술 교사의 영향과 기술관련 경험에 있어 많은 영향을 받지 못하고 있다. 셋째, 기술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들은 정보산업분야와 건축, 의료분야를 대부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기술관련 진로를 긍정적으로 생각도록 감응을 주고, 올바른 진로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 지도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analyzes what influences students' decisions with regards to which courses to take and how those courses relate to future workplace technology. The research also looks at how gender influences the jobs, and hence the courses chos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students the right information, and to develop a course of study for students with a new career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t up a number of issues to focus on. First of all, most students evade courses which are related to technology. So, we need to find correct information about which courses are related to technologies specific to students' desired career goals in order to provide systematic guidance. Next, male students tend to prefer courses which are connected to technology more than female students tend to prefer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female students tend not to accumulate a lot of experience related to technology. Moreover technical teachers often think that female students are not good with technology. Therefore, female students are negatively influenced by these teachers. Finally, the majority of students who wish to find a job which is related to technology tend to prefer IT, architecture, or medical services. This research will provide important standard data that will give students accurate, and positive information about technologically related courses, and it will also help to improve the course guidance system.

      • 초등학교 고학년 남학생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 의도 및 관련요인

        박은영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provides a foundation for design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HPV vaccination rates in boys. In order to increase the vaccination rate for elementary school boy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HPV vaccination intention of mother who has control over her child's vaccination. It also suggests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 toward HPV vaccination of mothers and to verify its effect.

      •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구두의사소통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는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교육이 강조되었지만, 제 2언어가 아닌 외국어로서 영어를 학습하게 되는 우리 나라 상황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두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다. 이에 다양한 의사소통 도구가 개발되어 학교 수업 시간 이외에 실제 의사소통 상황과 유사한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구두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학습법 중에서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은 최근 들어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면서 구두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법으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이 중학교 학습자들의 구두의사소통능력과 영어교과, 듣기 및 말하기의 정의적 측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학습자들의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에 대한 반응과 평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6주동안 부천시 S중학교 중학교 3학년 학생 6명을 대상으로 하여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의 대화내용을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AS-unit으로 분석하였다. 구두의사소통능력의 향상도를 보기 위하여 듣기 평가를 실시하였고, 말하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을 측정하였다. 학습자들의 영어교과, 듣기 및 말하기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정의적 설문지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심화설문지 및 심층 면담의 결과를 바탕으로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에 대한 반응 및 평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은 대상 학습자들의 영어 듣기능력과 말하기 능력의 유창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능력의 경우, 개인별로 차이는 있지만, 모든 학습자들에 점차적으로 듣기점수가 향상되어 사전 듣기점수에 비해 사후 듣기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말하기 능력의 향상도를 평가하기 위해 3분 동안의 사전·사후 인터뷰 및 6주차, 12주차 전화대화를 AS-unit으로 분석한 후, AS-unit의 수, 전체 절의 수, 오류 없는 절의 수, 휴지기간을 계산하여 각각의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을 구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6명 모두 유창성 영역에서 매우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그러나 정확성 영역의 경우 학습자들마다 차이가 있었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AS-unit의 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한 정확성의 수치를 나타냈고, 모든 학습자들은 사전 인터뷰에 비해 사후 인터뷰의 정확성이 다소 낮게 나왔다. 복잡성의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AS-unit의 수와 전체 절의 수가 일치하여 복잡성이 1.00으로 동일하였다. 이는 학습자들의 발화의 양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부사절, 등위절, 관계사절 등이 포함된 문장을 발화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말하기의 복잡성은 단시일에 증가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은 대상 학습자들의 영어 교과, 듣기 및 말하기의 정의적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말하기의 정의적 측면에서는 모든 학습자의 긍정적인 향상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습자들은 불안감이 증가되었는데, 이는 듣기 능력이 점점 향상됨과 동시에 그만큼 원어민에게 영어로 대화해야 하는 것이 대상 학습자들에게는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더 가중시켰다고 상담결과 분석되어졌다. 셋째, 심화설문지와 심층면담의 결과,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에 대한학습자들의 반응 및 평가는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분서되었다. 학습자들 대부분이 원어민 교사와의 대화가 재미있고 즐거웠다고 반응하였으며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부정적인 반응보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가 영어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은 학습자들의 듣기 능력의 향상 및 말하기 능력의 유창성에 높은 향상을 가져온 점을 미루어보아 구두의사소통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학습자들이 일상생활과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자연스럽게 원어민과 대화하였으므로 말하기의 유창성을 향상시키는 데 높은 효율성을 보여주었다고 판단된다. 둘째,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은 학습자의 정확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의 연구 결과, 학습자들 모두 유창성에서 높은 향상도를 보였지만, 일부 학습자들은 어휘능력과 문법실력의 부족으로 인해 증가하는 발화의 양에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구두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문법과 어휘의 기초 학습도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은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와 자신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과 상담 결과, 대화의 소재가 반복되는 일상생활에 관한 것이었므로 자칫하면 지루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이 점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대화 소재를 다루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원어민과의 전화영어회화학습은 학습자들의 구두의사소통능력의 듣기 능력 및 말하기 능력의 유창성 발달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후속 연구에서는 정확성 및 복잡성 측면을 향상도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기초 학습자인 중학생보다 어휘능력과 문법능력이 뛰어난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As the world has been globalized and internationalized, o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need much more than before. O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listening ability and speaking a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the students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owever, Korean middle school English classes still focus on reading and listening because for the lack of opportunity to use English in real life or outside the classroom. Since late in the 1990s,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has been introduced as one of the alternative ideas of providing Korean students with the chances to use spoken language. This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can occur naturally through the daily life conversation using their own telephones which are very convenient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oral communicative competence, especially, listening and ability and their affective aspects. For this study, Six students of the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16 weeks. Before and after this experiment, the researcher tested their listening and speaking proficiency and gave them questionnaires. They were also interviewed individually after class and the experiments to evaluate students' responses toward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conversations the experiment, students had listening tests three times. All of the conversations between the students and native speaker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o assess student's speaking abilities by assessing the students' accuracy, fluency and complexity based on AS-unit analysis of their convers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with native speaker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listening and fluency aspects of speaking ability. The comparison of the pre-interview and the post-interview showed an improvement in students' listening ability. As for their speaking,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improved students' fluenc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curacy. Although students' numbers of AS-unit were increased, they had a lower score in accuracy in the post-interview. This results indicates the numbers of errors were increased as the utterances were increased. Also five students have same scores in complexity in every conversation. This showed it is very difficult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complexity for 16 weeks. This implies that learning about grammar and vocabulary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complexity. Second, results of students' affective questionnaires have demonstrated that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attitudes about English and listening and speaking. However, the anxiety of some students were increased due to the stress of speaking English as their listening abilities were enhanced. Third, the results of student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showed the responses toward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were very positive except for some negative responses such as feeling irritated because they couldn't see the visual cues or absence of grammar or vocabulary education. In conclusion,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with native speakers can affect the fluency positively and increase listening proficiency through the authentic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native speakers. Moreover, vocabulary and grammar should be taught to improve accuracy and complexity. It is also necessary to handle various topics not to lose students' interests. Additional research on the telephone English conversation with native speaker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native speakers's utterances but also the utterances of advanced learners who has a high grammatical ability to assess the accuracy and complexity.

      •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 효과검증연구

        박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여성들은 일생동안 최적의 삶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으나 요실금은 그 주요 원인이 임신, 분만, 페경 등 여성의 삶과 깊게 연관되어 여성에게서 높은 유병율이 보고되고(김효정 1997 ; 이효숙 1998 ; 서정빈 1999)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질환으로(이명희, 신경림 2000 ; 주민선 1998 ; Loughrey 1999), 여성들의 건강과 질적인 삶에 장애가 된다. 이러한 요실금은 여성들이 증상을 당연시하고 공개하기를 꺼려함으로 인해 적극적인 중재가 되지 않고 있으나(이명희, 신경림 2000 ; 주민선 1998) 골반근육 운동요법은 경제성과 안전성을 갖추어 요실금에 대한 일차적 간호중재로 합당하며 요실금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urgio 1998 ; Bo 1999 ; Dougherty 1998 ; 윤혜상 1998 ; 홍재엽 1997a). 이러한 골반근육운동이 치료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운동이행이 결정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Mokved & BO 1997). 그러나, 골반근육은 일상에서 사용하지 않고 겉으로 보이지 않는 숨겨진 근육이며 대부분의 여성들이 근육이 존재하는지 알지 못하고 자발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치료자의 교육 후에도 많은 여성들이 적절하게 운동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Sampselle et al 1997). 여성들의 운동이행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골반근육운동 교육비디오를 사용한다면, 눈으로 보이지 않는 근육을 그래픽 화면으로 보여줌으로써 대상자들의 지각영역을 확대시키고, 주의와 환기를 일으켜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반복시청이 가능하므로 6개월 정도의 인내심이 요구되는 골반근육 운동을 가정에서 지속적으로 시행 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익숙하지 않은 부분만 느린 동작이나 화면정지의 기능을 활용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유용할 것이다(박효정 2001).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여성을 대상으로 비디오를 교육매체로 이용하여 골반근육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 설계로서, 요실금 증상을 자가 보고한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군 17명, 대조군 14명을 편의 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3월 8일부터 5월 20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인 골반근육운동은 박효정(2001)이 개발한 비디오 『요실금으로부터 자유로운 여성 : 골반근육운동』을 교육매체로 이용하여 주 1회 집단 교육하였고, 학습한 운동을 매일 가정에서 6주간 실시하게 하였다. 요실금에 대한 골반근육운동 중재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객관적 도구는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페리니오 미터를 사용하였고, 주관적 도구는 요실금 유형과 하부요로 증상, 일상생활 불편감, 성생활 불편감을 측정할 수 있는 구조화된 설문지(Jackson 1996)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8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산과적 특성, 요실금 유형에 대한 자료를 실수와 백분율로 구하였고, 두 집단 간의 사전조사 동질성 검증은 Fisher's Exact test 또는 Chi-Squared test와 Wilcoxon's Rank Sum test를 하였다. 골반근육운동 전·후 요실금에 대한 주관적 점수와,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의 변화량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Wilcoxon's Rank Sum test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조사에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Chi-Squared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와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최정점 질수축압, 평균 질수축압, 질수축 지속시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최정점 질수축압(p=0.0001), 평균 질수축압(p=0.0001), 질수축 지속시간(p<0.0001)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하부요로증상의 변화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야뇨(p=0.0280), 요실금에 대한 대책(p=0.0099), 요실금 대책 횟수(p=0.0099), 배뇨도중 끊김(p=0.0035) 문항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이 밖에 빈뇨, 절박뇨, 요실금 횟수, 요실금의 양, 의복교환, 배뇨지체, 소변줄기의 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대조군에서 보다 실험군에서 하부요로 증상 점수가 더 많이 감소하였다 4. 골반근육운동 전후 두 집단 간 성생활 불편감의 변화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골반근육운동 후 두 집단 간의 일상생활 불편감의 변화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수분섭취제한, 화장실 없는 장소의 회피, 신체활동 지장, 남편, 친구관계의 지장의 경우 실험군에서 평균점수가 더 크게 감소했다. 6. 골반근육운동 후 두 집단 간 주관적 측정의 전체적인 개선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하부요로증상, 성생활 불편감, 일상생활 불편감의 문항에 대해 각각 합을 내어 운동요법 실시 전후의 변화정도를 Wilcoxon's Rank Sum test로 검정하였다 1) 하부요로증상의 경우, 골반근육운동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하부요로증상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졌다(p=0.0048). 2) 성생활 불편감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골반근육운동 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평균 점수가 더 많이 낮아졌다. 3) 일상생활에 불편감의 경우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군은 운동 후 증상이 점수가 감소한 반면 대조군은 오히려 점수가 증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요실금 여성에게 비디오 교육을 이용한 골반근육운동 시행 후 질수축압의 향상과 하부요로증상의 개선이 나타났고, 일상생활 불편감과 성생활 불편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몇몇 문항의 경우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더 많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디오 교육을 통한 골반근육운동은 요실금 여성에게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간호연구 측면 골반근육운동에 대한 비디오 교육과 기타 교육과의 비교 연구와 여러 지역에서 많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장기간의 효과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실무 측면 지역사회, 보건소, 병원의 건강 교실을 통해 골반근육 운동의 이행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 3. 간호교육 측면 요실금 증상을 사정·평가·중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문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요실금을 겪는 대상자의 가족, 그들을 돌보는 사람에게 요실금 관리에 대한 기초 교육과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elvic muscle exercise for the treatment of urinary incontinence with the application of video. The subjects consisted of 31 urinary incontinence women who assigned to 2 groups : 17 to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and 14 to control group. Information about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muscle exercise were given in forms of video. Treatment protocol lasted for 6 weeks. Peak pressure, average pressure and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ere evaluated by perineometer. Also,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developed by Jackson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Wilcoxon's Rank Sum Test with SAS program. 1. Peak pressure in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p=0.0001), and average pressure(p=0.0001) and duration of pelvic muscle contraction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p<0.0001) in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2. Lower urinary symptoms in the pelvic muscle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p=0.0048).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ual matters. 4. There was no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ife style. Because of limited sample size, the study results could not be perfectly generalized. However, effectiveness of the pelvic muscle exercise with application of video for the community residing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is sugges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