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一部 島嶼 地域 住民의 腸吸蟲 感染實態 및 認識

        박은미 조선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order to evaluate prevalence and perception on the intestinal trematodes of inhabitants at Docho-island, Shinan-gun, Chollanam-do, questionnaire survey for the epidemiological study and stool examination for the detection of the eggs of the trematodes were done on 224 individuals at the island from January to February,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gg positive rate of the intestinal trematodes was 21.0%. 2. The egg positive rate has revealed higher in the elderly over age 70 than other ages, higher in seashore villagers than inland ones, and higher in persons who had a rural and/or marine job than persons with other jobs, respectively(P<0.05). 3. The egg positive rate of alcoholic drinkers was higher than non-alcoholic persons, and the rate was also higher in smokers than non-smokers.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4. The egg positive rate was shown to be higher in inhabitants who have had raw mullet that was well known to be the source of infection with the intestinal trematodes than people who did not eat raw marine fishes(P<0.01). 5. The egg positive rate was also higher in humans who had the complaints of frequent abdominal pain and diarrhea than healthy people (P<0.05). In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intestinal trematodes at the island located in the south and west area in Korea was very high enough to eradicate the parasitic infections. In addition, a special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control of the trematode infections in many adjacent islands at Cholla-do because high prevalence has been continuously reported so far.

      • 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각 나라 음악에 관한 분석 연구 : 아시아 음악을 중심으로

        박은미 우석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각 나라 음악에 관한 분석 연구 -아시아 음악을 중심으로- 박은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 백 성 기 우리나라 음악교육은 1955년 이후 8차례나 개정되었다. 이처럼 교육과정의 개정은 한국 음악 교과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즉 6차 음악과 교육과정부터 학교교육에서 ‘다양한 전통음악에 대한 체험’을 강조하면서 전통음악교육의 필요성에 관하여 재고하기 시작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의 음악문화 유산을 비교하여 그 특징과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우리의 음악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문화 창달에 기여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2007년에 개정된 음악교육과정은 다양한 시대와 문화를 아우르는 음악을 소개하였고, 특히 아시아와 유럽, 아메리카, 아프리카 음악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분류하여 소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에 내용체계를 살펴보면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의 수록곡은 이러한 취지에 맞을 만큼 충분한 내용이 실려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권의 음악에 관하여 연구된바가 매우 미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제 7차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맞게 교과서 수록곡 또는 감상곡 등이 제시되어 있는지 연구해 보고 문제점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관해 알아보고자 함이 본고의 연구 목적이다. 21세기는 국가의 경계가 무너지고, 인종의 경계가 흐려지면서 문화의 다양성이 두드러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타문화 가정이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문화 교육과정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사회의 급속한 변화에 적응시키면서, 문화의 차별이 아닌 차이의 다양성을 이해하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특히 아시아의 민족 교류가 빈번해졌으므로 문화적 접근이 절실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문화의 음악교육에 필요한 수록곡에 대한 분포에 관해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n analysis study on each country music recorded in a junior high school music textbook -Focused on the Asia Countries music- Euen-mi, Bak Majoring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Advisor : Seong-gi, Baek The music education of our country was revised eight times after 1955. The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brought the change that a Korean music textbook had much in this way. In other words, I have begun to review it about necessity of the tradition music education while emphasizing experience-based 'for the tradition music that' diverseness did by school education from the sixth music and course of study. I contributed to new music culture development to develop it to inherit our music culture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compared the music cultural heritage of the country unlike our country in the seventh course of study,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and value. I classified Asia in particular and Europe, U.S.A., Africa music to introduce music to do the times and the culture that diverseness did the music education process revised in 2007 together to to hit the standard of students and hereby introduced it. If watched contents systems in the seventh course of study well, started the music of the diverseness cultures that did; show it concretely; there is it. However, what was studied in the music of the cultures that did diverseness not only there is not it where the collecting music of the textbook is only such a purpose, and enough contents are picked up on is the very unfinished fact. Therefore the thing that, by the way, I do that I relate to it whether there is that how about the problems I study it whether there is it, and to watch that textbook collecting music or impression music is shown to hit condition system among the seventh courses of study and examined is a study purpose of this report. While the racial border where a national border is changed into in the 21st century is clouded, variety of the culture is remarkable; there is it. The Sue tile will do the inflection of the culture course of study that I get together if other culture families increase rapidly, and our country made diverseness while letting students adapt themselves to a social rapid change to understand the variety of the difference that is not discrimination of the culture. It may be said in particular that it is the time when a cultural approach is acute because race interchange of Asia became frequent. I analyzed the music textbook of the revision course of study about distribution for the collecting music that diverseness was necessary for music education of the culture that I did in the seventh course of study and 2007 and hereby derived plan. that aimed at a globalization that even government dimension takes plan increasing Asia folk songs recorded in a music textbook for the culture education that diverseness did than a current standard for.

      • 태블릿 PC를 활용한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 방안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디지털학급을 중심으로

        박은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시대의 미술교육을 위하여 태블릿 PC가 미술 교육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인 수업사례를 통해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미술수업 단원 가운데, 태블릿 PC를 활용할 수 있는 제재를 선정하여, 인천동막초등학교 6학년 디지털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제로 미술수업을 운영하였다. 구체적인 수업사례로서 쉽게 그릴 수 있는 디지털 포스터, 함께 만드는 그림동화, 음악 듣고 그리기, 뮤직 비디오 e야기, 나도 패션 디자이너, 사이버갤러리-관객과의 소통의 6가지를 소개하였다. 태블릿 PC를 활용한 수업에서는 사전에 아이들의 태블릿 PC 활용능력을 파악하여, 모둠을 구성할 때 다른 친구들에게 기술적 조언을 해줄 수 있는 보조교사와 같은 역할이 가능한 학생들을 고루 배치하여 모둠을 조직하였다. 무엇보다도, 이러한 수업활동의 목적이 학생들의 PC사용 기술의 신장이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태블릿 PC를 활용하여 다양하고 새로운 형태의 미술수업을 경험해보도록 하는 것이라는 안내를 분명히 해야 했다. 디지털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태블릿 PC를 활용한 일련의 미술수업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에게 인터넷 및 디지털 매체들은 그들 삶의 한 도구로 자리 잡았기 때문에 이런 시대 흐름에 대응한 태블릿 PC를 활용한 미술수업은 학생들에게 거부감 없이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디지털 세대인 학생들은 이미 요람에서부터 각종 영상물을 즐겨왔으며, 인터넷은 그들 삶의 필수 요건들이 되었다. 그들은 더 이상 겸허하고 소극적인 태도로 예술가의 의도를 따라가려 하지 않고, 당당하게 자기주장을 하면서 마치 컴퓨터 게임을 하듯 미술활동을 해나갔다. 그러므로 다양한 영상물과 컴퓨터 그래픽을 미술교육에 도입하여 종이와 연필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방식 외에도 태블릿 PC와 같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미술수업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장르를 포함하는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었으며, 표현하는 주제 측면에서는 인간적인 감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수업에서 교사는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안내자 역할을 하게 되었다. 태블릿 PC라는 유용한 디지털 교육매체를 미술교육에 적극 활용하려는 노력은 오프라인 교실에서 미술활동을 보완하는 하나의 방안이 되며, 도래한 디지털 시대에서 학생들이 미술에 흥미를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미술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앞으로 현장개선을 위해 이루어져야 할 후속 연구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연구자가 담임학년으로 있는 초등학교 6학년 미술교육과정을 토대로 단원을 분석하여 수업제재를 추출하였으나, 디지털 학급이 초등학교 6학년 뿐만 아니라 4학년 5학년 및 중학교에도 만들어지는 것을 감안하면 해당 학년에도 이를 적용한 다양한 수업이 기획되고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모든 단원 매 차시에 태블릿 PC 활용이 효과적인 것은 아닐 수 있으므로, 기존의 미술수업과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수업의 시도가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어우러질 수 있도록 계획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인터넷 검색 및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저작권에 대한 교육 및 네티켓 교육을 철저히 시켜서 불미스런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가 없도록 해야겠다. 넷째, 무엇보다도 태블릿 PC와 같은 새로운 교육매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려는 교사의 자세가 절실히 요구된다. 아무리 좋은 시설적 기반을 갖추고 있더라고 교사가 바뀌지 않으면 좋은 시설은 사장되고 말 것이며, 이는 급변하는 시대적 변화에 대한 올바른 대처가 아닐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임의적으로 수업제재를 선정하여 현장에 적용하였기 때문에 태블릿 PC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방안에 있어 일반적인 형태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그 타당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시대에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첨단의 교육매체는 비단 태블릿 PC만이 아닐 것이므로, 다른 첨단 교육매체를 미술교육에 적용하여 활용하는 연구들도 계속해서 나와 주기를 바란다.

      • 청소년의 부모학대 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박은미 계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과정을 대인인지 이론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조사 데이터인 초등학교 1학년 패널 자료 중 7차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에는 SPSS 22.0을 통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행하였고, AMOS 22.0을 통해 측정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부모의 학대는 청소년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즉, 학대의 경험으로 하여금 자아탄력성은 낮게 인식되고 따라서 우울수준이 높아지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학대의 경험이 사회적 위축을 높게 인식하게 하고 그에 따라 우울수준을 높이는 결과였다. 넷째,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위축을 통해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위축을 경유할 때 매개적 역할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위축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부모의 학대를 경험한 청소년 우울의 상담적 접근에 있어 자아탄력성 향상에 보다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위축의 경우 자아탄력성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학대와 청소년 우울의 상담 접근과 전략 수립을 위한 논의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parental abuse experience on depression for youth. The stud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interpersonal representation model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social withdrawal. Data were collected from 2,349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ixth grade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SPSS 22.0 and th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AMOS 22.0.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al abu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youth depression. Second, ego resili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experience of abuse confirmed that as the ego resilience was lower, the level of depression increased. Third, social withdrawal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 depress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experience of abuse that caused social withdrawal to be highly perceived and thereby to raise the level of depression. Fourth, ego resilience showed a double mediating effect through ego resilience and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buse and youth depression. As a result,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in the parental abuse and adolescent depression was through social deprivation.

      • 청소년의 인성형성에 대한 음악 감상 교육의 역할 연구

        박은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필자의 논문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 청소년들에 문제의식에서 부터 출발하였다. 한국 청소년들은 첨단 정보통신 기술 국가 속에 살아가면서 정보의 홍수와 풍성한 멀티미디어 환경 속에 산다. 이러한 환경은 이 땅의 청소년들에게 수많은 정보를 쉽게 얻도록 해주는 반면. 청소년들의 정체성을 흔들고 그들을 개인적인 삶의 좁은 공간에 가두어 버렸으며. 그들의 인성 형성을 왜곡시키고 있다. 이에 필자는 모든 교육의 목표가 전인교육이듯이 음악교육의 목표 또한 전인교육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음악교육 전공자로서 ‘이들 청소년들의 인성에 음악이 교육적으로 어떠한 기여를 할 수 있을까?' 하는 사명감에서 이 주제를 연구하게 되었다. 물론 이 주제에 관한 연구가 이미 많이 이루어졌지만 필자는 이들 선행 연구가들의 여러 연구들을 토대로 한 걸음 더 나아가, 청소년들의 인성을 인성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그래서 음악 감상 교육이 인성 유형별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그리고 인성유형별로 나타난 부정적 인성을 음악 교육을 통해 어떻게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점이 이전 여타 논문과 필자의 논문이 다른 점이다. 이 인성 유형별 연구를 위해 필자는 DISC라는 인간의 기질분석 도구를 사용하였다. DISC는 인간의 기질을 주도형(D), 사교형(I), 안정형(S), 신중형(C)로 분류한다. 실제 연구를 진행하면서 필자는 음악교육이 처한 현실을 통해 음악교육이 심각한 위기 앞에 놓여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음으로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청소년기에 대해 여러 분야의 학자들을 통해 연구한 결과 청소년기가 자기중심성이 강하지만. 자아정체성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정서적으로 불확실의 시기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음악 교육학자들에게는 음 악을 통해 청소년기의 인성이 변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대목이기도 한데, 이러한 가능성 위에 필자는 청소년의 정서와 음악의 상관관계를 더 깊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음악은 인간의 정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특히 정서적 불확실의 시기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에 필자는 이 청소년의 인성변화에 대한 연구를 심도 깊게 하기 위해 인성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도구인 DISC에 대한 부분을 집중 연구하였다. 이 이론적 근거 위에 필자는 현재 교육의 대상이 되는 청소년들의 음악 환경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한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통해 살펴 볼 때, 현 청소년들은 사교육적으로 음악교육을 나름대로 받고는 있었다. 그러나 그 교육은 인성을 염두에 둔 교육이 아니라 음악기기에 대한 기능교육이 나 입시를 위한 교육에 제한되어 있었다. 또한 청소년들은 서론에 밝혔듯이 여러 대중음악에 심취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청소년에 대한 음악교육의 필요성을 더욱 절감하게 하였다. 이에 필자는 공적인 음악교육은 청소년의 인성을 바로 잡고, 그들에게 음악교육의 기회를 골고루 주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알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필자는 실제 임상연구로 들어가게 되었다. 임상 연구는 필자가 교생연구 실습으로 나갔던 영락여자상업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했다. 1학년과 2학년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하면서 청소년의 인성에 긍정적 영향을 줄 좋은 음악을 선정하였고 그 음악은 이미 효과가 입증된 것 중에서도 청소년들과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친근한 클래식 두 곡과 대중음악 중 한곡을 선택했다. 그들 곡은 푸른 도나우 강, G선상의 아리아, SG 워너비의 '사랑 했어요’ 이였다. 이 곡들은 나의 연구결과를 볼 때 인성 형성에 유익한 조건들을 두루 가지고 있었다. 다음으로 필자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DISC를 통해 인성을 분류하고, 인성별로 부정적인 그들의 정서를 파악하였다. 그러고 난 후 연구 대상 청소년들에게 음악 감상 곡에 대한 해설과 감상 방법을 설명하였고 뒤이어 감상교육에 들어갔다. 필자는 청소년들에게 이 세 곡을 감상 시킨 뒤, 인성 유형별로 자신들의 인성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이미 조사했던 부정적 정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만족할 만 하였다. 필자가 실시한 실제 음악 감상 교육은 이론으로 정리했던 ‘음악교육이 청소년의 인성 변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특히 필자가 처음으로 시도한 DISC 도구, 즉 인성분류에 따른 연구는 인성 변화를 위한 음악 감상 교육의 효과가 여자 청소년들에게 더 크다는 것을 입증해 주었다. 그리고 이 연구는 음악 감상 교육이 인성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에 있어서, 타인에 대한 기대치가 낮고 일 보다는 사람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청소년들에게 훨씬 효과가 크다는 중요한 결과도 이끌어 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말한다면, 음악이 인간의 정서와 인성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제 음악교육과 설문 조사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요즘처럼 청소년들의 왜곡된 인성이 크게 사회문제화 되는 시기에 이 연구가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밝히는데 기여했다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 필자가 사용한 인성유형별 연구는 단순히 음악이 청소년의 인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명제를 넘어 인성 유형별로 그 교육적 효과가 다르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청소년의 인성 형성을 위한 음악교육의 접근 방식을 보다 구체적이고 그것을 다시 인성 별로 세분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아쉬운 점은 필자가 설문 조사를 여자 청소년만 대상으로 함으로 인해 남자와 여자에 대한 음악 감상 교육의 차이와 유형별 차이를 보다 심도 있게 분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이 연구를 보다 더 많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지 못해 내가 밝힌 이론을 좀 더 심층적으로 증명하지 못한 것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공적 음악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음악교육이 대학 입시과목에서 제외되어 공교육에서 그 설자리조차 위협 받고 있는 현실에서 과연 음악 교육 이 청소년들의 인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를 얻을 수 있을 지가 하나의 커다란 숙제로 남는다. This study was begun with a critical mind of the writer towards Korean adolescents living in the present era. The adolescents of Korea live in a country proud of its high technology and communications developments. As a result, adolescents swarm in a flood of miscellaneous information and blend in a backdrop of abundant multimedia. This kind of environment has rendered enormous amounts of information too cheap to Korean adolescents. Moreover, it has distorted their identical sense as a human being, fettered them to a narrow space in their personal lives and warped their education which was supposed to mold them into a human being with an admirable human nature. Hereupon, the writer primarily acknowledged the object of all education to be 'the education for the whole' and as being a music education major herself, took it upon herself as a dignified sense of duty to find out a way to enhance the adolescent mind by utilizing music as the vehicle. Naturally, myriads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y others in this same field of study. However, the writer proposes to use the preceding studies to a good advantage as a fine foundation in order to take a step even further to categorize the human nature of adolescents into different groups. By doing so, the writer cl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on respective human nature categories and to investigate how to reform negative human natures to positive human natures through music education. Consequently, it is the distinct quality of this study which differentiates it from other studies.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of human nature groups, the writer has appropriated DISC, a temperament analysis tool. DISC systematizes human temperament into the four following units firstly, Dogmatic(D), secondly, Influential(I), thirdly Steady(S), and lastly, Cautious(C). While carrying out the study, the writer realized that the reality and application of music education were imminently stuck in a significant crisis. Scholars from various fields touching adolescents as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consulted.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adolescents have a strong sense of egocentrism, but due to the lack of a firm establishment of a personal identity, must endure a period of uncertainty. This verification also implies the possibility of a music educator making a change on adolescent human nature through music education. Moreover, the writer underwent a thorough inquir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 emotions and music which provided further evidence. The outcome displayed that music exercises enormous influence on human emotions, and especially even more so on adolescents in the era of uncertainty. Therefore, in order to perform an in?depth study on the alterations of adolescent nature, the writer centralized this study on the tool for classifying human nature, DISC. After the writer had planed the foundation smoothly, it was felt that there was a need to examine the musical environment embedding adolescents as the present target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of a certain study group, most adolescents are currently taking at least some kind of private lesson for music education. However, the education which was being undertaken privately did not take heed of humanity in any way, but was strictly circumscribed to practical education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or passing entrance examinations for university. Furthermore, as afore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adolescents were definitely too deeply engrossed in popular music. These products of the study starkly emanated the necessity for adolescent music education. Hence, the writer was made aware that public music education should mould adolescent human nature in an upright manner and bestow to each and every student the equal opportunity of music education. Amid such critical thoughts, the writer set upon a clinical study. The study took place where the writer went for teaching practice, Youngrak Industrial Senior Highschool. 10 classes from both first and second grade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the study. Firstly, the writer chose musical pieces that were thought to exercise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 human nature. Together with musical pieces which had already had strong proofs of its educative effectiveness, in order to enhance adolescent access, two pieces from familiar Classical Music and one piece from popular music were chosen. <Blue Danube>, <Orchestral Suite No. 3 in D major BWV 1068 - Air>, and <I Had Loved> by SG Wannabe were the final selections of the writ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writer concluded that these musical pieces were thoroughly endowed with beneficial conditions for building human nature. Secondly, the writer categorized adolescent human nature into subservient groups according to the DISC and grasped the negative facets of each humanity group. In addition, the interpretation and appreciation method for each musical piece chosen for music appreciation were demonstrated to the students.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immediately followed the prescribed instructions. After having the students listen to the three musical pieces, the writer investigated the alterations of the negative emotions of each human nature group. The results were highly satisfactory.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that the writer applied in class proved that the theory which 'music education can induce multiple changes and effects on adolescent human nature' was true. An interesting factor that the writer encountered during conducting the study was that the DISC tool as a primary approach for the study displayed a deeper effect on adolescents of a certain sex.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human nature categorization, the influences of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showed a higher degree of change upon females than mal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stablished the momentous fact that when it came to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making a positive change in human nature, adolescents who had exhibited a low expectation level towards others and had put more weight on human relationships than work or study were shown to be much more flexibly moldable than other cases.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would be purported to be the confirmation of the positive influences of music on human emotions and human nature through music education and questionnaires. By achieving this, this study has contributed to society in the sense that it has disclosed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a period where the perverted humanity of adolescents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particular, the human nature groups appropriated in this study do not cease to simply testify the proposition that music exercises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 humanity, but takes a step further by indicating that the educative effectiveness may differ from each human nature group, on a group by group basis. In other words, the potenti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s has presented the possibility for a more concrete music education approach for the formation of human nature and has also left open the chance for more detail human nature categorization. Nevertheless, the writer deeply regretted that the questionnaires were only applied to female adolescents and therefore thwarted the knowledge of the difference from male and female adolescents of both the education of music appreci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spective groups. In addition, it was also felt to be a matter of distress that because this study was limited to a practical number of students, it was impossible to authenticate the writer's theory more seriously in depth. Finally, it is left as a task of utmost importance to gain the opportunity to exercise music education as a tool to mold the human nature of adolescents in an era where music education in reality has been excluded from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university and has lost its place in public education, even though its necessity is boldly apparent.

      • LED와 레이저 다이오드 광원을 이용한 자동차용 전조등 광학계 설계

        박은미 부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velopment of Nichia's blue light-emitting diodes (LEDs) has become the most promising solid-state lighting technology, combining white LEDs with blue LED chips and YAG phosphors. However, the LED has a high operation current, which causes a problem of efficiency deterioration due to a decrease in quantum efficiency internally or externally due to temperature rise of the device. The temperature rise also causes a change in the peak wavelength and has a detrimental effect on the phosphor. In contrast, laser diodes do not experience this efficiency loss. In this paper, a downward light is implemented using a projection type optical system. We optimized the optical system by using LED and laser diod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downward laser diode, a further study on the phosphor screen has been carried out. As a result, the result of conversion into 576.03 nm yellow light was obtained, which is the result that the blue light of the laser diode can be converted into white light. The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the ECE-R112 regula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ptimized optical system. Both of the rays were satisfactory in terms of the requirements, and the selection of the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was realiz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ptical efficiency of the laser diode is about four times as high as that of a specific environment. Nichia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LED)의 개발은 백색 LED와 청색 LED 칩 및 YAG 형광체를 결합한 가장 유망한 고체 조명 기술이 되었다. 그러나 LED는 높은 동작 전류를 가지므로 소자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내부 또는 외부 양자 효율 저하로 인한 효율 저하 문제를 야기한다. 온도 상승은 또한 피크 파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인광 물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반대로 레이저 다이오드는 이러한 효율 손실을 경험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투사형 광학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향 빛을 구현하였다. 우리는 각각 LED와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광학 시스템을 최적화하였다.. 하향 레이저 다이오드의 경우, 형광체 스크린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 결과, 576.03 nm의 황색 광으로 변환 된 결과를 얻어졌으며, 이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청색광이 백색광으로 변환 될 수 있는 결과임을 확인하였다. ECE-R112 규정의 구현 및 분석은 최적화 된 광학 시스템을 통해 수행되었다. 두 광선 모두 규정의 요구 조건에 대하여 만족하였으며 사용 환경에 따른 광원 선택이 실현되었다. 또한, 특정 환경을 조성한 결과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 효율은 LED 하향등의 광 효율에 비해 약 4배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