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地方自治制 實施를 前提로 한 地方體育行政組織에 關한 硏究

        박웅식 全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體育은 개인의 특성과 방법을 고려하여 선택된 신체활동의 잠재적 가치를 구현함으로써 인간을 형성시키는 작용이며, 신체활동을 매개로 건강한 신체와 바람직한 사회적 성격과의 동시적 육성을 목표로 한다. 앞으로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 주민의 자치의식이 증대되고 평등화와 복지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의 수용을 위해 地域社會 體育活動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사회 체육활동의 활성화는 필연적으로 行政需要를 증가시킬 것이며 증가된 行政需要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地方體育行政은 더욱 發展되어야 할 것이다. 본 硏究는 활성화 되어 있지 못하고 있는 우리나라 地方體育行政, 특히 組織 부문에 대해 고찰해 보고 地方自治制 實施를 前提로 한 地方體育行政組織에 관한 방안을 제시해 봄으로써 지방자치제 실시에 따른 地方體育行政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1. 地方體育行政組織의 實態 및 問題點 1) 中央 體育行政部署의 業務 分散 및 重複 우리나라는 체육에 관련된 업무가 體育部를 中心으로 통합적으로 처리되지 못하고 여러 기관에 分散·重複되어 있는 실정에 있다. 體育政策 關聯業務, 體育團體 關聯業務, 體育施設 關聯業務, 選手 및 指導者 育成·管理 關聯業務, 各種大會 關聯業務 등은 體育部와 文敎部로 二元化 되어 있으며 大韓體育會와도 分散·重複 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현상은 地方體育行政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바, 중앙부서별 업무의 한계를 명확히 하고 지휘계통을 확립해야 하겠다. 또한, 體育部의 지방 하부조직이 없는 것도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2) 地方體育行政機構 및 業務面 우리나라의 地方體育行政은 市·道廳의 生活體育課와 市·道 體育委員會의 社會體育課 그리고 地方體育會에서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機構와 人員 그리고 分掌事務로서는 地方自治制 實施를 전제로 했을 때 地域社會 體育活動의 활성화에 따른 行政需要와 體育의 專問化 및 多樣化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地方體育行政 機構의 확대 강화와 업무 영역의 확대 및 각 부서별 업무의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하겠다. 3) 地方體育行政擔當 要員面 현재 體育行政擔當 要員은 인원의 부족은 물론, 體育 專問人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地方自治制 실시에 따라 體育行政機構의 확대와 업무영역의 확대에 따른 인원의 증가는 물론 體育의 專問化와 多樣化가 전망되며 주민에 대한 體育活動의 指導·普及을 위해서 이와 관련한 專問 要員의 수급이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있다. 4) 體育行政의 非電算化 우리나라 體育行政의 원활한 運營 및 管理를 저해하고 있는 중요한 한 요인으로 體育行政이 電算化 되어 있지 못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體育行政의 後進性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 정보 및 자료처리 업무의 미비 등을 초래하고 구성원의 사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電算網을 구축한 行政의 先進化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地方體育行政組織 方案 1) 中央體育行政 部署 業務의 一元化 우리나라 體育行政의 발전과 地方體育行政의 一元化를 위해 먼저 中央體育行政擔當部署 業務의 一元化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모든 體育行政은 體育部에서 관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市·道廳과 지휘체계를 가진다. 다만 學校體育業務는 文敎部에서 관장하여 市·道 敎育委員會와 지휘체계를 갖는다. 大韓體育會는 순수 민간 단체로서 선수 발굴 및 육성, 체육 지원 및 정책 건의, 연구·조사, 민간차원의 체육 교류 등의 업무에 한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2) 地方體育行政機構 및 業務의 擴大 强化 현행 市·道廳 生活體育課를 體育局으로 승격하고 體育部의 지방 하부기관으로 하며 社會體育課, 生活體育課, 體育施設課를 두어 분장사무를 확대하여 地方自治制 실시에 따라 급증하는 體育行政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市·道 敎育委員會의 社會體育課는 體育敎育課 또는 學校體育課로 개칭할 필요가 있으며 施設係를 신설하고 학교 체육 업무를 전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市·道의 體育會는 그 지방의 선수 발굴 및 육성, 체육지원·협조 및 정책건의, 연구·조사 활동, 민간차원의 체육교류에 한하도록 함이 좋을 것이다. 3) 地方體育行政擔當 要員의 增員 및 專問化 地方自治制 實施에 따라 증가되는 體育行政 需要와 體育活動의 專問化 및 多樣化 , 주민에 대한 지도 및 지원사업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인원의 증가와 담당요원의 전문화는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서울特別市에 실시되고 있는 體育指導師 제도의 확대 실시와 體育行政擔當 要員 임용 제도의 개선, 임용 전후의 교육제도, 지역 주민 체육활동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용·습득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4) 體育行政의 電算化 中央 및 關聯機關·團體와의 신속한 업무 연락과 지역사회 주민 및 체육활동에 관한 최신정보의 수집 그리고 조직원의 사기 앙양과 인력의 낭비 방지, 신속한 업무 수행 등을 위해 중앙과 지방의 체육행정의 電算化가 필요하겠다. 3. 結論 地方自治制 實施는 政治·經濟·社會·文化的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특히 체육활동의 욕구 증가로 인한 地域社會體育의 활성화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본 硏究는 地方自治制 實施를 전제로 한 地方體育行政組織에 관한 방안을 제시해 보기 위해서 中央體育行政部署의 業務 重複面, 光州直轄市를 중심으로 한 地方體育行政 機構 및 業務面 地方體育行政擔當 要員面, 體育行政의 後進性 面에서 고찰해 보고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中央體育行政部署의 業務의 一元化가 필요하다. 中央行政部署중 文敎部에서 學校體育業務를 專擔하고 體育部에서 社會體育을 비롯한 모든 體育關聯業務를 擔當하며 大韓體育會는 民間團體로서의 지원·연구업무를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본다. 2) 地方體育行政機構의 확대 개편이 필요하다. 地方自治制가 실시됐을 경우 늘어나는 체육행정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市·道에 體育局을 신설하고 市·道 體育委員會의 學校體育 施設係를 설치하는 등 地方體育行政機構의 확대개편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3) 地方體育行政 擔當要員의 增員과 專問化가 필요하다. 機構의 확대 개편에 따른 증원은 필수적일 것이며, 地方自治制 實施에 따른 地域社會體育의 多樣化·專問化 전망에 비추어 體育行政 擔當要員의 專問化가 요청된다. 또한 體育指導師 制度의 확대 실시와 體育行政 擔當要員 대한 임용제도의 개선 및 교육의 확대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4) 地方體育行政의 電算化가 필요하다. 地方自治制 實施에 따른 行政需要의 급증에 대처하고 각종 體育業務의 원활하고 능동적인 처리를 위해 體育行政의 電算化는 필요할 것으로 본다. Local self government system operation exerts on important effects upon society and national consciousness and it will give rise to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local society. With such forecasts as above, this paper trices to present the plan for strengthening of loca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his paper has an object to offer basic data for loca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Through other documents' research, this paper fries to contemplat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and significance of physical education in local society, a chief cause and direction of activ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local society, con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 and Korea's physic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This paper inquire into the actual state and problem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presentation of activation plan inside of deplication of the center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ve department and division of dutres, human business, and backwordness of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The followings are this paper's conclusion. 1. Unification of affairs in the center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ve department must be realized. 2. Enlargement and reorganization of loca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ve structure are necessary. 3. An increase of personnel and specialization of loca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ve a person in charge are necessary. 4. Computerization of local is necessary.

      • 學校 體育行政에 關한 硏究

        박웅식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is the mother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and elite sports, and then there is constant increase of social demands for substantialties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the establishment and the research of targets, and efficiency are required to reach the objectives of physical education.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a plan for the growth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administr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1. The process of changes in national administration of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administrative system was composed through the bureaucracy in Chosun dynasty, Japanese imperialism, U.S.military administration and government established in 1948,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changes of the constitutional orders by this time. This has been also applied to the administr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Sinla times military arts like wharangdo was the core of physical education culture, in Korea and Chosen times the pen was thought highly but sword was belittled. By this influence it was practiced only among the civilians and there are no plans and policie, At Gojong in the chosun dynasty, the physical education was encouraged but the japanese imperial did not promoted it and set the goal only at ruling the Koreans by means of it. After the liberation, Although resuming the value of it, the physical education was weak in many points of view. Since the Military Revolution at 5.16 in 1961 physical examination has been practiced by the national physical promotion decree and in 1982, the decision which our nation will be the host of 1988 summer olympic game gonged a new round in national physical enhancement. 2.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I have researched the state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the points of organization, personnel, finance, facilities, management. 1) organizational aspect Because physical education was divided into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m is deficient, and there is much confusion is execution. 2) Personnel aspect There are wants of physical teacher who are in charges of gymnastics and in-service training, and many cases that non-specialist, whose speciality general administration, takes charge. 3) Financial aspect National Financial support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very poor and the Korean Amateur Athletic Association and civilian organizations are spend little money in it. 4) Facilities aspect Most of the facilities are under standards, one sided and deficient in safety. possession rates of physical facilities like playground and gymnasium, are very low. 5) Managerial aspect Schoo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has had many problems like the putting first in entrance examinations, premodern study method, player training for only sports technique aspect, ignoring sanitation environment and becoming low of food supply rate in school. 3. Suggestion for the betterment in school physical management. For our nation's practicality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I suggest the followings. 1) Unifying the organizations in the poin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2) Specializing the posi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expanding in-service training. 3) Securing school physical education finance 4) expans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5) Improvemen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4. Conclusion When we consider that school physical education is a kind of education, and constitute the basis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and many fields in society, by bettermen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dministration, must enhance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more the national physical education.

      • 스트레칭 및 근력운동프로그램이 청소년 특발성 척추측만증 개선에 미치는 효과

        박웅식 남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of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on idiopathic scoliosis of the youth. Twelve subjects(6 male, 6 femal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control group,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group).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stretching, muscle strength, and ball exercise. The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three times week for 8 weeks. Before and after experiment Cobb's angle, flexible, and height was meas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Cobb's angle of thoracic vertebr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group. Lumbar Cobb's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too. The correction ratio of lumbar vertebr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group, too. The h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group.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retching, muscle strength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idiopathic scoliosis of the youth.

      • 21세기 한국 사회구조 변화와 생활체육의 정책방향

        박웅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 사회구조 변화에 따른 생활체육의 정책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한국 사회구조 변화를 전망한 후 한국 생활체육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해 보고 21세기 한국 생활체육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미래연구의 한 방법인 낙관적 관점에서 유추의 원리와 추세외삽법, 사회지표를 활용한 사회지표 접근법으로 하였다. 21세기 한국 사회구조 변화를 전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1세기 한국사회는 현 사회보다 인구가 증가하고 인구구조는 연소인구계층은 감소하고 노령인구계층이 늘어나는 항아리형 인구구조를 보일 것이다. 둘째,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국민소득이 증가하고, 근로시간이 단축되어 여가시간이 늘어나게 되며, 소비구조는 생계비가 줄어들고 교육비·교양오락비 등이 늘어나는 추세로 변화할 것이다. 셋째, 과학기술의 발전은 서비스산업 위주로 산업구조를 변화시키며 생활의 과학화·정보화를 가져올 것이다. 넷째, 소득의 증가와 여가시간의 증대에 따라 국민은 삶의 질의 향상을 추구하고자 할 것이며, 삶의 질의 주요 변인인 건강과 여가활동을 위해 생활체육 인구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한국 생활체육 현황과 과제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시설 확충에 대한 장기 계획이 수립되어 있지 않고 중단기 계획으로서 미래에 대한 대비가 부족하다. 또 근린 체육시설과 야외 레저스포츠 시설이 미흡하며 민간 체육시설은 몇 가지의 실내운동 종목에 치중되어 있고 관리체계도 다원화되어 있으며 정부 지원도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생활체육지도자는 1급, 2급, 3급 등 급별로 양성되고 있으나 몇 가지 종목에 편중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스포츠지도자와 노인, 장애인의 체육 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특수체육 지도자 양성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 현재 양성된 지도자 배치를 위한 관계 법령의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생활체육 프로그램은 개발 및 보급의 전문화가 요구된다. 생활체육 교실의 운영도 행사에 편리한 몇 가지 종목에 편중되어 있으며 야외 레저스포츠 및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미흡하다. 넷째, 현재 국민의 체육활동 참여 확대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PC 및 음성서비스전화를 이용하거나 정보 네트워크 구축 등 체육의 정보화와 홍보 그리고 국민 체육활동에 대한 과학적인 관리와 운용이 필요하다. 또 현재의 여가문화는 퇴폐 향락적이고 건전하지 못한 경향이 있다. 여가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개선하고 체육을 통한 새로운 여가문화를 창조해야 한다. 다섯째, 우리 나라의 생활체육 행정은 업무의 중복, 중앙 집권화, 생활체육 전담 행정조직의 미약, 국민체육진흥법의 미비, 담당공무원의 비 전문화, 체육행정의 비 과학화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상의 21세기 한국 사회구조 변화와 생활체육의 현황 및 과제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21세기 한국 생활체육의 정책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장기적인 생활체육 시설 확충 계획이 수립되어야 하며 장기 계획에 따라 근린 공공 체육시설과 야외 레저스포츠 시설이 확충되어야 한다. 민간 체육시설에 대한 지원과 관리체계의 일원화, 관계 법령의 개정이 필요하며 노인, 장애인 그리고 여성을 위한 전문화 된 체육 시설이 확충되어야 한다. 체육시설에 정보 네트워크의 구축, 스포츠와 의료와의 연계, 질 좋은 시설 장비와 시설관리자의 배치를 통한 체육시설의 문화공간화, 시뮬레이션형 스포츠 기기 등의 시설 개발과 전문화 등 체육시설 환경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생활체육지도자는 분야별로 전문화되어야 하며 국가차원의 보급 체계 확립이 필요하고 봉사지도자의 도입과 활용이 검토되어야 한다. 관계 법령의 강화를 통해 생활체육지도자가 규정대로 배치되어야 하며 신분보장과 전문직으로서의 대우를 받도록 해야 한다. 또 노인, 장애인, 여성의 체육활동을 지도할 수 있는 특수체육 지도자를 양성해야 한다. 셋째, 생활체육 프로그램은 다양하고 전문화되어야 하며 레저 프로그램화해야 한다. 또 환경문제를 고려하면서 야외 레저스포츠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보급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넷째, PC통신 등 첨단과학 기재를 이용한 체육의 정보화와 홍보가 강화되어야 하며 다양한 체육행사의 개최와 국민의 생활 속에서 체육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동처방, 체력검사 및 상담의 확대, 체력 센터의 설치 등 과학적 관리가 필요하다. 또 동호인 조직에 대한 육성과 지원이 강화되어야 하고 여성과 장애인이 불편 없이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시설, 프로그램, 지도자를 준비해야 한다. 한편 체육활동을 통한 건전한 여가문화를 창조하기 위해 스포츠 휴머니티 개념의 생활화와 체육과 문화가 함께 접목될 수 있는 다양한 행사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장기적인 생활체육진흥 정책의 수립, 생활체육 전담기구의 국단위로의 확대, 법령의 강화, 체육행정 담당자의 전문화, 체육행정의 개방화와 과학화를 통해 서비스행정을 강화하고 체육행정이 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중앙에서 지방으로 이관되어야 하며 지방과 민간단체의 자율성 보장 및 특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new policy of "sport for all" based upon the korean social changes anticipated for the 21st century. This study was predicting the changes in the Korean society relating to "sport for all" and suggested new policy of "sport for all" for the 21st century.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principle of analogy, the trend of extrapolation, and social indicators approach. The view of Korea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nd new policy could be summarized this way; First, the rate of population will increase with the aged population outweighing the younger population. Second, owing to the economic growth of an average of 7% each year, the national production and leisure time will be increased and working hours will be reduced. Also, The cost of living wilt be fallen and the cost of education culture and leisure will be increased. Third, the technical science will change the industry structure to service industry and bring about the information and scientification of life. Fourth, people are more concerned about health and choose a physical activity as a way to keep their health as a result of the increase of production and cultural leisure time. This paper suggested new policy of "sport for all" based aims and element of "sport for all" this way : First, the long term plans on the facilities of "sport for all"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new "sport for all" policy, regional groups that have their own public and outdoor facilities of physical activity ought to established ; develop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programs, profession and the systematic popularization of "sport for all" Second, the director of "sport for all" should be specialized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t the leisure-sports of physical activity, the popularization of sporting events, organized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the promotion and services of administration. In particularly, The specific director of "sport for all" will be trained for aged man, disabled person and woman. Third, the program of "sport for all" should be specialize and diversify for leisure activities based all physical activity with regard to environment problem. Fourth, the publicity activities of "sport for all" should be solidified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good sport environments ; high quality, well-coordinated facilities and instruments, strong concern over them, the support of the private facility, the enlargement of the public sport facilities, scientifically based sport facilities and instruments, the enlargement of job-site sport facilities. To this end, "Sport for all"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21st Korean social changes so that it is service-centered and devoted to the well-being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