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소불가분의 원칙과 공소권행사 : 고소의 객관적 불가분원칙 적용범위를 중심으로

        박영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ntends to deal with the principle of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that addresses the range of being affected by the accusation in connection with a rape charge, which is a representative offense subject to complaint from the standpoint of the criminal code, and also a legitimate exercise of the right to arraignment concern. The criminal procedure law in Korea recognizes the principle of subjective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stating such subjective effects associated with the principle of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clearly. Even though there are no particular stipulations in relation to the principle of objective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that affects the objective effects, the academic world gives recognition to such objective indivisibility, taking it for granted in theory, and also it is acknowledged so in the judicial precedent. Common opinion in Korea where the principle of objective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is strictly observed indicates that if a complaint against assault and threat which are part of rape, has been filed, this shall have effects on its entirety, therefore, the prosecutor may bring the arraignment on rape charges to court. However, sticking fast to the principle of objective indivisibility of the charge as such shall lead to a conclusion in which the intent to treat the rape charges as by an offense subject to complaint has been ignored. Reasons for arriving such a conclusion are that, in case the rape victims have expressed their intention explicitly by bringing the lawsuit against accused persons on account of only assault and threat, the prosecutor may charge such behaviors, but the prosecutor will not make arraignment and alteration of indictment valid as with rape charges, so that it may help protect the benefits of the victims who try to hide the fact of sexual assaults, and also it may be the best solution from the standpoint of criminal policy, with which the state’s right to impose criminal punishment on wrongdoers can be exercised. And, another problem is that in case of no accusation against the rape charges, whether or not public prosecution would be allowed only with the charges of assault and threat, which shall constitute the means of rape. Specifically, in spite of sufficient evidence of criminal conduct related to rape, and complete readiness for lawsuit, if the prosecutor has brought the case only on the basis of the fact of assault, which is a means of rape, problem may arise as to whether or not such a public prosecution is legitimate, and also disputes may occur with objections thereof. In this regard, the common opinion of our country indicates that when recognizing accusation only for the charges of assault and threat, which are the means of rape, it shall be contrary to the intent to consider the rape charges as an offense to complaint, and also denies such a legal action, for it doesn’t congruent with the principle of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However, the reason for treating the rape charges as an offense subject to complaint is to protect the benefits of sexual victims concerned by hiding the fact of sexual assaults, but not to give up the right to arraignment, and in case that the crime conducts are acknowledged only in a part of the whole crimes, or lawsuit conditions have been fully satisfied, it is natural that public prosecution will be allowed only in part thereof. Therefore, the common opinion of the country that asserts impossibility of bringing public prosecution against assault and threat based on the principle of objective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and the intent that specified the rape charges as by an offensive subject to complaint is unconvincing. Thus, as to an offense subject to complaint, the principle of objective indivisibility of the charges is not the basic generalization or rationale that should be recognized theoretically, without questions, so then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give recognition to the divisibility of the charges in any specific individual cases, it is required to consider,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implementation of the right to crime punishment related to the criminal defendant as well as the necessity of protection for legislative intent that prescribed specific crimes as an offensive subject to complaint in a sufficient manner. 연구자가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주제는 형법상 대표적 친고죄인 강간죄에 있어서 고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에 관한 고소불가분의 원칙과 이에 따른 공소권의 합리적 행사에 관한 것이다. 우리 형사소송법은 고소불가분의 원칙에 관하여 그 주관적 효과를 명시하고 있어 고소의 주관적 불가분의 원칙을 인정하고 있으며, 객관적 효과에 미치는 고소의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에 대하여는 특별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나 학계와 판례에서는 이론상 당연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고소의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을 고수하는 우리나라 통설은 강간죄의 일부인 폭행·협박의 고소가 있으면 그 전부에 효력이 미치고 따라서 검사는 강간죄로 공소를 제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고소의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을 고집하는 것은 불가피하게 강간죄를 친고죄로 한 취지를 약화시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왜냐하면 피해자가 폭행·협박만을 명시적으로 고소하여 처벌의 의사를 표시한 경우에 검사는 그 행위에 대해서는 소추할 수 있으나 강간죄로는 공소제기 및 공소장변경을 유효히 할 수 없다고 하는 것이 성 피해 사실을 은닉하려는 피해자의 이익도 보호할 수 있고 또한 범행자에 대해 공형벌권도 실현할 수 있는 최선의 형사정책적 해결이 되기 때문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강간죄의 고소가 없는 경우에 그 수단이 되는 폭행·협박만으로 공소제기하는 것이 허용되는가의 여부이다. 즉, 강간의 범죄혐의가 충분하고 소송조건이 구비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사가 강간의 수단인 폭행사실로만 공소제기 한 경우에 그 공소제기가 적법한가의 문제이고 이에 대해 이론의 다툼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우리나라의 통설은 강간의 수단인 폭행·협박 만에 대한 기소를 인정할 때에는 강간죄를 친고죄로 한 취지에 반하며 고소불가분의 원칙과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하여 부정하고 있다. 강간죄를 친고죄로 한 이유는 피해자의 성범죄 피해사실을 은닉함으로써 그의 명예를 보호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폭행·협박행위에 대한 공소권을 포기하자는 것은 아니다. 일죄의 일부에 대하여만 혐의가 인정되거나 소송조건이 구비된 경우에 일부에 대한 공소제기가 허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강간죄를 고소의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을 근거로 폭행·협박에 대한 공소제기의 불가능성을 주장하는 우리나라의 통설은 재고되어야 한다. 친고죄에 있어서 고소의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은 이론상 당연히 인정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므로, 구체적 개별사례에 있어 고소 가분성의 인정여부를 형사정책적으로 결정할 때에는 특히 특정범죄를 친고죄로 규정한 입법취지의 보호필요성과 범인에 대한 형벌권실현의 필요성 등의 요소가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박영애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사회 변화 속에 학교 현장에서 점점 학생들의 생활지도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그 해결방안의 하나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투입하는 것이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첫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기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채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공주시 면소재지에 있는 초등학교 3학년 9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역시 인근에 있는 면소재지 학교의 3학년 학생 9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자기존중감 척도로 최보가와 전귀연이 연구개발한 자기존중감 척도 중 32개 문항을 선정하여 사용하였고, 사회성 검사는 김학수와 이윤수가 개발한 생활지도 진단검사 중 40문항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이형득의 ‘자기성장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이장호, 김정희의 ‘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실제’ 및 오경준과 강복선이 사용한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3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8월 끝 주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매 주 2회 50분씩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10회기 운영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PSSWIN 14.0 을 사용하였다. 또한, 자기존중감 및 사회성 검사 하위척도에 대한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 신뢰계수 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존중감에 대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첫 번째 가설인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아동들에 비해 자기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는 기각되었다. 둘째, 사회성에 대한 사전·사후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나오지 않아서 두 번째 가설인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아동들의 사회성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아동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도 기각되었다. 실험 결과가 선행연구와 다르게 부정된 원인을 찾는다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수가 9명으로 너무 소수를 선정한 점과 3학년에게 검사도구의 내용이 어려웠거나 지도교사의 진행 능력이 미흡한 점, 실험기간이 너무 짧았던 점 등을 들 수 있다. 그래도 그래프 상으로 보면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결과가 눈에 띄게 상승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 초등학교 저학년, 중학년, 고학년에 맞는 프로그램이 구안되고, 지도교사의 상담기술을 연마하며 프로그램 운영 횟수를 확대하여 적용해보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본다. 자기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존중감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많은 선행 연구에서 입증하고 있는 것이므로 지속적인 노력이 결국 학생들이 즐겁게 학교생활을 하도록 도울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 한국과 일본의 부가가치세법 비교연구

        박영애 서울시립대학교 세무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한국의 부가가치세법과 일본의 소비세법은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두 제도는 내용과 회계처리 방법에 크고 작은 차이가 있다.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부가가치세법의 차이를 인식하여 향후 부가가치세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다. 한국 부가가치세와 일본 소비세는 모두 E.C형 부가가치세로 구분된다. E.C형 부가가치세란 간접세로서 매출세액에서 전단계의 매입세액을 공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우리나라 조세역사 상 특이한 점은 부가가치세가 우리나라의 다른 세법과 달리 일본보다 10여년 일찍 도입되었다는 것이다. 양국제도는 구조적인 동일성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 차이점은 크게 내용측면과 회계처리 방법에 의한 차이로 구분할 수 있다. 내용측면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세대상이다. 한국과 일본의 부가가치세 과세의 범위는 유사하지만 과세대상의 정의가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한국은 재화와 용역의 공급을 과세대상으로 과세한다. 반면에 일본은 과세대상을 자산의 양도 등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는 주식과 채권 등에 대하여 일본에서만 과세하는 차이를 발생 시킨다. 또한 일본은 폐업시잔존재화의 과세규정이 없고 한국은 이에 대하여 과세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만 폐업시 잔존재화에 과세하고 있다. 두 번째, 세금계산서제도이다. 한국은 부가가치세를 시행하고 있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세금계산서제도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일본은 우리나라의 세금계산서제도에 대응하는 제도를 가지고 있지 않다. 세금계산서는 탈세를 방지하는 등 그 기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은 지나치게 복잡한 세금계산서 제도로 인하여 납세자에게 불편을 주고 있고, 일본은 제도의 미비로 인하여 탈세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세 번째, 과세단위이다. 이는 양국 제도의 차이점 중에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은 부가가치세를 사업장별로 과세한다. 반면에 일본은 사업자단위로 과세한다. 사업장별과세원칙은 납세자간 조세부담의 차이와 형평성의 침해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사업장별과세는 각 사업장마다 신고·납부를 하도록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내용 측면의 차이점은 위에서 언급한 차이점 이외에도 많은 차이점이 존재한다. 회계처리 방법에 의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부가가치세는 매출액이나 원가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부가가치세금액은 미지급금이나 미수금계정으로 매출 등과 구분되어 처리된다. 그러나 일본은 다양한 회계처리 방법을 인정하고 있다. 즉, 일본은 소비세 등을 매출 또는 원가에 포함하여 처리하는 방법과 구분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모두 인정한다. 또한 이 두 가지 방법을 일정한 기준 에 따라서 병용하는 것을 인정하다. 한국과 일본의 부가가치세 제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부가가치세법은 과세단위의 구분에 있어서 일본 소비세와 비교하여 세부담과 효율성 면에서 불합리한 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과세단위를 사업장별과세원칙에서 사업자단위과세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반면에 일본의 제도는 세금계산서제도와 회계처리 방법에 문제점이 있다. 일본은 그 회계처리 방법을 합리적인 관점에서 간단하게 만들고, 현재의 청구서 등 보존방식을 보완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 개발

        박영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국내에는 아동전문간호사 제도가 법제화되었으나 임상에서는 신생아전문간호사가 소속 기관에 따라 업무 활동이 규명되지 않고 직무 표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 활동을 규명하고 직무 표준을 개발하여 바람직한 실무수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직무 표준 개발 원칙에 따라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을 확인하여, 실무 적합성 검증 및 중요도와 수행정도를 조사하여 업무활동을 확정하였다. 규명된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을 기초로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안)을 개발하여 내용 타당도 지수(CVI; Content Validity Index)를 이용하여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활동은 6개 역할에 따른 12개 업무와 46개 세부 업무, 315개 활동 항목으로 확인되었다. 6개 역할은 ‘전문가적 간호실무 제공자’와 ‘교육자’, ‘연구자’, ‘지도자’, ‘자문가’, ‘협동자’이며, 12개 업무는 ‘자료수집’과 ‘진단',‘계획’, ‘수행’, ‘평가’, ‘부모교육’, ‘부모상담’, ‘연구’, ‘변화촉진’,‘관리’, ‘자문, 조정’, ‘협동’으로 각각의 업무 항목 당 세부 업무와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2.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는 표준 12개 및 기준 43개가 확정되었다. 12개 직무 표준은 ‘자료수집’과 ‘진단’, ‘계획’, ‘수행’, ‘평가’, ‘부모교육’, ‘부모상담’, ‘신생아간호연구’, ‘변화촉진’, ‘관리’, ‘자문’, ‘협동’ 항목별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대, 요구되는 직무 목표와 범위의 기준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은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업무 지침, 인력 수급, 평가 등 신생아간호 현장과 신생아전문간호사 교육과정 개발, 자격인정 시험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신생아간호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아동전문간호사 제도의 정립과 직무표준에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신생아전문간호사의 직무 표준에 대한 평가지표 개발과 직무 내용에 대해 간호수가 산정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Although Pediatric Nurse Practitioner System(PNPS) has been legislated, Neonatal Nurse Practitioners(NNPs) perform their indefinite roles with no role standard in many institutions(hospit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desirable standard of actual affairs by surveying the role and operation of NNP and then developing the role standard. This study is examined through the basic rule for standard development. The role operation of NNP was confirmed as basic data then role performance was set through verifying practical compatibility and surveying importance and accomplishment step. It was executed as the content validity test for the role standard of NNP, based on the role performance of NNP, through using CVI (Content Validity Index).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1. 6 roles are 'direct care giver', 'educator', 'researcher', 'leader', 'consultant' and 'collaborator'. 12 duties are 'data collection', 'diagnosis', 'plan', 'implementation', 'evaluation', 'parent education', 'parent counseling', 'research', 'change facilitation', 'management', 'consultant' and 'collaboration'. Each duty has own detail tasks and activities. 2. The roles of NNP are 12 job standards and 43 job criterias. 12 job standards are 'data collection', 'diagnosis', 'plan', 'implementation', 'evaluation', 'parent education', 'parent counseling', 'neonatal nursing research', 'change facilitation', 'management', 'consultation' and 'collabora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expectation for performing rules, desirable role objective and standard for range. Each job standard has own role criteria. The job standard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field of neonatal nursing guideline for the role of NNP, manpower supply, and evaluation etc., developing of NNP curriculum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quality improvement and specialty of neonatal nursing could be secured through the role standard. Moreover it would give the foundation for the setting up of NNPS and role criteria. And continuous studying is needed which would handle development of evaluation table for the following developed role standards of PNP, reflecting the role and its operation of PNP on nursing wage.

      • 침선장 정정완의 갖은 수의와 보급형 수의 제작에 관한 연구

        박영애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전통을 고루하고 불편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지만, 전통적으로 효사상과 더불어 중요하게 인식됐던 장례문화는 일부 변형을 거치기는 했지만, 여전히 전통을 수용한 형태로 남아 있다. 조선시대 말기 사대부 문화의 적통을 계승한 초대 침선장 정정완은 수의를 '먼 나들이 옷'이라고 하였다. 내세가 현세의 계속이며 장례는 새로운 세계로의 출발을 의미 한다는 우리 민족 전통의 가치관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침선장 정정완은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생전에 전통양식의 '갖은 수의'를 만들었다. 양식 뿐 만 아니라 기법도 철저하게 전통 침선을 고수한 그의 '갖은 수의'는 한국 전통수의의 원형이라고 할 만하다. 그의 양식과 기법을 온전히 전승하는 것은 이런 점에서 원형의 재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갖은 수의'를 복원해 원형보전의 기술적 가능성을 확인해 두고자 하였다. 그러나 정정완의 '갖은 수의'가 갖는 전통 문화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그대로 현재적 삶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우선 정정완의 '갖은 수의'는 조선시대 말기, 그것도 사회적 상류층이던 사대부 가문이 지극히 공을 들여 장례의식에 쓰였던 것으로서 이미 당대 서민층의 장례문화와는 거리가 있었다. 또한 의례와 그에 소용되는 복식이 당대의 일상생활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정정완의 '갖은 수의'는 현재에 이르기 까지 급속한 사회변화를 제대로 반영하기는 어려웠다. 전통양식을 멋스럽게 따르는 극히 일부 부유층이라면 몰라도 한국 사회 중상층 이하의 가정에서 '갖은 수의' 양식을 따르기에는 어려움이 크다. 따라서 최근의 수의제작 양식에서 현저히 드러나고 있는 간소화 추세를 반영하지 않고서는 수의와 장례의식을 통해 이어 가려는 전통문화 자체의 단절과 소멸을 막기 어렵다. 따라서 정정완의 '갖은 수의'가 갖는 전통 문화적 의의 가운데 일부 핵심 의의는 살리면서 현재까지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한 간소하고, 제작비용도 덜 드는 '보급형 수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초대 침선장인 정정완의 '갖은 수의'를직접 제작해 원형을 복원하는 한편으로 현대인들이 좀 더 쉽게 수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가격부담도 적은, '보급형 수의'를 제작해 현재적 변용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조선시대 말기부터 현재까지 상․장례 문화와 수의, 침선장 정정완의 '갖은 수의'의 구성과 특성, '보급형 수의'의 현황과 특성 등에 관해 문헌과 선행연구, 출토복식 자료를 통해 고찰하였다. 둘째, 정정완의 '갖은 수의'를 문헌과 남아 있는 실물자료를 토대로 제작해 보고 착용순서를 제시하였다. 셋째, '보급형 수의'를 문헌과 선행연구 정정완 '갖은 수의'를 활용해 제작하였다. 제작 시 천연섬유이며 광택이 있고 가벼우며 면 소재 보다 값이 저렴한 인조견 2필을 준비하여 '보급형 수의'를 제작함으로써 형태 및 치수를 규격화․제도화 하였다. 연구결과 정정완 '갖은 수의'를 원형대로 복원할 수 있었고 기법과 양식 면에서 그와 크게 동떨어지지 않는 '보급형 수의'도 만들 수 있었다. 그 결과 새로 제작해 본 '보급형 수의'의 형태와 치수가 복식 전공자들에게 참고가 되는 것은 물론이고 현재의 상업적 수의 제작 과정에도 반영돼 일반인들에게 널리 퍼졌으면 한다. 복식 전공자로서 전통 상․장례와 수의 문화의 현대적 계승에 미력이라도 보탤 수 있었으면 한다. People in the 21st Century tend to think tradition is outdated and not comfortable. However, the funeral culture which was traditionally recognized to be important along with the filial piety keeps its tradition although it was slightly changed. The first CHIMSONJANG( a holder of the Important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89) Jeong Jeong-Wan, the main descendant of nobility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said that the shroud was 'clothing for long excursion'. This saying is on the same line with the Korean traditional value about the next life having the continuance of this world and funeral means the beginning of the new world. The CHIMSONJANG Jeong Jeong-Wan made a traditional 'complete shroud' based on his reflection during his life. His 'complete shroud' was strictly adhered to the traditional needlework in techniques as well as the forms that became the archetype of Korean traditional shroud. Thorough inheritance of his forms and techniques will be the rediscovery of archetype in this aspect. Accordingly,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technical possibility in keeping the archetype by restoring his 'complete shroud'. In spite of the traditional and cultural meaning of his 'complete shroud',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modern life without changes.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was used in the funeral with utmost endeavor of noble families, the upper class in a society during late Joseon Period. Furthermore,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couldn't properly reflect the rapid change of society up to now with regards to the ceremonies and clothing that reflects the daily life in the relevant time. Except of course on the part of rich elegantly observing tradition, it is difficult for families in the middle or lower class in Korean society to follow the 'complete shroud' form. 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stop severance and extinct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continue the shroud and funeral ceremony without reflecting the simplified trend significantly observed in shroud forms at present. Thus,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simple 'general shroud' with less cost that reflects social and cultural change up to now as well as keeps some of important meanings of master Jeong Jeong-Wan’s 'complete shroud'. This paper tried to restore the archetype of 'complete shroud' of Sir Jeong Jeong-Wan, the first CHIMSONJANG, and to change the 'complete shroud' by making the 'general shroud' which is eco-friendly at lower cost and can easily be accepted by people at present. The following process was applied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paper. First, with literature‘s existing researches and data on clothing from tomb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funeral rites, funeral cultures and shroud from the late Joseon Dyansty Period to present days, structure and features of 'complete shroud' of master Jeong Jeong-Wan and the features and status of 'general shroud.' Second, the 'complete shroud' of the CHIMSONJANG Jeong Jeong-Wan was reproduc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and the remaining shroud made by the master Jeong and the order to wear it was proposed. Third, 'general shroud' was produced using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based on literature and existing researches. The 'general shroud' was made with 2 rolls of rayon which was cheaper than cotton, light, glossy and natural fabric. This paper tried to standardize and systematize the forms and sizes of the 'general shroud' and it was propos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 results, the 'complete shroud' of the master Jeong Jeong-Wan was reproduced as it was and the 'general shroud' was not far behind from his shroud could be produced. It is hoped that the 'general shroud' made through this research be the reference on forms and sizes for those majoring in fashion design and be distributed to the public to reflect the commercial process of making the shroud at present. Furthermore, it is also desired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s on inheriting the traditional funeral rite and funeral and shroud culture.

      • 대학중심의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

        박영애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노년학(‘노인을 위한’, ‘노화와 노인에 관한’, ‘노인에 의한’) 이론을 근거로 하여 첫째,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노인교육의 방향과 가능성을 탐색하고 둘째, 우리나라 노인교육의 현황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대학중심의 노인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며 셋째, 대학중심의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노인교육은 노인단체 및 일반 민간단체, 종교단체 등에 의해 주도 되어 왔으나, 대부분 경로효친이나 노인복지, 친목 도모를 목적으로 하여 운영됨으로써 취미나 오락 프로그램이 대부분이었다. 국가적 차원에서 학교시설을 활용하고자 하는 평생교육이 1980년대 이후 수적으로 급속히 팽창하기는 하였으나, 그내용면에서는 기존 민간단체들의 인기강좌만을 모방하고 재정면에서는 수익자부담원칙에 의해 운영되는 소극적 지원을 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제 대학은 지금처럼 평생교육과정을 부차적 교육으로 간주, 수익자부담원칙에 의거하여 형식적으로 운영되던 한계에서 벗어나, 자율적이면서도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한 성인중심·수요자 중심 대학으로 변모하여야 한다. 따라서 노인교육은 기존에 연령대별로 실시되던 교육에서 벗어나 여러 세대를 한 공간에서 교육하는 세대공동체 교육 방향으로 발전을 꾀해야 하며, 대학에서는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대학의 특수성을 살려 적극적으로 대학 개방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 중심의 노인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미국의 노인교육 대외 프로그램인 엘더호스텔의 도입, 적용 및 독일 특별 청강생 제도의 활용, 명예학생제도, 급변하는 산업사회의 조기 은퇴를 감안한 리커렌트 교육과정등의 시행을 통한 다양한 노인교육 프로그램 및 운영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활성화방안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시간제 학생등록 및 학점인정 제도 등을 도입하여 현 학사운영 제도를 보다 유연하게 운영, 외부에 개방할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학 중심의 노인교육에 관한 연구와 관련하여 후속 연구자들을 위해 첫째, 다양한 기관에서의 노인교육에 대한 실천적 연구 둘째, 각 대학에서의 세대공동체 교육에 대한 실천적 연구 셋째, 교육 수혜자인 노인뿐만 아니라 각 대학에 대한 국가적 차원에서의 법 체제 개선과 재정지원의 확대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study, based on educational gerontology - 'for the aged people', 'of the aged people and aging', and 'by the aged people' - are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lder education reflecting the actual circumstances in Korea and the possibility to do so, to derive the implications for effective elder education carried out around the university, and to find out the methods for facilitating such university-centered elder education. The institutions that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elder education in Korea are senior citizen associations, gener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Most of these institutions have provided the programs for aged people's dilettante life or entertainment, which are operated with the intention of promoting mutual friendship, old people's welfare, and the spirit of filial respect. Even though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at on a national level attempts to utilize established facilities in universities have rapidly grown in number since the 1980s, the reality is that they just copy the popular lectures provided by private organizations and take a passive attitude by operating them on the basis of the beneficiaries' payment principle. Now, however, universities should free themselves from the traditional practices that they have viewed the courses of lifelong education as an additional and operated them on the basis of the beneficiaries' payment principle; thus, they should seek to evolve into ustomer- and adult-oriented universities which are autonomous and connected to the regional communities. Elder education, therefore, requires getting out of the existing educational system dividing educational groups by age and aiming at developing universities into a generational community that educates various generations in the same place. It is also desirable that universities themselves take a positive attitude toward open colleges by cultivat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on the level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university-centered elder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various programs for elder education and their operating methods, by examining an elder hostel program introduced and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and several systems that have been performed in Germany such as special auditor, honorary student, and Likerendt edu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early retirement trends in the industrialized society. Also,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urrent syste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administered more flexibl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part-time student registration and credit savings systems in order to operate more efficiently such methods presented for cultivating elder education For the future researchers who are trying to conduct study on university-centered elder education, this study recommends empirical studies on the elder education in various different institutions, the generational community education in each university, the extension of the educated into other people other than senior citizens, the improvement in the legal system for universities on a national level, and the increase of financial aid to them.

      • 문학을 통한 한국어 교육방법론

        박영애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은 문화교육을 위한 제재의 형태로 문학 작품의 활용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될수록 문학작품에 대한 가치가 높음을 기존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어 문학교육은 목적과 교수자 및 학습자의 변인, 연구자와 현장의 실제성, 작품의 선택 기준 및 정전에 대한 논의의 표준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들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아쉬움은 해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제성을 해결하고자 외국인 유학생 및 재외동포가 아닌 여성길혼이민자를 연구 대상 학습자로 선정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문학교육의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학습자 요구분석을 통한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교수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초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강력한 동기 부여를 위하여 실제적인 구어를 활용할 수 있는 희곡을 각색해 언어적 기능을 고려한 듣기말하기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기초적인 문법과 어휘를 활용함에 있어서 문화적인 요소를 교육하는 문학작품을 도입해 제시하며, 수업에 활용되는 문학은 단계적인 구성으로 이야기가 완성될 수 있도록 소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초 중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문학작품을 통해 자녀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교육하며, 비문법적인 문학적 표현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기법 및 맥락을 통해 어려운 어휘와 표현을 이해하도록 교육한다. 셋째, 고급 학습자 대상 한국어 문학교육 방안으로 한국의 문학과 모국의 문학을 비교하여 번역을 통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며 문화적 이해 및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 자료를 만드는 과정에 학습자가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방안과 문학사적으로 의미 있는 작품과 베스트셀러, 세계명작 등 학습자 스스로가 습관적인 '독서'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제주도 초감제 굿춤 연구

        박영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제주도는 신화의 땅으로 현전하는 무속신화가 매우 다양하고 각 본풀이 구연에 앞서 초감제를 반드시 올린다. 이는 여러 신들이 굿이 열리는 장소에 좌정하기까지 하늘이 열리는 아득한 태초의 시간부터 오늘의 굿판이 열리는 현재까지 신의 내력과 인간의 기원을 담은 초월적 현상을 경험하게 한다. 본고는 제주도의 굿춤이 제의 속에서 신화적 상징체계를 담고 있음을 전제 로 초감제의 굿춤을 분석하였다. 분석범위는 초감제의 베포도업춤과 군문열림춤, 새ᄃᆞ림춤, 신청궤춤이다. 초감제 굿춤의 사상적 배경을 제공하는 베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는 천지개벽과 인간세상의 질서를 만든 근본내력을 밝히는 한국의 창세신화다. 그 내용을 살펴본 바, 무극(無極)에서 하나의 태극(太極)으로 태극에서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이 생겨나고, 오행은 천지만물의 생명이 운화하는 자연과 인간 삶의 질서를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하늘과 땅, 인간의 조화로운 질서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동양의 천문 우주론을 바탕으로 서사가 전개되었다. 본고는 천문 우주론에 대한 해석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제주도라는 지역의 환경적 요인은 제주인의 삶이 고대로부터 천문, 역법에 근거한 자연의 질서를 동경하며 자연신을 숭배하고 하늘의 질서를 강조했던 우주적 관념이 제주민의 의식 속에 자리하였음이 제주도굿 초감제의 본풀이(신화)에 나타나며, 초감제 본풀이는 의례 속 굿춤과 상관성을 지니며 사상적 기틀을 제공한다고 보았다. 신화는 심방의 언어적, 행동적 요소로 재현되는데 이때 굿춤은 제의의 구술상관물인 신화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는 본고가 제의학파 신화론을 근거로 제의와 신화, 굿춤의 상관성을 논의하였음을 말한다. 초감제 굿춤은 신화와의 제의의 상관성을 잇는 매개로 그 원리를 첫째, 초공본풀이에 근거한 무조신의 성장배경이다. 무조신 젯부기삼형제가 삼천천제석궁에 갇힌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아버지를 찾아가고 심방이 되는 과정은 제주도의 굿을 집행하는 심방의 길과 무구와 악기의 내력을 담은 신화이다. 둘째, 시간과 공간의 분할에 있다고 보았다. 시간의 분할은 초감제 굿춤이 베포도업부터 천지왕과 신들이 생겨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신이 오는 굿청에 좌정하기까지 시간적 순서에 따라 굿을 진행한다. 공간의 분할은 안과 밖, 이승과 저승, 안연물과 밧연물, 선 굿춤과 앉은 굿춤, 동서남북 사방에 좌정한 신들을 위한 의례로 굿춤의 시간성과 공간성은 굿을 연행하는 형식과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동양우주론을 바탕으로 한 제주민의 생사관과 세계관이다. 동양의 우주론은 무극에서 태극으로 음양이 생겨나고 음양은 순환하여 오행이 생겨나며 음양오행은 하늘과 자연의 질서를 만들어 인간세상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초감제의 굿춤은 초공본풀이에 근거한 굿법으로 베포도업침과 천지왕본풀이의 신화적 상징제의를 시간과 공간을 분할하여 신을 맞이하는 춤이라고 하겠다. 제주도 굿춤의 신화적 상징은 삼멩두(무구)와 연물(악기)을 통해서 제의를 양식화 하였다. 심방의 삼멩두와와 연물은 굿춤을 구성하는 중요요소인데 초공본풀이의 무조신의 내력에 따른 무구를 활용한 춤사위가 굿춤의 주를 이룬다. 제주도굿의 연물은 심방의 동선에 따라 연주가 달라지는데 이는 안연물과 밧(밖)연물로 구분된 제주도굿의 음악적 특징이다. 심방의 동선은 제청의 안(이승, 俗의 세계)과 밖(저승, 聖의 세계)을 구분하여 움직이는데 이런 공간적 분할에 따른 악기의 연주가 달라지는 것이다. 제주도의 굿춤에는 동작의 형태면에서 기본형 1,2,3 동작과 뒷걸음 춤, 앉은 손놀림 춤, 도랑춤이 기본적인 동작소가 되어 굿춤을 구성하였다. 이 기본동작들은 무구의 사용과 함께 굿춤의 신화적 표현에 주술적 기능을 더하였는데 요령은 신의 세계로 들어가는 기능을, 신칼과 천문은 신의(神意)를 점치는 점사(占辭)도구이자 무구(舞具)로서 기능을 하였다. 기본형 1,2,3동작은 춤을 구성하는 기본 동작소이며, 공간의 이동과 춤의 시작과 마무리에 쓰인다. 뒷걸음 춤은 두 가지 형태로 보여 지는데 신을 맞이하기 위한 맞이형과 신을 즐겁게 하기 위한 놀림형으로 구분된다. 이들 기본동작소는 제주도의 굿춤을 구성하는 기본 형식이 된다. 제주도 초감제 굿춤은 굿의 구조에 있어서 연행성, 원리에 있어서 규범성, 춤의 내용면에서 예술성을 지니며, 신화의 철학적, 사상적 배경을 근거로 제의의 신성성을 표현하는 행동적 제의 양식이다. As Jejudo is the island of myth, its inherited shaman myths are very diversified and they always dance Chogamje (the first part of Gut) before each main narration. Before various gods take seats on the place of this Gut, it makes the audiences experience a transcendent phenomenon that contains the history of the gods and the origin of humans from the time of the beginning of things until the present time when this Gut is performed. This paper analyzed the myth and shaman dance of Chogamje on the assumption that Jejudo's shaman dances contain the mythic symbolic system in rites. The analysis was made on Chogamje with Bepodoeopchim and Cheonjiwangbonpuri and on shaman dance with Bepodoeop dance, Saedarim dance and Sincheonggwe dance. Bepodoeopchim and Cheonjiwangbonpuri that appear in Chogamje are for the myth of world creation that illuminates the fundamental history of the beginning of the world and the order of human world. They describe the epics, based on oriental cosmology, how the harmonious order among heaven, earth and human could be created. The analysis on the content of the myth of world creation showed that the Great Ultimate was created from the limitlessness, yin-and-yang and five elements were created from the Great Ultimate and the five elements prepared the order of nature and man that drives the lives of all creatures. Bepodoeopchim describes the creation of the world, and Cheonjiwangbonpuri describes that day and night were created by the adjustment of the number of year and month by the twin brother born from the marriage of heaven father and earth mother, this created the order of universe and nature, and good and evil were created in the human world out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se two twin in order to take possession of human world when the younger brother who failed in the competition of puzzle and blooming took over this world through his trick. These two myths are reproduced in rites by the narration of a shaman at the beginning of gut according to temporal order of today's gut. The myths are reproduced as shaman's linguistic and behavioral elements and such shaman dances become a means to express, in a symbolic way, the myths which are the correlative oral statement of rites. The mythic symbols of Jejudo shaman dance stylized the rites through Sammengdu (dancing tool) and Yeonmul (instrument). Shaman's Sammengdu and Yeonmul are the major elements that compose shaman dances, and the dancing steps utilizing dancing tools according to the history of ancestry god of shaman in Chogongbonpuri take the major part of shaman dance. The performance of Jejudo gut differs by the moving line of shaman and this is the musical characteristic of Jejudo gut which is composed of inner-performance and outer-performance. The moving line of shaman differs by the inner world (this world, world of desire) and the outer world (next world, world of divinity) and the performance of instruments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such spatial division. Rite hall where guts are performed is a small universe and guts are performed inviting gods to each Dangkle. Dangkle becomes a three-dimensional space, a small universe, and shaman stands on the boundary where heaven and earth, god and man communicate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is small universe. It was considered that Jejudo's shaman dances have the distinctiveness that implies the oriental cosmology inside the symbols of myths and rites. It existed in the structure and principle of shaman dances that cross over time and space. The structure of Jejudo's shaman dances is composed of the performance of main narration according to time flow and inviting gods as a chief of rit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ain narration (myth) and shaman dance could be illustrated through the way of gut called 'Cheongsin (requesting god) + Maji (reception). Chogamje shaman dance is a mediate that connects the correlation between myth and rite, and first, its principle is based on the growth background of ancestry gods of shaman based on Chogongbonpuri. The ancestry gods, three Jetbugi brothers, went out to seek their father in order to bail out their mother who was locked in Samcheoncheonjeseok palace and became shamans. This tale is a myth that contains the way of shamans who execute Jejudo guts and the history of dancing tools and instruments. Second, it is deemed to be in the separation of time and space. As for the division of time, Chogamje shaman dance is performed, in the temporal order of appearance of Cheonji King and gods, since Bepodoeop until the time the gods seat on the gut hall. The separation of space is for this world and next world, inner-performance and outer-performance, sanding shaman dance and sitting shaman dance, and rite for the gods who seat on every four directions and the nature of shaman dance's time and space, influences the form and structure for the performance of such guts. Third, Jejudo resident's view on life and death based on oriental cosmology. Oriental cosmology claims that yin and yang are created from the limitlessness toward the Great Ultimate, the circulation of yin and yang creates five elements,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produce the order of heaven and nature which influence the life of human world. Bepodoeopchim and Cheonjiwangbonpuri are for the Korean myth of world creation that contains the order between heaven and earth, human world and nature. In this myth of world creation, the epic is developing based on oriental cosmology. This oriental cosmology has been determining the way of living by influencing the Jejudo resident's view on life and death and the world. In short, the shaman dance of Chogamje is a way of gut based on Chogongbonpuri, and Bepodoeopchim and Cheonjiwangbonpuri can be considered as dances to receive gods after dividing the time and space of their mythic and symbolic rites . Jejudo shaman dance is composed of basic action elements - basic actions 1, 2, 3, backward step dance, seating-and-hand dance and Dorang dance. These basic actions add shamanistic function on the mythic expression of shaman dance together with the use of dancing tools. While Yoryeong has a function to enter into the world of gods, divine sword and astronomy perform the function as fortune-telling tool for god's will and dancing tool. The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s of Jejudo Chogamje shaman dances as the symbols of myths and rites is as follows; First, it is a reception dance to receive gods with the narration of ma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the gods and peformed in a way of shaman dance based on Chogongbonpuri. Second, it is a all-direction dance that implies the nature of time and space. It separates the inside and outside of rite hall in the spatial aspect and shows transcendent shaman dance that crosses over time and space by performing the procedure of shaman dance according to temporal order. Third, Chogamje shaman dance has a nature of mythic symbol by proposing actions for the main narration. Studying the shaman dances is deemed to b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our folklore and develop, in an academic way, the value of our cultural heritage that is vanishing in this country. It is also thought to be a basis to infer and illustrate the origin of Korean dances with the principle of dance that contains yin-and-yang and opposition in Korean dances and the nature of circulation of all-direction dance. It is also a process of knowing the way of living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world order that exists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between nature and human.

      • 여성노인의 신체활동참여와 운동정서,신체상,고독감에 관한 연구

        박영애 한신대학교 스포츠재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정도에 따른 정서와 신체상, 그리고 고독감의 차이와 그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각 노인대학 8곳, 동사무소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공노인시설 13곳을 중심으로 총 320(90.145%)명이었다. 정서에 대한 조사도구는 한국형 정서척도를 개발한 유진, 김종오(2002)의 척도와 신체상에 대한 측정도구는 조정환, 송금주(2002)의 신체상 검사지, 고독감은 원형중(1994)의 고독감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노인의 정서차이에 관련한 결과를 살펴보면, 신체활동참여의 노인들이 비참여 노인들에 비해 정서차원의 재미, 활력, 성취, 긍지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참여종목에 따른 차이를 보면 댄스스포츠나 무용 등 율동적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이 건강중심의 걷기나 구기 종목 참여노인들에 비해 성취와 긍지를 높게 인식하였다. 여성노인의 신체활동의 참여빈도에 따른 차이는 신체활동에 매일 참여하는 노인들이 주1-2회나 3-4회 참여하는 노인보다 재미, 성취, 긍지를 많이 느끼는 결과를 보였다. 참여시간에 따른 차이는 매일 참여나 1-2시간 이상 참여하는 대상 이 활력, 성취, 긍지가 높았다. 신체활동의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는 5년 이상 참여한 노인이 2년 이하나 2-5년 참여노인보다 재미가 크게 나타났고, 긍지는 2-5년 참여가 2년 이하나 5년 이상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여성노인의 정서차원에서 재미요인에 대해 참여빈도, 참여기간이 영향을 미치고, 성취에는 참여빈도, 참여시간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긍지에 대한 신체활동 참여정도의 영향력은 참여빈도, 참여기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활동 참여정도가 정서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은 10%이내의 낮은 설명력 수준을 보였다. 한편, 신체상과 고독감에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 모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여성노인의 정서요인중 활력, 긍지가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노인의 신체상이 고독감에 대한 영향력은 건강체력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노인은 율동적인 신체활동에 지속적으로 자주 참여함으로서 재미나 활력, 성취감, 그리고 긍지를 높게 갖고, 이에 따라 체력과 건강차원에서 긍정적인 신체상을 인식하여 고독감을 덜 느끼게 된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는 환경적, 성향적 요인에 따라 변화적이기 때문에 여성노인의 신체활동 참여 동안 질적 차원에서 관찰과 면접을 통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의 주요 변인이 여성 노인의 정서와 신체상, 고독감으로서 변인별 개별 차이 분석에 부가해서 차후 연구에서는 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로서 신체활동 참여가 정서와 신체상을 긍정적으로 형성함으로서 고독감을 덜 느끼는 것인가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차후연구에서는 여성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참여환경에 장애요인을 규명함으로서 제도적으로 노인들에게 적용할 수 기반을 조성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motion, body-image and loneliness as a function of elderly women's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0(90.145%) with eight college seniors and the elderly operating in a public facility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The completed survey sheets were examined wit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content feasibility and applicability and then ensured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ata were analysed without the others which had poor qualities or unreliable were excluded.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were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fun, vitality, accomplishment, and pride of emotion factors as a function of the elderly women's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Second, the frequency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women affected to the fun of emotion factors. And, the frequency and the tim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of the elderly women affected to the accomplishment of emotion factors. Third, the emotional vitality of the elderly women were factor that affect loneliness. Fourth, the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woman's body-image factors were factor that affect loneliness. In conclusion, as elderly women are often rhythmic movement continues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ies, fun, vitality, the sense of accomplishment and pride of emotion factors held high. In addition, elderly women with the positive body-image have less loneliness. In the recommend of the study, first, as the elderly woman's emotion is changing according to environmental factors, to analysis on the elderly woman's emo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s during physical activity should be corroborated. secondly, the elderly woman's emotion in future studies, th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 of body-image and loneliness is required. Third, in future studies,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elderly women can participate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