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파킨슨병 환자의 적극적 삶에 대한 이해

        박영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보건의료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만성질환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주로 50대 이후 발생되는 파킨슨병은 운동 및 인지장애를 일으키는 신경계의 만성 퇴행성 질환의 한 종류로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발병률 및 유병률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킨슨병 환자들은 운동기능장애로 일상생활에서 많은 신체적 어려움을 겪는 것은 물론 불안, 우울과 같은 정신적 고통도 함께 겪고 있다. 따라서 파킨슨병 환자들의 삶을 이해하고 이들의 안녕과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파킨슨병 환자들의 삶과 질병경험을 이해하고 적극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원동력을 파악함으로써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은 개인의 삶과 질병경험 세계를 사회적,문화적,환경적 맥락에서 이해하기 위해 일상생활기술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파킨슨병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들 중 서울시 소재 D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03년 8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면담과 참여관찰, 현장노트와 메모, 진료기록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Agar(1980)의 `연필과 가위` 분석기법을 사용하여 자료에 나타난 사건을 기술하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제를 분류한 다음 주제와 상황적 의미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현실적 이야기체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킨슨병 환자는 변화 인식기, 혼돈기, 수용기의 병의 수용 과정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삶을 영위하는 재도약기를 경험하였다. 1) 변화 인식기는 몸의 변화를 인식하면서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불안감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의 환자들은 손, 발이 떨리고 가끔 어지러움을 느껴 쓰러지기도 하며 팔에 힘이 없고 말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등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몸의 변화를 인식하여 병원에 찾아가더라도 파킨슨병이라는 병명을 제대로 진단받기가 어려웠고 다른 병으로 오진을 받기도 하여 제대로 병명을 알기까지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러는 동안에도 손을 사용하는 일이 점점 어려워지거나 보행에 어려움을 겪는 등의 신체장애가 계속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지만 점점 불안감을 경험하였다. 2) 혼돈기는 진단을 받은 이후 증상이 악화되면서 위축감과 두려움, 양가감정을 경험하는 시기이다. 이 때 몸이 더 떨리고 굳어지며 모든 행동이 느려지고 걷기가 어려워지며, 목소리가 작아지고 글씨를 쓰는 것조차 어려워질 만큼 증상이 악화되었다. 이 시기의 참여자들은 질병의 진행과 함께 노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대인관계, 일상생활, 가족 관계의 위축을 경험하였고, 질병 진행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다. 또한 각종 치료와 보조요법을 시행하면서 질병 인식, 환자 역할, 질병의 예후와 관련된 양가감정을 경험하였다. 3) 수용기는 질병의 악화와 완화를 경험하면서 혼돈기를 지나 변화된 자신의 모습과 현실을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시기이다. 환자들은 체념상태에서 질병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자신보다 증상이 심한 사람들을 보면서 상대적인 안도감을 경험하기도 하며, 잃어버린 것에 대한 아쉬움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었다. 4) 재도약기는 파킨슨병 환자가 변화 인식기, 혼돈기, 수용기로 이어지는 병의 수용과정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삶을 살아가는 시기이다. 파킨슨병 환자들은 오랜 기간 질병과 함께 살아오면서 신체적인 어려움을 겪더라도 다른 사람에게 의지하지 않고 모든 것을 스스로 해내고자 하는 자기 삶의 주체화를 이룩하여 적극적인 삶을 영위하게 되었다. 자기 삶의 주체화는 운동하기, 마음 다스리기, 대인관계의 극복, 신앙과 초월의 형태로 나타났다. 2. 파킨슨병 환자들이 병의 수용 과정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자의지(自意志)와 환자를 둘러싼 가족, 친구, 동료환자, 종교, 사회시설 및 프로그램 등의 사회적 지지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파킨슨병 환자들은 몸의 변화를 인식하면서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나 점점 불안감을 느낀다. 증상이 악화될수록 위축감, 두려움, 양가감정의 사회심리적 갈등을 겪다가 체념상태로 모든 것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이고 상대적인 안도감과 잃어버린 것에 대한 아쉬움을 가지고 살아가는 병의 수용 과정을 경험한다. 그러나 자의지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으로 병의 수용 과정에서 벗어나 재도약함으로써 자기 삶의 주체화를 통한 적극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다. 이상과 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삶의 맥락에서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원동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파킨슨병 환자들이 자의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중재와 각각의 사회적 지지의 요인들에 근거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올바른 간호중재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적극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중재전략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데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 강의평가를 위한 설문지 작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박영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눈에 띄게 발전된 컴퓨터와 관련 소프트웨어, 통신의 발전으로 인터넷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교육이 열린대학, 가상대학에 의해서 가시화·가속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즉 정보사회에서 평생학습의 실현이라는 패러다임 속에서 각종의 가상교육의 형태가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교육이 교육의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강의평가가 이루어져서 좀더 질 높은 수업이 되도록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강의평가의 실시는 교사가 좋은 강의를 하기 위해 즉 교육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철저히 강의준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외적 자극요소인 동시에 강의개선에 대한 피드백 효과를 주어 보다 나은 강의를 할 수 있게 해 주고, 학습의 주체인 학생의 배울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생에게도 유익하다. 이러한 강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관찰법, 검사법, 면담법, 평정법, 설문지법 등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웹 기반 교육에서 가장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설문지를 이용한 평가가 될 것이다. 현재 인터넷상에서 강의평가를 위한 설문이 간단한 텍스트 형태의 설문지나, CGI나 ASP를 이용하여 인터넷에서 바로 설문에 응할 수 있는 형태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설문 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과 제한점을 알아본 후에 그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ASP를 이용하여 설문지를 인터넷상에서 편리하게 만들 수 있고 만들어진 설문을 관리하며 그 설문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교육자로 하여금 좀더 질 높은 교육을 할 수 있는 피드백 효과를 얻도록 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 하고자 한다. Recently, computer industry announced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software and related products. So there are many problems in practical usages. Most of the software in the internet application is so complex to integrate multi functions. For this reason, multimedia education through internet is almost hard to implement to be used in cyber university or open university. Also, various types of online education are possible within the new education paradigm, which is the actualization of life-time education in information society. To attain a favorable result in cyber education, well-developed lectures must be offered with appropriate evaluation feedback process. The evaluation system of lectures is not only a external stimulating factor in encouraging teachers to prepare effective lecture for the maximization of effects of education, but also to induce them in making every effort to improve their lectures and teaching skills. Furthermore, this meaningful system plays a prime role in protecting the students right to learn. In brief, this thesis informs us of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present the internet-based questionnaire systems when compared and analyzed. For better education and overcoming the limits of the present system, this thesis aims to design a practical system which allows teachers to receive positive feedback from results of a questionnaire, that is easily composed and managed on the internet using industry standard MicroSoft IIS webserver and its embedded serverside script.

      •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박영례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한 정신장애의 원인적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고통 감내력이 일반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일반 성인 285명에게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수용 행동 질문지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의 상관분석 결과 고통 감내력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경험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관적 안녕감과 경험회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구조 방정식을 통해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검증을 실시한 결과 고통 감내력이 경험회피를 거쳐 주관적 안녕감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고통 감내력과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를 밝히고 고통 감내력과 경험회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s a casual factor contributing to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o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normal person, and to explore the role of experiential avoidance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85 normal adults nationwide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s composed of a distress intolerance scale,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and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variables showed that distress tolera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experiential avoidance. Als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par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ing effect going from distress tolerance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o experiential avoid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demonstrates meaningful insights, in that the survey conducted among average adults both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psychosocial health, and also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tolerance and experiential avoidanc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영례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중심의 학교 교육과 사교육 참여, 인터넷이나 스마트 폰의 무분별한 사용, 방과 후 나 홀로 여가를 보내는 아동의 증가는 아동들로 하여금 다양하고 긍정적인 교우관계 형성을 제약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아동으로 하여금 학교 부적응을 초래하고, 집단 따돌림, 집단 폭행과 같은 학교폭력의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긍정적인 교우관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초등학생의 긍정적인 교우관계 형성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교우관계에 있어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매개변인으로 유의미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부모양육태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교우관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양육태도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부모양육태도와 교우관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남구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 아동 477명(남 265명, 여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은 청소년으로 진입하는 시기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5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은 부모양육태도 검사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검사지, 교우관계 검사지로 구성하였으며, 연구결과 분석은 SPSS(Statisticalpackage for Social Science)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교우관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부모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부모양육태도와 교우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Sobel test 검증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와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과보호적 양육태도, 애정적 양육태도, 개방적 의사소통, 역기능적 의사소통, 교우관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부와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교우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와 모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교우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와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개방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는 개방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부와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 과보호적 양육태도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부와 모의 거부적 양육태도와 교우관계 사이에서 개방적 의사소통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와 모의 애정적 양육태도와 교우관계 사이에서 개방적 의사소통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와 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교우관계 사이에서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홍삼박 분말을 대체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박영례 순천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sponge cakes were prepared with 3, 6, 9, 12, and 15% red ginseng marc powders. The samples and a control were then compared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batter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moisture content, water activity, volume index, weight, color,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ies,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ratio of red ginseng marc powder in the formulation. The batter samples containing 0, 12, and 15% red ginseng marc powder had significantly higher viscosity than the other samples. Specific gravity of batt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batter samples. The control group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moisture content as compared to the samples containing red ginseng marc powder samples. Water activity, volume index, and weight of all sampl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In terms of crust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crust samples decreased as the level of red ginseng marc powder content increased. For the crumb color, l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and re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red ginseng marc powder content.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spring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however, the red ginseng marc powder samples had significantly higher chewines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sensory evaluation, as the content of red ginseng marc powder increased, scores for color, flavor, softness, overall acceptability, moistness, and egg-flavor decreased, while scores for red ginseng taste, bitterness, astringency, and off-flavor incresed. Overall, the 3 and 6% red ginseng marc powder samples obtained fairly good sensory scores.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adding 3~6% red ginseng marc powder to sponge cake is optimal, providing good physiological properties as well as reasonably high overall consumer acceptability. Key words: Sponge cakes, red ginseng marc powder, batter, viscosity, textural characteristics, sensory qualities.

      • 6학년 음악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성향 고찰

        박영례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은 태어나기 전 어머니의 뱃속에 있을 때부터 다양한 소리와 음을 들으면서 성장을 한다. 그리고 태어나면서 자신의 탄생을 알리는 울음 소리를 터뜨리고 커가면서 기쁘거나 슬플 때, 또는 일을 하거나 놀이를 할 때 등 일상 생활 속에서 음악과 관계를 맺으면서 성장을 한다. 이렇듯이 언어가 전달할 수 없는 내면의 세계를 음이라는 소리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전달하는 예술 장르인 음악을 학교에서 교과로 정해 가르치고 있다. 이는 미적으로 성숙하고 음악을 향유하는 조화로운 인격을 갖춘 인간을 기르기 위해서이다. 학교에 들어와 음악 수업을 접하면서 처음에는 너무나 재미있어하며 적극적으로 활동을 하던 학생들이 어느 순간이 되면 음악 수업을 싫어하고 기피하는 현상들을 볼 수 있게 되었는데 특히 저학년보다는 고학년으로 갈수록 그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이에 왜 학생들에게서 그런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알고자 하는 생각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음악 교육 현실에 있어서 학생들의 음악적 욕구와 지식,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악 수업의 내용이나 교육 방법 및 교육 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수업의 현 실태를 파악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음악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 방안과 방향을 찾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진주시 4개 학교의 6학년 42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401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방식을 택하여 이루어졌다. 설문지 내용은 음악 수업에 대한 성향, 음악 수업의 실제, 음악 수업의 환경 여건, 음악 수업의 필요성을 주 항목으로 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수업 시간을 남학생들은 기다리지 않으며 음악 수업 시간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들은 음악 수업 시간을 다소 기다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창, 기악, 감상 활동에서는 좋아한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나 창작 활동은 좋아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다른 교과 수업과 비교했을 때 남학생들은 다른 교과 수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많았다. 둘째, 음악 수업 시수는 현재의 2시간이 적당하다는 의견이 나왔으며 가장 많이 배운 활동 영역으로는 가창이, 가장 즐거운 활동 영역으로는 감상이, 가장 배우고 싶은 활동 영역으로는 기악 활동으로 나타났다. 수업 시간에 1-2곡 정도의 건전 가요를 배웠다는 학생들의 응답이 141명(35.2%)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음악 수업 담당 교사 여부와 무관하게 배울 필요가 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음악실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나왔으며 가창 수업시 주로 사용되는 음악 기자재는 컴퓨터(ICT)가 많았으며 기악 수업시 음악 기자재 활용도는 전담선생님이 담임선생님보다 약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악 수업을 통해 인격 형성, 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 향상, 음악적 소양 향상, 창의성 계발 도움 정도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으며 음악 과목에 대한 필요성에서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성과 창의성을 기르고, 음악적 정서를 풍부하게 하는 음악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인식하고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른 음악 지도법을 개발하여야겠다. 또한 학생들 스스로 음악적 아이디어를 창출하여 그들만의 방식으로 악곡을 표현할 수 있는 경험을 최대한 제공하여 창의성과 음악성을 기를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음악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Men grow as they listen to various sounds and music from when they are in their mother’s womb. Also, from the time a crying sound announces their birth they grow while having a relationship with music in their daily lives when they are happy or sad or at work or play. Likewise, music is taught as one of subjects at school, and it is a genre of art that expresses and delivers an inner world that cannot be delivered with language, by using a sound called music. This is to enable people to grow with a harmonious personality and to mature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and enjoy music. There have been exampl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actively in music class and had much fun when they began to learn music at school, but they then started to dislike and avoid music class from a certain point. In particular, this was notable as students reached the higher grades.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to conduct research to see why such a problem appears with students. Also, this study aims to find out improvement strategies and a direction for realizing music classes where students perform and participate actively by identifying the current classes that generate an interest in the contents of a music class or an education method and education environment that may enhance the desire of students for musical desire and knowledge as well as ability in Korea’s actual music education situation. This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420 sixth graders in four schools in Jinju, and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applied using 401 copies of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ere mainly organized as the interest in the music class, reality of the music class, environment of the music class, and the need for the music class. The results obtained from questionnaire include the following. First, boy students were found not to wait expectantly for the music class and not to like the music class very much, whereas girl students were found to wait expectantly for the music class. Although there were positive answers such as boy students like singing,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engaging in appreciation activities, there were negative answers that they do not like creative activity. Compared with other classes, boy students were likely to prefer other classes to the music clas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opinion that it is proper to allow the current two hours for a music class, and it was shown that the area of activity that students learned most was singing, the area of most enjoyable activity was appreciation, and the area that students desired to learn most was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lso, 141 respondents (35.2%) were found to have learned about 1-2 pieces of a sound in the class, which was the answer with the highest response rate, while another positive answer with a high rate was that it is necessary to learn regardless of whether there is a music teacher or not. Third, there were responses that respon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school music room and that computers (ICT) were mainly used as musical equipments for singing class. Also, for the use of musical equipment in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class, music teachers were shown to utilize musical equipment more than homeroom teachers. Fourth, there were positive answers to the help of the music class in the creation of personality, enhancement of mental health and life quality, improvement of musical talent, and development of creativity, while there was a high positive response to the question that they feel the necessity of the music subject. In order to enable students to cultivate a musical sense and creativity through diverse musical pieces and musical activities and to achieve the goal of music education that enriches musical emotions, it is necessary to invent music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students while perceiving the needs of the stud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offer a more comprehensive music class so that students can cultivate creativity and musical talent by allowing them to experience the expression of musical pieces in their own ways to the utmost by creating musical ideas by themselves.

      • 퍼지확률에 의한 이항비율의 검정

        박영례 東義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인 가설검정은 “두 모수가 정확히 일치 하는가 혹은 적거나 큰가?” 의 검정으로서 유의 수준에 의하여 정확히 구분되지만, 퍼지 가설검정은 어떠한 두 모집단의 평균이나 분산의 차이의 검정에서는 유의수준에 의하여 “두 모수가 같을 정도나 같거나 클 정도”를 검정하기 때문에 정확히 구분할 수 없는 문제이므로 기각과 채택을 결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기각정도와 채택정도로 표현한다. 즉 일반적인 통계에서는 기각영역과 채택영역을 한 점으로 구분하여 “0” 또는 “1”과 같이 명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퍼지 통계에서는 기각과 채택의 정도로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 확률을 정의하여 퍼지확률에 의한 이항비율의 검정방법을 예제를 통하여 연구하였다. 퍼지데이터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데이터가 convex성, 정규성(normal), close의 세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퍼지 확률실험에서 퍼지사상 가 일어날 정도를 로 정의하여 번 실험하였을 때의 평균을 퍼지확률 로 정의였다. 여기서 가 Kolmogrov의 확률공리 및 두 사상의 확률 합이 성립함을 퍼지 합집합과 교집합의 max, min 원리를 사용하여 증명하여 퍼지확률공간을 제시하였다. 또한 퍼지 가설에서 두 모수의 차이를 ≺또는 ≃을 사용하여 제1종의오류와 제2종의 오류를 정의하여 퍼지확률과 관측도수에 대한 검정력 함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두 퍼지집합의 분리 및 포함되는 정도를 두 집합의 면적비로 계산하여 그 값을 동의지수라고 하여, 이 동의지수법을 사용하여 검정통계량이 기각역에 포합되는 정도를 기각정도라고 한다. 퍼지확률에 의한 퍼지이항분포의 확률 질량함수와 퍼지이항분포의 그래프를 제안하였다. 그 검정의 예로서 20명의 감기환자에게 신약을 투여하여 그 약효실험을 한 결과 일반 통계에서는 미묘한 확률의 차이에서 관측된 데이터로의 가설이 기각되는 경우가 발생하나 퍼지 검정에서는 아주 근사한 확률은 퍼지확률에 흡수되므로 관측 데이터의 범위가 넓어져 가설을 기각하는데 의사 결정자의 주관성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으므로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유의수준 가 0.05일 때의 검정에서 일반통계에서의 검정결과와 퍼지통계에서의 검정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퍼지통계의 검정방법이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자녀양육에서 어머니 플로우 경험의 탐색

        박영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에 개인의 강점과 미덕 등 긍정적인 감정과 행복에 초점을 맞추는 새로운 연구동향인 긍정심리학을 바탕으로 어머니역할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고 그 경험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플로우 이론을 적용하여 어머니 역할에서의 행복 경험, 몰입경험을 살펴보았다. 즉 어머니가 자녀양육에 있어서 행복했던 경험과 거기에 몰입해서 시간이 흐른 지도 몰랐던 경험, 경험하고 난 뒤에 즐거움, 만족, 행동 등의 감정을 느꼈던 행복한 순간인 플로우 경험을 개방형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어머니들에 의해 응답된 답을 통해 어머니역할에서 경험했던 플로우 순간과 정서경험, 플로우 경험 시 도움 되는 요인과 방해요인을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목포, 인천,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0세 미만 연령의 자녀를 두고 있는 194명의 어머니들을 편의 표집 하였으며, 어머니 역할에서 플로우 경험을 수집할 수 있는 개방형 질문문항을 제시하여 연구대상자인 어머니들이 자신의 어머니역할에서의 플로우 경험에 대해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양육에서 어머니의 플로우 경험은 어머니와 자녀와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집중된 주목,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통제감의 3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둘째, 자녀양육에서 어머니 플로우 경험 시 도움이 되는 요인으로 긍정적인 정서경험은 행복감, 유대감, 대견함, 책임감, 존중감의 4가지 유형으로, 어머니 생활에 도움을 제공하는 플로우 경험은 삶의 활력소, 어머니 역할 의미 제공, 자녀에 대한 신뢰, 자녀와의 관계 노력, 가족의 소중함으로 5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셋째, 자녀양육에서 어머니 플로우 경험 시 도움이 되는 요인은 교육매체 및 교육기관, 주변사람의 격려와 조언, 신앙, 가족, 환경적 분위기, 아이의 존재, 어머니 자신의 노력으로 7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 경험 시 방해가 되는 요인은 일, 체력, 경제적 상황, 주변 환경, 자녀의 상황, 가족문제, 어머니 개인의 성격특성으로 5가지 유형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 의의를 지닌다. 최근에 떠오르고 있는 긍정심리학에서의 플로우 이론을 접목시켜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어머니 자신을 행복하게 만드는 요인을 추론하여 어머니들의 삶에 더 많이 적용시키는데 필요한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 실제 현장에서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어머니 행복감 척도개발에 필요한 문항개발 등의 연구에 사용될 기초적인 정보를 수집함에 의의가 있다. 또한 어머니 역할에서 어머니가 경험하는 긍정적인 정서와 어머니 역할에 주는 의미제공과 같은 어머니가 자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 특성들을 찾아내어 어머니와 자녀에게 개입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어머니들이 자녀를 키우는데 대표 강점을 깨닫게 되어 이를 본인의 생활에 활용함으로서 어머니로서 더욱 행복하고 충만한 인생을 살아가는데 도움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esents the contentment and immersion experience during maternal practice utilizing the flow theory. It is based on the recent development of positive-psychology that encourages favorable aspects of maternal practice. The data was collected via open-ended survey in regards to the emotional phases of the role as mother happiness, immersion, satisfaction, contentment flow experience. The study categorized and analyzed the emotional phases flow experience as well as the factors that encourages or hinders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The subject included 194 mothers residing in Mokpo, Incheon, Seoul, and Kyungi, who had children 10 years old or less. We used an open-ended survey in order for subjects to describe their experience without any restri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below: First, flow experience with maternal practi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mutual intera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mother's focused attention to the child; and mother's emotion of controlover her child. Second, flow experience is fostered via four particular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happiness, mutual connectedness, a sense of responsibility, respect, and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positively impacts maternal practice through five factors: it provides energy in their life, defines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 faith in their children, efforts to build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fostering importance of family Third, we found seven factors that encourage the flow experience: education, concern from others, religion, family, circumstances, existence of child, mother's effort. We also found five other factors that hinder the flow experience: work, health, economic financial condition. Significance of these empirical findings summarizes as below: Based upon the flow theory of positive-psychology, the study found factors that encourage happiness of maternal experience. Such findings and the collections of data will not only promote research studies in regards to the program development geared towards positivematernal experience, but also develop survey methods for further measurement of the happiness of maternal experience. Additionally, the studyexpended on findings of positive aspects of maternal practice including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 as well as Meaning provision. The study will enhance mothers to find positive aspects of maternal practice and to have fulfilled and enjoyable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