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폭력피해여성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에 관한 연구

        박양숙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current status of domestic violence and analyzes social support system for its women victims regarding domestic violence as serious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 study is based on a variety of research documents, examining social services from diverse perspectives of social welfare, medical services and law. Domestic violence is common and increasing in our society. This is more disturbing as they are not just family disputes but traumatize the victims physically and mentally, and they are getting more serious and cruel. As such, more active and practical services should be provided for the victims and aggressors should be treated as serious criminals. Instead of our current impractical restraining orders, the process of law should be fast and accurate so that it could protect the victims in real terms, and optimizing the time spent for the trial will also be helpful for the victims to prevent in the best way. Sinc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would feel embarrassment and low self-esteem, they should be treated sincerely and provided with suitable programs so that they could overcome the painful trauma from family violence. Therefore, appropriate social services for the victims are crucial. As our society considers domestic violence as a family problem, it is neither properly dealt with at social level nor does the need to make it public issue arise. However, we should realize that domestic violence i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should be concerned about women’s welfare as basic human rights.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famil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change our socio-cultural values and standards, and incorrect concept of family influenced by gender discrimination and patriarchism. Moreover,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family relations, formation of social network through community relations advertisements, and education and promotion of the Special Act for Prevention of Family and Domestic Violence are also necessary. In terms of our legal system, evaluation of law management and policy development in relevant areas is crucial. In addition, not only should legal protection for the women victims be intensified, but the short-term disciplinary measures for the aggressors such as cure programs should also be developed. Finally, the women victims should be provided with financial support for basic living, proper shelters and medical services that can support accurate investigation and pofessional medical treatment.

      •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글쓰기 지도 방법이 중학생의 논설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

        박양숙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현장에서 확산되고 있는 탐구공동체 교수-학습 방법이 중학생의 논설문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네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그 검증 결과를 분석해 본 바로는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수업이 개별 활동에 의한 수업보다 논리적 표현 능력 면에서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이 갖고 있는 사회 집단 교육으로서의 긍정적인 효과 이외에 학습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질적 향상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문제 해결을 위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의 확보가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1시간의 수업 시간으로는 당연히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국어과의 수업도 경우에 따라서는 2시간 연속 수업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탐구공동체 활동을 무리없이 해 나갈 수 있으려면 많은 학습 자료를 비치해 놓은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교과 학습실이 마련되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셋째, 학교 교육에서 탐구공동체 활동을 활성화시키려면 우선 그 방법적인 면이 다양하게 개발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연구 모임이 활성화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effect of community of inquiring activities on the ability of writing logical essay in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cla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 <Hypothesis Ⅰ> :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mmunity of inquiring group and the individually prescribed one on the overall ability in writing of logical essay. <Hypothesis Ⅱ> :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presenting ability of their themes coherently in writing of logical essay. <Hypothesis Ⅲ> :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showing the grounds of their themes reasonably in writing of logical essay. <Hypothesis Ⅳ> :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developing the structure of their themes logically in writing of logical essay. To test above hypotheses, two groups of 3rd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a middle school located in Yusung-gu, Daejeon city in Korea. One group(the community of inquiring group) was treated with instructional method applying the community of inquiring activities, the other(the individually prescribed group) was treated with individually prescribed instruction. The experimentation was performed from the early July to the mid September. After this experimentation, I evaluated their writings, comparing with those of pre-experimentation. The t-test method was used to identify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overall ability in writing of logical essay(p < .05). That is to say, the community of inquiring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dividually prescribed one on the overall ability in writing of logical essay. 2)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presenting ability of their themes coherently in writing of logical essay(p >.05). That is to say, the community of inquiring group was more high than the individually prescribed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3)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showing the grounds of their themes reasonably in writing of logical essay(p >.05). That is to say, the community of inquiring group was more high than the individually prescribed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developing the structure of their themes logically in writing of logical essay(p < .05). That is to say, the community of inquiring group was more effective than the individually prescribed one on the overall ability in writing of logical essa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made. For the instructional methods in writing of logical essay, the community of inquiring activities is an alternative instructional strategy to improve the ability of writing logical essay in middle school national language clas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in February, 2003.

      • 선발마커로서 Phosphomannose isomerase(PMI)유전자를 가진 식물발현 벡터의 구축과 이를 이용한 수박의 형질전환

        박양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형질전환체의 선발에 있어 기존의 항생제 저항성 마커나 제초제 저항성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 mannose를 이용하여 수박의 자엽에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선발체계는 phosphomannose-isomerase를 인지하는 유전자인 pmi가mannose-6-phosphate를 fructose-6-phosphate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오직 pmi 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식물체만이 mannose를 fructose로 분해하는 능력을 가지게 되어 분해된 fructose를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발아하여 2일간 per-culture 과정을 거친 5일된 수박의 자엽에 pmi 유전자와 내병성 유전자인 jmt 가 클로닝된 벡터 pNWB-jmt 를 포함하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를 접종하였다. 접종 후 벡터가 전이된 식물체를 선발하기위하여 2 mg/L BAP, 0.05 mg/L ABA, 300 mg/L carbenicillin, 20 g/L sucrose 와 4 g/L mannose가 첨가된 MS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재분화된 식물체에 jmt 유전자가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PCR 분석, Southern blot 분석 및 Northern blot 분석을 수행하였다. 형질전환이 확인된 식물체는 순화과정을 거친 후 온실에서 종자를 채종하였다.

      •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와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 : 기독 중학생의 진로탐색을 중심으로

        박양숙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탐색을 도모하고자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대상자의 진로성숙도와 내외통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실요법을 적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상담환경 가꾸기와 내담자를 행동변화로 인도하는 과정WDEP(Want-Doing-Evaluation-Plan)의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째 상담환경 가꾸기 단계는 치료사와 대상자가 서로 신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상자 이야기 경청하기, 대상자의 과거사는 그 과거사가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한 이야기하는 것을 허용하지 말기, 대상자의 느낌이나 신체반응을 전행동과 분리시켜서 논의케 하지 말기, 무책임한 행동에 대한 변명을 허용하지 말기, 벌하거나 비판하지 않으면서 대상자의 행동선택에 대한 필연적인 결과를 깨닫도록 하였으며, 둘째 내담자를 행동변화로 인도하는 과정WDEP(Want-Doing-Evaluation-Plan) 단계에서는 대상자가 진로에 대한 자신의 바램을 알아보고, 행동을 탐색하고, 평가를 통한 긍정적인 진로 계획을 함으로써 대상자의 진로성숙도와 내외통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실험군에서 진로탐색 하위척도인 진로성숙도 중 계획성(p=0.068), 독립성(p=0.072)에서 90%유의수준을 나타내어 긍정적인 유형의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단기적인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추후 진로탐색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탐색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In the present study,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ied to reality therapy was conducted to encourage career explor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analysis of the effects on career maturity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of the subject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applied to reality therapy consists of two phases, the counseling environment setting phase and the phase of WDEF (Want-Doing-Evaluation-Plan) to lead behavioral change. In the first phase, in order to trust each other, therapists make clients to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their behavior without criticism or punishment, un approve of excuses of irresponsible behavior, no argument over separating the client's emotions or physical reactions from the previous behavior, restrict the discuss of the client's past unless such is necessary to explain the present. In the second phase of guiding clients toward behavioral changes, the set of self-recognition of career, behavior searching, and evaluation-based optimistic career planning were observ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of the client. The program also indicated positive type change in the test group, supported by 90% significance in planning quality (p=0.068) and independence (p=0.072) criteria of career maturity, the sub-index of career exploration. Yet, it was the short-term practice of horticultural program, in order to promote the effect, further researches arrequired to consider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s the possible obstacles in career exploration.

      • 독일과 일본의 요양보험제도 비교 연구 : 한국에서의 시사점

        박양숙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ging of the society has two faces like a hydra; a face which shows the extension of the span of life, and a face of a decline of economy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working population. Because an aging society causes a wide influence to the society including National Pension, health care, welfare, housing and the economy. Korea's aging is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but preparations are invalid. Advanced nations which are already aging societies are preparing b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This study is on long term care insurance system based on social insurance which is already being run by Germany and Japan. So it focused on the point that should be when Korea should use the same policies of Japan and Germany. Japan and Germany's policies on aging is both trying to solve senior citizens' medical treatment costs, but has many points of difference. Germany operated the system focused on social insurance and self expenses, while Japan system was focused on the nations support and self expenses and social insurance. Both had separate laws related to aging, but a department managed the work in Germany, while local government office did the work in Japan. In Germany all who had health insurance were supported while only those who were over 40 who had health insurance were supported. Germany had 3 classes but Japan had 6 to classify the seniors. Germany had 35 classification standards but Japan had 85 classification standards. Japan did the first judging by computers. Germany's classification standards were nation wide but Japan's were limited to local units. Services were done by giving financial support and actual goods in Germany while financial support was limited in Japan. Germany and Japan's policies suggest that Korea needs a system that could prevent reckless request for support at the early stages. A Judging standard should be simple and objective which can be understood by anyone. Compensation for family labor is also suggestive. Japan care-manager-system has a fault of causing too much costs. This shows the need for specific management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Diversification of institutions to prevent large-scaled long-term care, and efforts to increase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on related work are matter that Korea should examine carefully. It shows that when the system is introduced, a detail system is more important than a fast extension over the nation. So detailed methods of financial support under people's agreement, and securing necessary services, people and institutions are required. Also, the quality of support, yes or nos about financial support, regional disparity, should be throughly examined for full efficiency. 고령화는 수명연장의 인류의 꿈이 실현되는 동시에 생산인구의 감소로 인한 경제적 압박을 가져오는 두 가지 얼굴을 가지고 있다. 인구고령화가 연금, 의료, 복지, 주택 등 사회보장은 물론 경제, 사회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과 문제를 파생시키기 때문이다. 한국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급속히 진전되고 있는데 반해, 고령사회에 대비한 정책이나 제도는 미비한 실정이다. 고령화가 사회전반에 파생시킬 문제를 예견하고 그에 대한 대책으로 나온 제도가 장기요양보험제도로서 선진 고령국가에서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보험방식의 장기요양보험을 먼저 운영하고 있는 독일과 일본의 제도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한국이 시범운영 시 검토해야 할 내용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독일과 일본의 요양보험이 노인의료비 증가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로서의 사회보험방식이라는 공통점과 함께 많은 차이점도 가지고 있다. 독일은 보험료와 본인부담액을 중심으로 운영하여 일본의 국고지원과 본인부담, 보험료로 충당하는 사회보험방식과는 차이가 있었다. 별도의 법률 제정으로 운영하는 것은 독일과 일본이 유사하였으나, 관리운영주체는 독일은 요양금고에서 일본은 시·정·촌에서 관리하는 방식이었다. 독일은 연령제한없이 건강보험가입자인 전국민이 피보험자가 되고, 일본은 40세 이상의 건강보험가입자로서 1호와 2호로 구분하였다. 요양등급을 3등급으로 나눈 독일과 달리 일본은 6등급으로 나누어져 있다. 독일은 36항목, 일본은 85항목의 판정기준으로 1차 판정시 컴퓨터판정을 하는 것이 특징이다. 판정기준은 전국단일기준인 독일에 비해 일본은 지역단위기준이다. 서비스는 현물과 현금을 함께 지급하는 독일과 현물서비스가 원칙이고 현금급여는 제한적으로 지급되는 일본과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독일과 일본의 제도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제도 시행초기 급여신청이 폭주할 것으로 예상하여 불필요한 신청을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이다. 간소한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근거로 누구나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최근 일본의 현금급여에 대한 활발한 논의도 서비스질의 저하, 도덕적 해이 등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제도 시행초기의 부족한 시설인프라의 해소, 재가중심 사업, 재정절감 효과 등 긍정적인 견해도 있다. 가족노동에 대한 보상도 한국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일본의 케어매니저제도를 통한 과다한 케어플랜의 작성은 급여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전문인력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시설 유형의 다양화로 대규모의 장기요양을 예방하고, 전문인력을 대폭 강화하도록 하는 최근 개호보험의 동향은 한국이 눈여겨보아야 한다. 제도 도입시 확대 추진보다는 요양보호대상자의 판정기준을 세밀화하여 제도의 안정화를 고려하여 점진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일깨워주고 있다. 따라서 국민의 동의를 통하여 급여제공방안의 구체적 과정의 구조화, 필요한 서비스와 인력 및 시설의 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보험급여 질의 수준 및 현금급여의 제공여부, 재정격차에 따른 지역별 서비스의 불균형문제와 함께 제도의 효과 등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활동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박양숙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의 활동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시장형 노인일자리 참여노인을 중심으로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시행하고 있는 노인일자리 사업유형 중 시장형 일자리사업의 지속가능한 발전모델을 구축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노인일자리사업이 지속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노인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여러 영향요인들을 밝혀 내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민간분야 노인일자리사업의 발전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그것이 정책이나 제도를 형성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5개의 연구문제와 15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며, SPSS Statistics 17.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분석, 백분율, 산술평균 등의 기술통계와 유의미한 변수를 묶기 위한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변수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을 하였다. 또한, 시장형 노인 일자리 사업의 참여 만족도, 지속 참여 의사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t-검증(t-test)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고, 독립변인과 매개변인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단계에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일자리사업 현황을, 종속변수는 지속적으로 일자리에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와 의지로 정하였고, 매개변수를 시장형 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로 설정하였다. 즉 시장형 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일자리 사업 참여현황이 시장형 일자리 참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시장형 일자리사업의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첫째, 연구문제1과 연구가설1~5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시장형 일자리사업의 만족도요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의 정서적 만족도에서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상, 건강상태, 소득의 유형, 경제상황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는 응답자, 사적이전 소득유형을 가진 응답자 그리고 경제적으로 부족하다고 응답한 자일수록 일자리 참여 후 정서적으로 만족한다는 것이다. 경제적 만족도는 연령이 높을수록(70대 이상), 건강상태는 보통, 경제 정도는 부족한 상황이라고 응답한 자가 일자리 참여 후 경제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건강만족도는 보통의 건강상태, 부족한 경제적 상황에 있을수록 만족하며, 동료간의 만족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70대 이상의 참여자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느끼거나, 초졸 이하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국민연금이나 특수직연금의 소득유형을 가진 응답자가 동료 간 만족도가 높다고 답했다. 건강상태가 보통이며, 국민연금이나 특수직연금을 받고 있으며, 경제적으로 부족하다고 응답한 자가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인구사회학적 특징 중 연령, 학력, 건강상태, 소득유형, 경제상황이 일자리 참여 만족도에 고루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연구문제2와 연구가설1~5는󰡐시장형 일자리 참여유형은 만족도에 영향요인이다󰡑로 설정되었으며, 다음의 분석결과로 나타났다. 사업의 종류, 참여계기, 월평균 급여액의 정도 등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참여계기는 다섯 영역에 모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소일거리로 참여한 노인이 그렇지 못한 노인들에 비해 모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연구문제3과 연구가설1~5는 󰡐시장형 일자리 만족도 요인은 지속적 참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다섯 영역의 만족도가 지속적 참여의지와 정적(+)관계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적 만족도와 기관에 대한 만족도는 정비례의 관계를 나타났다. 이는 노인일자리사업, 특히 시장형일자리사업이 지속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라 하겠다. 넷째, 연구문제4와5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요인과 시장형일자리 참여유형이 지속적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칠것이다󰡑에서는 유의미한 변인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시장형일자리사업은 노인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어야 하며, 이러한 지속적 참여를 유도하거나 유지하기 위해서는 참여자가 정서적으로 만족해야하며, 일자리수행기관을 신뢰하여야 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대이론은 노인근로자에게도 의미있는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동기부여와 만족도는 일을 계속하고자 하는 욕구를 제공해주며, 노인근로자들도 임금, 동료(상사)와의 관계, 쾌적한 근무조건이 직무만족과 일할 의욕으로 이어짐을 밝혔다. 둘째, ERG이론의 인간욕구에 대한 개념의 이해는 노인들이 일자리 참여를 통해 존재의 욕구, 관계의 욕구, 성장의 욕구가 있음을 발견하였고, 일자리사업이 그러한 욕구충족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협의의 생산적 활동인 근로활동도 일을 통해 사회적 관계의 형성, 통합감 형성을 가능케하고 있음을 발견하여 노인들도 일을 통한 지속적 활동의 욕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결과에서 발견하였듯이, 일자리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향은 평소에 관심있거나 흥미있는 일, 은퇴 후 하고 싶은 일에 더 많은 관심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노년기에도 기존의 일과 역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노인들은 근로자로서의 역할 수행과 사회적 역할 수행에 대한 욕구를 가지며, 이를 통해 인간의 기본 욕구와 사회적 욕구를 충족하고, 사회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기존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며, 혹은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기를 원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동년배로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성을 가질 것이라는 섣부른 판단은 이제 내려놓아야 한다. 즉 노인의 질적 변화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더불어 노인일자리사업도 질적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기존 일자리사업에서 노인의 변화를 경험적으로 인지하고, 노인의 변화된 욕구와 특성에 맞는 지속가능한 일자리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신체적·정서적으로 건강한 노인이 새로운 직무를 습득하고 단기적인 일자리에 활용하는 것에 그친다면, 지속가능한 일자리로서의 가능성은 없어질 것이다. 즉, 노인근로자에 적합한 일자리개발을 통해 지속적으로 참여토록 해야 할 것이다. 노동의 개념으로서 노인일자리가 아닌 여가활동과 경제적 보람을 함께 느낄 수 있는 일자리로서의 방향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둘째, 일자리에 참여하고 만족도가 높은 노인들은 후기고령자 및 허약노인이 많았다. 그들은 근로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나 일을 통해 생계지원 및 건강유지가 필요하므로 일자리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다. 따라서 일자리욕구를 가진 노인들을 위한 일자리 개발이 요구된다. 다양한 특성과 욕구를 가진 노인들을 위한 다양화, 세분화 된 노인일자리사업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시장형 일자리사업 참여자들이 일의 강도와 만족도에 비해 낮은 급여로 만족도가 낮음을 발견하였다. 다양한 정책․제도의 지원을 통해 노인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새로운 노인일자리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노인의 근로경력이 단절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시장형 일자리 수행기관에 대한 다양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노인은 일을 통해 근로자로서의 만족을 느끼고, 그러한 만족감은 건강한 사회적 활동을 촉진하고, 건강한 사회활동(생산적 활동)은 노인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오는 선순환의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선순환구조를 유지하도록 하는 일을 노인일자리수행기관들이 수행하고 있다. 노인의 생활만족도의 증가,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노인일자리수행기관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중요하다. 주요어 : 노인일자리사업,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 기대이론, ERG이론, 활동이론, 지속성 이론, 지속가능한 노인일자리사업, 일자리 참여만족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market-type employment programs for the elderly. In other word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various factors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 elderly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of elderly work programs as well as serve as foundational data in the development of elderly work programs within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set 5 research questions and 15 hypothesis.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Statistics 17.0 using statistical methods of descriptive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nd arithmetic means, factor analysis to group similar variables, and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dditionally, t-tes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level for participation in market-type elderly employment programs and continued participation. The study investigate the relativ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dependent variables and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t each stag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with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ing variables. This study def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of work program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esire and motivation to continuously participate in work programs as dependent variables, and satisfaction level for participation work-type employment programs as the mediating variable. In other wor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hypothesis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rticipating in market-type work programs and the conditions of work programs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work program participation, which in turn will have an effect on the continued participation of such market-type market-type work programs. First, for research question 1 and hypothesis 1~5,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ll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factors for market-type employment programs󰡑 was analyzed. Within emotion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for health, income type, and economic conditions with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results suggest that respondents who were unhealthy, who possessed private transfer type incomes and those who were economically lacking felt emotional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employment. As for economic satisfaction, higher age groups (over 70 years of age), normal health, and lacking economic condition responded to feel more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ng in employment programs. As for health satisfaction, more satisfaction was felt for respondents in normal health and lacking economic condition. For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satisfaction level between colleagues, participants over 70 years old, those that feel that they are not in good health, those with elementary level education and those on national pensions or special pension type incomes responded to feel higher satisfaction. For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institution, in normal health, those on national pensions or special pension type incomes responded to feel high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have found tha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ge, education level, income type, and economic conditions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for participation work-type employment programs. Second, for research question 2 and hypothesis 1~5,󰡐participation types of market-type employment programs are the factors of the satisfaction level󰡑was analyzed. Within this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business type, reason to participation, monthly salary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Especially, the reason for participation was affected all of five area, all those who participated for avocation are feel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without any motivation. Third, for research question 3 and hypothesis 1~5,󰡐the satisfaction factors of market-type employment programs are effect on continuous participation󰡑was analyzed. Within this analysis, the satisfaction level of five area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will of continuous participation. Particularly, emotional satisfaction was direct proportion to the satisfaction for the institution. In this c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figure out the factor that needed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elderly employment program(especially market-type employment program) can be regarded as achieved.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bles in question 4 and 5,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types of market-type employment programs will have an effect on the intension to continuous participation󰡑. As a result, the market-type employment program needs the elderly's intension to continuous participation. In addition, to induce and sustain the elderly's participation, participants have to be satisfied emotionally as well as trust corresponding institu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Expectancy Theory allows the elderly workers to meaningful approach to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evel are provided needs for working to the workers, the elderly workers told that salary, relation with their colleague(or boss) and comfortable working conditions are lead them to the intension to work. Seco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human desire in ERG Theory have found that the elderly have desire for living, rel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participate in elderly employment program, and this program can be the way to gratify the elderly's desire. Third, a work behavior(means productive activity in a narrow sense) can establish social relationship and unity. Thus, we found that these elements allow to realize the elderly's desire to sustain vocational activity through working. Fourth, as we has found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nsion to participation appears at the area of their usual interest or the work that wanted to do when they retired. As a result, the elderly have will to sustain their existing work and role for old age. The elderly have desire to perform role as a worker and to perform social role, and with this desire, gratify human's basic desire and social desire, keep away from social isolation, maintain existing role, or want to be provided with opportunity to work.

      • 고등학교 한국무용전공 학생들에 있어서 호흡훈련이 무용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양숙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안정된 무용동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평형성을 호흡훈련에 의해서 어떠한 영향이 나타나는지 비교하여 무용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고등학교 한국무용 전공학생 6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적평형성인 Closed eyes Foot Balance에 있어서 4주간 호흡훈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정적평형성인 Foot and Toe Balance에 있어서 4주간 호흡훈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동적평형성인 Stepping Stone Test Scores에 있어서는 4주간 호흡훈련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로 나타났다(P < 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piration training on the dance balance in the high school Korean dancers. Six female subjects of 17 - 18 years of ag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4 week's Raoul Gelabert's respiration training program was instituted(5 days/w, 30 mi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scores were measured at the before-training, 1th, 2th, 3th and 4th week of treat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ANOVA and Student Newman Keuls post-hoc test.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Closed Eyes Foot Balance and the Foot and Toe Balance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4 weeks. 2.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the Stepping Stone Test score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4 weeks(P < 0.05).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respiration training program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ancer's dynamic balance level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their dance performance in the high school Korean dan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