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어 트레이닝이 성인남성의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박시현 한국체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문 요약 코어 트레이닝이 성인남성의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박시현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집단과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과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을 확인함으로써 코어 트레이닝이 일반 성인남성의 체력과 신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 시내에 위치한 A휘트니스 클럽을 다니고 있고 신체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20대 성인남성 회원들로 선정하였으며, 코어 트레이닝 수행집단 8명과 코어 트레이닝을 수행하지 않은 집단 8명으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Window용 SPSS 20.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및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에 대한 코어 트레이닝 전·후 측정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체력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근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체력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근지구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체력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신체조성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신체조성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체지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코어 트레이닝은 근력과 근지구력증가와 체지방률감소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effect of core training on physical strength and body composition in adult males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Park, Si-hye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hysical strength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body composition (weight, body fat percentage) of adult males and those not undergoing core training. The study was conducted by 8 core training groups and 8 non-core training groups. Statistical processing for data analysis in this study utilizes the statistics program of SPSS 20.0 version for Window to provide physical strength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average body build-out (weight, post-fatty rati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f adult males' physical strength showed that core training affects their muscles.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dult males' physical strength, core training has an impact on their muscular endurance. Thirdly, an analysis of the physical fitness of adult males who performed core training showed that core training did not affect flexibility. Fourthly, the body composition analysis of the adult male who conducted the core training showed that the core training did not affect his weight. Fifth,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body composition of adult males who conducted core training, core training had an effect on the body fat percentage.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ore train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and decreasing body fat percentage. 국문 요약 코어 트레이닝이 성인남성의 체력 및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과 박시현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집단과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과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을 확인함으로써 코어 트레이닝이 일반 성인남성의 체력과 신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시 시내에 위치한 A휘트니스 클럽을 다니고 있고 신체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20대 성인남성 회원들로 선정하였으며, 코어 트레이닝 수행집단 8명과 코어 트레이닝을 수행하지 않은 집단 8명으로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Window용 SPSS 20.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체력(근력, 근지구력, 유연성) 및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에 대한 코어 트레이닝 전·후 측정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체력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근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체력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근지구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체력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신체조성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코어 트레이닝을 실시한 성인남성의 신체조성 분석결과, 코어 트레이닝은 체지방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코어 트레이닝은 근력과 근지구력증가와 체지방률감소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시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ctivities of golf content creators through One-Person Media are increasing, and golf content viewers can easily access golf-related information on their smartphones, and golf content viewing, especially YouTube, is rapidly increasing. Currently, the number of golfers in Korea is 5.7 million as of 2019, up 900,000 from the previous year. This is a 15 percent increase over the past six years, and the golfing population will grow further. In addition, the one-ma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is rapidly spreading to the market due to rapi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global competition as well as domestic competition is intensifying. Deregulation an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re underway by country. In this research, we will conduct research on the user satisfaction level of the one-person media broadcasting golf lesson video service.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a one-person media broadcast golf lesson moving picture service are analyzed, freedom of time and space is provided with the highest priority, and a direction for providing a service capable of viewing and listening the golf lesson in real time at the lowest cost is presented. Golf has become popular and interest in golf is growing.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level of the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in three parts. First, what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of users of the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and what factors affect the satisfaction of users? Secondly, how does one-person media broadcasting golf lesson video service technical factors (ease, convenience) affect user satisfaction? How does the service factors (reliability, practicality, entertainment, performance) of the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affect user satisfaction? How does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environmental factors (degree of interest, promotional conditions, and uneven distribution) affect user satisfaction? Third, is it effective to adjust the user satisfaction level of the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with one person of gender, age, and academic background? I've done some research on The model of this study utilized SERVQUAL (Service+Quality Model) framework, which is a service theory that is used to measure user satisfaction for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in order to empirically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rvey on user satisfaction for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In addition, by utilizing exter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are not utilized in SERVQUAL, technical preparation variables are utilized together based on SERVQUAL models, TAM models, UTAUT models, AIDMA models, and the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of the one-person media broadcasting golf lesson video service are clarified. Through this analysis, prior research theories to utilize the one-person media broadcasting golf lesson video service were analyzed, and each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o grasp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through the PLS-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furthermore, more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esent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factors and paths due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hat the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in terms of quality of service: ease, convenience, reliability, practicality, entertainment, and performers' guidance. As a result of the mutual comparison of the path coefficients and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each factor, the order of ease, recognition of the performer, and reliability was determined.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hat the six factors of ease, convenience, reliability, practicality, entertainment, and performers' guidance affect attitudes in the quality of service of the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are ease and performers' guidance. After comparing route coefficients and analyzing the degree of influence on attitudes by 6 factors, the order of ease was followed by performers' guidance. Third, we selected the degree of interest, promotion conditions, and uneven distribution as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use of the on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and drew conclusion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the meaningful influence on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promotional conditions and interest had a meaningful effect on user satisfaction, but uneven distribution had no meaningful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which are parameters used as intermediary, had a meaningful impact on user satisfaction. Attitudes have a greater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an on the usefulness of being late. Finally, the gender adjustment effect, which is the adjustment variable, was subdivided into two groups, X group (men) 226 and Y group (women) 103 to analyze the adjustment effect. It has been found that the age-adjusting effect is important for the Y group (40 years old and older) to have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reliabi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Y group (aged 40 and older) places importance on the positive influence of reliability on attitud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adjustment effect of academic ability is important for the Y group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higher) to have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reliability, and for the Y group (graduated from university or higher) to have a meaningful positive effect on attitude. In conclusion, golf lesson videos of one-man media broadcasting have been introduced gradually, but they have not been universalized in the initial stage of introduction, and it is judged that this will cause problems of information disparity that can occur in the marginalized class who cannot easily use them in any region and cannot use them. These results will increase interest in golf by providing various services such as mobile, virtual environment, artificial intelligence, AR/VR, and big data for singl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recommending them to people interested in golf through experienced users, searching for content and keywords of single-person media golf lesson video service, and providing them with an environment where they can asymmetrically and systematically take golf lessons at golf practice courses. 1인 미디어(One-Person Media)를 통한 골프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의 활동이 활발해 지고 있으며, 골프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골프 관련 정보를 스마트 폰으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유튜브를 중심으로 골프 콘텐츠의 시청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내 골프 참여 인구는 2019년 기준 570만 명으로 전년 대비 90만 명이 증가한 수치이다. 이는 지난 6년간 15% 성장한 것으로 골프 참여인구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 또한,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는 비약적인 기술혁신으로 빠르게 시장에 확산 되고 있으며, 국내뿐만이 아니라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고, 국가별로 규제를 완화와 관련 기술 개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시간과 공간의 자유로움을 최우선으로 제공하며, 최소의 비용으로 골프 레슨을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골프가 대중화로 인해 골프에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세 가지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첫째,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무엇이며, 어떤 요인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 기술적 요인(용이성, 편의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 서비스요인(신뢰성, 실용성, 오락성, 출연자인지도)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 환경적 요인(관심도, 촉진조건, 편재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성별, 연령, 학력이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조절 효과가 있는가? 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모형은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 측정에 사용될 서비스 이론인 SERVQUAL(Service + Quality Model)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였다. 또한, SERVQUAL에서 활용되지 않는 외부 환경적 특성 변수를 활용하여 SERVQUAL 모형과 TAM 모형, UTAUT 모형, AIDMA 모형을 기반으로 기술 준비의 변수를 함께 활용하여 보다 폭넓게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고자 했다. 이를 통해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선행연구이론을 분석하고 각각의 연구모델을 구성하여 PLS-SEM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해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후, 추가로 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요인과 경로들과의 차이 검증을 통한 보다 실속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로 첫째,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는 서비스 품질에서 용이성, 편의성, 신뢰성, 실용성, 오락성, 출연자인지도 등 6가지 요인들이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의 결과는 용이성, 신뢰성, 출연자인지도 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를 상호 비교하여 요인별로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용이성, 출연자인지도, 신뢰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에서 용이성, 편의성, 신뢰성, 실용성, 오락성, 출연자인지도 등 6가지 요인들 이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의 결과는 용이성, 출연자인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계수를 비교하여 6가지 요인별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 결과 용이성, 출연자인지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 환경적 요인으로 관심도와 촉진조건, 편재성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종속변수인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 어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촉진조건, 관심도는 이용자 만족도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편재성은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는 이용자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 만족도에는 지각된 유용성보다 태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절변수인 성별의 조절 효과는 X 집단(남성) 226명, Y 집단(여성) 103명의 두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별이 조절 효과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의 조절 효과는 신뢰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Y 집단(40세 이상)이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신뢰성이 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Y 집단(40세 이상)이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의 조절 효과는 신뢰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Y 집단(대학 졸업이상)이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신뢰성이 태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Y 집단(대학 졸업이상)이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이 점진적으로 도입이 되고 있지만, 도입 초기 단계로 보편화 되어 있지 않아서, 이로 인해 어느 지역에서나 쉽게 이용할 수가 없고 이용하지 못하는 소외계층에게 발생 할 수 있는 정보격차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이러한 결과는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 서비스에 대한 모바일, 가상환경, 인공지능, AR/VR, 빅데이터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를 통하여 골프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하도록 하거나 이용자들에게 1인 미디어 방송 골프 레슨 동영상의 서비스에 대한 내가 관심 있는 콘텐츠나 키워드를 검색해서 골프 레슨 을 찾아보고 혼자 습득하는 방식으로 이용하도록 하고, 앞으로는 플립러닝 플랫폼을 개발해 골프 연습장에서도 비대면으로 체계적인 골프 레슨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면 골프의 관심도가 더 높아질 것이다.

      •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방식 및 가족체계 유형과 자녀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연구

        박시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방식과 가족체계 유형의 수준이 자녀의 자아 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살펴보고, 자녀가 지각한 의사소통방식과 가족체계유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건강한 의사소통방식의 중요성과 적절한 가족체계 유형의 수준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가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방식은 자녀의 자아 존중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자녀가 지각한 가족체계 유형과 자녀의 자아 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녀가 지각한 가족체계 유형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방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생 5·6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803명의 남·여학생이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검사도구로는 Barns와 Olson(1982)이 제작한 PACI를 민혜영이(1990) 번안한 것과 Coopersmith가 제작한 SEI 가운데 Form B(1975) 척도를 김경연(1987)이 번안한 것, 그리고 Olson, Portner와 Lavee(1985)가 개발한 FACESⅢ를 전귀연(199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단순 회귀 분석, 상관분석, 반복측정분산분석, 분산분석과 scheffe의 사후비교검증이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방식과 자녀의 자아 존중감은 의미 있는 상관이 있었다. 즉,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방식이 기능적일수록 자녀의 자아 존중감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647, p<.001). 또한, 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 방식이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방식보다 자녀의 자아 존중감에 더 큰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아버지-자녀간 의사소통방식과 자아 존중감 r=.627, p<.001,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방식과 자아 존중감 r=.606, p<.001 ). 둘째,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수준은 자녀의 자아 존중감과 의미 있는 상관이 있었다. 즉,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높은 자아 존중감을 나타냈다(응집성 수준과 자아 존중감: F=87.516, p<.001, 적응성 수준과 자아 존중감: F=37.532, p<.001). 셋째,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수준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방식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이 있었다. 즉, 가족의 응집성 및 적응성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부모-자녀간 의사소통방식은 더 기능적이었다(응집성 수준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F=171.599, p<.001, 적응성 수준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F=57.791, p<.001).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서, 부모와의 열린 의사소통과 높은 응집성과 적응성의 유지가 자녀의 자아 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the level of family system affect the child's self-este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perceived by the child and their family system.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a healthy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the appropriate level of family system.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ould there be any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perceived by child and the child's self-esteem? Second, would there be any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erceived by child and the child's self-esteem? Third, would there be any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ystem perceived by child and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perceived by child? With the given questions, total of 8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5th and 6th graders, from Seoul and the Kyonggi province area were involved in the investigation. The tools of investigation were Howard Barnes and David H. Olson's measure of PACI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1982, translated by Min, Hye Young, 1990), Coopersmith's measure of self-esteem Form B SEI (Self-Esteem Inventory Form B, 1975, translated by Kim, Kyung Yun, 1987) and Olson, Portner & Lavee's measure of FACESⅢ(Family Cohesion and Adaptability Evaluation Scale Ⅲ, 1985, translated by Chun, Kui Yun, 1993). The SPSS/PC+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the field of frequency, percentage, simpl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peated measurement ANOVA, one-way ANOVA and scheffe contra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and the child's self-esteem. It turned out that more open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greater the child's self-esteem (r=.647, P<.001). An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fa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child's self-esteem than the mother-child communication style (father-child communication r=.627, p<.001, mother-child communication r=.606, p<.001). Secondly,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child's self-esteem. The child's self-esteem turned out to be greater when the family's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higher (family cohesion & the child's self-esteem: F=87.516, p<.001, family adaptability & the child's self-esteem: F=37.532, p<.001). Thirdly,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also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The parent-child communication style was more open (and functional) where the level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were higher (family cohesion & parent-child communication: F=171.599, p<.001, family adaptability & parent-child communication : F=57.791, p<.001). Through such results, it could be observed that an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maintenance of high family cohesion and family adaptability make a very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self-esteem.

      •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박시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연구는 B시 남구에 소재한 D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각각 2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한 후 한 회기마다 60분씩 총 12회기의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실시되었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대인관계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 간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공분산분석(ANCOVA)과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심리적 안녕감이 향상되었다. 둘째,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셋째,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대인관계가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즉 초등학생들의 심리적․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한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일반적인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상황에서 긴장을 완화하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인관계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Educational Master`s Thesis The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k, Si-Hye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 Cheon, Seong-Moon ※ Advisor : Joo, Yong-Koo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 selected students of the D elementary school in B metro-city. The selected 48 students confirm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ith parent's consen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a comparison analysi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y were organized with 24 students each.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12 times each 60 minutes per 2 times a week, from March 10 to April 15, whereas not a single treatment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study employe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Relationship Change Scale' as a testing tool. Both groups took pretest and posttest i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21.0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nd multi variate MANCOVA were performed putting the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on psychological was much improved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ter literatherapy program was more improved than those of before. In conclusion,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psychology-based literatherapy program could be helpful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Literatherapy, Positive Psychology,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Elementary school

      • 청소년의 학습된 무력감과 감각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박시현 대구한의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된 무력감과 감각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고, 보호요인으로 설정한 자기효능감,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사회적 지지가 실제로 청소년의 학습된 무력감과 감각추구성향이 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상쇄시켜 주는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있는 중학생 1학년 578명과 고등학생 1학년 496명으로 전체 1,074명이다. 측정도구로는 신기명(1990)이 개발한 것을 연구자가 재구성한 ‘학습된 무력감 척도’, Arnett(1994)가 개발한 것을 한상철(2003)이 재구성한 ‘감각추구성향 척도’, Gullon 등(2000)이 개발한 것을 한상철(2003)이 재구성한 ‘위험행동 척도’, 김아영(1997)이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 Cardwell과 Darling이 개발한 것을 황미영(2001)이 번안한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척도’, 한미현(1996)이 개발한 것을 정지현(2013)이 재구성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된 무력감은 청소년 위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학습된 무력감이 청소년 위험행동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된 무력감이 높을수록 위험행동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감각추구성향은 청소년 위험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감각추구성향이 청소년 위험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므로 감각추구성향이 높을수록 위험행동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 위험행동에 대한 학습된 무력감과 감각추구성향의 상대적 영향력은 학습된 무력감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된 무력감과 위험행동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 부모의 감시 및 통제 변인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변인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감각추구성향과 위험행동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변인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부모의 감시 및 통제 변인은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소년의 학습된 무력감의 부정적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보호요인(자기효능감, 부모의 감시 및 통제)과 감각추구성향의 부정적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보호요인(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의 강화를 통하여 청소년의 위험행동을 감소시켜 나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돕기 위하여 다양한 보효요인의 탐색과 학습된 무력감의 발생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goal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sensation seeking on their risk behavior,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two variables, and to test whether protective factors such as self‐efficacy, parental monitoring and control, and social support have a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adolescents’ risk behavior and learned helplessness and sensation see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78 1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496 1st‐year high school students sampl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Measuring Scales used in this study are the ‘learned helplessness scale’ developed by Shin Gi‐myeong(1990) and restructured by the researcher, ‘sensation seeking scale’ developed by Arnett(1994) and restructured by Han Sang‐cheol(2003), ‘risk behavior scale’ developed by Gullon et al.(2000) and restructured by Han Sang‐cheol(2003),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Kim Ah‐yeong(1997), ‘parental monitoring and control scale’ developed by Cardwell and Darling and translated by Hwang Mi‐yeong(2001), and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Han Mi‐hyeon(1996) and restructured by Jeong Ji‐hyeon(2013). Collected data are analyzed using by SPSS 18.0.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ed helplessness has influence on adolescents’ risk behavior. Learned helplessness is found to be in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risk behavior, and this suggests that risk behavior is more frequent when learned helplessness is high. Second, sensation seeking has influence on adolescents’ risk behavior. Sensation seeking is found to be in a positive influence on adolescents’ risk behavior, and this suggests that risk behavior is more frequent when sensation seeking is high. Third, as to the relative influence of learned helplessness and sensation seeking on adolescents’ risk behavior, learned helplessness is found to have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d helplessness and risk behavior, self‐efficacy and parental monitoring and control a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s, but social support do not show a moderating effects.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ation seeking and risk behavior,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s, but parental monitoring and control did not show a moderating influence. These findings mean that adolescents’ risk behavior can be reduced by strengthening protective factors (self‐efficacy, parental monitoring and control) moderat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adolesc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protective factor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moderating the negative influence of sensation seek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e necessity to explore various protective factors an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promoting adolescents’ healthy growth and preventing learned helplessness.

      • 세계무형문화유산 판소리 보존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박시현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new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culture has arisen worldwide as we make efforts to value culture in our daily lives. The present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21st century as a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ed society and is supporting the advancement of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at national level. To meet demand, there is a growing national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ssence of traditional culture. The excellence and value of Pansori, as an intangiblecultural heritage, has been expressed globally. Th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ulture is a difficult matter however, in these rapidly changing times. Particularly, adolescents are exposed to the internet and a diverse range of popular culture, at the same time as traditional culture is more and more isolated from reality. This is why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is to determine ways to invigor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preserve Pansori. Thestudy focuses on the value,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arting from a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well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recognized by examining how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ansori, has been preserved and passed down in a practical manner.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nd problems concerning Pansori education on site. In Schoo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identified both Art Teacher Support Projects and after-school gifted and talented programs. The Art Teacher Support Project takes place as a part of the regular curriculum and provides education programs by dispatching external art lecturers in the basic curriculum, discretionary activities, and extra-curriculum. A review of Pansori education has focused on textbooks whereas the after-school specific aptitude program is designed to foster sound hobbies and specialties in students after regular school class activity. Through a specific aptitude program, students can learn about Pansori in depth, but, this tends to focus on the technical aspects of Pansori.This kind of Pansori program tends to cause students to believe that Pansori is difficult to learn, of little interest, and causes a prejudice against it. Presently most programs consist of technique-oriented Pansori programs. Due to insufficient lecturers and teachers, it is now difficult to organize a specific aptitude program. In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study is divided into a Main Agents Support Project and a National Public Organization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Pansori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Main Agents Support Project is organized by ARTE. Korean traditional music is managed by the children’s benefit facility culture and arts support project. It offers Janggu, Jeonraedongyo, Minyo, Samulnori, Danso, and others rather than a proper Pansori program, however. The National and Public Organizations are involved with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the National Art Center and the National Theater, and offers a Pansori program in steps. The City and Provincial Organizations mostly performconcerts and only one or two offer Pansori educ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four solutions to these problems. First, we need basic research and consultation regarding curriculum from professionals. The Schoo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pends primarily on individual lecturers. To deal with this, it is necessary to do basic research and professional appraisals of Pansori education to this point. Secon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urses using Pasori should be developed that is, not only Panrosi techniques, but also an integration of diverse courses including literature, dance, acting, music, should be included. Third, we need to train and use skilled professionals. Currently there is a lack of teachers and special lecturers who can be responsible for Pansori activity i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ield. In order to boost Pansori education, the very first step is to train professionals to be in charge of Pansori education, and then use existing personnel by training teachers in-charge and full Pansori instructors. Fourth, we need to carry out an aggressive appraisal usage and of Pansori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urses. Various methods for the u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urses should be researched. Additionally, aself evaluation of Pansori Education Courses is needed to establish a concrete education methodology. Through these solutions, we hope to engag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Pansori. In preserving and transmitting Pansori, which has been approved as a cultural heritage worth promoting worldwide, we need to demonstrate valuable aspect of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finally help preserve and develop our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세계는 지금 문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 그 가치를 일상생활에 활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현 정부도 21세기를 지식정보화 사회로 명명하고 문화와 관련 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ㆍ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전통문화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무형문화유산인 판소리는 국제사회에서 그 우수성과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요즘처럼 급변하는 시대에는 그 전통을 보존ㆍ전승하기가 어렵다. 특히 청소년들은 인터넷과 다양한 대중문화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일상생활과 유리된 전통문화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된 판소리를 보존하기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논문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무형문화유산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으로 무형문화유산의 가치와 전승문제, 보존과 전승의 구조와 체계,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것은 무형문화유산인 판소리가 어떻게 보존ㆍ전승되어 왔는지를 실질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화예술교육은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판소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ㆍ분석하였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는 예술강사 지원사업과 방과 후 특기ㆍ적성교육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예술강사 지원사업은 정규교육 활동시간으로 기본교과, 재량활동, 특별활동에 예술강사를 파견하여 교육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예술강사 지원사업에서 판소리 교육은 교과서 교육중심으로 감상영역에서만 다루어지고 있는 현황을 알 수 있다. 방과 후 특기ㆍ적성 교육은 학교 정규교육활동시간 이외에 학생의 개성신장 및 건전한 취미와 특기를 육성하기 위해 실시하는 교육활동이다. 특기ㆍ적성 교육은 판소리를 심도 깊게 배울 수 있으나 자칫 판소리 기능위주의 교육과정이 되기 쉽다. 이러한 판소리 교육과정은 판소리를 어렵게 생각하거나 흥미를 떨어뜨려 판소리에 대한 편견을 가져올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학교가 기능위주의 판소리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판소리 교육 전담교사나 강사가 부족하여 특기ㆍ적성교육을 운영하는데 어려운 실정이다. 사회문화예술교육에서는 지원주체별 지원사업과 국공립 국악 관련단체로 나누어 판소리의 문화예술교육현황을 살펴보았다. 지원주체별 지원사업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주체한 사업으로 아동복지시설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국악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판소리가 아닌 장구, 전래동요나 민요, 사물놀이, 단소 등이 교육되고 있었다. 국공립 국악 관련단체들은 국립국악원와 국립극장에서 계층별ㆍ대상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판소리 강습도 단계별 과정으로 나뉘어 진행되고 있었다. 반면 각 지방 시ㆍ도립 국악 관련단체들은 공연위주의 활동이 대부분이며 문화예술교육과 판소리교육이 실시되고 있는 단체는 한두 개에 불과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4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 및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학교문화예술교육에서 판소리 교육이 예술강사 개인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판소리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와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판소리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판소리 기능교육만이 아닌 문학ㆍ무용ㆍ연극ㆍ음악 등 여러 교과목을 통합하여 학습자들의 창의성과 예술적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역량강화를 위한 전문 인력의 양성 및 인력재원 활용이 필요하다. 현재 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판소리를 담당할 수 있는 담당교사나 전문 강사가 부족하다. 판소리 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판소리 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현직교사들의 연수교육을 통해 인력재원을 활용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의 활용과 평가제 실시를 해야 한다. 개발된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그에 따른 평가제도 또한 반드시 실시하여 보다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방안들을 통해 판소리를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개발에 적극적 참여를 도모시키고,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된 판소리를 보존ㆍ전승하며 더 나아가 한국전통문화의 가치를 알려 전통문화유산을 보호하고 발전시키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한글서체의 조형성을 활용한 효율적인 인지작용 연구

        박시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류의 역사는 문명의 발전 속에서 문자와 함께 시작되었다. 문자는 우리의 삶을 기록하고 의사소통의 대상으로 정보전달의 역할을 해왔으며, 그 시대의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제공하는 문화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초기 그림으로 대상을 본떠서 의미를 나타내는 상형문자의 기원은 자연스런 단순미를 표현한 조형성을 내포하며 추상적 개념의 기호문자를 기록하는 시각적 형태로 발전되었다. 문자는 매우 오랜 시간에 걸쳐 형태가 간소해지고 다양한 목적을 가진 표현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변화되었다. 오늘날 정보화 시대의 도래는 인간의 생각과 기억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문자 형태로서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읽고 쓰고 보는 단순한 글자를 넘어 인간의 감정을 시각적 언어로 표현하는 서체의 의미로 확대되었다. 내용과 의미에 맞지 않는 서체의 무분별한 사용은 사용자의 니즈(needs)를 반영한 차별화된 정보의 내용, 의미, 조형성을 활용한 한글서체의 중요성으로 부각되고 있다. 한글서체는 신문이나 서적은 물론, 포스터, 광고, 텔레비전, 영화타이틀, 웹 디자인, 모바일 게임 등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서 한글서체 디자인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것은 우리의 눈에 익은 단순한 글씨체가 아니라 문자가 가지고 있는 조형성의 전달 기능이 예술 표현의 재해석으로 인지작용을 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한글서체의 다양한 형태는 조형적 표현유형을 등장시키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서체의 다양한 조형 요소들은 사용자를 시각적으로 자극하여 흥미와 호감도를 상승시켜 피드백을 유도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의미전달, 이미지의 각인, 강한 인상의 기억력 등을 고려한 서체의 활용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서 가치가 있는 한글서체는 조형적 표현으로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감각을 통해 지각되는 인지 정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사용자와 효율적인 시각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차별성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글서체가 시각정보로서 자극을 통해 사용자에게 지각되고 인지되는 시지각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사용자와의 효율적인 인지작용의 최적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한글서체의 조형성을 활용한 효율적인 인지작용의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와 선행연구 등의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한글서체 표현에 있어서 조형성을 이론적 고찰을 기준으로 형태적 요소, 구조적 요소로 분류하여 인지적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가독성(의미 전달), 주목성(흥미 유발), 기억성(이미지의 각인)을 추출한다.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 및 평가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10대~40대 남녀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연령대와 성별, 한글서체 사용 행태에 따른 매체의 유형과 관련하여 구체적 사항을 설문․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데이터를 근거로, 한글서체의 조형성을 활용한 효율적인 인지작용의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연구대상에 대한 행태변이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설문 분석으로 한글서체의 조형성과 사용자의 인지적 효율성과의 상관관계 가설을 검증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한글서체 사용행태의 도출된 자료로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에 대한 한글서체 사용매체 및 행태와 관련하여 뚜렷하게 분포 현상을 나타냈다. 2. 1)의 결과를 통계적 실증분석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별, 조형성에 따른 한글서체의 사용행태 결과를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한글서체 조형성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형태적 요소에서는 표현성, 구조적 요소에서는 복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의 인지적 효율성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주목성, 기억성, 가독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글서체 조형성의 연령대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형태적 요소에서는 표현성, 구조적 요소에서는 복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적 효율성의 연령대에 따른 차이는 모든 연령대에서 주목성, 기억성, 가독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글서체 조형성의 매체에 따른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인쇄매체와 영상매체 모두 형태적 요소에서는 표현성, 구조적 요소에서는 복합성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용자 인지적 효율성 향상요소인 가독성, 주목성, 기억성은 모두 인쇄매체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이 선택한 주요변수의 한글서체 조형성 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사용자는 비정형 및 이미지화에 대해서 높은 중요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볼드, 가로배열, 주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기울기, 서체복합, 기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이미지화, 서체복합이 각각 1순위로 나타났다. 3. 1), 2)의 결과와 한글서체의 조형요소와 인지작용의 통계적 실증분석을 통해 한글서체의 조형성을 활용한 효율적인 인지작용 향상 방안과 디자인 모형을 제안한다. 또한 각 변수에 대한 중요도와 영향력 빈도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글서체의 조형성을 활용한 효율적인 디자인 기준과 인지작용의 모형도를 제시하였다. 한글서체에서의 조형성을 활용한 디자인은 본 연구대상의 설문에서 분석되었듯이 사용자로 하여금 의미전달의 가독성과 흥미를 유발하는 주목성, 이미지 각인의 기억성의 효율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을 이루게 된다. 본 연구의 연구과정과 실증적 분석 및 결과는 시대의 흐름과 디지털 발전에 따른 시각정보의 효율적인 인지작용 방안의 하나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한글서체의 조형성을 활용한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서체 시지각 정보 활용시스템 방안은 계속 진보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한글서체 개발자 및 타이포 디자이너들이 보다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한글서체를 디자인하는데 객관적인 기초 자료로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한글을 기반으로 하는 서체 개발자 및 디자이너의 창의적 활동과 모든 예술의 기초원리인 조형성을 바탕으로 하는 효율적인 시각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문화를 모색하고 개척하는데 전문가들의 역할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전시컨벤션센터의 공간적 입지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시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시 적합한 입지결정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입지결정요인과 건립 필요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 접근방법과 전문가 및 수요자를 대상으로 한 실증조사가 이용되었다.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시 영향을 주는 입지결정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지결정요인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전시컨벤션센터 입지결정과 관련된 정부 정책연구서인 예비타당성조사 자료(KDI, 2006・2008) 그리고 전시컨벤션센터 신·증축 심의자료(지식경제부, 2012)를 분석하였으며, 전시컨벤션센터의 공간적 입지에 영향을 주는 연구 및 심의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증적 조사를 통한 다양한 결정변수 도출, 정성적 변수와 정량적 변수의 결합, 타당성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입지결정 변수들과 요인들의 도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전시컨벤션센터의 입지결정 요인의 도출과 건립 필요성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 “주변 전시장 요인”, “지역 인프라 요인”, “전시참가 수요자 요인”, “전시 관련 지역산업 요인”, “지역경제 요인”, “지자체의 네트워크능력 요인” 등 6개의 전시컨벤션센터의 공간적 입지결정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는 기존의 전시컨벤션센터 건립 분야 연구에서는 행해지지 않았던 시도로써 향후 전시컨벤션센터를 신·증축함에 있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입지와 관련된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ppropriate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in construction of the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and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and necessity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for the new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ies from specialists and consumers. To identify determinants that affect the location choice during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from the literature review,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from preliminary feasibility analysis by the government (KDI, 2006・2012), and construction standards of the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2) a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critical review of previous research and governmental construction standards a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various location determinant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variabl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re propose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structed variables(determinants), a reliability analysis is first conducted using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After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re also performed.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and the necessity of the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construction. As a result, 6 factors such as "Exhibition environment of near exhibition center", "local infrastructure", "potential exhibition participants", "local exhibition industry", "local economy", and "local government's network(marketing) ability" were drawn as location determinant factors of the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of this study, the determinants of location choice will be utilized in supporting the local government's decision-making for the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Exhibition & Convention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