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교육프로그램의 기업적용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박순녀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P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업교육을 위한 뇌교육프로그램을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최근 ‘뇌’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전개되고 교육에 있어서도 뇌교육프로그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지만 그러한 연구결과 대부분이 개인이나 학생들에 대한 연구결과에 국한되어 있으며, 기업교육에 접목되어 연구결과가 나온 사례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가사불이(家社不二)의 조직문화구축’이라는 지향을 가지고 있는 P사의 요구에 맞추어서 뇌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P사에서는 전 직원 900명을 대상으로 2006년에 1단계 뇌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2008년에 2단계 뇌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었다. 뇌교육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졌으며, 1단계뇌교육프로그램은 1박2일 15시간 과정이었고 2단계 뇌교육프로그램은 1박2일 12시간 과정으로 구성되었다.효과 검증은 커크패트릭(Kirkpatrick, 1959)의 4단계 평가모형 중에서 4단계 결과평가(경영기여도)를 제외한 1단계 반응평가(교육만족도)와 2단계 학습평가(교육목표 달성도), 3단계 현업적용도 평가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교육목표달성에 초점을 맞추어서 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만족도와 태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설문지를 구성하여 진단도구로써 사용하였다. 그리고 소감문과 교육 이수 후 교육생 체험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질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연구 :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박순녀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에서는 기업마다 요청하는 교육 중점 요구가 다른 현실을 적극 수용하여,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를 분석하였고, 직장교육의 목표인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을 도출하였으며, K사에 적합한 1박2일(12시간)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K사 생산직 771명을 대상으로 7개월 동안 13차수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김창대(2002)의 체계적 개발모형을 적용하였다. 우선적으로 기업 및 관공서의 교육요구에 대한 분석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을 위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모듈을 구안하였다. 각 모듈은 직장인의 멘탈헬스 핵심요인으로 선정된 긍정심리자본,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3번에 걸친 파일럿 과정 실시 후 K사 맞춤형 명상프로그램을 확정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 개선작업을 거쳤다. 프로그램 효과검증은 Tyler의 목표중심평가모형과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에 따라서 객관적 효과평가, 주관적 효과평가, 현업적용도 및 경영기여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객관적 효과평가를 위해서는 대응표본 t-검정 및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및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공분산분석을 통한 통제집단과의 비교에서도 통제집단은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서 별 차이가 없는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긍정심리자본과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사전점수에 비해 사후점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희망, 낙관주의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적 웰빙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과 환경통제력에서 집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효과에 대한 집단비교 결과, 연령별로는 K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40대 집단에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연수별로는 사전점수에서 교육을 통한 멘탈헬스 증진의 필요성을 느끼게 했던 10년 이상~15년 미만 집단이 모든 하위요인에서 점수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효과평가에서는 전반적인 교육 만족도가 5점 척도 기준으로 4.7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특히 강사만족도가 4.78로 아주 높게 나타나서 고객맞춤식 교육을 진행하기 위한 강사의 노력이 교육생들에게 잘 받아들여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별 프로그램 만족도도 4.5이상으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나서 모듈마다 전하고자 한 핵심메시지가 잘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체험기와 재이수자 면담, 기업교육 및 인사노무 관련 잡지, 노사 임금협상 결과 등의 질적 자료를 통해 현업적용도와 경영기여도를 확인해 본 결과에서도 교육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업교육에서 한국의 명상을 체계화한 뇌교육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는 점,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뚜렷한 교육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그리고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맞춤식 프로그램의 개발이라는 점에서 여타의 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국내 기업교육에서는 멘탈헬스 핵심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직장인의 멘탈헬스 증진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프로그램이 개발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교육방법상으로도 한국적 명상을 활용한 ‘뇌교육 기반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인의 정신건강수준이 크게 나빠졌다고 보고된 40대 중반~50대 중반의 K사 생산직을 대상으로 한 고객맞춤식 명상프로그램의 개발은 상당히 의미 있는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교육효과 또한 검증되었기에 추후 조직인적자원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대한민국의 기업 및 관공서의 인적자원개발에 큰 활용도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교 방과후 특기ㆍ적성 교육에 관한 연구

        박순녀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about how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recognize about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 after school to provide data for effectiv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about various data about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Also, a questionnaire was enforced to each 470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17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ontents of questionnaire were that special ability education after school, recognition, operation and effect about aptitude education, inhibition factor of education practice and improvement plan for education practice.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WIN 12.0 program was utilized for statistic analysis. Level of significance was p<.05, p<.01, p<.001by applying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 of questionnaire is same as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knew well about the importance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They also thought it was needed. However, there were a lot of interviewers who did not know about link programs between communities or schools. It was examined that there were a lot of parents who would let their kids to participate in link program. Many students said that they would not want to. In the case of parents who would not let their kids to do it, the first reason was the safety during going and coming. About the purpose of aptitude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said that developing special ability and predisposition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Second, it was examined that teachers and parents preferred school's self-developed program the most. It was verified that teachers and parents preferred art & physical program the most and students preferred computer program. Teachers and parents wanted certified person for his education but students wanted their teachers to teach this program. Most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want to participate due to their burdensome. About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operation,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that having certified teachers were urgently needed. It was examined that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ought that proper program time was 1 hour 2 times a week and optimum tuition was 20,000~30,000 won. About reasonable class formation, parents preferred that classes were grouped by ability and level regardless of ages. However, students preferred three groups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the case of facility and teaching materials in school, teachers and parents thought it was not good. Relatively, students considered facility and teaching materials positively. Third, it was verified that teachers thought that the effect of aptitude education was practical use of time after school and leading direction. Parents thought that the effect of this education was developing special ability and academic record. However, they did not think that special ability education was good for developing personality, trust about public education and forming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nd local community. The student thought they were beaconed to develop special ability and hobby, foster beautiful mind and right attitude toward life, however, they did not think that the number of academy course after school was decreased. Fourth, it was found that teachers thought insufficiency of agreeable educational facility and environment as hindrance factor for activating aptitude education, non-all year round program by parents and no interesting program in school by students. About solution for activating, teachers and parents said that there should be more certificated teachers and students said that there should be more various classes and facilities. Fifth, in the case of improvement plan for effective operation of aptitude education, it was found that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ought that there should be teacher's and parents' consciousness conversion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They mentioned that there should be various programs around all year. They also thought that there should be more agreeable educational facility and environment, more certified teachers, training for teachers and expansion of government funded education program. If suggest desirable direction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to settle down aptitude education successfully, it is same as following. First, government and school should do active and constant public information about purpose, operation method and effect of aptitude education to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Second, professional teacher for this field and active support of government should be provided to enforce link program for activation. Third, there should be active policy support by government for securing qualifying teachers. Government should raise more funds for salary to teachers and provide system which can secure good teachers or volunteers by linking college, educational institutes and local communities. Fourth, teachers, parents and local communities should collaborate to settle down aptitude education more successfully. Also, it should be realized that local community and public institution etc also has educational role like school.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에 대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초등학교 특기 · 적성 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초등학교 방과후 특기 · 적성 교육이 좀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기 · 적성교육에 관련된 각종 문헌을 고찰하고 서울시내 초등학교 17개교의 교사, 학부모, 학생 각 470명의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설문내용은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에 대한 인식,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의 운영,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의 효과, 교육활동의 저해요인, 교육활동의 개선방안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하여 제작하였다. 회수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p)을 실시하여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을 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간추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에 대해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잘 알고 있고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지역사회나 학교 간 연계 프로그램운영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는 응답자가 많다. 또한 학교 간, 또는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에 자녀를 참여시키겠다고 한 학부모가 많으나 학생들은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가 많으며 참여시키고 싶지 않다고 응답한 학부모들은 그 이유로 등 · 하교 시의 안전문제를 최우선순위로 꼽고 있다. 또한 특기 &#8228; 적성교육이 추구해야 할 가장 큰 목적에 대해서는 교사, 학부모 모두 특기와 소질계발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다. 둘째, 특기 · 적성교육의 운영방법에 대해서는 교사나 학부모 모두 단위학교별로 자체 운영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며 가장 중점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으로 교사, 학부모들은 예 &#8228; 체능 관련 프로그램을, 학생들은 컴퓨터 관련 프로그램을 꼽고 있다. 적합한 교육담당 강사로 교사와 학부모는 관련분야 전공자 및 자격 소지자를, 학생들은 학교 선생님을 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과중한 학교 업무 때문에 교육담당 강사로 참여하고 싶지 않다고 응답하고 있다. 성공적 정착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실력 있는 우수강사 확보를 꼽고 있고, 프로그램의 운영시간은 교사 학부모 &#8228; 학생 모두 주2회 1시간씩을, 적정 수강료는 현행의 월2-3만원을 택하고 있다. 합리적인 반 편성방법으로 학부모는 학년별로 통합하여 수준별 편성을, 학생들은 저 · 중 · 고 학년의 세 그룹으로 나누는 것을 선호하고 있다. 교육에 필요한 학교의 시설이나 자료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부모들이 별로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반면 학생들은 비교적 긍정적으로 응답하고 있다. 셋째,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의 효과에 대해 교사는 바람직한 여가시간 활용과 진로교육에 도움을, 학부모는 아동의 소질계발 및 학력 향상을 최우선으로 꼽으며 사교육비도 경감 된다고 응답하나, 전인교육 및 바람직한 인성형성, 공교육에 대한 신뢰감 회복,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유대감 형성에는 보통이라고 응답하고 있다. 학생들은 특기와 취미를 발전시키는 데에는 도움이 되었으나 아름다운 마음과 바른 생활태도를 기르고 바람직한 여가시간을 보내는 것, 학원수강수가 줄어드는 것에는 보통이라는 반응이다. 넷째,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 활성화의 저해요인에 대해 교사는 쾌적한 교육시설 및 환경의 불충분, 학부모들은 1년 내내 이어지지 않는 교육기간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고, 학생들은 친구들이 학원에 많이 다니고, 학교에는 하고 싶은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에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할 문제점으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실력 있는 우수강사보유를 들고, 학생들은 다양한 부서 만들기와 깨끗하고 좋은 시설 많이 갖추기에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다섯째,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 교육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연수와 홍보를 통한 교사 및 학부모의 의식전환, 개설 프로그램에 대한 꾸준한 설명과 적극적인 홍보, 수준별 교육프로그램 실시, 인근학교 및 지역사회 시설과 연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 교육활동 시간을 1년 내내 계속 이어지게 하기, 쾌적한 교육시설 및 환경여건 확충, 우수강사 확보 및 강사연수 실시, 정부지원금을 통한 무상지원 교육 확대 등에 골고루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방향을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 특기 · 적성교육의 목적, 운영방법, 효과에 대해 교사, 학부모,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와 정부의 적극적이고 꾸준한 홍보가 필요하다. 둘째, 특기 · 적성 교육의 활성화에 매우 필요한 연계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업무를 담당하는 전담교사가 따로 있어야 하며,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행정지원이 있어야 한다. 셋째, 실력 있는 우수강사를 확보하기 위해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이 있어야 한다. 정부에서는 지원금을 대폭 늘려 현실성 있는 강사료를 지급하거나 대학 등 교육 전문기관 또는 지역사회시설과 연계하여 저렴한 강사료를 받고 봉사해 줄 수 있는 실력 있는 자원봉사 강사를 확보해서 소개해주는 시스템을 갖춰야 할 것 이다. 넷째, 방과후 특기 · 적성 교육이 보다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주민 모두가 한마음으로 협력해야 하며, 학교와 지역사회 시설, 공공기관 등이 다같이 학교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인식 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