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발표불안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박수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인문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발표불안과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구분하여 발표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000시에 소재한 A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352명으로 자기보고식 검사법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352부였으나 지필평가에 미응시한 학생 설문지 25부, 검사 문항에 답하지 않거나 한 측정치에만 몰아 답하는 등 무성의하게 답변한 자료 33부를 제외하였다. 또한 같은 이름의 교과목이지만 인문과정과 자연과정의 지필평가와 수행평가의 비율이 다를 뿐만 아니라 수행평가의 세부평가 항목까지 달라 자연과정 3개 반(10~12반)의 자료 103부를 제외한 인문과정 9개 반(1~9반)의 설문지 191부를 최종 분석 처리되었으며, 수집한 자료 분석은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발표불안 측정 도구는 한국판 발표불안척도로서, Spielberger, Gonzalez, Taylor, Aaton, Algaze, Ross와 Westbery(1980)의 시험불안척도(TAL)와 Paul(1966)이 발표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Personal Reportof Confidence as a Speaker(PRCS)를 참고하여 임봉순(1991)이 한국 문화의 특성과 언어 및 수업상황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다음의 연구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성별에 따른 발표불안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발표불안과 과목별 학업성취도는 어떠한 상관이 있나? 셋째, 발표불안과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는 어떠한 상관이 있나? 넷째, 발표불안과 수행평가의 영역별 학업성취도는 어떠한 상관이 있나?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성별에 따른 발표불안의 차이는 남자가 여학생보다 발표불안 높게 나타났으며, 발표불안과 전체 과목별 상관관계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표불안과 지필평가와의 상관관계에서 생명과학을 제외한 국어, 영어, 지구과학, 수학 과목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발표불안과 수행평가와의 상관관계에서는 국어, 영어, 생명과학, 지구과학, 수학 과목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발표불안과 영역별 상관관계에서 국어의 독서일기 영역, 생명과학의 포트폴리오와 창의적 활동 영역, 지구과학의 문제해결2와 학습참여도 영역을 제외한 모든 수행평가 영역에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발표불안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선행연구와 다르게 지필평가와 수행평가를 구분하고 수행평가 영역별 발표불안의 상관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학업성취도와 발표불안의 관계를 보다 구체화하여 살펴 본 점이 새로운 시도였다. 이로써 평가를 계획하는 교사나 평가에 임하는 학생들에게 발표불안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다음의 제안점을 말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대상을 확장하여 연구결과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상관관계만을 통계처리 하였기에 발표불안이 지필평가와 수행평가 중 어느 쪽에 더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후속 연구과제로 남겨두게 되었다. 셋째, 수행평가의 영역별 특성을 분석하여 발표불안과의 관계를 심도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넷째, 발표불안을 가진 학생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보다 의미 있는 연구결가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발표불안, 학업성취도, 지필평가, 수행평가

      • Protection Schemes for Contents Based on H.264/Scalable Video Coding(SVC)

        박수완 부경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컴퓨터 기술과 인터넷 기술의 발달에 의해 디지털 비디오 콘텐츠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비디오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들이 제안되어져 왔다. 그 중 압축 기술은 대용량을 가지는 비디오 콘텐츠가 저장과 전송 시 가지는 한계를 최소화하고자 제안된 기술이다. 가장 대표적인 압축 기술로는 MPEG-2, MPEG-4, H.264/AVC(Advanced Video Coding)가 있다. H.264/AVC는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기 위해 ITU-T VCEG와 ISO/IEC MPEG의 JVT(Joint Video Team)에 의해 최근 표준화된 비디오 압축 코덱이다. 이후, JVT는 AVC를 기반으로 하여 방송통신융합 환경에서 지능형방송 콘텐츠를 제공할 때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과 다양한 단말기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디오 압축 기술인 H.264/SVC(Scalable Video Coding)를 제안했다. SVC 콘텐츠는 하나의 영상 콘텐츠를 다양한 공간적 해상도(Spatial Resolution)와 화질(Quality), 다양한 프레임율(Frame-Rate)을 갖도록 하는 하나의 비트스트림을 구성하여 여러 가지 단말에서 자기 자신의 능력에 맞도록 비트스트림을 받아 복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 코딩 기술이다. 이러한 압축 기술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콘텐츠들은 위성이나 케이블, 인터넷 망과 같은 공개적인 경로를 통해 유포될 때 불법 유통과 복제를 방지하고 적법한 사용자만이 주어진 권한 내에서 콘텐츠를 사용케 하는 콘텐츠 보호 기술들과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케일러블하게 압축된 콘텐츠에 초점을 두고 가장 최근에 표준화 된 H.264/AVC와 H.264/SVC를 위한 보안 기법들을 제안한다. 3장에서는 SVC 비디오 콘텐츠의 안전한 전송과 배포 그리고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암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비디오 콘텐츠의 일부만을 암호화하는 선택적 암호화 기법을 H.264/SVC의 코딩 구조와 특징을 활용하여 적용함으로써, SVC 콘텐츠 암호화의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고 H.264/SVC의 계층적 접근 통제(layered access control)를 효율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SVC 계층적 암호화에서 사용된 멀티 키들은 낮은 계산 복잡도와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콘텐츠 특징 값을 사용하여 제안된다. 4장에서는 암호화와 더불어 중요한 보안 요소인 인증과 저작권 보호를 위한 기법들을 제안하고 안전성 강화를 위해 이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첫 번째는 3장에서 제안된 암호화 기법을 인증기법과 결합시켜 인증된 콘텐츠만이 복호화 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두 번째는 H.264/AVC와 SVC를 위한 인증 기법과 저작권 보호 기법을 결합시켜 두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결합 기법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사용자간 또는 홈 네트워크 내 개별적인 성능과 동적인 채널 능력을 가지는 각 장치에게 적응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재분배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스케일러블하게 압축되고 암호화되어진 SVC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재분배하기 위한 네 가지 요구사항들을 제시하고, 이들 요구사항들을 해결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 실시간 적용을 위한 물리기반 유체 모델

        박수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Real time animation of dynamic natural scenes is still considered as a difficult task, but it has become a requirement for computer game, virtual reality and mobile contents. Especially fluid simulation is too difficult to be implemented in real time because of its non-linearity and complexity. In this thesis, we propose two methods for a real-time simulation of fluid based on physically based modeling. One is to use the Navier-Stokes equations for realistically simulating fluid. While solving these Navier-Stokes equations on the Eulerian framework, the non-linear advection terms invoke heavy computation and thus Semi-Lagrangian methods are used as an approximated way of solving them. In the Semi-Lagrangian methods, the locations of advection sources are traced and the physical values at the traced locations are interpolated. In the case of Stam’s method, there are relatively many chances of numerical losses, and thus there have been efforts to correct these numerical errors. In most cases, they have focused on the numerical interpolation processes, even simultaneously using particle-based methods.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reduce the numerical losses, through improving the tracing method during the advection calculations, without any modifications on the Eulerian framework itself. In our method, we trace the grids with the velocities which will let themselves to be moved to the current target posi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pproaches, where velocities of the current target positions are used. We adopt the simple physical observation from the intuitive point of view: the physical quantities at a specific position will be moved to the new location due to the current velocity. Our method shows reasonable reduction on the numerical losses during the smoke simulations, finally to achieve real-time processing even with enhanced realities. The other is for simulating helicopters. Collisions between the air flow and the moving blades make helicopters fly. In aerodynamics, or even in simplified computer simulations, they theoretically analyzed the collisions between the fluid(air) and the solid object(blades), and tried to calculate the differential equations from the collisions. Then it was hard for them to generate real-time helicopter motions due to massive computations for calculating the equations. In this thesis, we present a dynamics model of rotor blades for real-time helicopter simulation in computer graphics area. We start from a geometric model of rotor blade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real world blades due to the various factors from helicopter aerodynamics, although some factors should be simplified to show real-time behaviors. Based on this geometric model, we present a dynamics model for calculating the forces due to the rotor blades colliding with airflows. Our dynamics model interprets the collisions between the fluid and the solid objects as the action-reaction forces, as originally Newton did. Finally, we present the force equations suitable for the existing rigid-body simulation systems, instead of fluid dynamics equations. We implement a prototype system for helicopter motions, and it shows sufficient real-time processing behavior with ordinary PC's.

      • 추적 가능한 야생동물 만들기 : 한국 반달가슴곰 복원사업 속 위치추적기술의 구성과 효과

        박수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한국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에서 사용된 야생동물 위치추적기술을 중심으로 인간-기술-동물의 관계가 구성되고 변화해 온 과정을 분석한다. 복원사업을 통해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된 반달가슴곰들에게는 개체마다 다른 주파수를 발하는 전파 발신기가 부착되었다. 반달가슴곰 관리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발신기의 전파를 매일 추적하여 개체들의 위치 좌표를 기록해왔다. 이 연구는 위치추적기술과 같이 동물의 삶에 관여하는 기술이 구성되는 과정과 그 효과에 주목함으로써 비인간 동물과 기술의 행위자성을 구체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기술-동물이라는 구도는 기술이 인간-동물의 관계를 매개하고 관계에 개입하는 행위자이며, 기술의 설계와 역할 또한 이질적인 네트워크 속에서 달라진다는 점을 드러낸다. 위치추적기술이 반달가슴곰 모니터링에 처음 활용된 것은 새끼 반달가슴곰의 방사를 통한 적응 실험에서였다. 지리산에 방사된 반달가슴곰의 생태에 관한 실증적 지식을 생산하기 위해 위치 모니터링이 수행되었다. 이과 같은 과학적 표상의 생산은 야생동물 전문가들이 위치추적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달성하고자 했던 주된 기대 효과였다. 그러나 위치추적기술은 이와 더불어 곰 관련 다큐멘터리와 같은 문화적 표상의 생산에도 기여했으며, 곰에 의한 재산 피해를 비롯하여 인간과 곰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는 것 또한 위치추적기술의 중요한 역할로 부상했다. 복원사업이 정식으로 시작된 후에는 곰과 인간의 갈등을 관리하는 것이 위치추적기술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되었다. 모든 개체를 대상으로 하는 일일 모니터링이 제도화되었으며, 수집된 위치 데이터는 반달가슴곰과 인간의 활동 영역을 분리하는 경계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또한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지식과 이미지도 인간과 곰이 각자의 생활권을 유지하며 살도록 하는데 필요한 인간의 문화를 구성하는데 기여했다. 인간-동물 관계를 매개하는 기술은 종간의 관계를 안정화시키기도 하지만, 네트워크의 변동 가능성을 새롭게 만들어낼 수도 있다. 국립공원 경계 내에서 곰을 관리해온 복원 정책은 지리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의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한계에 직면했다. 반달가슴곰 KM-53의 이례적인 이주 행동은 야생동물 복원사업에 대한 사회적 논쟁을 촉발했다. 이후의 논의는 특정 생물종의 단기적 증식이 아닌 동물의 서식지 선호와 실제 움직임을 고려하는 사전 배려적인 정책으로의 전환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이용에 관한 지식이 꾸준히 축적되어 왔기에 정당화될 수 있었다. 위치추적기술의 작동을 통해 생산된 표상들은 야생동물의 자율적인 움직임에 보다 주의를 기울이는 복원 정책으로의 변화에 기여했다. 이 연구는 인간-동물 관계에 대한 논의와 기술에 대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분석을 접목하여 인간-기술-동물의 상호 구성을 추적함으로써 동물의 행위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포착할 수 있음을 보인다. 실천적인 측면에서는 야생동물의 복원이 기술을 매개 삼아 다른 종의 생명체가 살아가는 방식을 이해하고, 인간과 동물의 안정적인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규칙과 실천을 만드는 작업임을 드러낸다. This paper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change of Human-Technology-Animal relationship, through the case study about wildlife tracking technology used in Asiatic Black Bear Restoration Program. Radio transmitters, emitting radio waves at a different frequency, have been attached to the black bears that were released into Jirisan National Park, South Korea. Practitioners who take responsibility of managing bears has done location monitoring of the individual bear every day, and has documented their location data. The argument is that tracing 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technology enables detailed analysis of the agency of nonhuman animals and technology. Analyzing Human-Technology-Animal relationship highlights that technology is an actor mediating and intervening in human-animal relationship, and that its design and role also change in the heterogeneous network. The first utilization of tracking technology for black bears was at adaptation experiment of released bear cubs. Location monitoring was conducted for ec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reintroduced black bears. Producing scientific representation was the mainly intended effect of the tracking. Meanwhile, the technology also contributed to the production of cultural representation about bears, including TV documentaries. Preventing risks that can happen between humans and bears, including property damage by released bears, became another important role of the tracking. After the establishment of restoration program, managing Human-Bear Conflict has became the most significant function of tracking technology. Daily monitoring on every bear’s locati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and the data has been utilized for building territorial boundary between humans and bears. Knowledge and images about the bears’ habitat use also conduced to the construction of culture required for maintaining living sphere of the two species. However, technologies mediating human-animal relationship not only stabilize the network, but also can make it fluctuate. As the number of bear increases, the restoration policy which had managed the population inside the park’s boundaries reached the limit. Unprecedented migration behaviors of a bear named as ‘KM-53’ provoked public controversy over the wildlife restoration program. The discussion leaded to a switch in policy objective, from the short-term propagation of species into the restoration more considerate of actual movement of the animals. This change could be rationalized with the representations about habitat use of black bears, produced with the tracking technology. This thesis combined the ideas from Human-Animal Studies and Actor-Network Theory, and developed a method to capture animal agency by tracing the co-construction of Human-Technology-Animal relationship. On the practical side, this study emphasizes that wildlife restoration is a project where we understand the ways of living of other species, and construct new rules and practices for stable co-inhabiting of human and other species, with the mediation of technology.

      • 실레인 코팅이 된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에서 오일의 종류와 극성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 형성과 안정도

        박수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cosmetics, silane-coated titanium dioxide is widely used for coloring and UV protection. Of these, titanium dioxide below 100 nm is widely used in sunscreen cosmetics for UV protection applications. In previous researches, the formation of pickering emulsion was confirmed by the size, shape, coating agent and oil composition of titanium dioxide. Other studies, the formation of pickling emulsion was confirmed by the silane - coated nano - sized iron oxide. In this study, the formation and stability of Pickering emulsion were evaluated by selecting various oils used in cosmetics along with titanium dioxide which was the most commonly used triethoxycaprylylsilane coating used in cosmetics during silane coating. The oil used in the experiment was mineral oil, isododecane, which is known to be nonpolar oil used in cosmetics, and dimethicone, which is a typical silicone oil, was used. Octyldodecanol, ethylhexylmethoxycinnamate, C12-13 alkyl benzoate and propylene glycol dibenzoate, known as polar oils, were used. Oil, purified water and titanium dioxide were emulsified using a homomixer at a weight ratio of 63: 32: 5. The powder was not well dispersed with mineral oil and isododecane, and oil painting was not performed. As for the silicone oil Dimedimethicone, the powder was not well dispersed and was not emulsified. In the case of octyldodecanol, which is a polar oil, the powder was not well dispersed and emulsifi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thylhexylmethoxycinnamate, C12-13 alkylbenzoate and propylene glycol dibenzoate which are the same polar oils, were emulsified with W / O emulsion, and the emulsion particles could be confirmed by a microscope. The emulsion stabilities were observated at a 25 ° C chamber during 30 days. The emulsion mainly showed changes in creaming or sedimentation.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ize of emulsified particles was increased. This is a phenomenon similar to the emulsification decay shown mainly in the W/O emulsion. Non-polar oils are not emulsified well, and in the case of dimethicone, a silicone oil, the polarity of the silicone backbone is wrapped around by the surrounding alkyl groups, resulting in the same polarity as the non-polar oil . In the case of octyldodecanol, there is a polarity of the alcohol group, but it has a molecular structure which is difficult to be symmetrically polarized, so that the polarity thereof is difficult to be apparent, and the polarity of the polar oil is decreased due to the high density of the alkyl group. It seems to have not happened well. In the case of the polar oil, the compatibility with triethoxycaprylylsilane, which is a surface treatment agent of titanium dioxide, is good, and the wettability of the powder is improved, so that the oil is appeared to be dispersed and the polar oil is easily emulsified. The results also agree. This experiment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pickring emulsion of silane-treated titanium dioxide, and the emulsion stabiliza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s. 화장품에서 실레인 코팅된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는 착색용도 및 자외선차단용도로 많이 사용된다. 이중에서 100 nm 이하의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는 자외선차단용도로써 자외선차단화장품에 널리 이용된다. 선행연구에서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의 사이즈, 형태, 코팅기제 및 오일성분에 따른 피커링 에멀젼 형성을 확인하였으며, 또 다른 선행연구에서는 실레인 코팅된 나노사이즈 산화철로 피커링 에멀젼 형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실레인 코팅 중 화장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 코팅이 된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와 함께 화장품에서 사용하는 여러 가지 오일을 선정하여 피커링에멀젼의 형성 및 그 안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오일은 화장품에서 사용하는 오일로 무극성으로 알려진 미네랄오일, 아이소도데케인을 사용하였고, 실리콘 오일로는 대표적으로 다이메티콘을 사용하였다. 극성오일로는 옥틸도데칸올,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C12-13알킬벤조에이트와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벤조에이트를 사용하였다. 오일, 정제수,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의 비율은 63 : 32 : 5 중량비로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유화하였다. 미네랄오일, 아이소도데케인에서는 분체가 잘 분산되지 않았으며 유화가 되지 않았다. 실리콘오일인 다이메티콘에서도 분체가 잘 분산되지 않고 유화가 되지 않았다. 극성오일인 옥틸도데칸올에서도 역시 분체가 잘 분산되지 않고 유화되지 않은 반면, 동일한 극성오일인 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C12-13알킬벤조에이트와 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벤조에이트에서는 분체가 잘 분산되고 W/O 에멀젼으로 유화가 되었으며 그 유화입자를 현미경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유화가 된 오일들을 25 ℃ 챔버에 넣고 보관하여 에멀젼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하였으며, 유화입자들은 주로 크리밍 또는 침강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유화입자 크기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W/O 에멀젼에서 주로 보여주는 유화 붕괴와 유사한 현상이다. 무극성 오일들은 유화가 잘 일어나지 않았고, 실리콘오일인 다이메티콘의 경우에는 실리콘(silicone) 백본(Backbone)이 가진 극성을 주변의 알킬기가 감싸 그 극성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무극성오일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옥틸도데칸올의 경우에는 알코올기의 극성이 있지만, 대칭으로 분극(Polarization)이 일어나기에는 힘든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어 그 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기는 힘들고, 알킬기의 밀도가 높아 극성오일의 성질이 줄어들어 유화가 잘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극성오일의 경우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의 표면처리 기제인 트라이에톡시카프릴릴실레인과의 상용성이 좋아 분체의 젖음성이 좋아져 분산이 잘 일어났기 때문에 유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이며 극성오일이 유화가 잘 일어난다는 선행 연구와도 결과가 일치한다. 본 실험을 통하여 실레인 처리가 된 타이타늄다이옥사이드의 피커링 에멀젼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실험을 통하여 에멀젼 안정화를 도모 할 수 있을 것이다.

      • 신석기시대 안면도 고남리 지역의 패류채집 양상에 관한 연구 : 고남리 B-3 패총을 중심으로

        박수완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shellfish gathering and dietary patterns of the Neolithic Gonam-ri area in Anmyeon Island, Korea, analyzing the Neolithic shell layers of Gonam-ri shell midden B-3. The Gonam-ri shell middens - investigated nine times in total - are composed of Neolithic and Bronze Age shell middens,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for us to compare the living conditions and cultural phase of two periods. Particularly, shell midden B-3 excavated and examined in 4 ~ 8 sessions had shell layers in both the late Neolithic Age and the Bronze Age, which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 Neolithic Period to the Bronze Age. However, we couldn't get precise information because no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the shell layers of shell midden B-3.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Neolithic shell layers as part of research on the shell layers of Gonam-ri shell midden B-3. Analysis on the Neolithic shell layers of shell midden B-3 was carried out on 21 samples collected from main shell layers - layers V and Ⅵ. In the first place, the study analyzed the composition of shell layer components by sizes and estimated the deposition velocity of the layers.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gravimetric method, using laboratory sieves of 2.8mm, 1.0mm and 0.5mm. The study then analyzed the proportion of each edible shellfish out of components larger than 2.8mm and examined the species of the main gathering target and Neolithic people's shellfish gathering activities. Lastly, it analyzed the maximum height of the right valves of oysters which were the most abundant species of edible shellfish forming the shell layers, and estimated the aspect of oyster gather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mponents of Neolithic shell midden B-3 varied depending on shell layers and locations. Layer Ⅴ consisted of components bigger than 2.8mm at 32.0~74.3%(average 48.9%), 2.8~1.0mm components at 3.3~15.4%(average 11.0%), 1.0~0.5mm components at 3.2~7.8%(average 5.3%), components smaller than 0.5mm 15.6~52.6%(average 34.5%). Shell content of components bigger than 2.8mm in particular took up 17.0~66.3%(average 39.7%). In case of layer Ⅵ, it consisted of components bigger than 2.8mm at 56.0~84.2%(average 69.0%), 2.8~1.0mm components at 2.8~10.1%(average 6.8%), 1.0~0.5mm components at 1.4~4.2%(average 2.9%), components smaller than 0.5mm at 11.6~29.9%(average 21.0%). Shell content of components bigger than 2.8mm was 42.1~81.4%(average 58.1%). This tells us that while layer V had remarkably less shell contents than layer Ⅵ, it had higher gravels and soil deposits. Thus, we can infer that layer Ⅵ was deposited rapidly as a result of more intensive gathering compared with layer V. Shell contents as such shows similar aspect with Neolithic shell middens at nearby Seosan Daejuk-ri, Dangjin Gagok-ri and Boryeong Songhang-ri, assumed to be formed in the similar period. These shell midden sites are assumed to be used temporarily only during the gathering season of the specific shellfish like oysters which were the most abundant. The reason for relatively high soil component found in Gonam-ri shell midden B-3, despite its nature of being occupied throughout the year, was probably because the shells were deposited mainly during oyster gathering season of autumn to spring, given the principal shellfish forming the shell layer was oysters. There were a total of 19 species of edible shellfish identified in the shell layers. In case of Bivalves, 10 species were identified: oyster (Crassotrea gigas),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venus clam (Cyclina sinensis), cockle (Tegillarca granosa), jackknife clam (Solen (Solen) strictus), etc. Gastropod included 9 species: purple whelk (Rapana venosa venosa), Bronn's dogwhelk (Thais (Reishia) bronni), turban shell (urbo (Lunella) coronata coreensis), and others. Looking at the average composition of edible shellfish, layer V consisted of oyster at 74.1%, short-necked clam at 18.6%, venus clam at 3.6%, Bronn's dogwhelk at 1.3%, etc. While, layer Ⅵ consisted of oyster at 54.2%, short-necked clam at 39.2%, venus clam at 3.9%, etc. Like this, Neolithic shell layers of shell midden B-3 mainly consisted of oysters and short-necked clams, with high composition of oysters in particular. The pattern of high oyster composition and simple species formation is normally characteristic of shell middens in the west coast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Shellfish recovered from the Gonam-ri shell midden generally consisted of species living in the intertidal zone and on muds, sand beds or rocks in the back bay area. These shellfish can be currently collected at the Anmyeon-do coast easily, showing that environment in the Neolithic Period was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e current one. Shellfish gathering was likely to be done at low tides when rocks and mud flats were exposed. Oysters, main shellfish which compose the shell midden, were assumedly gathered in between autumn and spring in light of its ecology. Looking at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right valves of oysters available to measure, 3.0~3.5cm shells in maximum height had the largest number along with the aspect of reverse proportion between shell size and excavation frequency. It is worth to noting that this size distribution of oysters was smaller than that of Gonam-ri shell midden A-2 formed a bit earlier than shell midden B-3 or that of the Bronze Age Gonam-ri shell middens. This might imply that intensive oyster gathering during the Neolithic Period had an impact on oyster resources causing the size reduction. Entering the Bronze Age, dietary conditions might have improved because of stable food supply from farming, and as a result people might have gathered oysters in lesser quantity, which in turn might have recovered the conditions of oyster resources. 본 논문에서는 안면도 고남리 B-3 패총의 신석기시대 패각층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당시 이 지역에서의 패류 채집 양상과 식생활을 살펴보았다. 모두 9차에 걸쳐 조사된 고남리 패총은 신석기시대 패총과 청동기시대 패총으로 구성되어 두 시대의 생활상과 문화상을 비교 검토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특히 4~8차에 걸쳐 발굴 조사된 B-3 패총은 신석기시대 후기와 청동기시대 패각층이 중복되어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의 이행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B-3 패총의 패각층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남리 B-3 패총의 패각층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먼저 신석기시대 패각층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게 되었다. 고남리 B-3 패총의 신석기시대 패각층 분석은 주 패각층인 Ⅴ층과 Ⅵ층에서 채집된 시료 21개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패각층 구성 성분의 크기 등급별 조성 분석을 통해 패각층의 퇴적속도를 추정하였다. 분석에는 눈금크기 2.8mm, 1.0mm, 0.5mm의 실험실용 체를 사용하였으며 중량법을 기준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크기 2.8mm 이상의 성분 가운데 각 식용패류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당시 주요 채집 대상 패류 및 채집 활동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패각층을 구성하는 식용 패류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굴 우각의 크기 분석을 통해 당시의 굴 채집 강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남리 B-3 패총의 신석기시대 패각층 조성은 층위와 지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Ⅴ층의 경우, 2.8mm 이상 성분 32.0~74.3%(평균 48.9%), 2.8~1.0mm 성분 3.3~15.4%(평균 11.0%), 1.0~0.5mm 성분 3.2~7.8%(평균 5.3%), 0.5mm 미만 성분 15.6~52.6%(평균 34.5%)로 구성된다. 특히 크기 2.8mm 이상의 패각 함량은 17.0~66.3%(평균 39.7%)를 차지한다. Ⅵ층의 경우 2.8mm 이상 성분 56.0~84.2%(평균 69.0%), 2.8~1.0mm 성분 2.8~10.1%(평균 6.8%), 1.0~0.5mm 성분 1.4~4.2%(평균 2.9%), 0.5mm 미만 성분 11.6~29.9%(평균 21.0%)로 구성된다. 크기 2.8mm 이상의 패각 함량은 42.1~81.4%(평균 58.1%)이다. 이로써 V층은 Ⅵ층 보다 패각의 함량이 현저히 낮은데 반해 자갈과 토양퇴적물의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Ⅵ층은 V층에 비해 패류 채집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결과 패각이 빠르게 퇴적된 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패각 함량은 고남리 패총과 형성 시기가 비슷한 인근의 서산 대죽리, 당진 가곡리, 보령 송학리 패총 등과 같은 신석기시대 패총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패총은 모두 패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굴 등 특정 패류의 채집 시기에만 일시적으로 이용된 유적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남리 B-3 패총이 연중 정주성 성격의 유적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토양 함량이 높은 것은 패각층을 구성하는 주요 패류가 굴인 점으로 미루어 가을~봄의 굴 채집시기에 패각이 주로 퇴적되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패각층에서 확인된 식용 패류는 총 19종이다. 부족류의 경우 굴, 바지락, 가무락조개, 꼬막, 맛조개 등 10종이 확인된다. 복족류는 피뿔고둥, 두드럭고둥, 눈알고둥 등 9종이 확인된다. 패각층별 식용패류의 평균 조성을 살펴보면, V층은 굴 74.1%, 바지락 18.6%, 가무락조개 3.6%, 피뿔고둥 1.3% 등으로 구성된다. Ⅵ층은 굴 54.2%, 바지락 39.2%, 가무락조개 3.9%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B-3 패총의 신석기시대 패각층은 주로 굴과 바지락으로 구성되었고 특히 굴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은 굴 비중과 특정패류 중심의 단조로운 종 구성은 신석기시대 서해안지역 패총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본 고남리 패총 출토 패류는 전반적으로 조간대와 내만의 진흙 또는 모래 바닥, 암초지대에 서식하는 종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패류는 현재 안면도 해안에서 쉽게 채집할 수 있는 종들로 신석기시대의 환경이 현재와 큰 차이가 없었음을 말해준다. 패류 채집은 암초와 갯벌이 노출되는 간조시에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이며, 주요 패류인 굴은 생태로 미루어 가을에서 봄 사이에 채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 시료 중 계측 가능한 굴 우각의 크기 분포를 살펴보면 각고 3.0~3.5cm 크기의 패각이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패각 크기와 출토 빈도가 반비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굴의 크기 분포는 B-3 패총에 다소 앞서는 시기에 형성된 고남리 A-2 패총 및 늦은 시기의 청동기시대 패총의 패각에 비해 작은 양상을 보여 주목된다. 이로 미루어 신석기시대 동안의 집중적인 굴 채집은 크기 감소를 일으킬 정도로 굴 자원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청동기시대에 들어서면서 농경으로 안정적인 식료 자원 조달과 식량수급에 여유가 생기면서 굴 채집 강도가 완화되고 그 결과 굴 자원의 여건이 회복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SiC 인버터를 이용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구동시스템에 대한 연구

        박수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Silicon carbide (SiC) power devices are in recent increasing attentions as alternates of silicon (Si) devices for motor drives operating under high temperature environments because of their wide-bandgap nature. This thesis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M synchonous motor drive system using an inverter with a SiC MOSFET. The experimental motor drive system using SiC MOSFET is first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fficiency of the motor drive system is measured fo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of the SiC MOSFET such as gate-source voltages, gate resistance, dead-time and switching frequenc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se conditions to the drive efficiency.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a high efficiency design of SiC based power converters.

      • 자동 생산 라인 설비종합효율 제고를 위한 장애 상황 실시간 전파 인터페이스 구현에 관한 연구

        박수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스마트팩토리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된 자동화 조립생산라인의 설비 유지보수시 발생되는 문제점들 중 대응지연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문제에 대한 각각의 해결방안을 수립해 생산성 향상을 기하고자 한다. 설비 오류 발생시 대응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정보의 신속성과 정확성이며, 장애 상황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면 이를 기반으로 빠른 판단을 할 수 있지만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구두 보고 내용을 기반으로 엔지니어의 경험을 토대로 판단하게 됨에 따라 그로 인한 장애 대응시간이 길어지면서 설비 가동 효율성은 떨어지고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다.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유형별 테스트(시스템-설비간 OPC-UA 및 Modbus 적용 비교, 시스템-사용자 간 FCM 및 Rabbit MQ 적용 비교)를 통해 적정한 값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위 시스템을 통한 정보전달체계를 구성하였고, 엔지니어는 정확한 상황 판단 및 조치를 행함으로써 생산 관리자는 어느 정도의 생산 지연이 발생했는지 정량적인 파악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자동화 설비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요소에 대한 관리 체계를 수립하게 되었으며, 예방 활동을 통해 설비에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근간을 마련함으로써 제조 현장에서의 생산력 증대까지 가능한 체계적인 관리체계로 이어지게 되어 보다 높은 수준의 스마트팩토리로 발전하는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임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