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속가능한 학습공동체와 학습동아리 발전방안 : - 광진구 학습동아리 사례를 중심으로 -

        박수영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udy circles, which are small-scale learning communities form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affecting change and growth centered on the region. Therefore, through interviews with those who are performing study circle activities well in the region, this paper is aimed at finding out what efforts are needed to continue study circle activities and how to best create a learning community that grows and continues together. The theoretical quest examined previous research papers on study circles for each theme and analyzed what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the concept of study circles and its growth process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and composition principle of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and lifelong education w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factors that hinder participation, and theories and factors that determin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were examin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o see if any of these factors actually influence the sustainability of study circles. And then, The area to be studied was limited to Gwangjin-gu, where the researcher reside.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have close interviews with study circles and collect data. Interview participants played key roles in the study circles, such as leaders and general affairs, and they were selected to have a sense of regional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the Study Circle activities. The research method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analyze the case of study circles empiricall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considered to be suitable for understanding the activity process, the change process,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of study circles. Since the research problems at which the researcher aims is to deal with the problems and conflicts inherent in study circles, it is considered to be somewhat sensitive, thereby the names of study circles and the real names of the participants were not recorded. Th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nts in advance, so that the burden of actual interviews can be reduced and participants can prepare for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motivation and purpose of starting study circles was voluntary organizations of people who wanted to study the same learning topics, and the learning topics were diverse depending on each study circle. Learning methods of a study circle took the method of conducting by a leader or by members in turn, and there are study circles in which learning activities are conducted in parallel with experience and field learning. The method to secure funds for study circle activities is mainly paying dues on a regular basis, and there are many study circles in which the members pay the activity fee. Study circles supported externally were supported through public contest projects related to study circles conducted by government offices, but the amount is limited. Study circles that lack space for activities were the most, and there are study circles that ask for support for activities or programs. Many study circles said that lack of external support, internal conflicts and inherent problems are difficult aspects. The conflict situations that occur most frequently in study circles showed the process of being resolved by the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leader and the members, and the sacrifice and leadership of the leader.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s of study circle activities are shown to be helpful to the enhancement of life satisfaction, a sense of achievement, responsibility, self-esteem, vitality of life, development of friendship and human relations, acquisition of certificates, self-development, education for children, understanding and care for others, human networking, as well as information exchange. As factors that are necessary for continuing study circles, the securing of study circle activity space, faith and friendship among members, satisfaction, communication, rules for keeping a frame of the study circle, care and compliance with rules, and role sharing were significant factors What the participants want from the local authorities for study circle activities has common elements such as study circle activity expenses, programs, activity spaces, and instructor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tudy circles that request teaching aids, book purchase expenses, study circle operation guide, and consulting support. However, it turned out that all the study circles want some kind of systematic and sustainable support though a national system.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supporting the activation of small scale study circles for the sustainable learning community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home and society, and lifelong education. Nevertheless, study circle activities are made voluntarily, but faced with various difficulties, thereby study circles are unable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and are experiencing the phenomenon of losing members or being disorganized. Therefore, support for study circles can be a key element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y circles and to expand continuously to a large scale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continuous study circle activities are essential for creating a right and healthy society. Considering these effects of study circles, it is now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d realistically support the operation and activities of study circle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결성되어 지역 중심의 변화와 성장에 영향을 주는 소규모 학습공동체인 학습동아리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따라서 지역에서 학습동아리 활동을 훌륭히 수행하고 있는 분들과의 면접을 통해, 학습동아리 활동을 지속하는데 필요한 노력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함께 성장하고 지속하는 학습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론적 탐구는 여러 주제별로 학습동아리에 관한 선행연구 논문을 살펴보고, 어떤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동아리의 개념과 성장과정을 알아보고, 학습공동체의 개념과 구성원리 및 지역공동체와 평생교육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특징과 참여 동기,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 및 참여지속을 결정하는 이론과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학습동아리를 지속하는데 영향이 있는지 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편 실제 현장에서 활동 중인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을 밀착 면접하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연구자가 거주하는 광진구로 지역을 한정하였다. 면접 참여자들은 동아리에서 리더나 총무 등 핵심 역할을 하며, 지역의 발전과 학습동아리 활동의 발전에 대한 의식을 갖고 있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학습동아리의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학습동아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활동 과정과 변화과정 및 학습동아리 구성원들의 의식을 이해하는데 질적 연구방법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자가 목표로 하는 연구문제가 학습동아리에 내재된 문제점과 갈등을 다루는 것이므로 다소 민감한 사항이라 판단되어 동아리명과 참여자의 실명은 기록하지 않았다.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미리 배포하여 실제 면접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면접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광진구 소재 학습동아리에서 핵심역할을 맡고 있는 총 8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아리를 시작하게 된 동기나 목적은 학습 주제에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여 자발적으로 결성하였으며, 학습 주제는 동아리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학습동아리 학습방법은 리더가 진행하거나 구성원들이 순번대로 돌아가면서 진행하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체험과 현장학습을 병행하는 동아리들도 있다. 동아리 활동 자금을 확보하는 방법은 주로 회비를 정기적으로 납부하고 있으며, 구성원이 활동비를 부담하는 동아리가 많다. 외부에서 활동비를 지원받는 동아리는 관청에서 진행하는 동아리 관련 공모사업을 통해 지원받고 있었으나, 비용이 제한적이다. 활동을 위한 공간부족을 호소하는 동아리가 가장 많았으며, 활동비 부족이나 프로그램 지원을 요청하는 동아리도 있다. 동아리 활동을 하면서 어려운 점은 외부 지원 부족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발생하는 갈등과 내재된 문제점을 호소하는 동아리도 많게 나타났다. 동아리에서 주로 발생되는 갈등 상황은 리더와 구성원의 배려와 이해, 리더의 희생과 리더십으로 해결되는 과정을 보였다. 반면 동아리 활동의 긍정적인 효과는 삶의 만족도 향상과 성취감, 책임감, 자긍심, 삶의 활력소, 친목도모와 인간관계의 발전, 자격증 취득, 자기계발, 자녀교육,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인적 네트워킹, 정보 교환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를 지속하는데 필요한 요인으로 공간 확보, 회원들 간의 믿음과 친목도모, 만족감, 커뮤니케이션, 동아리의 틀을 잡아주는 회칙, 배려와 규칙준수, 역할 분담 수행도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습동아리 활동을 위해 지역 관청에 바라는 점은 동아리 활동비, 프로그램, 활동 공간, 강사지원 등이 공통적인 요소이다. 학습교구나 책 구입, 동아리 운영가이드 및 컨설팅 지원 등을 요구하는 동아리도 있다. 하지만 모든 학습동아리가 국가에서 시스템을 갖춰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지원해주기를 원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지속가능한 학습공동체를 위해, 소규모인 학습동아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곧, 개인의 발전 및 가정과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평생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바가 크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습동아리 활동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면서 활동을 지속하지 못하고 회원이 탈퇴하거나 와해되는 현상을 겪고 있다. 따라서 학습동아리 지원은 학습동아리의 성장과 발전을 도와주는 동시에 큰 규모의 학습공동체로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기 위한 핵심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학습동아리 활동은 건전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학습동아리의 효과를 고려할 때 지금은 학습동아리 운영과 활동에 대한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 연구

        박수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case study on adjustment to living culture of married female migrants Park, Su young Major in Multicultur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found out the traits of married female migrants in experiencing Korean living culture and analyzed the meaning of adjustment process by apply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looked into their cultural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Korean living culture, their difficulties in life style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is, study suggested measures for adjustment. This study was aimed at 8 married female migrants who can perform basic communication and analyzed cases of their adjustment to living cultur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lothing culture of married female migrants, their clothing habit and quantity of clothing developed by residential area and climate of motherland affected adjustment to daily life in Korea. Second, in dietary life culture, kinds of developed food varied according to each nation’s regional characteristic. With this, difference in trait of food and dietary life formed by various recipes and ways of storing food was also a factor that impacts on adaptation to living life. Third, in residential culture, meaning of house where they mainly live was different depending on psychological, mental factors. And change i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 that comes from difference in structure of living space influenced on adaptation. Fourth, in marriage culture of married female migrants, they had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 at process of adapting to new family culture and to all situations they experience. Especially motivation for marriage impacted the most. Fifth, their leisure culture showed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marriage. That is, meaning of leisure time turned rest into work, assigning new role by marriage. And that was turned out to be a factor affecting satisfaction to Korean life. Sixth, for married female migrants, holiday culture in Korean family was different from their motherlands. Especially in conducting role as a daughter in law, wife, and mother, difference in value was also a factor that influenced on adjustment to new family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 is the following. In this study, according to nationality, residenti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of marriage, married female migrants exhibited distinction in process of getting used to living culture by bot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lso, this study proposed necessity of identifying experimental traits per nationality in adaptation. Every part of living culture like clothing, eating, residential life, marriage life, leisure life, and holiday life of family have compositive impact on adaptive process. So this study remarked requirement of developing customized programs for each domain Through this, new social integrative direction for long-term settlement can be found by supporting their process of adjustment to living life. key word : living life, cultural adjustment, married female migrants 국문초록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박수영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생활문화 경험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고 적응과정에서의 의미를 근거이론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생활문화 적응과정에서 문화차이와 서로 다른 생활방식에서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생활 적응과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 결혼이주여성 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 적응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의생활 문화는 모국에서의 거주지역과 기후 차이로 인한 착의습관, 착의량은 한국에서의 일상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식생활 문화는 모국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 발달한 음식종류가 달랐다. 음식조리법, 음식보관법에 따라 음식특성과 식습관에서 오는 식생활 차이는 한국에서의 일상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주생활 문화는 한국에서 주로 생활하는 공간인 집이 주는 의미로 심리·정서적인 요인에 따라 달랐다. 거주 공간 구조의 차이에 따라 외부 환경적인 요인의 변화는 한국에서의 일상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결혼이주여성들의 결혼생활 문화는 새로운 가족문화에 적응해 가는 과정에서 관계를 맺고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모든 영역에서 어려움을 경험한다. 특히 결혼하게 된 동기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결혼이주여성들의 여가생활 문화는 결혼하기 전·후 여가생활이 갖는 의미에 차이가 있었다. 즉, 여가생활은 결혼을 통해 새로운 역할들이 부여됨에 따라 휴식에서 일로서의 의미로 변화하였다. 이는 한국 생활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결혼이주여성들의 명절생활 문화는 모국과 한국에서의 명절 모습에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한국에서의 며느리, 아내, 엄마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가치관 차이는 새로운 가족문화 적응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이 국적, 거주지역 특성, 결혼하게 된 동기 등에 따라 내적, 외적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생활문화 적응과정에 차이가 나타났다. 국적별 적응과정에서의 경험적 특성 파악에 대한 필요성, 의·식·주생활, 결혼생활, 여가생활, 명절생활의 모든 생활문화영역에서 한국 생활문화 적응과정에 복합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영역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이주여성들의 한국 생활문화 적응과정을 지원하여 장기적 정착을 위한 새로운 사회통합 방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 생활문화, 문화적응, 결혼이주여성

      • 釜山市 警察公務員의 職務滿足度

        박수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公務員의 士氣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先行變數들의 特徵을 살펴보면, 첫째, 전체 先行變數 17개 중에서 평균값이 보통(3.0) 이상으로 나타난 것은 7개 變數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全體的으로 부산시 警察公務員의 士氣는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先行變數 중에서 社會心理的 要因이 6개를 차지하였고, 한 개는 職務要因 중 職務의 重要性이었다. 따라서 현재 부산시 警察公務員의 士氣를 지탱해 주는 要因은 社會心理的 要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社會心理的 要因 중에서도 人間關係的인 要因 즉 上官과의 關係, 同僚와의 關係가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자신이 勤務하는 組織에 대한 愛情, 所屬感, 그리고 직업보장에 대한 믿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報酬滿足이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냈었고, 다음으로 人事制度나 政策에 대한 불만이 높았으며, 職務要因과 勤務環境 또한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警察公務員들은 스스로의 노력 속에서 社會心理的인 滿足을 통해 職務를 遂行하고 있으며, 이들 警察公務員들을 위한 정부의 노력은 매우 보잘 것 없는 수준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人口統計的 變數에 따른 先行變數의 차이에서는 階級, 勤務處, 學歷이 중요한 要因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들 變數에 따른 先行變數의 차이가 확실하게 드러났다. 階級的 特徵에 있어서는 특히 경사급에 있어서의 사기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勤務處에 있어서는 보수만족, 소속감, 안전성 등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있어서는 파출소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근무환경과 승진기회에 있어서는 경찰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계급적 특징에 대한 이해와 근무처별 차이점 즉 경찰청과 경찰서 그리고 파출소 간의 차이를 인식하여 경찰서 및 파출소에서 근무하는 경찰공무원의 사기 앙양에 특히 많은 관심을 기울여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學歷이 警察公務員의 士氣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警察公務員의 채용시 학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과 아울러 현재의 警察公務員들이 대학이나 대학원 과정에의 진학을 장려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警察公務員의 識務滿足度와 관련된 분석결과를 보면 경찰청과 다른 기관 즉 경찰서와 파출소 간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경위 이상과 그 이하의 계급에서도 상당한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의경을 제외할 때 경찰에서의 초임에 해당되는 순경의 직무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은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경찰에 처음 투신하는 순경들은 나름대로 자신의 직업속에서 보람을 느끼려는 의지가 강함을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職級이 점차 올라갈수록 職務滿足度는 떨어지며, 특히 경사급에서의 職務滿足度가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매우 중요한 현상으로 정부는 이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둘째, 職務滿足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要因으로는 業務協調, 報酬滿足, 上官과의 關係, 勤務環境, 參與, 組織沒入, 所屬感으로 나타났다. 이들 각 變數들이 갖는 特徵을 살펴보면, 業務協調의 경우 전체평균은 보통 보다 약간 높은(3.26) 값을 나타내었으나, 경찰청과 그밖의 다른 경찰기관과의 차이는 職務滿足과 마찬가지로 나타났고, 이 또한 직급이 높아짐에 따라 함께 높아졌으나, 경사급에서는 다른 職級에 비해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報酬滿足度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나(2.31), 이 역시 경찰청과 기타 기관과의 차이는 같았고, 職級이 올라감에 따라 조금씩 높아졌지만, 경사급과 경위 이상급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上官과의 關係는 전체적으로는 보통수준(3.0)이었으며, 職級에 따라 올라갔지만, 역시 경사급에서의 상관과의 관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勤務環境에 대한 評價는 전체적으로 보통 이하의 수준(2.84)으로 낮았다. 勤務環境은 경찰청과 다른 경찰기관과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職級에 따라 올라갔지만, 역시 경사급에서의 근무환경에 대한 평가가 가장 나쁘게 나타났다. 參與는 전체적으로 2.49라는 매우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職級별로 볼 때에도 경정, 총경급을 제외하고는 모두 보통이하를 나타내고 있으며 경위, 경감급에서도 2.87에 불과하였다. 參與에서도 경사급의 수치가 순경이나 경장급보다 더 낮게 나타나고 있다. 組織沒入의 경우는 전체적으로는 보통 이상(3.37)의 응답을 보이고 있으나, 이 또한 경사급에서의 응답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所屬感에 대한 응답에서도 경찰청과 다른 경찰기관과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역시 경사급에서의 소속감이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상에서 밝혀진 내용들을 중심으로 부산시 警察公務員의 士氣를 높이기 위한 몇가지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報酬에 대한 불만이 매우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바, 警察公務員에 報酬를 현실화시키려는 노력이 따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사기업의 보수수준과 다른 국영기업체와의 보수수준 등을 고려한 합리적인 보수수준에 대한 연구와 이를 제도적으로 실천하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報酬에 있어서도 警察業務의 特性에 따른 보수제도를 합리화시키려는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각종 수당의 현실화, 외근 업무를 담당하는 경찰에 대한 실비의 수당지급, 위험한 업무수행에 대한 위험수당, 시간외 업무에 대해 지급하는 수당의 현실화 등의 노력이 따라야 한다. 그리고 警察官들의 불만 내용을 항상 경청하고 그러한 내용을 정책을 반영시킬려는 노력이 함께해야 하며, 이를 制度化시키는 노력도 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경찰청과 경찰서 및 파출소간의 격차를 좁히려는 노력이 따라야 한다. 경찰청의 기능이 幕僚的인 기능이 많고, 경찰서, 파출소로 내려오면서 집행기능과 대민봉사기능이 많아짐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기관에서 근무하는 警察官들의 사기는 직접 국민들에 대한 봉사행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執行機能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경찰서에서의 業務協調와 勤務環境이 가장 나쁘게 나오고 또 所屬感이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 경찰서에 대한 우선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또 業務遂行節次를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제도화시키려는 노력이 따라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경사급의 사기가 매우 침체되어 있다는 점이다. 경사급은 경찰의 중견 요원으로 警察業務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들은 대체로 警察에 종사한지 10년이 넘는 사람들로 業務遂行의 노하우를 축적하고 있는 실무자들이다. 따라서 이들의 사기는 곧 바로 警察行政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警察行政의 관리자들은 이들의 불만과 요구사항 등을 살펴서 이들의 사기를 진작시키려는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넷째, 人事制度에 대한 불만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불만은 제도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제도의 운영에 있어서의 客觀性과 透明性을 보장함으로서 상당 부분이 해소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따라서 昇進을 비롯한 모든 入事管理에 있어서 客觀性을 높이고 절차의 합리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려는 노력이 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some problems which the police officers are confront with during preforming their work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to the hob satisfaction. Before analyzing the hob satisfaction, this study reviews some theorie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builds the research framework, then analyzes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its affecting variables, and suggests some managerial policies to promote police officer's morale. In the research framework, this study summarizes the antecedents which will affect hob satisfaction, then analy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ntecedents and the job satisfaction. The measurement of the variables is dome by the Likert-typ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reviews 17 antecedents which can imply the morale of police offficers, but there are only 7 variables of which the mean value is above 3.0 in 5 point scale. This implies that the morale of the police officers in Pusan City is not high. Six variables of which the mean value is above 3.0in 5 point scale among the 7 variables are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that ar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3.0), relationship with peers(3.53), cooperation with peers(3.26), organizational committment(3.37), the sense of belongingness(3.21), and job security(3.13) and the other one variable is job importance(3.53). So we can say that the police officers in the Pusan City are working with social-psychological morale. Second, the variable which has the lowest mean value is pay satisfaction(2.31). And satisfaction with personnel policy(2.64), job autonomy(2.25), feedback(2.94), role conflict(2.91) and working environment(2.84) also have low mean values. Third, the demographic variables which affect significantly to the morale of police officers are rank, working station(which means the head quarter, the police stations, and the branches), and an academic background. Fourth,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head quarter(3.34), the police station(2.85) and the branch of police station(2.98). And also there ar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among ranks. Fifth, this study identifies the affecting variables to the job satisfaction by the regression, and the list of affecting variables to the job satisfaction are cooperation with peers(beta= .1542), pay satisfaction(.1732), relationship with supervisors(.1713), working environment(.1847), participation(.1840), organizational committment(.1283), and the sense of belongingness(.1352).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police officers in Pusan City have very strong pay dissatisfaction, so there must be effort to realize the high pay conditions. Second, The morale is very differ among the head quarter, police stations, and the branches of police station. This study shows that cooperation with peers,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ense of belongingness of the police station are worst among the three working stations. So there must be more budgetary support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working environment of the police station and also the executives of head quarter and the managers of police station must do effort to reform the institutuions of the police stations. Third, the morale of the police sergeant is worst among the ranks of the police officers. The police sergeants are the backbone of police. It takes about 10 years to become the police sergeant from the lower entering position. So there must be much effort to promote the morale of the police sergeant level. Fourth, This study shows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to the personnel policies, so there must be effort to establish merit system and to make civil service system more scientific rational.

      • 하이브리드 전기저장장치용 에너지관리시스템의 운용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박수영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arge scaled lead-acid battery is widely us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photovoltaic system in many islands. However, lithium-ion battery is now being introduced to mitigate the fluctuation of wind power and to replace lead-acid battery. Therefore, hybrid ESS(Energy Storage system) that combines lithium-ion battery with lead-acid battery is being required because lithium-ion battery is costly in present stage.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paper presents the optimal algorithm to create composition rate of hybrid ESS by considering fixed and variable costs in order to maximize advantage of each battery. With minimization of total cost including fixed and variable costs, the optimal composition rate can be calculated based on the various scenarios such as load variation, life cycle and cost trend. From simulation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are an effective tool to produce a optimal composition rate.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람이 거주하는 약 510여 곳의 도서지역 중, 230여 곳은 한국전력공사의 전력계통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고 있으며, 280여 곳은 독립계통으로 운용되고 있다. 자체적으로 전력을 수급하는 도서지역에서는 디젤발전기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있으나, 유류를 사용하므로 연료 수송, 유지보수 그리고 환경오염 등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무공해 자연에너지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및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 지를 도입하여, 디젤발전기의 비중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인 운용과 유지관리를 위하여,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를 이용하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도서지역에서는 태양 광발전의 출력제어용으로 도입비용이 저렴한 대용량 연축전지(Lead-acid battery)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유지보수, 수명 등에 많은 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풍력발전의 도입 및 축전지 교체로 인하여 성능이 탁월한 리튬이 온전지(Li-ion battery)의 도입이 필요하지만 비용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연축전지와 조합된 하이브리드 전기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의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축전지와 리튬이온전지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 하기 위하여, 각 전지의 도입비용(Fixed cost)과 운용비용(Variable cost) 에 따른 최적구성비를 산출하는 하이브리드 ESS의 EMS용(Energy Management System, 이하 EMS) 최적운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각전 지의 방전용량 특성과 운용제어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이브리드 ESS의 시험장치를 구현하였다. 상기의 알고리즘과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나리오(각 전지에 대한 수명 및 단가의 변동)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각 전지의 도입비용과 운용비용이 최소화 되는 운용조건에서 최적구성비와 하이브리드 운용에 대한 메리트를 제시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하이브리드 ESS용 EMS의 최적운용 알고리즘에 대한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중학교 2학년 영어교과서의 듣기 활동 분석과 능력별 과업 유형의 선호도 및

        박수영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ⅰ) to classify listening tasks with regard to the frequency in th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ⅱ) to examine how the listening is designed to be taught in the English classes of middle schools, ⅲ) to analyze students' preferences about the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ir English proficiency. Ultimately, this thesis is to help develop and select listening tasks in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make som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skills in schools. To achieve these goals, listening tasks in five sets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were analyzed by the principles of Underwood (1989), 156 students of second grade in a middle school were surveyed to explore their perception on listening instruction in addition to their preferences on the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ir English abilit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shown that the task of ‘Choosing the right materials’ i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task in the textbooks. Then comes ‘Multiple-choice questions’, ‘Role play and simulations’ and ‘Figuring out the mood or attitude of the speaker’ in order. Secon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most students tended to consider listening comprehension as the second important skill next to speaking. Regarding listening instructions, it has appeared that teachers give about 30-45 minutes of listening lectures per each unit of the text using the audio files from the CD-ROM. Third, among the listening tasks, students were found to like ‘Choosing the right materials’ best, and ‘Figuring out the mood or attitude of the speaker’, ‘Multiple-choice questions’ in order. The analysis was shown that most students prefer activities presented with visual materials or tasks to which they can respond simply. Lastly, some differences between listening tasks preferred by the higher group students and those of the lower group students were found, which are assumed to derive from the relatively poor word recognition skills of lower-level learner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will be made: First, on the basis of the results, pre-listen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less parts of the whole listening tasks. As Underwood (1989) specifies the significant role of pre-listening activities, textbook authors might need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pre-listening activities when selecting listening tasks on the textbooks. Second, teachers might allow more time for listening activities in order for learne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listening comprehension. Also, teachers might have to make effort to improve their listening competence at all times. Lastly, differentiating the degree of task difficulty should be more carefully determined when creating and choosing listening activities of textbooks for learners at differing levels. At the same time, it is helpful to arouse students’ interest in listening to develop more ingenious and various listening activities. 본 논문은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15종의 교과서 중 사용 빈도가 높은 5종을 선정하여 Underwood(1898)의 듣기 활동 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고, 중학교 2학년 156명의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 하여 학생들의 영어 듣기의 중요성에 관한 인식뿐만 아니라 학교 듣기 수업의 실태, 그리고 개인의 듣기능력에 따른 듣기 활동 유형의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연구 과제 ⑴에 대하여 교과서 분석의 결과, 듣기 중 활동에 해당하는 ‘들은 내용과 일치하는 그림 고르기’ 항목이 5종의 교과서 모두에서 가장 빈번히 등장하는 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듣기 활동 분석 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중학교 교과서의 듣기 활동에서 그림 등의 시각적인 자료를 사용하는 빈도가 현저히 높았다.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나타낸 유형은 ‘듣기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 해결과 결정을 하는 활동’으로, 주로 교과서의 마지막 부분에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보편적인 듣기 평가 유형인 ‘선다형 질문에 답하기’와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기 위한 활동인 ‘역할 놀이 및 시뮬레이션’, ‘화자간의 분위기, 태도 파악하기’ 유형이 그 뒤를 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강조한 제 7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성취기준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듣기 중과 후 활동에 비해서 듣기 전 활동에 지나치게 적은 수의 과업만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과제 ⑵에 관하여 학생 설문을 통해서 학생들의 듣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중학교 교실에서의 듣기 수업 실태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학생들은 영어의 4가지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 말하기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듣기를 꼽았다. 말하기 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생이 현저히 많은 결과로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지만, 듣기 기능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보아 학생들이 말하기와 듣기의 밀접한 연관성에 대해 그다지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교사는 교과서 매 단원의 1차시에 30분에서 45분 가량을 듣기 지도에 할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듣기 수업의 진행 방식에 관해서는 주로 듣기 내용을 매체로 들은 후, 교사가 충분한 설명을 하거나 듣기 내용을 듣고, 그와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상호작용적인 듣기 수업이 교실에서 활발히 진행 중이라는 것은 영어 듣기 교수학습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고등학교의 듣기 수업 실태에 관한 연구에서 주로 듣기 매체를 통해 들을 뿐 교사의 설명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비교해보면 중학교의 듣기 수업이 고등학교에서의 입시위주의 듣기 수업에 비해 훨씬 상호 활동적임을 알 수 있다. 학습자들의 듣기 유형 선호에 대한 조사 결과 ‘들은 내용과 일치하는 그림 고르기’, ‘화자간의 분위기, 태도 파악하기’, ‘선다형 질문에 답하기’, ‘들은 내용과 쓰여진 내용 일치시키기’, ‘본문에서 듣게 될 표현 미리 살펴보기’, ‘그림의 항목 표시 또는 점검하기’, ‘들은 순서대로 그림 나열하기’ 유형의 순서로 나타났고 주로 그림 등의 시각적 자료가 주어지거나 간단하게 답할 수 있는 유형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과제 ⑶에 관하여 학생들의 듣기능력에 따른 듣기 활동 유형의 선호도를 살펴보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자신의 듣기능력을 다섯 단계(상, 중상, 중, 중하 하)로 나누어 선택하도록 하여, 선호하는 듣기 과업 유형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몇몇 유형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각 그룹별로 비슷한 선호도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눈여겨 볼만한 것은 ‘선다형 질문에 답하기’ 유형이 상위 그룹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활동이었던 반면 중위권에서는 3번째, 하위권에서는 8번째로 밀려난 현상이었다. 이러한 결과의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설문지에 주어진 예시 활동에서 이 유형의 선다형 선택지가 우리말이 아닌 영어로 주어져서 중·하위 그룹의 학생들의 낮은 문자 해독 능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들은 내용을 그대로 받아쓰는 형태인 ‘내용을 듣고 빈칸 채우기’ 활동도 위와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이것은 중·하위 그룹의 학습자들이 듣고 정확히 글로 쓰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껴 꺼리는 활동으로 분석된 것이라 생각된다. 이처럼 학생들의 문자 해독 능력과 언어 사용 능력의 차이에 따라 듣기 과업 유형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서양 미술사조 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박수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활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는 미적 안목과 미적 감수성의 발달이 중요하게 여겨지면서 미술 감상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미술 감상 교육은 주로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작품을 둘러싼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접근이나 교사나 비평가들에 의해 판단되어진 의미를 받아들이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학습의 중심이 되어야 할 학생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감상 활동을 위한 연구는 아직까지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 논문은 감상 교육의 지평 확장을 위해 수용미학의 이론을 토대로 미술 감상 교육에의 접근과 인식의 전환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 문화’ 목표를 근거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서양 미술사조 감상 수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미적 인식능력의 함양과 더불어 학생이 중심이 되는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둔다. 제 2장에서는 수용미학의 개념에 대하여 이해하고 미술 감상 교육에서 수용미학 관점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으며 미술 감상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고등학교 미술문화 교과서 8종의 감상영역에 제시된 감상 방법론과 미술사에 대한 내용영역을 분석하였으며, 학교 현장의 교사지도와 학생의 학습 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미술 감상 교육이 주로 각 미술사조와 관련 작품에 내재한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고, 대체적으로 교사의 지식 전달과정으로 이루어져 학습의 중심이 되어야 할 학생들이 학교에서 행해지고 있는 감상 학습에서 감상자로서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감상에 있어 수용자를 우위에 두는 수용미학의 이론을 토대로 접근하는 서양 미술사조 감상 교육의 필요성이 인식되었다. 제 3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이론적 내용과 설문 조사 분석을 토대로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서양 미술사조 감상 프로그램 지도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에 따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수용미학 이론의 접근방법이 용이하고,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하며, 상대적으로 표현방법에서 주목할 만한 인상주의 미술사조, 입체주의 미술사조, 추상주의 미술사조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고 그에 따른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서양 미술사조 감상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와 사후 설문지 분석을 토대로 하여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수용미학적 관점에서 서양 미술사조 감상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중심의 학습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미술사·미술용어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주체적인 감상자로서 능동적으로 참여를 독려하는 감상 활동은 학생들에게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미술사조 및 작품 감상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에 따라 학생 중심의 감상 수업이 보다 보편 및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보완해 줄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할 수 있다. 첫째, 미술 감상 교육에서 수용자 영역에 대한 탐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둘째, 감상 수업에 선행되는 이론적 지식을 학습 및 확보해야 한다. 셋째, 수용미학적 관점으로서 감상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미술 감상 교육에서 수용미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통해 학생들은 더 이상 수동적 학습자가 아닌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감상자로서 감상 활동에 참여하게 될 것이며, 이에 따라 미술 감상에 보다 흥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술작품을 단지 보고 느끼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삶 속에서 미술을 이해함으로써 비평적 사고력과 미적 감수성을 길러 생활을 풍족하게 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갖게 할 것이다. 따라서 감상 교육의 지평이 보다 넓어지고 활성화될 수 있도록 수용자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와 지속적인 감상 방법론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s improvement of artistic views and sensitivity that lead life more pleasurable gets more important, importance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are more strengthened day by day. However,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until now has been focused on finding meanings and values in art works and in the form of admitting the existed meanings judged by teachers or critics. The study about students for their autonomous and positive art appreciation, which need to be the center of lessons, are still dealt less important. This paper tries to approach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transition of awareness based on the receptive aesthetics theory for expanding the horizon of appreciation education. For that purpose, based on the goals of ‘art culture’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nd in terms of the receptive aesthetics theory, development of art appreci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is tried as a purpose of this study, in the center of which there are the learners, as well as art sense will be built in the learners. In the chapter 2, the concept of receptive aesthetics is understood, its necessity is examined, and the state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analyzed. For those purposes, the appreciation methods and the art history contents described in the 8 kinds of the art and culture textbooks for high schools (revised in 2009) are analyzed, and the teachers' teaching and the students' learning are surveyed and analyzed. It is found out that because the current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mostly about knowing values and meanings contained in the art works and each of the historical art trends, and largely formed as delivering the teachers' knowledge to the students, the students could be interested not so much in the appreciation classes. It is conscious of that art appreciation and art history need to be approached from the view of the receptive aesthetics theory in which the receivers are in the priority. In the chapter 3,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nts and the survey analyses described in the chapter 2, how to teach the western historical art trends appreciation is studied from the view of the receptive aesthetics, and the programs according to that ar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at purpose, the approach of the receptive aesthetics is easy and proper to the learners' level. The programs for impressionism, cubism, and abstractionism that are relatively noticeable in their expression ways are developed and applied, and the real cases of application are analyzed. In the chapter 4, from the view of the receptive aesthetics theory, based on the applying results of the program and the follow-up survey analyses,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he improving opportunities are developed. The educational effects from the western art historical trends appreciation programs are as follow. First, self-directive learning attitude can be raised through the learners-oriented activities. Second, knowledge of art history and art terms can be strengthened. Third, the appreciation activities in which active participations are encouraged to the students as autonomous appreciators can cue them learning motivation and improve the interests in appreciating the art works and the historical art trends. According to thes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the improving methods to supplement the students-oriented appreciation classes to be spread wide and be activated can be proposed as follow. First, in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studies about the dimension of the receivers are necessary. Second, the theoretical knowledge preceding appreciation classes needs to be learned and obtained. Third, based on the view of the receptive aesthetics, teachers need to change their thoughts about appreciation education. As described above, by the approach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from the view of the receptive aesthetics, students will take part into the appreciation activities as active appreciators, not any more as passive learners, which will lead them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art appreciation. And beyond the simply watching and feeling, it will help students release their feelings and thoughts in writing or speaking. Ultimately, it will give cultural acquirements that can make their lives more enjoyable by raising critical thoughts and artistic sensitivity by understanding art in their own lives. Therefore, to enlarge and activate the horizon of appreciation education, there should be supports of activation of the studies about receivers and the continuous studies about appreciation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