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면 안모사진에서 안면 비대칭자의 악교정 수술전후 연조직 변화

        박소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by increasing the interest in aesthetic appearance with improvement in socio-economic conditions, the awareness of some of the asymmetry increases and the people also respond sensitively to a mild asymmetry day by day. The precise diagnosis, treatment and prediction of facial asymmetry is important value in orthodontic treatment. The object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ymmetric proportions in soft tissue and chin deviation in hard tissue before surgery and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the soft tissue change according to correction of deviated chin portion after the orthognathic surgery. We used the frontal facial photographs and postero-anterior cephalograms of 21 facial asymmetry patients(>3.0 mm chin deviation on the radiograph), who had an operation(Lefort I osteotomy in maxilla, BSSRO in mandible or only BSSRO in mandible) as the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in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University of Dankook, in Korea, at the pre-surgical state and post surgical state. And our results are as follows; 1. After orthognathic surgery, we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surgery and postsurgery on soft tissue changes; patients were improved in soft tissue Me deivation (distance,degree), VRL-LSN (D-N difference), VRL-Go (both side, D-N difference), VRL-Ch (both side,D-N difference), ∠Ramal inclination (non-deviated side,D-N difference), ∠Body inclination (deviated side,D-N difference), ∠Go angle (deviated side,D-N difference), ∠Lip canting (D-N difference) (p<0.01), and VRL-LAM (both side), VRL-LSN (deviated side), HRL-Ch (deviated side), ∠Ramal inclination (deviated side) (p<0.05). Also chin deviation and ML1 deviation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0.01), each oth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ship (p<0.01, r=0.829). 2. After orthognathic surgery, we found that the correction amount of the chin deviation on hard tissu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soft tissue Me correction amount (distance,degree), VRL-Ch change (non-deivated side) between presurgical and postsurgical state on frontal view. 3.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s of soft tissue measurements between the chin correction amount and the correction amount of ML1, we found that genioplasty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on soft tissue changes except for VRL-Ch change (non-deviated side) and ∠Go angle change (deviated side). These results may help the precise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facial asymmetric patients. 안면 비대칭 환자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 그 결과 예측은 이를 치료하는 교정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대부분의 비대칭에 대한 분석 및 평가는 경조직 악골의 분석을 통한 비대칭의 진단 및 치료계획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일반인들이 느끼는 것은 악골을 둘러싸고 있으며 골격의 비대칭이 반영되는 연조직이므로 안면 비대칭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정면 연조직 평가 및 그 변화 예측은 경조직의 예측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 비대칭자의 수술 전 이부 편위 정도에 따른 연조직 비대칭 정도를 평가하고, 악교정 수술 전후에 발생하는 정모상에서 이부 편위 수정에 따른 각 연조직 부위 변화 양상과의 상관성과 비례관계를 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상악에 LeFort I 골절단술과 하악에 BSSRO를 받은 환자 그리고 하악에 BSSRO을 받은 환자 중 술전 정모두부 방사선사진상 이부 편위가 3mm이상으로 선별된 21명의 골격성 3급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수술 전 (t1), 디본딩시 (t2)에 촬영된 정면 얼굴사진과 수술 전 (T1), 수술 후 (T2)에 촬영된 정모두부 방사선사진을 사용해 수평 기준선과 수직 기준선에 대한 계측점의 좌우 수직 높이 및 그 차이, 수평거리 및 그 차이, 구조물 사이의 경사도 및 각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면 비대칭자의 악교정 수술에서 술전과 술후 연조직 측정에서 연조직Me 편위량, VRL-LSN (좌우차이), VRL-Go (편위, 비편위측, 좌우차이), VRL-Ch (편위, 비편위측, 좌우차이), ∠Zero point- Me, ∠Ramal inclination (비편위측, 좌우차이), ∠Body inclination (편위측, 좌우차이), ∠Go angle (편위측, 좌우차이), ∠Lip canting (좌우차이)(p<0.01) 그리고 VRL-LAM (편위, 비편위측), VRL-LSN (편위측), HRL-Ch (편위측), ∠Ramal inclination (편위측)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개선되었다. 그리고 경조직에서 이부편위량, 하악 전치 치근 중심점 편위량도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으며 (p<0.01),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 (p<0.01, r=0.829)를 보였다. 2. 경조직 이부편위의 수술적 개선량에 따른 정모상 연조직에 대한 상관관계는 수평적 거리계측에서 VRL-Me (개선량), VRL-Ch (비편위측 개선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p<0.01), 수직적 거리계측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항목이 없었으며, 각도 계측에서∠Zero point-Me (개선량)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1). 3. 술후 연조직 변화에 대한 이부 성형술의 영향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서 하악전치 치근 중심점과 경조직 이부 편위 개선량에 따른 각각의 연조직변화의 상관관계에서 VRL-Ch (비편위측 개선량), <Go (편위측 개선량)을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항목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면 비대칭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움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공동주택의 기획단계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

        박소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Predicting construction cost at the planning phase and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predicted construction cost are a very important factor in gauging whether or not a project is successful.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studies in the past using various factors and methodologies in estimating construction cost. Howeve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model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mainly use quantitative factors only, such as area or number of house, and most of them only present single value as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It is difficult to compute for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for the design plan of projects that are already in progress, making it difficult to confirm the accuracy of the estimate made in the planning phase. The estimate can also be different from the model or an expert’s opinion, so it is difficult to evaluate whether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e is correct. Therefore, a logistic regression module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cost range and construction cost of multi-family housings. The module considers both quantitative and nominal factors and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cost range. The study also developed a planning phase construction cost judgement model for multi-family housings that integrated the above logistic regression modul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decision-making and process in the planning phase were examined, and previous studies were used to analyze the construction cost predictions, influential factors, and decision-making model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also examined. Second, the construction cost data of multi-family housings was collected and analyzed to develop a model. The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tract the factors that can influence construction cost. The factors extracted from the analys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Consequently, a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estimation module was developed. Third, a logistic regression module was develope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imated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This module was integrated with the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estimation module developed above to formulate a construction cost appropriateness judgement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planning phase of multi-family housings. Fourth, the developed model was verified based on 10 actual cases. The verification results showed that 7 out of the 10 case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Thus, 7 of the cases ascertained that the construction cost and cost range estimated using the developed model could be used in the planning phase.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estimate construction cost, present the range of construction cost, and judg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timated cost. The results can be used as an objective basis in the planning phase, therefore can be effectively used by the customer for budget-related decisions. This study only focused on the construction cost of multi-family housings, and there is a need for further studies on different construction type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studies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기획단계에서 공사비를 예측하고, 예측된 공사비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프로젝트의 성패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기존의 많은 연구자들은 다양한 공사비 영향요인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공사비 추정모델은 연면적이나 동수와 같은 수량적인 요인들만을 주로 활용하고, 대부분 추정된 공사비 하나의 값만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설계도면에 의해 견적된 공사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기획단계에서 추정된 공사비의 정확도를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추정된 공사비는 모델 및 전문가의 견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공사비가 적절한지를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량 및 명목적인 영향요인을 모두 고려한 공동주택의 건축공사비 및 공사비범위 추정모듈과, 추정된 공사비와 공사비범위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합한 공동주택의 기획단계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기획단계 의사결정과 업무절차에 대해서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공사비 예측, 영향요인, 의사결정모델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활용한 다중회귀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둘째, 모델 개발을 위하여 공동주택의 실적공사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건축공사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해 도출된 건축공사비 영향요인은 공사비와 공사비의 범위를 추정하기 위한 독립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건축공사비 및 공사비범위 추정모듈을 개발하였다. 셋째, 앞에서 추정된 건축공사비와 공사비 범위의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 모듈은 앞에서 개발된 건축공사비 및 공사비범위 추정모듈과 통합하여, 공동주택의 기획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건축공사비 적절성 판단모델로 개발하였다. 넷째, 10개의 실제 사례를 기반으로 개발된 모델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10건 중 7건의 사례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7건의 사례는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을 통하여 예측된 공사비와 공사비범위를 기획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공사비를 추정하고 공사비의 범위를 제시할 수 있으며, 예측된 결과의 적절성을 판단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획단계에서 객관적인 정보로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발주자의 예산관련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 연구는 공동주택의 건축공사비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다른 공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예측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전통춤과 장단의 실체 분석을 통한 반주장단 특성과 적용방안 연구

        박소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한국의 전통춤은 춤과 음악과 노래가 함께 구성되고 양식화되어졌기에 악가무(樂歌舞)로 이야기 한다. 전통춤은 언제나 늘 음악과의 관계성 속에서 악가무 일체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음악 속의 장구 장단은 전통춤의 생성에 있어 호흡을 관장(管掌)하는 주도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 전통춤을 전승하고 보전하는 데 있어 장단이 기본이 되어야 하고, 반주장단 전문인이 꼭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춤에서 호흡은 생기(生氣)이고 생명줄이다. 이것을 잡고 있는 것이 장구 장단이기에 전통춤과 장단의 실체 분석을 통한 반주장단 특성을 연구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승무의 대풍류, 살풀이춤의 시나위, 태평무의 경기도 도당굿, 산조춤의 산조(流) 등 음악의 형식 안에 반주장단은 박(拍)의 구조적 특성을 통해 춤의 골격을 형성하며 선율(가락)과 춤사위의 조화를 이끌어내는 매개체로서 다양함의 기능을 넘어 전체 호홉의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의 전통춤 중심에는 장단을 만들어내는 반주자 있었고, 춤을 추는 이와 늘 함께 하였으나 혼효(混淆)되는 시기에 춤 따로, 장단 따로 분리 교육되는 현상이 생겼고, 지금의 현실은 필요에 따라 동반하는 반주자로 자리매김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굿거리장단 중심의 두 유파의 살풀이춤, 성주풀이입춤, 진주교방굿거리춤을 선정하였고, 경기도 도당굿장단 중심의 두 유파의 태평무를 선정하였다. 전통춤의 굿거리장단은 3+3+3+3의 기본구조로 반주장단의 특성을 달리하며 각 작품을 표현하고 있었다. 춤의 호흡을 통한 각 작품의 춤사위를 표현해 주는 장단의 호흡구조에 의해 3+3+3+3의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순환형, 반복형, 변화형으로 나누어졌다. 순환형의 장단이 쓰이는 두 유파의 살풀이춤은 기경결해의 구조가 고르게 분포되어 전개되어지면서 선율의 조화와 함께 춤사위를 표현해 주었고, 반복형의 장단이 쓰이는 성주풀이 입춤은 민요 2박 절의 맺이를 제외하고 시원하게 내주는 대박과 굴림채, 빈 박을 어르고 푸는 흐름으로 기결-기해-경-해로 한 장단이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구조가 반복되고 있었다. 진주교방굿거리춤은 다는장단 자체가 기본형으로 쓰이며 구음의 음률에 따라 장단을 쌓아가 여러 유형으로 자유롭게 구사되었고, 단계적으로 구음에 맞춰 달아지던 12, 18, 24, 25, 29 장단이 39장단부터는 적극적으로 달아져 춤의 긴장감을 높였고, 3박자의 구조에서 2박자로 음률을 살리는 구음은 춤을 더 입체적으로 보이게 하였다. 한영숙류와 강선영류 두 유파의 태평무는 각기 규칙적인 장단의 큰 흐름 안에 반주Ⅰ-반주Ⅱ-반주Ⅰ의 형태로 기악-타악-기악 중심의 흐름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반주Ⅱ의 타악부문은 혼합박자형의 구조로 춤사위와 발짓춤의 특징을 표현해 준다. 복색도 다르고 호흡도 다른 춤길에서 장단 수(數)와 타법의 차이가 있었지만 반주Ⅱ 부문에서 터벌림-올림채-올림채모리-넘김채 장단이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춤사위의 표현에 있어 장구 장단꼴은 유사하였고 꽹과리의 쓰임으로 두 유파의 호흡을 달리 표현해 주고 있었다. 연구자의 연구는 전통춤의 악가무 일체성에서 시작하였고, 춤과 장단은 호흡을 같이 해야 한다는 필연성으로 접근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굿거리장단 중심의 네 작품은 12박의 3+3+3+3 기본형 구조에서 반주장단 유형의 특성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장단의 내고(起), 달고(景), 맺고(結), 푸는(解) 형식에서 그 형태가 자유로우며 순환과 반복과 변화로 각 춤의 특성을 살리며 즉흥적인 요소가 내재되어 있는 신축자재한 구조이다. 둘째, 각 기본형 장단 구조 안에서 반주장단의 흐름에 맞춰 춤길의 흐름이 일정하게 진행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음악의 첫박인 ‘덩’의 기운을 제외하고, 각 장단형에서 정(靜)적인 춤길이 나오기도 하고, 동(動)적인 춤길이 나오기도 하며, 중간 호흡을 연결해 주는 중(中)적인 춤길도 자유롭게 생성되었다. 셋째, 장단의 흐름에 따라 여러 춤사위가 어우러져 표현되지만, 굿거리장단에서는 흐름에 따라 정해진 춤사위가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장단은 장단에 충실하고, 춤은 춤에 충실하면서 서로 호흡을 맞추고 조화로운 모습이 하나로 연출되면서 정·중·동의 춤길을 만들어내고 있다. 넷째, 두 유파의 태평무는 다양한 장단의 전개 속에서 각 춤의 특성을 살리는 장단의 어법이 있고, 서로 다른 춤의 호흡이 장구장단과 함께 꽹과리의 역할에 의해 달리 쓰이고 있음이 파악되었다. 다섯째, 위의 네 가지에서 알 수 있듯이 정해진 춤의 틀과 음악형식의 기준점은 있지만 자율성·즉흥성·현장성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 우리의 전통춤임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우리의 전통춤은 정·중·동으로 이어져 음양(陰陽)의 조화와 변화를 표현하고 있으며, 그 조화로움 속에 즉흥성과 신명의 멋과 맛을 표출하고 있다. 장구 장단은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흐름을 잡아 주고, 늦춰 주고, 댕겨 주며, 춤과 호흡을 같이 한다. 활용 방안으로 특정 장단은 구음으로 먼저 익혀야 하고, 춤사위와의 접목을 통해 체득되어 춤길에 대한 흐름을 익혀야 하는 과정이 전승과 교육의 현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육 현장과 공연 현장에는 전문 반주강사와 반주자를 필요로 한다. 악가무 일체의 전통춤에는 장구 반주자가 늘 함께이어야 한다는 필수 불가결한 결론이 도출될 수 밖에 없는 이유이다. 교육 현장만큼은 춤 장단이 변화되어 넘어가기 전의 단계인 춤을 다지는 과정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전통춤의 기초과정에서 장구의 장단은 매우 중요하기에 장단 없이는 수업을 운영하면 안 된다. 이러한 기초과정을 단단히 해야 전통춤의 근간을 흔드는 변형과 전통춤이 무너지는 일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에 전통춤을 보전·전승하고 그 명맥을 유지하며 계승·발전하기 위해서는 장구의 반주장단이 늘 함께일 수 밖에 없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의식이 바뀌어야 한다. 과거처럼 전통춤에 의한 장단이 함께 공동체로 교육이 되어야 함을 인지하고 인식하여야 한다. 반주장단과 춤이 함께 훈련되어야 춤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춤길을 형성하고 이끄는 장단에 대한 입문서가 있어야 한다. 한국춤의 작품 표현에 있어서 어떠한 악기가 동원되더라도 장구의 기본 장단이 제시된다면 작품을 안무하는 데 있어서도 한국적인 춤, 한국 고유의 춤, 민족의 춤으로 형성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여러 형태로 분류되어지는 춤에 따른 장구 장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시대의 큰 조류 속에서 한국춤의 그 원형과 특성이 잘 보전되고 전승되어 온 것은 장구 장단이 있었기 때문이다. 장구의 반주장단에 의해 다양한 춤사위가 나오고, 추는 자 스스로 정화(淨化)의 무한 지경에 이르게 된다. 춤추는 자의 즉흥성은 반주장단에 의해서 어울림이 되고 새로운 결정체가 만들어진다. 춤을 교육하는 현장에서 장구를 외면하거나 터부시 하는 경향이 있었기에 우리의 교육 현장에 장구 수업, 장단 수업의 적용이 미진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자는 전통춤 반주장단의 기본과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대학생의 주관적 빈곤감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

        박소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ought to verify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the lack of patience for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poverty and undetermined career paths in college students. To that end, a survey and analysis were conducted on 426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Busan and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2.0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lack of patience for uncertainty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poverty and career undecided. This means that subjective poverty affects indirectly through lack of patience for uncertainty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career decision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poverty and career undecided, the lack of patience for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were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ing factor. This means that subjective poverty affects career-defining decisions through lack of patience for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subjective poverty can be used as empirical basic data to provide insight into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affect career undecided, and seek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can lower the level of career undecided for college students.

      • 타로의 변천과정과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

        박소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타로(Tarot)의 문화사를 시대적 흐름에 따라 기술하고 타로와 상징체계 의미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어떻게 변화 발전되어 현대에 사용되고 있는지 그 변천과정과 특징을 비교 연구하는 데 첫 번째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 타로 상담가들의 상징에 대한 임의적, 자의적인 해석을 줄이고, 타로 해석의 중심이 되는 배열법을 수집 분석하여 대중들에게 타로의 정확도와 신뢰도 높은 상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두 번째 목적을 둔다. 실증을 통한 과학적 조사와 확실한 합리주의가 다른 무엇보다 중요한 현대 사회에서 타로(Tarot)는 단순히 운명을 예언하는 비합리적 점술 도구로 여겨지거나, 혹은 그저 재미로 보고 만담을 즐기는 놀이문화 정도로 잘못 이해되곤 한다. 이러한 이유로 타로라는 영역과 이론을 세밀하게 연구한다거나 그 역사를 추적하고 검토하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더욱이 국내에서는 타로가 유입된 시기가 30여 년밖에 되지 않았고 본격적으로 정착하거나 전문적 논의가 이루어진 것은 더 짧은 까닭에 타로에 대한 문화적 학술적 입장에서의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타로를 활용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이미지의 상징성과 타로를 사용하는 패턴과 이론은 타로가 발생하고 변화한 문화사적 맥락과 연계하여 보아야만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 현대의 타로와 유사하며 가장 오래된 클래식 타로는 이탈리아의 ‘비스콘티(Visconti) 타로’인데 비스콘티 가문에서 결혼을 축하하며 제작되었고 4장의 카드가 빠져있긴 하지만, 보존 상태가 양호하게 보관되어 있다. 한편 그 구성 체계는 일반 타로와 조금 다르지만, 현대 타로의 마이너 아르카나에 영향을 준 ‘솔라 부스카 타로’(1491)도 클래식 타로의 중요한 역사적 기원에 포함된다. 그 후 1650년에 이르러서 목판 인쇄로 제작하고 손으로 채색을 한 대량 생산형 타로가 출현하게 되는데 이것이 클래식 타로의 대표격이라 불리는 ‘마르세유(Marseille) 타로’이다. 시간이 흐르고 모던 타로의 대표격인 웨이트(Waite) 타로가 처음 세상에 등장한 것은 1909년인데, 그 중간에 앙트안 쿠르드 제블랭, 장 밥티스트 알리에트, 엘리파스 레비, 오스왈드 워스, 제라르 엔카우스 등을 통해 깊이 있는 타로 연구가 선행적으로 이어져 내려왔다. 하지만 특히 골든던(Golden Dawn)이라는 신비주의와 의식마술에 전념했던 비밀조직에서 타로 연구에 대한 열정과 노력이 선행되었기에 그 결과물로서 웨이트 타로가 세상에 나왔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골든던 멤버들은 세상의 구조와 순환의 원리를 카발라 사상의 ‘세피로트’를 가지고 설명하였는데 ‘생명의 나무’라고도 불리는 세피로트 도식은 10개의 세피라와 22개의 패스로 이루어져 있고, 타로 카드 78장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세피로트에 매칭되어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후 골든던 멤버였던 아서 에드워드 웨이트와 알리스터 크로울리가 각각 ‘웨이트(Waite) 타로’와 ‘토트(Thoth) 타로’를 세상에 선보이면서 모던 타로의 모체가 되었고 타로 문화의 새 장이 열렸다. 이와 같은 타로의 역사 연구를 통해 우리는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마르세유 타로와 웨이트 타로가 같은 표제의 카드에 왜 서로 다른 이미지와 상징성을 가졌는지, 왜 8번과 11번 카드는 그 순서가 바뀌어 있는 것인지, 카드 해석에 정방향과 역방향을 구분하여 사용한 것은 언제부터인지 등 다양한 의문점들을 역사적 이유를 통해 찾아볼 수 있었다. 또, 카드에 담긴 이미지의 상징성을 시대순으로 비교하고 해당 카드에 왜 그 이미지 상징이 그려지게 되었는지를 역사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은 상징에 대한 임의적, 자의적 해석을 피하고 오류를 범하지 않도록 도움을 줄 수 있었다. 그리고 타로 해석법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카드 배열법이 현대에서 재창출되고 귀납적으로 대중의 동의를 얻어가며 정착되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 배열법들을 활용한 실제 상담사례들을 분석해봄으로써 직장문제, 진로문제, 사업문제, 애정문제, 입시문제 등 내담자들의 다양한 의문점과 질문에 대하여 효율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타로에 대한 역사적 연구 및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는 외국에서는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나 국내에는 아직까지 많이 진행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번 조사와 연구를 통해 타로라는 문화와 상담방법에 대한 내용이 국내에 더욱 널리 알려지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이와 같은 후속 연구가 계속되기를 희망해 본다.

      • 초등학교의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위한 교육공무직원의 업무와 역할 개선 방안 연구

        박소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조직문화에서의 교육공무직원의 업무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위해 학교의 구성원 중 교사와 업무와 역할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교육공무직원의 업무와 역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더나아가 교육공무직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도 제언함으로써 협동적 학교조직문화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조직 내 교육공무직원의 업무와 역할은 어떻게 되어 있는가? 둘째,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는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가? 셋째,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위한 교육공무직원 업무와 역할의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광역시 관내 초등학교의 교육공무직원 중 교사와 업무적으로 관계가 많은 직종(교무실무사, 과학실무사) 3명과 교육공무직원과 업무적으로 일을 하였던 교사 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교조직 내 교육공무직원의 직종에 따른 공식적인 업무는 정해져 있지만 비공식적인 업무의 경우 부탁이나 지시에 따라 주어진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협동적인 학교조직문화를 위하며 각자가 책임을 가지고 일할 수 있도록 업무분장 시 학교구성원이 다 같이 의논을 하여 업무와 역할을 정하도록 하며 교육공무직원에게 본연의 업무 외에 동의하에 업무가 주어진다면 공식적으로 추가 업무를 업무분장표에 작성하여 주어지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학교에 협동적 학교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있는 정도에 대해서는 각 학교에서는 맡은 바 업무를 학교구성원 각자 하고 있었으며 협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협조하는 형식으로 문화가 조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학교에서 교사와 교육공무직간의 업무에 대한 미묘한 갈등이 있을 경우 이를 중재하는 역할이 관리자에게 있다고 생각하였다. 협동적인 학교조직문화를 잘 형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은 학년 초 학교구성원이 모두 참여하는 업무분장, 자신의 업무 및 학교의 일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역할, 교사 및 교육공무직원 또한 교육공무직원들 사이의 서로에 대한 인정과 믿음, 자신의 직종의 업무와 역할을 위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발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셋째, 교육공무직원의 업무와 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효율적 업무와 역할을 위한 교육공무직 직종통합으로의 전환 필요, 교육공무직제도의 개선방안으로 공정한 채용제도로 교육공무직원들에 대한 다른 교육공동체의 부정적 인식의 개선, 교육공무직원 직종간 정기적인 순환전보제도의 유지 및 개선, 각각의 직종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정기적인 연수 및 직무연수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업무와 역할을 분명하게 하기 위한 교육공무직원 및 다른 구성원들의 참여, 민주적인 협의를 통한 공식적인 업무분장이 필요하다. 둘째, 협동적 학교조직문화를 위해서 학교 구성원들 개개인의 전문성 개발 및 서로에 대해 인정 및 존중하는 문화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공무직원의 업무와 역할 개선 방안을 위한 교육공무직제도 개선으로 공정한 채용제도 및 정기적인 순환전보제도 정착, 효율성 향상을 위한 유사 직종통합, 직종의 전문성신장을 위한 주기적인 연수제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

      • 미술치료 경험을 통한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박소현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 schizophrenic hospitalized in the psychiatric ward composes his life story through the art therapy and analyze the meaning of such an experience, and there through, review the meaning of the art therapy. For this study, the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which was deemed the most appropriate scale to understand subject’s experiences, was used. The subject sampled for this study was a chronic schizophrenic who was hospitalized at ‘B’ hospital in ‘A’ city. He would be subject to 16 sessions of the art therapy and 3 rounds of an in-depth interview for the period from July, 2017 to February 2018. Furthermore, the researcher reviewed a diary of the scene, subject’s art works, the script of the interview and relevant journals. The subject’s story was described, and in order to find the meanings of subject’s experiences, the research puzzles were interpreted and reorganized repeatedly.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d by the subject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his life before the disease was described as ‘a dreaming child not loved,’, ‘The dream far away, wandering boy,’, ‘frequently failed attempts,’ etc. The life after the diagnosis of the disease was characterized by‘In a word, deserted animal,’, ‘closed ward, separation from the world,’ etc. His impressions of the art therapy were ‘Only you art teacher who listens to me’ and ‘Now, I know I have such a competence.’ Thus, the meanings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d by the subject were ‘reexperience and fulfillment of the desire not realized during the childhood: fear, play, accommodation and support,’, ‘the exhaust of the oppressed mind-set,’, ‘energy of the hospital life,’, ‘an opportunity for re-awareness of the life experience,’ and ‘dreaming of a brilliant future.’ This study that reviewed the life of a schizophrenic closed in the ward through the art therap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life of the schizophrenic closed in the ward could be understood specifically. Through the narrative dialogue with the subject, the researcher could understand the subject in-depth, and the dialogue could help to grow subject’s life together with the researcher. Secondly, the researcher could describe the causes of subject’s disease and his maladaptive behaviors with the vivid on-the-scene voices. Thus, the roles of art therapy an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al experiences could be confirmed. Thirdly, art therapists’ roles in the closed ward could be proven. H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well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of the art therapists and other medical peopl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the relevant programs. Fourthly,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a narrative exploration was us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qualitative research into the schizophrenics is not active. Lastl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he future studies on art therapy and the schizophrenics closed in the ward. 본 연구는 폐쇄병동에 입원한 조현병 환자가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어떻게 삶의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경험이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미술치료의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의 경험을 이해하는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사용하여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A시의 B병원에 위치한 성인 만성 조현병 환자1명으로 2017년 7월부터 2018년 2월까지 16회기의 미술치료와 3회의 심층 면담, 현장 일지, 미술작품, 면담 전사본, 연구자의 저널 등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과정은 참여자의 이야기를 기술하고 경험의 의미를 찾기 위해 연구 퍼즐을 중심으로 해석과 재구성을 반복하였다. 연구 퍼즐을 중심으로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가 경험한 삶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조현병 발병 이전의 삶에서는 <사랑받지 못한 꿈꾸는 아이>, <꿈은 저 멀리, 방황하는 소년>, <뭘 할라고 해도 자꾸 삑삑 터지고>를 형성하였고, 조현병 발병 이후의 삶에서는 <한 마디로... 버린 짐승>, <폐쇄병동, 세상과의 단절>을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에서는 <우리 얘기 들어주는 사람은 미술 선생님 혼자 뿐 이에요>, <내가 이렇게 할 수 있는 힘이 되구나>를 이야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형성한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유년기에 해소되지 못한 욕구의 재경험과 충족 : 두려움, 놀이, 수용과 지지>, <억눌린 마음을 드러내는 배출구>, <병원 생활의 에너지>, <삶의 경험을 재인식하는 기회>, <반짝이는 미래를 꿈꾸다> 이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를 경험을 통한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삶의 경험연구가 지니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삶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연구자와 참여자의 내러티브한 이야기 과정을 통해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를 깊이 이해하게 되었으며 연구자의 삶을 포함하여 함께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의 사례를 통해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의 병리 원인과 부적응적인 행동에 대한 요인들에 대한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었으며 미술치료의 역할과 관계적 경험의 중요성을 탐구할 수 있었다. 셋째, 폐쇄병동에서의 미술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폐쇄병동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놓인 환자들을 위해 미술치료를 비롯한 관계자들의 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국내 연구에서 조현병 환자에 대한 질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시도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내용을 토대로 하여 향후 미술치료 연구 및 폐쇄병동 조현병 환자 연구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여겨진다.

      •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자폐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현 공주대학교 특수교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자폐 아동의 자해행동, 공격행동 그리고 이동지연 행동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S시에 위치한 S특수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만 12세의 중증 자폐 남학생 1명으로,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로 실시하였다. 실험은 체육시간, 점심시간, 사회시간 세 가지 상황에서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실시되었다. 기초선 기간 동안에는 어떠한 중재도 실시하지 않고 이전과 같이 수업을 진행했다. 중재 기간 동안에는 인터뷰를 통한 기능평가 면담지와 관찰을 통한 기능평가를 통해 문제행동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의사소통 기술과 사회성 기술을 대안행동으로 지도하였다. 유지 효과를 위해 종료 4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상황에서 유지 효과를 5회기동안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중증 자폐 아동의 자해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중증 자폐 아동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셋째, 긍정적 행동지원은 중증 자폐 아동의 이동지연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입증하였고,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자폐 아동의 학교 일과 중에 발생하는 문제행동에 대한 적절한 중재라는 것을 입증 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중요한 의미가 있다.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on problem behavior of student with severe autism in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had a difficulty, in attending to class due to problem behaviors. To carry out this study,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utilizing of setting event intervention, antecedent intervention, alternative behavior intervention were implemented, and the design of study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ettings. was utilized. And the participant's problem behaviors were exposed through functional assessment with interview, observation, hypothesis formation. The frequency of student's problem behavior was measured using partial- interval recording. An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order of baseline, meditation and maintenance step in class of social studies, physical training, lunch time. The result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problem behavior for the student with severe autism was reduc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Second, the problem behavior that the student with severe autism delayed a movement to other location was reduced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basis of above mentioned results, they were proved various results of pre-studies that the positive support was effective for the student with severe autism. Finally,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using 3 tiar intervention included PBS meditated through individualized strategy in natural environment. were need to intervent various problem behaviors of student with severe au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