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박세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심리화(정신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있거나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종이 설문과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는 세 단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총 1,079건의 사례를 사용해 심리화 척도를 개발하고,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및 집단 간 차이 분석, 군집 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자기보고식 심리화 척도(SRMQ), 친밀관계경험검사 개정판(ECR-R), 경계선 성격특성(PAI-BOR), 간이정신건강진단지(SCL-47),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17), 삶의 만족도 척도(SWLS),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척도(PANAS), 심리화 질문지(MZ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가 개발한 자기보고식 심리화 척도는 자기 및 타인 성찰, 타인마음 확신, 정서 인식 실패, 경직된 사고의 상관 4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최종 2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심리화 척도와 관련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는 심리화와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애착 불안이 애착 회피보다 더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심리화는 우울, 편집, 대인관계 예민, 불안 등의 정신병리, 경계선 성격특성과도 부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삶의 만족도와 긍정 정서, 사회적 바람직성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부정 정서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심리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 경계선 성격특성을 상하위 집단으로 나누어 심리화 능력의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정서 인식 실패, 경직된 사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자기 및 타인 성찰과 타인 마음 확신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넷째, 심리화 척도의 증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화는 애착 불안, 애착 회피, 경계선 성격특성, 우울, 불안, 편집, 대인관계 예민 등이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설명량의 증가를 나타냈다. 다섯째, 심리화 요인들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건한 심리화 집단, 경직된 심리화 집단, 심리화 거부 집단, 혼란형 심리화 집단이 확인되었다. 각 집단들은 애착, 정신병리, 경계선 성격특성, 삶의 만족도, 정적 및 부적 정서에서 모두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lf-rating scale for an assessment of mentaliz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online page and offline paper and involved 1,079 people over the age of 18 who live in Seoul or Gyeonggi-do area. There were three steps for the study : preliminary, study 1, and study 2. In preliminary study,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subscales of mentalization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he aim of the study 1 was to develop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n, in study 2, the analysis of correlation, group differences and regression among the variables was completed to validate the SRMQ and cluster analysis was also performed. For validation purposes the following additional instruments were used: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Encounter in Close Relationship Scale-Revised(ECR-R),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orderline Features Subscale(PAI-BOR), Symptom Check List(SCL-47),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17(SDS-17),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Mentalization Questionnaire(MZQ).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a pool of 25 items was developed and an oblique-rotated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extraction of four related factors: reflection of the self and other, deficit of affection awareness, absolute certainty about other's mind, concrete thinking. The model fit was check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was .85(in study1) and .77(in study 2).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RMQ scor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negatively, and especially the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RMQ was larger than the association between attachment avoidant and SRMQ. Also, it was found that SRMQ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ymptom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paranoid ideation.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RMQ scores and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ffect and social desirability scores. SRMQ scores are the sum of the four factors. Except the reflection of self and other, other factors were calculated inversely. Thir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group of PAI-BOR scores in scales of deficit of affection awareness and concrete thinking. But there were not found any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scales of reflection of the self and other and absolute certainty about other's mind. Fourth, the hierarchical regression predicting negative affect scores was carried out to examine how much of the variance in negative affect was explained by SRMQ. To this end, the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t, SCL-47(depress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paranoid ideation), and PAI-BOR were entered in the first block followed by SRMQ in block 2. It was found that SRMQ explained significant increasing percentage of the variance in negative affect over and above the insecure attachment, SCL-47, and PAI-BOR. Fifth,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four main clusters emerge from SRMQ: modest mentalizing group, concrete mentalizing group, confused mentalizing group, refusing mentalizing group. Each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achment style and the level of depression, anxiety, interpersonal sensitivity, paranoid ideati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atisfaction with lif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 서울동북부사립대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박세미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과 관련된 기존 연구의 경우,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에 관한 각종 요구충족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한 연구가 다수 있었으나, 연구 범위와 데이터 분석방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주요 미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전공계열 및 이용행태에 입각한 만족도 차이를 식별하지 않았다. ‘둘째,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도서관 제반 요인의 영역(자료, 자료검색, 장비 및 시설, 서비스 담당자)만족도간의 차이를 식별하지 못하였다. 셋째, 개선방안 도출과 관련하여 ‘이용자’ 집단만을 조사대상으로 하였으며, ‘서비스 담당자’들의 의견을 조사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현황과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해 현재의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의 상황을 진단 후, 첫째,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 이용자 전공계열이 이용행태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멀티미디어실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영역만족도 요인들과 전체만족도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셋째, 이용자 및 서비스 담당자가 제시하는 대학도서관 멀티미디어실의 개선점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연구 과정에는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와 이용자 대상의 설문조사, 서비스 담당자 대상의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 사항은 다음과 관련되는데, 첫째, 장비 및 시설의 확충 필요성, 둘째, 자료의 확충 필요성, 셋째, 이용자 교육의 확대 필요성 등이다. While a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orts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multimedia rooms in academic libraries and improve their service, they have limitations both in the research scope and in the data analysis methods. The principal limitations of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they didn't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user satisfaction with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by users' major areas and utilization behaviors. Second, they didn't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user satisfaction with diverse library areas―for example, resources, search screens, equipment and facilities, service providers―which could affect user satisfaction in general. Third, consideration was only given to the user group, with no consideration of service providers' opinions, in presenting an improvement scheme.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s of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through a survey on their status and user satisfaction and then, first, to examine how users' major fields and utilization behaviors affect user satisfaction for the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seco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rea satisfaction factors affecting multimedia room user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general; and third, to discover what to improve at multimedia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as indicated by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involved literature review, field research, a survey in users, and interviews with service provid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suggestions relate to the improvements of the followings: equipments and facilities, resources, and user education.

      • 리튬 이온을 갖는 코어-쉘 구조의 하이브리드 입자를 이용한 복합체 젤 고분자 전해질

        박세미 한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튬이온전지는 전기자동차와 에너지저장장치 등의 발달로 대용량화되고 있으며, 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용량과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해질의 누액이 없이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한 젤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이온폴리머전지를 제조하였다. 젤 고분자 전해질은 고체 고분자 전해질이 갖는 가공성 및 안전성과 액체 전해질의 높은 이온전도 특성을 모두 갖고 있어 리튬이온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로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젤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리튬염, 유기용매로 구성되며, 고분자 메트릭스 내에 유기 전해액을 함침시켜 제조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고분자 메트릭스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고분자 메트릭스의 기계적 물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SiO2, Al2O3, TiO2, BaTiO3 등의 무기물 입자를 고분자 메트릭스와 복합화한 연구가 선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무기물 입자는 리튬 이온 전달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리튬 이온을 가진 기능성 유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하고 이를 젤 고분자 전해질로 적용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달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제 1 장에서는 리튬 이온을 가진 코어-쉘 구조의 유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한 것을 보여준다. 우선, 이중결합을 가진 구형의 실리카 입자를 합성하고, sodium acrylate 단량체와 라디칼 중합 반응하여 코어-쉘 구조의 유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쉘에 존재하는 소듐 이온은 리튬 이온으로 치환하여 최종적으로 리튬 이온을 갖고 있는 코어-쉘 구조의 유무기 복합소재를 합성하였다. 코어-쉘 입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와 복합화하여 다공성막 침적법으로 복합체 젤 고분자 전해질을 제조하였다. 쉘을 구성하는 카복실레이트 작용기는 액체 전해질의 함침율을 증가시시고, 리튬염의 분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이로부터 발생하는 HF의 생성량을 감소하였다. 쉘에 존재하는 리튬 이온은 액체 전해질에 의해 쉘로부터 해리가 되어 이온 전도도를 증가시켰다. 코어-쉘 입자가 함유된 복합체 젤 고분자 전해질을 graphite 음극과 LiNi0.6Co0.2Mn0.2O2 양극으로 구성된 리튬이온폴리머전지에 적용하였으며, 상온 및 고온에서 우수한 수명 특성 나타내었다. 제 2 장에서는 코어-쉘 입자를 포함한 복합체 젤 고분자 전해질이 리튬금속폴리머전지의 전극에 작용하는 영향에 관해 고찰하였다. 코어-쉘 입자가 함유된 복합체 젤 고분자 전해질을 리튬 금속 음극과 LiNi0.5Mn1.5O4 양극으로 구성된 리튬금속폴리머전지에 적용하였다. 코어-쉘 입자는 액체 전해질과의 호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젤 고분자 전해질의 취약한 기계적 물성을 보완하여 리튬 덴드라이트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코어-쉘 입자는 HF의 생성을 억제하여, 양극으로부터 전이 금속이 용출되는 것을 막아주었다. 결론적으로, 코어-쉘 입자는 음극뿐만 아니라 양극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리튬금속폴리머전지에서의 수명 특성을 향상하였다. The rapidly expanding use of the lithium-ion batteries for electric vehicles and energy storage systems has heightened the need for high energy density batteries with enhanced safety. Encompassing the advantages of both solid and liquid electrolytes, gel polymer electrolytes have been actively studied for use in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The gel polymer electrolytes consist of polymers, lithium salts, and organic solvents and they are prepared by mixing organic electrolytes with polymer matrices. However, the host polymers lose their mechanical strength when they are plasticized by organic solvents. In order to obtain the gel polymer electrolytes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inorganic fillers such as SiO2, Al2O3, TiO2 and BaTiO3 have been incorporated into host polymers. In these composite gel polymer electrolytes, the inorganic particles promot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s through physical actions without directly contributing to the lithium ion transport process. Therefore, it is of our interest to synthesize and introduce 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dissociative lithium ions to participate the lithium ion transport process directly. In chapter 1, we synthesized core-shell structured SiO2(Li+) particles containing poly(lithium acrylate) in the shell. The core-shell structured SiO2(Li+) particles were incorporated into a P(VdF-co-HFP) matrix polymer and then were activated by a liquid electrolyte to form the composite gel polymer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solution was well encapsulated in the composite polymer membrane since the carboxylate group in the shell was highly compatible with the carbonate-based electrolyte. The mobile lithium ions dissociating out from poly(lithium acrylate) in the shell of the SiO2(Li+) particles improved ionic conductivity. The composite gel polymer electrolyte with SiO2(Li+) particles was utilized in a lithium-ion polymer cell composed of a graphite negative electrode and a LiNi0.6Co0.2Mn0.2O2 positive electrode. The cycling performances of the cells with the composite gel polymer electrolyte containing SiO2(Li+) particles demonstrated superior cycling performance at elevated temperature as well as ambient temperature. In chapter 2,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mposite gel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core-shell structured SiO2(Li+) particles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electrodes for lithium-metal polymer cell. The composite gel polymer electrolyte with the SiO2(Li+) particles was utilized in a lithium-metal polymer cell composed of a lithium metal negative electrode and a LiNi0.5Mn1.5O4 positive electrode. The core-shell structured SiO2(Li+) particles improv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el polymer electrolytes as well as the uptake of liquid electrolyte. Therefore, core-shell structured SiO2(Li+) particles suppressed lithium dendrite growth effectively. Also, the core-shell structured SiO2(Li+) particles prevented HF from being produced and suppressed Mn and Ni dissolution into the electrolyte. As a result, the core-shell structured SiO2(Li+) particles gave positive effects on the positive electrode as well as the negative electrode and contributed to the improved capacity retention.

      • 키치(Kitsch)의 예술적 가능성에 대한 연구

        박세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나쁜 예술(Bad Art)’ 또는 ‘나쁜 취향(Bad taste)’이라고 여겨지는 키치(Kitsch)의 대중문화 속에서의 사회적인 기능을 바탕으로 키치의 예술적 활용의 예시를 통해서 키치의 긍정적 가치와 그 가능성에 대해서 재고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키치는 예술 교육을 받은 지식층으로부터 ‘나쁜 취미’ 또는 ‘나쁜 예술’이라 간주되는 것들을 가리키는 다양한 현대 용어들 중에 유일하게 국제적 지위를 획득한 단어이다. 이처럼 나쁜 예술로서 여겨지지만 끊임없이 생산 및 소비되는 이유는 키치가 대중들이 보편적으로 좋아하고 선호하는 대상을 ‘즉각적인 식별성’을 갖는 재현적, 관습적 규범들에 따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키치의 개념은 최초의 대중적인 예술 운동이라고 말할 수 있는 근대 낭만주의 혁명이 취미의 규준을 완전히 상대화시킨 결과로서 나타난 것이다. 그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대중의 등장과 대중문화의 형성은 키치가 본격적으로 생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왜냐하면 그들은 지친 일상으로부터 이완과 오락의 욕구를 갖게 되어 고급예술 대신 이해하기 쉬운 키치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대중문화의 산물인 키치는 클레멘트 그린버그에 의해서 대용의 문화로 비판받는다. 반면에 해롤드 로젠버그는 키치를 대중문화의 시대에서 인간의 삶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규정하고, 사회 속 키치의 기능에 주목하며 이를 옹호한다. 키치의 사회적 기능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것들은 공통적으로 키치의 부정적인 속성으로부터 기인한다. 자기기만적이며 무반성적 사고를 유도하는 키치의 속성은 대표적으로 키치를 부정적으로 보는 근거가 된다. 이와 달리 일각에서는 키치의 교육적 기능과 대중과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키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20세기 중반에 이르러 나타난 팝아트는 일상적 사물 및 대중문화의 산물을 고급예술로 제시한다. 이러한 팝아트의 대성공으로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이행이 이루어지면서 저급문화와 고급문화 사이 오랜 시간 굳건히 지켜오던 경계는 해체되고, 이와 더불어 키치는 예술의 새로운 아방가르드적 방법으로서 주목받게 된다. 수잔 손택은 이 같은 예술의 시대를 유미주의적인 새로운 감수성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캠프를 주창한다. 또한 본 논문은 키치의 예술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하여, 예술적 키치가 상호텍스트성으로부터 비평적 거리를 확보하게 되고 감상자들에게 예술로서 읽히게 되는 지점을 살펴본다. 이처럼 포스트모더니즘에 들어서면서 키치의 예술화는 하나의 새로운 흐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대예술가 제프 쿤스, 무라카미 다카시, 피에르와 질의 작품 속에서 그들이 활용한 키치적인 요소들을 알아보고, 그들의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키치의 긍정적 가치에 통해 키치의 예술적 가능성을 재고해보고자 했다. 작품들을 통해 살펴 본 결과, 키치는 대중과 예술 간의 매개체로서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취향의 확장과 감상 영역의 확대 및 모더니즘 미술에서 얻지 못한 미적 즐거움과 감정적 유희를 느끼게 해준다. 이와 같은 키치의 예술적 활용이 가져다주는 긍정적 가치를 통해 키치의 예술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reconsider the positive values and potential of kitsch through examples of kitsch's artistic exploitation based on the social function of kitsch, which is considered as‘ bad art ’or 'bad taste'. Kitsch is the only word that has gained international status among the various contemporary terms, which refers to what is considered to be the " bad taste " or " bad art " from the intellectuals who received education of art. Considered to be such a bad art, the reason for continu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kitsch is that it's made of what the masses like and prefer and also created by representative and customary norms that are generally favored by the masses. Today's concept of kitsch is the result of the modern Romanticism revolution,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first major artistic movement, as a result of the relativization of taste's norm. Since then, the emergence of the mass and formation of mass culture resulting from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has made kitsch produced even more. It's because they chose kitsch which is easy to understand as an art alternative due to need for relaxation and recreation in the tired routine of their life. Kitsch, a product of mass culture, was criticized by Clement Greenberg as a substitute culture. On the other hand, Harold Rosenberg defined kitsch as being inseparable from human life in the era of mass culture, and noted the function of kitsch in society. This kitsch's social function comes in many forms, which are commonly attributed to kitsch's negative properties. Kitsch, which induces self-deceptive and non-reflective thinking, is typically basis for the underlying kitsch's bad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some have praised positively in terms of kitsch's educational fun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Pop art presents ordinary objects in our life and the products of mass culture as the advanced art. With the success of Pop art, there is shifting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and the boundaries of low culture and advanced culture are dismantled and kitsch had been noted at the same time as the new avant-garde method of art. Susan Sontag proposes a camp, claiming that this era of art should be understood as a aestheticism with a new sensibility. In addition, when the art is taking kitsch into their context with appropriation, the intertextuality represented by the art which can be read in the meaning of art. Thus, in postmodernism, making kitsch into art had become a new trend. This thesis aims to review the in kitsch elements of Jeff Koons, Murakami Takashi and Pierre et Gilles, and to rethink the positive values of kitsch through the its artistic potential. Through the works, kitsch enables to communicate between masses and art, and to expand of taste's ranges and also even feel aesthetic enjoyment and emotional amusement(play) which are not obtained from refined modernism art. The artistic potential of such kitsch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positive value of its artistic exploitation.

      • 국내 대학원 무용·동작치료 커리큘럼 현황에 관한 연구

        박세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Health is the greatest concern and lifelong challenge of mankind. From the past, humans have strived for being healthy in various ways. Such interest in health is going on in the 21st century, as seeking for diverse methods for health and self-management, even in busy daily lives of modern people. Interest in health acts as an important factor for well-being regardless of the past or present. In line with this, conventional medicine keeps developing and at the same time, the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are also constantly making a progress. Among them, Dance/Movement Therapy(DMT), which is a subcategory of art therapy, has continuously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sychotherapy through body movement based on mind-body monism. Based on the belief that body and mind could 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on the premise that ‘body movement reflects the inner emotional state and changes in movement and behavior lead to the changes in mind resulting in the promotion of health and growth', DMT keeps researching and training Dance/Movement therapists with skills and qualif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recovering the unity of mind and body'. With the aim of cultivating more professional Dance/Movement therapists, DMT is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vely opening majors i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DMT curriculum and fostering dance/movement therapists with expertise by suggesting development plans for DMT curriculum in domestic graduate school. This research was targeted on 26 domestic graduate schools, 36 departments using the National Graduate School(http://gradmap.co.kr) and 8 graduate schools currently operating the curriculum in United States using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www.kedi.re.kr), 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of U.S.(NCES, http://www.nces.ed.gov) and American Dance/Movement Therapy Association(ADTA, https://www.adta.org). And for the purpose of studying DMT curriculum, this research examines and compares curriculums in terms of the length of study and completed credits, number of lectures offered, clinical practice, and major research sector. Comparing curriculums of two countries, the length of study is 2 years in Korea and 2~3 years in the US, which is almost similar to Korea. In Korea, 24 credits for the master and 36 credits for the doctorate must be completed. In the United States, 5 graduate schools required 60 credits while the others each required 63~64 and 90 credits, resulting in 3 to 4 times more credits than Korea. As for the number of courses offered, domestic graduate schools offer a minimum of 9 and a maximum of 27 courses. American graduate schools provide a minimum of 20 and a maximum of 35 lectures. For clinical practice, based on the suggestion of 700 hours by ADTA, all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provide more than 700 hours of clinical practice. In Korea, clinical practice is usually provided only through 1 to 3 lectures in curriculum and there are 4 schools that do not provide clinical practice at all. In terms of major research sectors, Korea is researching for the convergence with various disciplines such as ancient Chinese medicine, qigong, martial arts, meditation, psychology, yoga, Pilates, and oriental medicine. US operates a similar curriculum consisting of LMA, human development, DMT theory and practice, and counseling/psychology.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domestic graduate school DMT curriculum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learning and research opportunities to students majoring in Dance/Movement therapy by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credits between schools. Taking full advantage of Korea that already has various DMT methods fused with the Oriental Medicine, if schools allow students to learn other schools’ curriculums, students could have a variety of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knowledge they need. It would help research and construct curriculums of high-quality DMT methods. In addition, for more in-depth and diverse opportunities of learning, it is required to invite experts from different disciplines, converge research with other disciplines, and enlarge the specialized faculty and lectures. Second, the provision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should be expanded to help major students cultivate practical skills and develop their qualifications as dance/movement therapis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linical practice to Dance/Movement therapy major students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organizations where Dance/Movement therapists are working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and cultivate practical skills. Third, a systematic curriculum should be provi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DMT standard by academic societies and associations. In the United States, ADTA is taking a lead to provide high-quality curriculums and nurturing competent Dance/Movement therapists by providing standards for DMT training curriculum and giving accreditation for schools that comply with these standard. Referring to such case, domestic societies and associations should help making high-quality curriculum and nurturing Dance/Movement therapists with expertise by establishing standards and granting benefits to standards-compliant schools.

      •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에서Catechol-O-Methyltransferase 효소의 단일 염기 다형성이 레보도파 유발성 이상운동증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박세미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COMT(catechol-O-methyltransferase) 효소는 카테콜아민 대사의 첫 단계를 담당하는 효소로 뇌, 간, 심장, 적혈구 등에 존재하며 S-adenosyl-L-methionin dependant methyl 결합을 통하여 도파민, 에피네프린, 노어에피네프린 같은 카테콜아민 신경전달 물질의 불활성화에 관여한다. COMT효소는 고혈압, 천식, 파킨슨병의 치료제로 사용되는 카테콜 약물의 대사에 중요한 효소이다. COMT효소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일 염기 다형성(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은 수백 개에 이르는데 이중 COMT 72번째(Ala72Ser; rs6267)와158번째(Val158Met; rs4680) 아미노산의 변화를 가져오는 SNP는 효소의 낮은 활성도와 상관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여러 가지COMT의SNP 중에서도 가장 활성도가 떨어지는 효소를 코딩하는 SNP로 최근에 보고된 rs6267에 대하여서는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유전자형 빈도에 대한 연구나 유전자형에 따른 레보도파의 반응성 또는 레보도파의 부작용에 대한 상관 관계에 대하여서는 아직까지 연구된 바가 없다. 파킨슨병의 병인은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병인에 관여하여 대뇌 선조체의 도파민 분비 세포가 신경계의 퇴행과 관련하여 변성되거나 외인성 독성에 의해 파괴되는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파킨슨병 환자에서 뇌에서 부족한 도파민을 대체해주기 위한 치료제로 레보도파를 투약하게 되는데 투약 후 5년 내에 약 40 퍼센트 정도의 환자에서 부작용으로 레보도파 유발성 이상운동증(LID: levodopa-induced dyskinesia)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부작용이 일어나는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COMT효소가 레보도파의 대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이상운동증 발생과COMT 효소의 활성도와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COMT 효소의 낮은 활성도와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진 대립 인자 A 또는 T를 갖는 rs6267와 rs4680 SNP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이용하여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에서 두 가지 SNP의 유전자형의 빈도를 알아보았고 둘째, 적어도 4년 이상의 추적 관찰을 통하여 진단이 정확한 파킨슨병 환자에 있어서 치료제로 사용하는 레보도파 치료제의 반응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LID의 발생 유무가 이 두 가지 SNP의 빈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 보았다. 셋째, 4년을 기준으로 하여 LID의 발생 시기가 이 두 가지 SNP의 빈도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 보았다. 본 연구는 전향적인 코호트 연구로서 첫째, 레보도파의 투약에 반응이 있고 레보도파의 투약 기간이 적어도 1년 이상 지속된 파킨슨병 환자의 혈액에서 DNA를 추출하여 보관하였고 레보도파 투약 시작 시점부터 적어도4년 이상의 추적 관찰을 통하여 진단이 분명한 파킨슨병 환자의 rs6267유전자형과 rs4680 유전자형의 빈도를 분석하여 정상인과 COMT의 낮은 활성도와 관련 있는 대립 인자인 T와 A를 갖는 유전자형의 빈도가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환자들을 4년을 기준으로 LID 발생 유무를 기준으로 하위 그룹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두 가지 하위 그룹들 간에 두 가지 SNP에서 COMT의 낮은 활성도와 관련 있는 유전자형의 빈도가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4년이라는 레보도파 투약 기간을 척도로 하여 LID 발생 시기를 기준으로 하위 그룹 분석을 시행하였다. 4년 이내에 LID 가 발생한 환자들을 조기 LID발생군으로 분류하였고 4년 이내에 LID가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을 만기 LID 발생군으로 분류하였다. LID의 발생 유무와 발생 시기에 따른 두 가지 하위 그룹들 간에 두 가지 SNP에서 COMT의 낮은 활성도와 관련 있는 유전자형의 빈도가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178명의 파킨슨병이 있는 환자군에서 SNP의 빈도 는 rs6267에서 GG, GT, TT= 78.1%, 20.2%, 1.7%였고 rs4680에서는 GG, GA, AA=48.3%, 43.2%, 8.4%였다. 정상인의 SNP의 빈도는 rs6267에서 GG, GT, TT=85.6%, 14.0%, 0.5% 였고 rs4680에서는 GG, GA, AA=53.9%, 38.0%, 8.1%였다. SNP의 빈도를 환자군을 정상군사이에서 비교하였을 때 rs6267의 GT와 TT의 유전자형의 빈도는 파킨슨병 환자에서 증가 되어 있었다(p=0.026, Adjusted OR=1.802). 둘째, 178명의 진단이 분명한 파킨슨병 환자들 중에서 적어도 4년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전체 환자의 65.7%에 해당하는 117명의 환자는 LID를 보이지 않았고 전체의 34.3%에 해당하는 61명의 환자들은 레보도파 치료 중에 뚜렷하게 지속적인 LID를 보였다. 발생 유무에 따른 하위 그룹 분석 결과 두 가지 SNP에서 그룹간에 빈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61명의 LID 발생군에서 이들 중에서 44.3%에 해당하는 27명의 환자가 레보도파 투약 후 4년 이내에 LID가 발생한 조기 LID발생군으로 분류하였고 55.7%인 34명이 레보도파 투약 후 4년 이후에 LID가 발생한 만기 LID군으로 분류하였다. 4년을 기준으로 한 LID 발생 시기에 따른 하위 그룹 분석 결과 COMT SNP에서 두 가지 SNP중 rs6267 에서 COMT 효소의 활성도를 감소 시키는 유전자형인 GT와 TT를 갖는 환자군은 4년 이내 조기 LID 발생과 관련이 있었다(p=0.016, Adjusted OR=5.167). 그러나 rs4680은 LID 발생 시기가 다른 두 그룹간에 유전자형의 빈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rs6267은 LID 의 발생 시기와는 관련이 있으나 발생 유무와는 관련이 없었고, rs4680은 LID의 발생 시기, 발생 유무에 관련이 없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아직까지 기전이 잘 밝혀지지 않은 LID에 대한 유전적인 배경에 대한 의미 있는 증거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후보 표적은 rs6267 과 rs4680로써 rs6267은 본 연구 결과는 COMT SNP 중에서 지금까지 파킨슨병 환자에서 한번도 연구되지 않은 후보 표적이다. 본 연구 결과로 rs6267의 GT와 TT의 유전자형이 조기 LID발생에 있어 감수성을 증가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며 rs6267의 GT와 TT유전자형을 선별하는 유전자 검사가 레보도파를 투약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LID의 조기 발생의 위험도를 예측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조기 LID 발생의 위험도가 있는 유전자형을 가진 파킨슨병 환자는 레보도파 투약 후 비교적 빠른 시기에 LID를 보일 수 있으므로 레보도파의 투여량을 줄일 수 있는 다른 치료 방침으로의 전환을 조기에 고려 할 수 있다

      • 음주 소비 자료를 적용한 영 과잉 순서형 프로빗 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분석

        박세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통 순서화된 이산형 랜덤변수를 모델링 하는 데에 일반적으로 사용해 온 방법은 순서형 프로빗 모형 또는 로짓 모형이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이산형 자료들은 과도한 양의 영 값을 포함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 같은 영 과잉 자료는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적절한 모형을 채택하지 못할 경우, 많은 양의 영 값이 분석의 분포가정과 추론을 모두 무용지물로 만들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순서형 프로빗 모형은 과도한 양의 영 값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한된 능력을 가진다. 특히 영 값의 선택이 두 개의 구별된 영역에 관련되어져 있을지도 모를 때는 더욱 그렇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OP모형의 확장 개념인 영과잉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시켜 영 과잉을 모형에 고려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영 값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결과를 통한 설명을 덧붙여 영과잉 순서형 프로빗 모형이 순서형 프로빗 모형보다 더 적합함을 보일 것이다. 두 개의 잠재변수 방정식을 이용한 영과잉 순서형 프로빗 모형은 영 값을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타입과 그렇지 않은 타입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보기 때문에 적용한 모형의 한계효과를 보면 같은 설명변수임에도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으로부터 얻은 음주관련 데이터를 모형에 적용시켰으며 데이터는 약 43000개의 관측치로 이루어져 있고 전체의 약 53%가 영 값을 가지는 데이터이다. 음주관련 데이터를 영과잉 순서형 프로빗 모형에 적용시킴으로써 설명변수들이 음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것이다. In general, an ordered probit(OP) or logit model is used in modelling a discrete ordered random variable. However, many ordered discrete data sets are characterized by excess of zeros. This kind of data have difficulty in analysing. Traditional OP model have limited capacity in explaining such a preponderance of zero observations, especially when the zeros may relate to two distinct sources. If such underlying processes are modelled incorrectly, it could invalidate any subsequent policy implications. Additionally, even the same explanatory variable could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two decisions. Therefore, we apply zero-inflated ordered probit models and carry out the analysis using the Bayesian approach. This model involves two latent equations: a probit selection equation and an OP equation. This split the observations into two regimes that relate to potentially two different sets of explanatory variables. In this paper, The model is applied to Alcohol dataset fro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which involves an estimation sample of nearly 43000 individuals and 53% of zero observations. The application clearly illustrates the extra insights provided by the ZIOP model in analysing the effects of some important explanatory factors.

      • 정신과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세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job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10 psychiatric nurses, over 1 year working at psychiatric departments in general hospital or psychiatric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 2015 to March 30, 2015, by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the IBM SPSS 19.0 program. Results: Predictors of the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were job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shift duty, and career at psychiatric ward, explaining 34.1% of the variance in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was job stress. Conclus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essential that we find strategies to prevent psychiatric nurses from burnout in regard to various factors such as job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shift duty, and career at psychiatric ward.

      •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효율적 VE 프로세스 모델 제안

        박세미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d the 'Integrated VE and Smart Technology Model (INVEST Model)' to induce efficient VE activities in the 4th industrial era. To do thi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eories and studies related to the smart technology in VE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were analyzed. Also,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mart technology and VE were identified. Next, the perception of smart technology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investigated for construction managers, and the degree of influence of smart technology on the VE process activities was investigated for those who experienced VE activities. And 'Integrated VE and Smart Technology Model (INVEST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By establishing a new VE process model suitable for the 4th industrial era through the INVES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meaningful results were established that can establish easier and more efficient VE activiti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VE in Korea has problems in easy usability, practice effectiveness, cost compensation , function improvement and value evalua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development of a new VE process model was needed as improvements were largely needed in the business sector, compensation sector, and recognition sector. Second, smart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being applied in the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stages. Through the survey, the construction managers had low awareness of smart technology, but the future prospects were positive. For this reason, continuous publicity and development strategies are required. In addition, smart technology is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such as increasing safet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improving construction quality, developing new technologies and sharing construction inform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side effects such as reduction of construction manpower jobs, uniform construction management, limitations of application construction sites, non-use of existing construction equipment, and connection with accidents were predicted. Third, in order to build the INVEST Model, the influence of smart technology for each stage of the VE process was investigated for those with experience in performing VE, and through this, the influence of smart technology for each stage of VE could be derived. The high-impact VE stage was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Idea Generation Phase, User’s Needs Estimation Phase, Project Information Collection Phase, Outline·Detailed Evaluation Phase, and Object Selection Phase, and the low-impact stage was VE Team Organization Phase, VE Place Selection Phase, LCC Analysis Phase, Function Evaluation Phase, and Proposal Writing Phase. And, smart technologies with high impact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Cloud, Big Data, BIM, Blockcha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On the other hand, Robot Automation, Drones, Biometrics, Lifelogging, and IoT Sensor technologies were analyzed lowest in that order. Fourth, effective smart technology can be selected and applied for each VE stage through this INVEST Mode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tore, process, share and decide a large amount of VE information, and it is possible to thoroughly manage security from the outside, and it can induce efficient activities of VE team members. Key word : Smart Technology, Value Engineering Process Model, 4th Industrial Technology, Construction Industry, Integrated VE and Smart Technology Model. 본 연구는 활용의 어려움, 실무적용의 한계, 보상기준의 미흡, 가치평가의 비 객관성 등 여러 문제점을 내포 한 것으로 파악된 기존의 VE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4차 산업시대에 적합한 VE 활동을 유도하고자 ‘스마트기술을 활용한 VE 프로세스 모델(Integrated VE and Smart Technology Model : INVEST Model)’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VE와 건설산업의 스마트 기술에 관련한 이론, 연구, 실무 현황을 분석하였고, 건설 실무자를 대상으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건설산업에 있어 현재까지 스마트 기술의 인지도는 높지 않으나 본격적으로 적용시 안전성 확보, 공사기간 단축, 품질보장, 신기술개발 및 건설정보 공유 등의 긍정적 효과를 크게 기대하고 있으며, 인력고용의 축소, 획일적 현장관리, 적용현장의 한계성, 잉여기기 낭비 및 결함의 연계성 등 부작용도 함께 예측하였다. 또한 VE 활동 경험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기술의 VE 프로세스 활동에 대한 단계별 영향정도를 조사한 결과 아이디어 창출, 사용자요구측정, 프로젝트 정보수집, 개략·상세평가 및 대상선정 단계 등의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고, VE 팀 구성, VE 시행장소 선정, LCC분석, 기능평가, 제안서 작성 등은 상대적으로 영향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시에 영향도가 높은 스마트 기술은 클라우드, 빅 데이터, BIM, 블록체인, 인공지능, 및 AR·VR 기술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고, 로봇자동화, 드론, 생체인식, 라이프로깅 및 IoT센서 기술의 순으로 낮게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INVEST Model을 구축하고, 각 단계별 INVEST Model의 활용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VE 단계별로 효과적인 스마트 기술을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는 VE와 관련한 방대한 정보의 저장, 처리, 공유, 결정이 가능하고 외부로 부터의 보안도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VE 팀원들의 효율적인 활동을 유도할 수 있다. 향후 실무적 적용 사례 증가를 통한 스마트 기술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스마트 기술에 적합한 새로운 체계의 VE 프로세스를 구축하며, 스마트 기술의 반복된 경험을 통한 설문 조사대상자의 전문성 확보 및 실제 VE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시뮬레이션 과정 등을 수행하여 INVEST Model의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 키워드 : 스마트 기술, VE 프로세스 모델, 4차 산업기술, 건설산업, VE 및 스마트 기술 통합모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