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8세기 동아시아(韓中日)의 自畵像 연구

        박선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自畵像은 ‘主體의 表現’이라는 예술의 본질을 끊임없이 환기하면서 美術史에서 흥미롭고 중요한 연구대상이지만, 東洋에서는 17세기 후반에서야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畵目이다. 이러한 짧은 역사성과 남아있는 작품수가 극소수라는 원인도 있겠지만, 현재까지의 선행연구는 대개의 경우 개별적 화가의 생애와 작품의 연장선에서 다뤄지거나, 人物畵나 肖像畵의 일부로서 언급되는 정도에 머물러 자화상을 주제로 한 본격적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또한 자화상은 ‘自意識의 존재론적 覺醒’을 촉발하는 시대와 사회문화적 성장을 통해 발현되고, 그 時代正體性과 함께 분석되어야 온전히 이해될 수 있는 意識史이기에, 완전히 독립적이기보다 상대적인 비교와 고찰을 통한 比較文化史的 접근이 요구되고, 그 重要性이 증대됨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연구는 현재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서 출발하여 18세기 동아시아 삼국의 자화상을 비교 연구하였다. 한·중·일 삼국은 동아시아의 오랜 歷史的 연원과 깊은 思想的 긴밀함, 유사한 文化的 습속의 傳統을 공유하고 있다. 세계사적으로도 가장 역동적이었던 18세기에는 동아시아 역시 격변의 시대를 거쳐 새로운 동아시아 秩序로 재편되고, 동아시아 삼국도 相對的 主體性의 자각으로 공통의 전통에서 분기되어 固有性이 확립되던 시대이다. 이런 시대적 변화는 意識의 변화를 수반하면서 문화 창작자에게 主體的 동기를 고양시켰고, 적극적인 시대인식을 이끌게 되었다. 자화상에서 外面의 寫實的 再現의 문제를 넘어 內面의 ‘닮음’이라는 문제는 ‘傳神’이라는 동양적 화두에서 출발하며, 결국 화가 스스로가 자신을 규정하는 傳神의 문제로 귀결되면서, 그의 認識과 시대적 樣式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능동적 주체’의 표출인 자화상은 時代精神을 대변하며, 시대를 반영한 社會的 關係의 기호로 형상화되고, 그러면서도 화가의 繪畵的 자기결정이라는 측면에서 가장 창조적 文化行爲로 평가할 수 있다. 18세기의 中國은 明淸交替라는 정치적 격변기속에서도 江南地域은 오랜 文人的 전통속에서 부흥된 陽明學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맞물리며 庶民階層이 성장하였고,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의 중심이 되었다. 이런 문화적 르네상스는 創作意志를 고취하였고, 내면의 感情에 충실한 個性으로 확장되고 표출되면서, 時間과 狀況이 누적되는 多層的인 내러티브를 구축하였다. 시대를 선도한 石濤는 자신의 敍事와 자신의 哲學的 명제를 하나의 누적된 有機的 自我로 再構成한 독창적인 자화상을 남겼다. 揚州의 풍요로움은 화가들 스스로에게 독립적 自適의 삶을 긍정하며 日常性을 路程하게 하였고, 다양하고 풍부한 自意識을 드러내게 하였다. 華嵒의 소탈한 일상성, 高鳳翰의 劇的 演出에서 현실로의 연대기적 변화, 金農의 복층적이며 선택적인 자기인식과 투영, 羅聘의 내밀한 욕망과 전통의 마지막 시대적 正體性은 이런 풍부한 다양성을 견지하였다. 半島國家 조선은 깊은 戰爭의 상흔을 겪으면서 더욱 완고한 性理學的 신분질서와 敎條化된 朱子學에 경도되었고, 禁慾主義的 수양을 강조하는 엄숙한 태도가 문화를 지배하였다. 배타적인 政爭과 이념의 강박에 의한 劃一性은 유교적 祭儀性을 강화하는 활발한 肖像제작으로 이어져 높은 完成度를 성취하였지만, 자유로운 創造的 動因은 배제되었다. 자화상에서도 存在와 正體性의 본질적인 문제는 性理學的 省察과 修己의 표현으로 귀결되었다. 강렬한 실재감과 繪畵的 虛像을 중첩하는 尹斗緖의 자화상은 이런 시대를 超克하려는 省察과 實存的 기록으로 읽혀진다. 전형적인 士大夫의 삶을 살았던 李光佐는 냉철한 修己의 모습을 드러냈고, 藝苑의 총수로 일컫는 姜世晃은 시대적 규정의 한계속에서 사대부와 화가라는 二重的 내면의 慾望과 갈등을 반복적으로 투사하였지만, 시대의 典型性을 벗어나지 못했다. 섬나라 日本은 강력한 내부적 통일과 實用的인 정책의 성과로 現實的 主體性이 강화되었고, 思想과 文化의 자유로움과 都市의 급성장, 商業의 발전은 새로운 도시민 계층인 조닌(町人)을 文化主體로 성장하게 만들었다. 이들의 인간적 慾望과 현세적 享樂을 긍정하는 태도는 문화를 刹那的이며 遊戱的으로 생산하고 소비하게 하였고, 활발히 大衆化를 촉진하면서 社會를 多邊化하였다. 자화상 역시 순간의 感情을 多面的으로 표현하거나, 隱喩에 假託하는 방식이 선호되었다. 禪僧 하쿠인은 달마에 의탁한 종교적 정신을, 南畵家 타이가와 베이산진, 치쿠텐은 일상속에서 그들의 취향과 문인적 정취를, 칸쿠는 세속적이고 과시적인 성향을 드러냈다. 신도시 에도(江戶)의 활력과 實驗的이고 創造的인 자극들은 시바 코칸의 가짜로 연출되어 戲畵된 자화상과 우타마로의 이중, 삼중의 은유로 작품속에 대상화된 자신으로, 호쿠사이의 때와 상황에 맞게 의도된 다양한 類型的 인물로 표현되었다. 이런 파편화되고 캐릭터화된 類型性은 表現主義的이며 歸納的 사고를 반영한 불완전하지만 近代的 시각이었다. 단 한 세기를 통해 自畵像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한다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하지만, 18세기의 자화상은 가장 동아시아적인 그러면서 한중일의 社會⋅文化的 固有性을 분별하게 하는 중요한 畵題이다. ‘자화상을 통해 時代의 眞實을 본다.’ 또는 그 반대도 다르지 않다는 전제로 시작한 이 연구는 ‘存在의 證明’이라는 자화상을 통해 畵家의 自意識에 각인된 時代認識과 正體性이 의도적인 選擇을 통해 繪畵的인 眞實이 表出되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는 삼국의 比較를 통해 전체의 連結性과 각각의 一貫性을 재차 확인하는 결과로 이어지며, 美術史에서 비교연구의 중요성과 자화상이 어떤 畵目보다 시대적 진실을 분명하게 드러내는 중요하고 독특한 지위를 提高하게 되었다. For a relatively long time, the self-portrait has been an interesting and important research subject in art history as it constantly evokes the essence of art or the "expression of the subject," but in the East, it is an art genre that appeared in earnest only in the late 17th century.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been dealt with as an extension of individual artists' lives and works, or have remained a part of portraits, and full-scale studies on self-portrait are insufficient, which may be due to their short history and the small number of remaining works. In addition, since a self-portrait is expressed through socio-cultural growth and the times that trigger “the ontological awakening of self-consciousness,” it is a conscious history that can be fully understood only when analyzed by placing it in the time to which it belongs. A comparative, instead of a completely independent, cultural and historical approach through relative comparison and consideration is required,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is regard so far. This research compared and studied self-portraits from three 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18th century. These countries share the long historical origins of East Asia, deep ideological closeness, and follow similar cultural traditions. In the 18th century, which was the most dynamic period in world history, East Asia was reorganized into a new East Asian order through an era of upheaval, and the three countries branched from a common tradition with the awareness of relative subjectivity, establishing their uniqueness. These changes raised the subjective motivation for cultural creators and were also accompanied by changes in consciousness, which in turn led to an active awareness of the times. Beyond the issue of realistic representation of the outside in self-portraits, the issue of “similarity” arises from the oriental idea of “transmitting the spirit” and eventually becomes the artist's definition of the idea, thus including his perception and the style of the time to which he belongs. Therefore, the self-portrait is an expression of an “active subject” and thoroughly represents the spirit of the times. It is embodied as a symbol of social relations and can be evaluated as the most creative forward-looking cultural act in terms of the artist's self-determination. In 18th century China, even amid the political upheaval due to the transition of the emergent Qing dynasty and the incumbent Ming dynasty, two major dynasties in Chinese history, the Jiangnan area(江南地域; a geographical and cultural region that covers the southernmost part of China) became the center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s in conjunction with the advance of the low class which grew up owing to the free atmosphere of Yangmingism(陽明學) reviving in the long literary tradition. This cultural renaissance inspired people's creative consciousness, expanded and expressed as a personality faithful to inner emotions, and built a multi-layered narrative in which time and situation accumulated.  Shi'tao(1642-1707) created a unique self-portrait where he reconstructed his narrative and philosophical proposition into a single accumulated organic self. Through the expression of abundance, Yangzhou(揚州) affirmed the lives of artists. Artists revealed diverse and rich self-consciousness, living independently without being bound to anything, and recognizing daily life as a path or process. This rich diversity is also found in Hua-Yan (1682-1756)'s simple daily life, the chronological change from Gao- Fenghan(1683-1749)'s dramatic expression to reality, Jin-Nong (1687-1764)'s multi-layered and selective self-awareness and projection, and Luó-Pìn(1733-1799)'s inner desire and traditional identity. Joseon(朝鮮), a peninsula state, became more stubbornly blind or preoccupied with the Neo-Confucian status order through the scars of a deep war. It also became preoccupied with dogmatized self-study, and the solemn attitude emphasizing ascetic discipline thoroughly dominated its culture. The uniformity of Joseon's exclusive political strife and obsession with ideology led to active portrait production that reinforced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rituals, achieving high completeness, but this excluded the free creative motivation. Even in self-portraits, the essential issues of existence and identity resulted in Neo-Confucian reflections and expressions of self-discipline. Yoon Doo-seo(1668-1715)'s self-portrait, which combines a strong sense of reality and pictorial illusions, is studied as a reflection and existential record that transcends this era. Lee Gwang-jwa(1674-1740), who lived a typical life as a nobleman, expressed thorough self-control, and Kang Se-hwang (1713-1791), referred to as ‘The head of Yewon(a group of art circles at the time)’, In the face of social pressure, he repeatedly projected the dual inner desires and conflicts of noblemen and artists, but failed to escape the typicality of the times. Japan, an island country, strengthened its realistic subjectivity with the achievement of strong internal unification and practical policies and led to the freedom of thought and culture as well as the rapid growth of cities, and the development of its commerce led to the growth of Chōnin(町人, townsman), a new urban resident class. Japan's attitude of acknowledging and affirming human desires and contemporary pleasures enabled Japanese culture to be produced and consumed in a fleeting and playful way, the popularization of culture and diversified society. The self-portrait was also preferred to express the emotions of the moment in multiple ways or metaphorically. The Zen monk Hakuin(1686-1769) expressed a religious spirit entrusted to Bodhidharma, Nanga(南畵, Japanese literary) Painters Taiga(1723-1776) Beisanjin(1744-1820) and Chikuden(1777-1835) expressed their tastes and literary mood in their daily lives, and Ganku(1749-1838) expressed secular and conspicuous tendencies. The vitality and experimental and creative stimuli of the new city Edo(江戶, the former name of Tokyo) were express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n Shiba Kōkan(1747-1818)'s self-portrait that was fake and caricatured, in Utamaro(1753-1806)'s self-portrait that projected and objectified double and triple metaphors, and in Hokusai(1760-1849)'s various typical characters intended for the time and situation. This fragmented and characterized typology was an incomplete but modern perspective that reflected expressive and inductive thinking. There is a limit to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self-portrait through a single century, but self-portrait in the 18th century is the most East Asian and is an important topic that distinguishes the social and cultural uniqueness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study, which began on the premise that “we see the truth of the times through self-portrait” or vice versa, confirms that the pictorial truth was succinctly yet symbolically expressed through intentional choices of the perception and identity of the times imprinted on the artist's self-consciousness through a self-portrait. These findings lead to a reaffirmation of the overall connectivity and consistency of the three countries. It enhances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research in art history and contributes to enhancing the important and unique status of self-portrait, thus revealing the truth of the times more distinctly than any other art genre.

      • 한국 대통령선거 TV 정치광고의 유형과 전략에 관한 연구

        박선후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통령선거에 텔레비전 정치광고가 사용된 후 20년 동안의 TV 정치광고물을 분석하여 한국의 TV정치광고의 유형와 전략에 대한 또 하나의 분석틀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분석범위는 텔레비전 정치광고가 처음 실시된 1992년 제14대 대통령선거부터 2012년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방영된 총 10명의 대통령후보의 57편 광고이다. 본 연구는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소구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내용분석(contents analysis)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소구방식은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표현방법의 차이에 따라 긍정적 광고와 부정적 광고 두 가지로 나누고, 부정적 광고에서는 공격의 강도를 추가로 분석하였다. 소구내용은 메시지의 내용의 차이에 따라 이미지광고와 이슈광고로 분류했다. 소구방식과 소구내용으로 분석했을 때의 간과할 수 있는 광고기법과 관련하여서는 소구내용인 이미지와 이슈를 내용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후보자들의 지지율 변화에 따른 정치광고의 전략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대통령선거(제14대~제18대) 각 후보들의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긍정광고와 부정광고 추이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의 대통령선거에서 사용된 부정광고 중 공격의 강도는 어떠한가? 셋째, 한국의 대통령선거에서 사용된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내용은 이미지와 이슈 중 어떠한 내용을 더 집중적으로 사용하였는가? 넷째, 대통령선거에서 중점적으로 사용한 이미지와 이슈내용은 무엇인가? 다섯째, 후보자들의 지지율에 따라 정치광고의 전략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연구결과, 첫째, 한국 대통령선거(제14대~제18대)의 텔레비전 정치광고의 소구유형의 추이는 부정광고보다 긍정광고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둘째, 대통령선거 정치광고에서 사용된 부정광고 중 공격의 강도는 약화되는 추세이다. 셋째, 정치광고 내용은 정책과 같은 이슈보다는 후보자의 이미지를 강조하는 내용이 많았다. 넷째, 대통령 후보들이 중점적으로 사용한 이슈는 경제였으며, 이미지는 ‘힘 있는 대통령’을 강조하는 내용이 많았다. 다섯째, 후보자들은 지지율이 낮을수록 정치광고에서 네거티브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 Coupled Analysis for 6-DOF Dynamics of UAV and Modified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considering Gust and Flight Conditions

        박선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New industries such as reconnaissance, surveillance, and courier servic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demand and supply of unmanned aerial vehicles increase. Accordingly, many related technologies of unmanned aerial vehicles are being developed. Among them, quad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which is the most famous, is widely used. The vision arrival, and departure algorithm, and many other new technologies have been used to facilitate the use of UAV in urban areas, such as courier transportation or reconnaissance. However, there is a high risk of falling due to crosswinds or shear flows between buildings in urban areas.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realistic flight prediction capability by combination between six degree of freedom flight dynamics and precision aerodynamics while considering gust as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Transformation procedure into the wind frame is conducted to analyze gust. Hover, forward flight, and climb of an individual rotor are analyzed using the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BEMT) considering rigid blade flapping. In addition, coupled analysis between 6-degree-of-freedom (DOF) flight and BEMT is attempted. Reliability of the software, XFOIL, is demonstrated by comparison against CFD. Validation for hover, forward flight, and climb condition is attempted using the present BEMT.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for the target UAV and verification for hover are performed. In addition, experimental equipment is designed for the wind tunnel test and the experiment will be performed. Through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HILS system provided by DJI and the parameter estimation, the present 6 degree of freedom simulation that can estimate the gain of the black box type flight controller is constructed. 무인비행체의 수요 및 공급이 증가하고 정찰, 감시, 택배등의 새로운 산업이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비행체의 관련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는 실정이며 그 중에서도 가장 복잡하지 않은 형태인 쿼드로터 무인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무인기를 사용하여 도심지에서 택배 운송 혹은 정찰 등에 용이하게 쓰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한 비전 알고리즘, 출 도착 알고리즘, 그 외의 많은 신기술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도심지의 무인 비행체 운용여건상 건물 사이를 흐르는 측풍 이나 전단류 등에 의하여 추락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위험성을 해석하기 위해, 쿼드로터형 무인비행체의 공력 특성을 반영한 6 자유도 해석의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돌풍 및 비행 조건들을 고려하기 위해 바람의 좌표계 변환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강체 블레이드 플래핑 운동방정식을 고려한 깃 요소 및 운동량 이론을 이용해 개별 로터의 제자리, 전진, 상승 비행을 해석하였다. 또한 XFOIL을 사용하여 공력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전산유체역학 해석으로 검증하였다. 개발된 BEMT를 이용하여 제자리, 상승, 전진 비행 조건에 대해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한 목표 기체인 DJI Matrice 100의 블레이드의 삼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로터의 제자리 비행 특성을 비교 및 검증하였으며, 추가 풍동실험을 위해 실험장비를 설계하였다. 또한 DJI에서 제공하는 HILS 시스템의 동특성 파악과 파라미터 추정을 통해 블랙박스 형태인 비행 제어기의 게인을 추정 가능한 6 자유도 시뮬레이션을 구축하였다.

      • Development of a Real-Time Multi-rotor UAV Flight Simulation considering Aerodynamic Interference among the Rotors

        박선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5

        A multirot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has advantages such as ease of manufacture and control. Due to those advantages, UAV has been widely used in the civil and military field. Recently, as the demand for operating UAV in urban is increased, the major usage of UAV is changed from personal hobbies to commercial operations which are related to urban infrastructure. However, it is not straightforward to operate UAV in urban because of the risks such as instability of flight and crash accidents due to the gust. For quantifying those risks, it is important to predict the transient behavior of UAV accurately. Thus, this dissertation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real-time multirotor UAV flight simulation that is capable of ensuring the accuracy of dynamic behavior. The following considerations will be applied in the present flight simulation to enhance its prediction accuracy. First, the rotor aerodynamic analysis will be proposed to predict the aerodynamic loads of the rotor. The dynamic inflow approach and and rigid blade flapping will be considered in this rotor anaylsis. However, since the dynamic inflow approach was developed only for a single rotor, a novel formulation that is efficient and simple will be derived to evaluate the aerodynamic interference among the rotors. Then, the flight dynamics and the proposed rotor aerodynamics will be integrated for establishing the relevant flight simulation. Several constraints such a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and fuselage tilting angle limitation which are obtained by the trim anaylsis will be applied to the present flight simulation. Furthermore, a straightforward approach to estimate an unidentified gust will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the present simulation. The verification procedure for the present flight simulation will be performed step by step. The results obtained by the present rotor aerodynamics will be compared and validated by the experimental result and high-fidelity analysis for both an isolated rotor and multirotor configurations. Then, the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ler, and dynamic characteristics will be evaluated. Based on this, the proposed flight simulation will be compared against the flight test. Particulary, the gust experiment which corresponds to the urban environment will be used to evaluate the present simulation. Further, the influence of the rigid blade flapping, aerodynamic interference, and gust intensity will be investigated and analyzed. It is found that a suitable rotor aerodynamic analysis is an important consideration to estimate the transient behavior of UAV. 다중로터 무인항공기(UAV)는 제조 및 제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무인 항공기는 민간 및 군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 도시에서의 무인 항공기 운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무인 항공기의 주요 용도가 개인 취미에서 도시 인프라와 관련된 상업적 운영으로 변경되고 있다. 그러나 돌풍으로 인한 비행 불안정, 추락 사고 등의 위험 때문에 도심에서 무인 항공기를 운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돌풍과 관련된 위험을 정량화하기 위해 UAV의 동적 거동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동적 거동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다중로터 무인 항공기 비행 시뮬레이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예측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본 비행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다. 첫번째로, 로터의 공기역학 하중을 도출하기 위해 적용이 용이한 로터 해석 기법을 제시하였다. 이 로터 분석에서는 동적 유입류 기법과 강성 블레이드 플랩핑이 고려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동적 유입류 기법은 단일 로터에 대해서만 개발되었기 때문에 로터 간의 공기역학적 간섭을 고려하기 위해 효율적이며 간략화된 새로운 방식의 정식화를 유도하였다. 그런 다음 비행 역학과 제안된 로터 공기 역학을 결합하여 비행 시뮬레이션을 구축한다. 트림 분석을 통해 얻은 로터의 회전 속도 및 동체 틸팅 각도 제한과 같은 몇 가지 제약 조건이 현재 비행 시뮬레이션에 적용된다. 또한, 현재 시뮬레이션을 위해 식별되지 않은 돌풍을 추정하는 간단한 접근법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현재 비행 시뮬레이션에 대한 검증 절차는 단계별로 수행된다. 현재 로터 공기역학에서 얻은 결과는 단일 로터와 다중 로터 구성에 대한 실험 결과와 고충실도 분석를 이용하여 비교 및 검증이 수행된다. 그런 이후, 제어기 및 동적 특성과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한 검증이 수행된다. 해당 검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된 비행 시뮬레이션이 비행 실험 결과와 비교된다. 특히, 도심 환경을 모사한 돌풍 실험은 현재 시뮬레이션을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였다. 또한 강체 블레이드 플랩핑, 공기역학적 간섭, 그리고 돌풍 강도에 대한 영향들이 조사 및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무인 항공기의 동적 거동을 추정하기 위해 적합한 로터 공기역학 해석기법이 중요한 고려사항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