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졸업연주작품집 - J. S. Bach, L. v. Beethoven, R. Schumann, B. Bartok의 피아노 작품을 중심으로-

        박선옥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is paper, I have studied composers who attached to each period time and their pieces in history with my master’s degree course recital as the center. Johann Sebastian Bach(1685-1750)'s <Das Wohltemperierte Klavier Teil I,II> (1722, 1741), are composed of ‘Prelude’ and ‘Fuga’ each of these 24 pieces. One of the <Das Wohltemperierte Klavier Teil I, No. 6 in d minor, BWV 851>’s ‘Prelude’ is feature with harmonic motion of Toccata style and cinsist of three parts. This piece has many aspecfs of stretto and the use of contrary motion and counterpoint contrary motion and counterpoint of them. This <Piano Sonata No. 3 in C Major, Op. 2 No. 3>(1793-1795) is one of the Ludwig van Beethoven(1770-1827)’s 32 piano sonatas that affiliated with his early music. This music shows his personality and creativity with classic tradition and each of the movement shows many interesting characteristics. Also this music is written in the largest scale among three pieces belongs to Op. 2 and it represent of Beethoven’s early time music. Robert Schumann(1810-1856) composed total three piano sonatas and one of the piano sonata <Piano Sonata No. 2 in g minor, Op. 22>(1835) has movements which is based on classical period style but also combine with new Romantic period style. This music features using clara motto subject of 1st movement’s principal theme all unifying four movements. Bela Bartok(1881-1945)’s music <Piano Suite Op.14>(1916) uses folk dance rhythm that shows remarkable folk color. All of these movements has features of staccato and accent makes rhythm effect of percussion. Also it shows a lots of tempo changes and ostinato figures. 본인은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각 작품의 시대별 배경과 작곡가별 작품에 대해 알아보았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Das Wohltemperierte Klavier Teil I, II>(1722, 1741)은 각각 24개의 프렐류드와 푸가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Das Wohltemperierte Klavier Teil I, No.6 in d minor, BWV 851>의 프렐류드는 토카타(Toccata) 풍의 화성적 진행의 특징을 가졌으며, 푸가의 경우 3성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트레토가 많고 반진행형의 주제와 대위법적으로 쓰인 것이 특징이다.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피아노 소나타는 모두 32곡으로, 그 중 <Piano Sonata No. 3 in C Major, Op. 2, No. 3>(1793-1795)는 베토벤의 초기에 속하는 작품으로 고전적 전통을 따르면서도 창작성과 개성이 부여된 곡으로서 각 악장들의 성격이 매우 명확하다. 또한 Op. 2에 속하는 3개의 곡 중 가장 큰 규모의 곡으로 베토벤 초기를 대표할 수 있는 작품이다.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의 피아노 소나타는 모두 3곡으로, 그 중<Piano Sonata No. 2 in g minor, Op. 22>(1835)는 고전적인 형식을 바탕으로 낭만적 양식의 새로운 요소를 결합한 4악장의 소나타이다. 이 곡은 제 1악장에 쓰인 제 1주제의 도입 모티브인 하행동기(클라라 모토: Clara motto)를 순환주제 형식으로 사용하여 전 악장이 통일성과 간결함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벨라 바르톡(Bela Bartok, 1881-1945)의 모음곡 <Piano Suite Op. 14>(1916)는 민속춤곡풍의 리듬을 사용하여 민속적 색채가 두드러지는 곡이다. 이 곡은 전체적으로 스타카토와 악센트를 사용하여 타악기적인 리듬효과를 내고 있으며, 오스티나토 음형을 사용하고 템포의 변화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장자의 소요유(逍遙遊)정신을 바탕으로한 한국화 표현 연구

        박선옥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옛 선인들은 산수 자연의 이치를 깨닫고, 자연에 순응하며 조화롭게 살아왔다. 자연과 공존하면서 살아오던 인간은 이기심으로 인해 자연을 정복하고 인간성 상실의 심각한 문제를 만들었다. 자연 풍경을 감상하거나 숲길을 거닐다 보면 마음이 안정되고 평온해짐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인간이 본래 대자연의 한 부분이기에 자연으로부터 치유되는 까닭이다. 자연주의 철학을 대표하는 장자 철학은 오늘날 미래 대안적 요소라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본 논문은 연구자의 삶과 이상세계와 자연에의 동경이 출발점이 된다. 이는 장자(莊子) 철학의 핵심 사유 개념인 ‘소요유(逍遙遊)’ 정신과 깊은 연관이 있다. ‘소요유’는 어디에도 구속되지 않는 절대 자유의 경지에서 자유로이 노닒을 뜻하고 정신초월(해탈)을 의미한다. 역대 화론과 작품의 고찰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옛 선인들은 산수 자연을 통해 정신을 함양하였고, 이를 통해 정신적 초월의 힘을 얻었으며, 화폭에 옮기기도 했다. 연구자가 표현한 자연 풍경, 벚꽃 등의 대상은 정신초월의 힘을 주었고, 마음의 자유를 누릴 수 있게 해주었다. 초월의 힘을 주는 대상은 어떤 무엇일 수 있다. 소요유(정신초월)에 이르는 수행 방법에는 심재(心齋)와 坐忘(좌망)이 있다. 이러한 수행으로 온갖 물욕에서 벗어나면 ‘허정(虛靜)’의 상태가 되고, 허정(정신적 초월)의 상태는 예술정신과도 통한다. 인간의 본성을 찾아가는 삶은 도를 체득하는 삶이며 예술적인 삶이라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삶과 예술 창작의 지향점은 ‘소요유(逍遙遊)’ 정신과 닿아 있다. 소요유 정신의 내용을 작품으로 형상화하기 위한 연구자의 노력은 자연을 통한 마음의 정화와 성찰적 삶의 자세로부터 시작된다. 소요유 정신을 형상화하여 제작한 한국화 표현의 특징은 첫째, 자연 풍경의 사실 묘사이다. 인위(人爲)가 없는 자연(自然) 그대로의, 내면과 외면의 일체이며 만물의 근원인 도가 잘 내재 되어 있음을 표현한 방법이었다. 예술 창작은 아름다움의 창조이기에 훌륭한 작품은 작가가 정신적으로 맑고 안정된 상태에서 대상과 일체가 되어 그 본질까지 읽는 심안(心眼)이 필요하다. 둘째, 물을 소재로 자아 성찰의 의미를 부여했다. 물(水)에 투영된 풍경은 자아 성찰의 의미가 담겨 있다. 인간의 본성인 덕(德)을 밝혀, 도(道)에 근접해 가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하였다. 셋째, 빛의 표현이다. 어둠을 밝혀주는 희망의 상징에 의미를 두었다. 넷째, 경험된 희망의 상징성에 대한 표현이다. 어려운 상황에서 정신초월(소요유)의 힘을 주는 소재(벚꽃)에 대한 표현이었다. 마지막으로, 혼합재료의 사용이었다. 전통 재료와 혼합재료를 사용하여 입체적 질감과 반 부조(릴리프)의 효과를 표현했다. 작품을 창작하는 작가의 내면 정신의 반영은 예술작품의 가치로 평가된다. 연구자의 마음 정화는 인간 본성을 찾는 과정이기도 했다. 인간의 본성을 찾을 때 모든 사물과 삶은 미적 대상이 될 수 있고, 정신초월을 이룰 수 있다. 진정한 예술작품은 인간성 회복의 내용을 담아 제시하고 선(善)한 영향을 주어 마음을 정화하는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형이상학의 철학을 한국화로 표현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소요유 정신을 마음에 담아 작품으로 승화시켜 감상자에게 마음의 위안을 주는 작업을 해 나갈 것이다. 본 논문의 이론적 고찰과 연구는 본인의 작품세계를 확립하는 지표가 되었고 삶에 있어서 통찰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본 연구는 앞으로 자연적인 삶의 실천과 성찰적 자세로 전통과 현대를 포괄하여 예술 창작활동을 펼쳐나갈 지침으로 삼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Our ancestors understood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lived harmoniously following the ways of nature. Humans stopped living harmoniously with nature but instead selfishly conquered it, causing a serious problem: the loss of humanity. We experience inner peace and calmness while we take a walk in the forest or enjoy nature. Humans heal through nature because humans are indeed a part of nature. ZhuangZi is a prominent philosopher of naturalism. In the present moment, his philosophy receives a special significance as it provide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future. This research begins with the researcher’s life, her utopian world-view, and her admiration towards nature. This is deeply connected to ZhuangZi’s XaioYao You, which is his central philosophy. XaioYao You explains what it means to be free without shackles, a true carefree wandering, at the most transcendental echelon. As we can gather from our ancestors paintings’ and historical theories of arts, they cultivated their minds through landscape and nature. By doing so, they acquired transcendence and transferred this into painting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er’s artistic expressions, such as natural sceneries and cherryblossom flowers, enable her to transcend and to experience mental freedom. Anything can provide a transcendental force. There are two ways to achieve XaioYao You: XinXhai, fasting of the mind, and ZuoWang, sittig in a state of mental abstraction. Through these disciplines, you transcend into a state of XuJing, "empty mindedness," with no material obsessions. XuJing, a transcendental mind, is connected with an artistic mind. A life that recovers its fundamental humanity is a life that achieves moral actualization and it is also an artistic life. The researcher’s life and her creative directions coincide with the values of XaioYao You. The researcher’s attempt to illustrate the concept of XaioYao You into an artwork begins with her contemplative approach to life and clearing of her mind through nature. A realistic image of nature i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rean art that portrays the values of XaioYao You. It is a method to portray the essence of all creations, the inner and outer unity, without artificiality but only with nature. Creating art is to create beauty; to create great art, an artist needs a mental clarity to achieve XinYan to be able to become one with the subject matter and understand its intrinsic essence.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usage of water to highlight the meaning of self-actualization. The landscape that is reflected on the water signifies the introspection of one's ego This is to express the researcher's hope to reach moral righteousness by focusing on the virtues of human nature. The third characteristic is the expression of light. Light is used as a symbolism of hope that clears away darkness. The fourth characteristic is the portrayal of an experienced hope. The subject matter, cherryblossom, is used as a medium that empowers one to overcome hardship, achieving XaioYao You. The last characteristic is the use of mixed media. Three-dimensional textures and relief effects are achieved by using both mixed media and traditional materials. An artist's inner lucidness is reflected and evaluated through the artwork‘s worth. The researcher's course of purifying her mind is also the process to rediscover her human nature. When human nature is regained, one can transcend and all objects and lives can become the artistic subject. True art narrates the story of recovery of humanity; it generates good-will and purifies the mind. Expressing metaphysics through Korean art is not an easy task and requires a great amount of research and effort. The researcher will continue to console the minds of the viewers by creating art that embraces the values of XaioYao You. This study, through its research and theoretical contemplations, allows the researcher to solidify her own aesthetic world-view; i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to gain insights of life itself. Moving forwards, this study will act as a future guide in creating artwork through the continuation of natural living, introspective attitudes, and combining traditional and modern aspects.

      • 소유구조와 조세회피 사이의 관계

        박선옥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세회피행위는 기업의 이익을 증가시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지만 국가의 재정수입을 감소시키고 국가유지 및 자원배분의 왜곡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조세회피전략과 과세기관의 과세권사이에는 상충관계가 존재한다. 조세회피행위는 과세기관과 납세자 사이에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부의 이전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조세회피에 관한 자료의 접근이 제한적이어서 이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고 결과 또한 일관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된 비금융기업 중 12월 결산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소유구조가 조세회피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기업경영은 재벌경영체제이기 때문에 최대주주지분율을 기업소유구조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1998년 외국인에 대한 주식투자의 한도가 전면 폐지되면서 외국인투자자의 보유지분율의 증가와 더불어 외국인투자자들이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외국인지분율을 소유구조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였다. 조세회피측정치는 발생액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DD_BTD), 유효법인세율(ETR), 누적현금유효법인세율(LONGCAHSETR), 자본단위당 세금보조금(TSE)의 조세회피측정치를 사용하여 기업의 소유구조에 대한 조세회피행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설계에서 고윤성 외(2007), 박종국⋅홍영은(2009) 등 선행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개별적 분석방법과 이균봉(2010), 오정택⋅김영화(2010), 강정연⋅김영철(2012)의 종합적 분석의 두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설계가 소유구조와 조세회피의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최대주주지분율과 조세회피는 음(-)의 유의한 방향으로 나타나서 최대주주지분율이 증가할수록 조세회피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최대주주의 감시⋅감독으로 인해 정보비대칭이 감소하면서 대리인비용이 줄어들어 경영자가 조세회피를 사적편익의 수단으로 이용하기 어려워지므로 적극적인 조세회피행위가 줄어드는 것으로 판단된다. 외국인지분율과 조세회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음(-)의 관련성을 보여서 외국인투자자들이 적극적인 조세회피를 통한 조세부담의 최소화 전략보다는 회계이익을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높이려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서로 상반된 연구결과가 연구모형의 설계 때문이라는 강정연⋅김영철(2012)의 주장에 의해 개별적 분석과 종합적 분석을 하였지만 두 분석결과에서 서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강정연⋅김영철(2012)의 주장과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소유구조의 특성과 1998년 이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투자자의 보유지분을 고려하여 최대주주 지분율과 외국인투자자의 지분율을 소유구조의 대용변수로 사용하여 조세회피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업과 정부가 앞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조세행정의 분야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둔다. 또한 조세회피측정치로써 발생액에 의해 설명되지 않는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차이(DD_BTD)를 주로 사용하여 연구한 선행연구에 더하여 유효법인세율(ETR), 누적현금유효법인세율(LONGCASHETR), 자본단위당 세금보조금(TSE)의 조세회피측정치를 사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조세회피에 관한 자료수집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researches how a company's ownership structure is related to tax avoidance behavior. For this research, the largest shareholder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are used as proxies of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variables. The reasons for using the largest shareholder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as ownership structure are as follows: (1) Korea has a unique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of chaebol management systems, and (2) although equity holdings of foreign investors has increased since 1988, the research for this has been rare. I use Effective Tax Rate, Long Cash Effective Tax Rate, Book-Tax Differences' residuals as suggested by Desai and Dharmapala (2006), and Tax Subsidy on Equity to measure the proxy variable of tax avoidance. With respect to inconsistent findings in previous papers, Gang and Kim (2010) pointed out the problems related to tax avoidance measures and the design of research models. In the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I verify whether there were different results in associ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s and tax avoidance in two different research models using individual analysis used in the previous study and comprehensive analysis used by Yi (2010), and Gang and Kim (2012). The sample consists of Korea Stock Exchange firms over the period of 2005 to 2010, and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 that increasing the largest shareholder's stock ratio decreases tax avoidance. In other words, as the share of the largest shareholder increases, the interests of the minority shareholders and the largest shareholder coincide. Therefore, I expect the largest shareholder to reduce agency costs by decreasing information asymmetry, thus increasing the transparency of the company. Results also show that a higher proportion of foreign investors reduces the possibility of tax avoidance. Therefore, I expect that foreign investors do not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the company through aggressive tax avoidance strategies in order to minimize the tax burden, but instead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the company through accounting profit. In contrast to Gang and Kim (2012)'s assertion that differences would be seen between the individual analysis and comprehensive analysis in the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between individual analysis and comprehensive analysis.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and provides evidence of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of ownership structures and tax avoidance, and reduces measurement error of tax avoidance compared to prior studies by using Effective Tax Rate, Long Cash Effective Tax Rate, Book-Tax Differences' residuals as suggested by Desai and Dharmapala (2006), and Tax Subsidy on Equity.

      •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기초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미술교과 내 디자인 영역 분석 중심으로

        박선옥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자인은 예술을 과학이나 문화 등 다양한 학문에 응용하여 새로운 가치로 통합하는 종합적인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을 창의적 사고력과 호기심이 왕성한 초등교육과정에서부터 경험하는 것은 상상력을 키워줄 수 있는 훌륭한 접근이다. 또한 디자인을 이해하고 생활에서 직접적으로 관련시켜 우리의 생활과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는 점이 디자인 교육에 있어 절대적인 필수조건으로 요구된다. 이는 새로운 발견과 자각의 기회를 제공하여 문제해결 방법과 창의적 사고력 향상의 바탕을 이루게 한다. 창의적 사고력은 일상생활 속에서 새로운 문제에 직면하고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개인적 차원뿐만 아니라 문화를 창출하는 사회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능력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고정된 틀이 없는 아동들에게는 딱딱하고 형식적인 주입식 교육보다는 상상력을 다양하게 자극하고 자신의 의도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자신감의 발견을 통해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주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요소와 원리 즉, 형태(점, 선, 면, 입체), 빛과 색채, 질감, 통일과 변화, 공간, 구조의 기본적인 이론과 특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 초등학교 미술교과 내 디자인 영역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초등교육과정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시작되어야 하는 기초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디자인의 다양한 활동 주제를 생활 주변에서 찾아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에 의한 디자인 수업 모형을 통한 아동의 창의적 사고력과 표현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연구에 주안점을 두었다. The design is a general study that applies an art to various studies such as science or culture to combine into new value. Experience of design from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e vigorous creative thinking and curiosity is an excellent approach that can foster imagination.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our life by understanding design to be directly related to a life is an absolute prerequisite in the design education, which gives a chance of new discovery and awareness to be based on the problem-solving method and improvement in creative thinking. The creative thinking is an important ability at the social level creating culture as well as at the individual level solving a new problem in daily life. From this angle,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ovision of environment that gives children, who is no the fixed frame, courage to show their ability through the discovery of self-confidence that can freely express their intention as well as variously stir up their imagination than the strict and formal cramming education.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problems in a design field within an art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factors and principles forming the base of design, that is, basic theory and characteristic of form (point, line, plane, solid), light and color, texture, unity and change, space, and structure, and recogniz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basic design education that has to be systematically started from an elementary curriculum. In addition, the emphasis was on the study that can search various active subjects of design in and around life to improve their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ve power through the design education model by concrete and systematic problem-solving process.

      • 국내 대학 '뮤지컬 연기' 관련 교과목의 기초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선옥 세종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research on the basic training programs of the subjects related to the 'musical performances' at the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Korea. Park, Seon Ok Dept. of Performance, Film, Animation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This thesis is a research on one method of the practical education activities for training the musical actors and actresses in relation to the art education for fostering the artists. The main topic of this research is the systematization of the learning programs for the basic programs which can be shared by the musical performance-related subjects with the premise of the basic education related to the lyrics delivery ability in the musical performances. For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the method toward the proper access to the basic training for the musical performances and on the method toward the fusion training of the body and the sounds for the lyrics delivery ability. As for the conditions with regard to which it was thought that they must enter the basic program contents, among the conditions of the artistic techniques, the song analysis, the lyric show, the rhythm, the management of the body and the sound, the divided practices of the vowels and the consonants, and the actuality of the musical performances were selected and researched. The selection criteria regarding the conditions that were in the program content researches reflected the researcher's experiences at the performance venue and the education field. The preceding researches were organized with the researches in which the core contents of the bodies became the theoretical bases.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s on the field, the descriptions were made by being centered on the elements considered to be the core values of the basic training. The descriptions described about the realism, theater-centeredness, and revised realism, which are the important theatrical forms of the musical performances. As for the core elements of the musical performance techniques, the rhythm and the heightening were described. As for the core elements of the training for the techniques, the principle of the Alexander technique and the voice training of Linklater were described. The theatrical forms, the techniques, and the core elements of the training wer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erformance education. And they were reflected in the researches in this text. The actual research on the basic training and the research on the learning program contents, which are the cores of this text, were applied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experiential knowledge system of the researcher while actively reflect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for the musical performance education. Other than these, the contents, too, that were arrived at as the positive results through the theses related to the musical performance education, of which there were the precedent researches in Korea and overseas, and through the examinations of the case examples of the researches on the access methods of the performer training of the 'Seoul City Musical Troupe', with regard to which I carried out the precedent researches for this research, provided the persuasiveness to this thesis. The contents that were researched wer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a 16 weeks program for the subj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researcher's research. The researcher wanted to find out if the results of the 16 weeks program can become an example of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regarding the basic training programs of the subjects related to the musical performances at th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In order to obtain the research results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the generalization, it was intended to receive a verification regarding the effectiveness as intended by the researcher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levels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 16 weeks program on the part of the subjects of the application. The subjects of the application were 28 students in the sophomore year in the Department of Performance Art at the Gachon University, who had been in charge of the lectures in 2013 and 2014. They were comprised of the students who hoped for the musical performance while being the non-majors with regard to musical performance. The musical education in a condition in which the school has not opened the musical major can end sporadically. The researcher anticipated that the attitudes of the students will have the influences on the results of the program. And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research to find out what influences there are in case an attitude has influenced the results. Overall, the research results came out satisfactorily on an excellent level which is similar with regard to every semester.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contents that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nd applied can be presented as one example for the basic musical performance education.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time period of the survey was not short, the questionnaire survey discloses that the point that the number of the samples of the students taking the courses, who become the population, was limited to the 28 students was a limit of the research. Regarding the musical performance education, the management plans related to the experts' training programs that have considered the organic of the plays, music, dance, etc., which materialize the dramatic elements of the musicals, and the classes must be continuously researched, developed, and applied so that the students who intend to become acquainted with the diverse acting techniques, in the context of the more expanded concept, the students aspiring in relation to the musical performance, and the educators can experience the beneficial and effective basic art activities. This research intends to make a presentation so that the sharing can take place in the classes of the subjects that have the musical numbers as the texts and in the classes of the subjects of the physical training and vocalization, among the musical performance-related subject classes at the universities and colleges. We can have the high expectation regarding the role of the one reference material which proves to be helpful in enabling the beginners to experience the proper training process of the techniques acquisition and in enabling the educators to play the role of a guide to the proper approach for the students to continue their art activities after their graduation, too. Keywords : Song analysis, lyrics show, rhythm,breathing, the body and the sounds (voice). 국문초록 본 논문은 국내 대학 ‘뮤지컬 연기’ 관련 교과목의 기초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주제는 ‘뮤지컬 연기’에서의 ‘가사 전달력’과 관련된 기초 교육에 있다. ‘뮤지컬 연기’는 관련 교과목들 가운데, ‘뮤지컬넘버’를 텍스트로 하여 ‘노래 연기’를 목표로 수업하려는 교과목들과 ‘신체훈련’, ‘뮤지컬 발성’ 교과목이 공유할 수 있는 기초 과정을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뮤지컬 연기’ 기초 훈련의 ‘바른 접근’으로의 방법과 가사 전달력을 위한 신체와 소리의 ‘융합훈련’으로의 방법을 연구하였고, 예술적 테크닉의 조건들 가운데 기초 프로그램 내용에 꼭 들어가야 된다고 사려 되는 조건들로, 곡 분석, ‘가사쇼’, ‘리듬’, ‘신체’와 ‘소리’의 운영, ‘자음’과 ‘모음’ 분할 연습, ‘뮤지컬 연기’의 실제를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선정 기준은 연구자의 공연 현장과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본문의 핵심 내용들의 이론적 근거가 되는 연구들로, 뮤지컬 기초 훈련을 위한 핵심 가치라고 여기는 요소들을 중심으로 하였다. ‘뮤지컬 연기’에서의 중요한 연극적 양식은 사실주의와 극장주의, 수정 사실주의이다. ‘뮤지컬 연기’ 테크닉의 핵심요소로는 ‘리듬’과 ‘고조하기’(Heightening)이며, 테크닉을 위한 훈련의 핵심요소로는 ‘알렉산더’ 테크닉의 원리와 ‘링크레이터’의 음성훈련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그밖에 국내, 외에서 선행 연구된 ‘뮤지컬 연기’ 교육 관련 논문들과 연구자가 본 연구를 위해 선행 연구했었던 ‘서울시 뮤지컬 단’ 연기자 훈련의 접근 방법 연구 사례의 검토를 통해 긍정적인 결과로 도출되었던 내용들이 선험적 연구로 사용되었다. 연구된 내용들은 뮤지컬 기초 연기 ‘16주 프로그램’ 개발로 이어졌고, 연구자는 16주 프로그램 결과가 국내 대학 ‘뮤지컬 연기’ 관련 교과목의 기초 훈련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한 예가 될 수 있는지, 일반화 가능성의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 적용 대상자들에게 16주 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자가 의도한 바의 실효성을 검증받고자 하였다. 적용 대상자들은 2013년과 2014년에 강의를 맡았던 ‘가천대학교’ 연기예술학과 2학년 학생들 28명으로, 뮤지컬 전공이 개설된 학교가 아닌 상태에서 ‘뮤지컬 연기’를 희망하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태도가 프로그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고, 태도가 성과에 영향을 주었을 경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전반적으로 매학기 유사한 우수한 수준으로 만족스럽게 나왔고, 연구자가 개발, 적용한 내용들은 뮤지컬 기초 연기 교육을 위한 하나의 예로 제시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설문조사는 조사 기간이 짧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모집단이 되는 수강 학생의 표본수가 28명으로 한정되었다는 점을 연구의 한계점으로 밝힌다. ‘뮤지컬 연기’ 교육은 보다 확장된 개념에서의 다양한 연기술을 익히고자 하는 학생이나 ‘뮤지컬 연기’ 지망생, 교육자가 효과적인 기초 예술 활동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연극, 음악, 무용 등의 유기성이 고려된 통합된 훈련 프로그램과 수업의 새로운 운영 방안에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개발,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보자에게 테크닉 습득의 올바른 훈련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교육자에게는 학생들이 졸업 후에도 자신의 예술 활동을 지속해 나가기 위한 바른 접근으로의 안내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하나의 참고 자료로써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주요어 : 곡 분석, 가사쇼, 리듬, 호흡, 신체와 소리(음성)

      •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과학영재들의 인식 분석

        박선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에서 실시되는 과학실험수업에 대한 초등과학영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과학에 대한 태도와 초등 과학실험 중 학습문제 인식, 실험 설계, 실험, 결과 정리 4단계로 나누어 초등과학영재들의 인식과 바람을 심층 면담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J시 지역교육청 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등과학영재교육 대상자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중 40학급 미만에서는 학교당 1명, 40학급 이상에서는 학교당 2명으로 추천인원을 제한해 1차 학교장 추천을 거쳐 2차 영재성 검사와 3차 학문적성검사 그리고 4차 심층면접을 통해 선발된 학생들이다. 면담 문항에 대해 예비면담을 한 후 과학교육전문가에게 타당도를 점검받았다. 면담 질문은 과학에 대한 태도 면과 과학실험수업 중 학습문제 인식, 실험설계, 실험, 결론 도출의 4단계로 나누어 학생들의 인식과 바람으로 구성하였다. 면담은 개별로 진행되었으며 모든 면담 내용은 녹음 및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과학영재들은 과학수업에 긍정적으로 반응하였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경우 과학자체에 대한 생각이기보다는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과학수업에 대한 반응이었으며 과학 자체는 좋아한다고 하였다. 학습문제 인식과 실험 설계 단계에서 학생들은 교사 제시 및 교과서 따라하기 식의 수업보다는 예상 및 가설을 직접 세우고 토의를 통해 실험을 계획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실험 단계에서는 교사중심 및 교과서 위주의 실험 설계 경향이든 학생 위주의 실험 설계 경향이든 대부분 모둠원과 실험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모둠 구성원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본 결과 모든 초등과학영재들은 이질집단을 희망하였다. 결론 도출 단계에서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고 자신들이 수행한 실험의 결과이기 때문에 실험 결과에 대해 확신하는 경향이 대부분이었고 다른 모둠과 실험 결과가 다를 경우는 다른 모둠과 비교 및 재실험을 통해 실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과학실험수업에서 전반적으로 힘든 점은 별로 없다는 반응이 많았으며, 실험 기구의 파손 및 결과에 대한 부담 등을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과학실험수업에서의 초등과학영재들의 바람은 과학실의 개방을 통해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해 주기를 원했고 관심사가 같은 친구들끼리 주제를 정해 공부를 할 수 있기를 원했다. 또 처음부터 끝까지 자율적으로 실험하고 싶어 했으며 선생님의 대표실험 같은 것을 지양해달라고 하였다. 그리고 개별 실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으면 좋겠다고 하였고 실험에 관련된 영상물을 실험 전에 보여주기를 원했다. 이와 같이 초등과학영재들은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실험을 하기를 바라면서, 교사의 설명이나 교과서의 따라하기 식 수업보다는 모둠원과의 토의를 통하여 실험을 직접 계획하고 실험을 수행하는 수업을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n the science laboratory class, which is divided into 4 steps of understanding of lesson object, planning experiment, performing experiment and drawing conclusion in science laboratory class which are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 laboratory class with an deep interview. It selects 20 students for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who they were picked up through the first, recommendation of the principal, the second, test of talent, the third, an academic aptitude test and the fourth, the depths interview to limit recommend personnel 1 per school if an elementary school has less than 40class and 2 per school if an elementary school has more than 40 class where is on J city in Jeollabukdo. The professional of science education inspected their feasibility after having an interview with question items. The question of interview is constructed with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divided with 4steps of understanding of lesson object, planning experiment, performing experiment and drawing conclusion in science laboratory class and an attitude for science. The interview is progressed per individual and all the content of interview is record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reacts positively, or otherwise in the case of students who reacts negatively is not for just as science but for a class of science in school, he answers that he likes just as science.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a wish for building an assumption and expectation and planning an experiment with discussion more than following the textbook and teacher present on the step of recognition of study object and a plan of experiment. In the step of experiment, it expresses to do an experiment with most of the member of unit whether it tends to have an experiment plan of on aim at the textbook and core curriculum, or on a student-centered so then the result of researching about preference ratio for the member of unit presents that all of scientific talent in an elementary school wants different group. In the step of conclusion draw, most of them tend to convict the result of experiment because already they know the content and the result is what they did experiment. In the case of which result is different with other unit, it confirms the result of experiment to retest and to compare with other unit. There are a lot of reaction not difficult points generally on a class for science and they have a difficult of destroying tools and risk of a result.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wish to open a science lap which man who likes science can go and come freely and to study with friends who have a same interesting to make a theme. And from top to bottom they want to test autonomous and ask to sublate like a representative experiment of teacher. And they ask to have a chance to test individually and want to see a movie related with an experiment before doing an experiment. Like this, it presents that the science gifted elementary students want to do an experiment what they can, want to have a class which can plan and can do experiment by themselves through discussion with unit more than following explanation of teacher and a textbook without condition.

      • 중국에서의 조선족의 지위와 역할 분석

        박선옥 高麗大學校 政策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목적은 ‘조선족’이 중국의 55개 소수민족으로서 ‘선진민족’이라는 칭호를 누리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면서 살아온 조선족의 중국 내에서의 ‘지위’와 ‘역할’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 첫째, 조선족이 중국의 동북지역에서 생성된 역사적 사실과 배경을 통사적으로 분석하고, 둘째, 조선족이 중국공민의 일원으로 살아남기 위해 중국사회에서 어떠한 정체성으로, 어떠한 공헌을 하며 살았는지 분석해 보고, 셋째, 중국인이나 중국정부가 조선족을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한 시각을 살펴보고, 넷째 중국의 ‘민족정책’이란 범주 내에서 중국의 조선족에 대한 정책이 어떠한 모습으로 실현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조선족이 중국 내에서 소수민족의 일원으로 누리고 있는 현실적인 지위와 역할을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21세기 동북아에 형성되는 새로운 국제적인 역학관계의 변화와, 한·중간의 중국동북지역을 둘러싼 역사분쟁 등 21세기 동북아의 주도세력으로서 새로운 축이 될 한·중 양국의 바람직한 외교관계의 정립과 한 반도의 통일시기 도래를 고려하여, 조선족이라는 새로운 아이덴터티(Identity)가 주변환경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끔, 우리 정부나 조선족 사회의 역할을 규정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