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佛敎 法席儀禮의 變遷樣相 硏究 : 조선시대 법석의례 자료를 중심으로

        박선각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dissertation considers the change of the ritual of Beopseok in the Joseon Dynasty, a ritual for reciting the sutra. Before stuying its main topic, I looked at Beopseok in Indian Buddh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origin of its ritual, the establishment of the ceremonial ritual of Beopseok in Chinese Buddhism and that in Korean Buddhism. It was performed more than 70times, starting with Beopseok composed of the four great material elements from the reign of King Taejo to that of King Jungjong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differences in its related data. The early period is from at the rite of Jakbeob jeolcha(作法節次, 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 1496) in the late 15th century to before Ojongbeomeomjip(五種梵音集, the collecotion of the five kinds of the Brahma voice, 1661), the middle one is to before Jagbeobgwigam(作法龜鑑, the example for the rules of practice, 1826) and the late one is to the pre-modern era. The aspect of the ritual of Beopseok can be divided into ‘Gyegyecheong beopsik(啓請法式, the ceremony of invitation and worship, I-type)’ at the beginning of reciting the sutra and ‘the rite of Jakbeob jeolcha(P-type)’ in Uigwe(the ritual manuals) of Jakbeob jeolcha. Also, the aspect is divided into the first half(IV) of the fixed territory, solemn purity and advocacy, and the second half(V) of the performing ceremony of the beopseok and its closing ceremony, which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Firstly, it is the fixed territory. In the early perio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same aspect as the fixed territory in Gyegyecheong beopsik but there is mantra enshrined in the land(安土地眞言), which can be said to have the built altar and the fixed territory. Jibanmun(志磐文, the ritual program by Giban) of Suryukjae(水陸齋, the offering ritual for land and water) has its form and its mode in the rite of Jakbeob jeolcha. No special aspect can be found in the middle period nor any specific ceremony for the fixed territory is found in the late one. Secondly, it is solemn purity. In the early period, mantra for purifying the karma of the mouth or speech plays its role in Gyegyecheong beopsik and it is performed by reciting Maha karuna dharani in the ritual of Jakbeob jeolcha. In its middle period, Gyegyecheong beopsik is characterized by the sound of Om at the beginning of mantra for purifying the karma of the mouth or speech in Yukgyeonghapbu(1721) kept in Unheungsa temple and the rite of Jakbeob jeolcha is found in the form of chant with the prone position among the solemn and pure ceremonial practices of Ojongbeomeomjip(1661). The late beopsik has only mantra for purifying the karma of the mouth or speech and its rite of Jakbeob jeolcha centers on the offering ceremony rather than the ritual of Beopseok. Thirdly, it is the advocacy ceremony. In the early period, the 8 Geumgangs and 4 Bodhisattvas are invited and asked for their defense during Gyegyecheong beopsik, and pantheons(神衆) are invited and given the role of protecting the fixed territory(護持結界) and guarding bodhi-mandala(守衛道場) during the rite of Jakbeob jeolcha, In the middle period, the rituals such as Sinjungjakbeop(神衆作法, the rule of conduct for the ritual for pantheon) were not found. In the later period, the aspect of defending Beopseok was weakened and it was established as the independent ritual of serving the offerings and guarding bodhi-mandala. Fourthly, it is the ceremony of carrying the main lecturer. It can be said that in the early period, mantras enshrined in the land means this ceremony in Gyegyecheong beopsik, and the rite of Jakbeob jeolcha is performed under the name of Geobul(擧佛, bowing and calling the name of the Buddha in front of the Buddha statues). In the middle Gyegyecheong Beopsik does not have any singularity, and the procedure of carrying the main lecturer appears in its rite of Jakbeob jeolcha. Beomeumsanbbojip(the collection of Brahma voice) has the version of the 17th and that of the 18th century. In the late period, the rite of carrying Gwaebul(掛佛, Buddhist scroll painting) was not conducted. Instead, It is established that the rite of reciting the ritual oration(儀文) in front of Gwaebul after istalling it. Fifthly, it is the rite of reciting the sutra. In the early period, vow, Unhabeom(云何梵) and then Gaegyeongge(Opening chant of the sutra) are conducted in turn during Gyegyecheong beopsik. Geobul, Yeomhyang(拈香, Burning the incense in the incense burner), Gaegyeongge, and mantra are programed in turn and then the master of ceremony explains the title of the sutra followed by reciting it all together during the rite of Jakbeob jeolcha. Gyegyecheong beopsik in the middle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Moongyeon(聞見)' in the 3rd verse of Yukgyeonghapbu kept in Unheungsa temple as 'Gyeonmoon(見聞)'. Between Gaegyeongge and Geobul, asking for Buddha is conducted first. Those in the late period are related to the modern ones. 'Jakbeopguigam'(1826), the material of the rite of Jakbeob jeolcha, contained the Jeongdaege(頂戴偈, Chant for putting Kasaya on the head), Gaegyeongge and Gaebeopjangjineon(開法藏眞言, Opening mantra of dharma-storehouse), Chant of asking for Dharma, and Chant for the Dharma talk in the ceremony of the offering ritual oration in the previous period. But we cannot even find a trace of them. Sixthly, the closing ceremony of Beopseok has three types of Vow in mantras, which as in <Table 11> of the main text. There is no need to discuss the form of Gyegyecheong beopsik. There is no separate mantra found in the two types of Uigwe, that is, Jakbeob jeolcha(1496) and the ritual oration for offerings in Jebanmun(諸般文, Outline of Buddhist Rituals, 1634). But its primitive form of the middle period is found in Yeongsandaehoe Jagbeob Jeolcha(the procedure for the rules of practice in the Vulture Peak assembly). Regarding the form of mantras and vow at the end of Beopseok in the middle period, the supplementary mantras began to appear before Sugyeongge(收經偈, Chant for praising the teachings when gathering the scriptures). In the late period, mantras and vow at the end of reciting the sutra or sermon follow Sugyeongge without reciting the sutra comopsed of the supplementary mantras. Seventhly, as for the blessing in the closing ceremony of Beopseok, in the early period, Gyegyecheong beopsik contains the meaning of a blessing in ‘prajñā inexhaustible treasures mantra’ or ‘the diamond heart dharani’. The later supplementary mantras means not only replenishing Yeomsong(拈頌, the Evaluation and Odes) but also replenishing a blessing. After the closing recitation of the sutra, they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merits and deeds and specifically, they give a blessing in three stages for the blissful rebirth in the Pure Land of the former kings and their queens, the doner’s deceased parents, each parents and souls in Dharma realm. In the middle period, the blessing of the deceased, three souls is found, but the blessing of the living, three figures is not. In the late period, it can be said that the blessings were developed in the form of universal blessings such as mantras and vow of the Bohoehyangjingon(普回向眞言) and individual blessings such as the forms of blessing of the dead and that of the living. 이 논문은 불교의 경전을 염송하는 의식인 조선시대 ‘법석의례’의 변천양상을 연구한 논문이다. 논문의 연구범위는 조선시대 법석의례의 변천양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먼저 법석의례의 성립과 한국적 전개를 개괄하고, 법석의례 전ㆍ후반부에서 행해지는 주요 의례의 변천양상을 조선시대를 전기ㆍ중기ㆍ후기로 나눠 고찰하였다. Ⅱ장에서는 법석의례의 성립을 원초적인 인도불교의 법석과 의례적인 중국불교 법석의례의 성립 양상을 살펴보았다. 인도불교 법석의 경우 경전 상의 법석과 의궤 상의 법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의례적인 중국불교의 법석의례 성립으로는 과송과 속강, 찬패와 참법, 수륙의 외단 등을 중심으로 역사적, 구조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은 법석의례의 한국적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조선시대 법석의례의 변천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이전 시대인 신라와 고려 및 조선시대 법석의 전개 양상을 개괄하였다. 신라 불교의 법석은 업장의 소멸과 공덕을 닦는 분수(焚修)승의 작법과 오대산의 오대법석, 강경법회 등을 중심으로 법석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고려불교는 법석의 전성시대라고 할 수 있는데, 인왕도량은 백좌인왕도량, 인왕경도량, 백고좌도량 등으로 불렸다고 보인다. 고려불교에서 ‘소재법석’이라는 명칭으로 행해진 의례가 147회나 있다고 하지만 사실 의례의 목적으로 보면 여타의 법석도 소재법석의 의례라고 할 수 있다. 조선불교의 법석은 조선불교 시대의 의례 자료에 나타나고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되는 양상에 따라 그 시대를 구분하였다. 전기는 조선 초기 15세기 말의 「작법절차」(1496)~17세기 󰡔오종범음집󰡕(1661) 이전까지로 보고, 중기는 전기 이후~19세기 초반의 󰡔작법귀감󰡕(1826) 이전까지로, 후기는 중기 이후 현대 이전 시대까지로 설정하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조선시대에 행해진 법석은 사대연성(四大緣成)을 법석을 필두로 70여 회의 법석은 태조 때부터 중종 때까지 설행되었다. 법석의례의 양태는 독송 경전들의 서두에 실려 있는 「계청법식」과 「작법절차」라는 의궤에 실린 작법절차식으로 나눌 수 있다. Ⅳ장부터는 법석의례 전반부의 변천양상을 Ⅲ장의 본과에 의지하여 법석의례의 전반부는 결계, 엄정, 옹호의식을 조선시대 전기ㆍ중기ㆍ후기의 의문(儀文) 자료에 나타나는 변천양상을 위주로 기술하였다. 1절은 결계의식을 다루었다. 전기의 계청법석은 외형상으로는 결계와 같은 모습을 찾기는 힘들지만 안토지진언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건단과 결계는 이뤄져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작법절차식은 수륙재 󰡔지반문󰡕에서 그 형식과 양태를 살펴볼 수 있다. 중기의 계청법식은 특별한 양상을 확인할 수 없다. 후기의 구체적인 결계 의식의 모습은 나타나지 않으며, 󰡔작법귀감󰡕(1826)을 보면 법회를 알리는 의식과 엄정의 끝인 참회진언, 정삼업진언 염송 이후에, 결계의식의 ‘결계진언’이 확인되지 않는다. 2절은 엄정의식을 다루었다. 전기의 계청법식에는 ‘정구업진언’이 그 역할을 하며, 작법절차식에는 대비주를 염송하여 정수(淨水)에 가지한 감로수로 도량에 뿌리고, 동참 재자들의 업장을 소멸하고 참회하는 의식으로 구성되었다. 중기의 계청법식에는 1721년 운흥사에서 간행된 󰡔육경합부󰡕의 정구업진언 초두에 ‘옴’자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작법절차식에는 󰡔오종범음집󰡕(1661)의 엄정 의식 행법 가운데 ‘복청대중 운운’하는 협주는 오늘날 재장(齋場)에서 행해지는 복청게 형식이 등장한다. 후기의 계청법식은 정구업진언 정도에 불과하고, 작법절차식은 법석의례보다 공양의례, 곧 재회화(齋會化) 된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3절은 옹호의식을 다루었다. 전기의 계청법식은 지송자의 옹호를 부탁하기 위해 8금강 4보살을 계청하며, 작법절차식에는 엄정 이후에 옹호 신중을 청해 ‘호지결계’와 ‘수위도량의 역할이 주어지고 있다. 중기에는 신중작법과 같은 의식이 보이지 않으며, 후기의 옹호 의례는 법석의 옹호라는 형식이 약해지고 공양을 올리고 도량을 옹호하는 독립된 의례의 모습으로 정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Ⅴ장은 법석과 그 후반의 변천양상은 법석의 실행 의식과 법석의 마침 의식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법석 실행 의식을 설주이운 의식과 경전 염송의식을 나눠 살펴보았다. 설주이운 의식을 보면, 전기의 계청법식은 안토지진언이 이를 의미하며, 작법절차식은 거불명(擧佛名)으로 당해 법석의 설주를 칭명하여 모신다. 중기의 계청법식에는 특이점이 보이지 않으며, 작법절차식에는 설주이운의 절차로 등장하는데 17세기 것과 18세기 󰡔범음산보집󰡕의 형식으로 나눠진다. 후기에는 괘불이운의 의례 행위가 이뤄지지 않고 괘불 설치한 후, 괘불 앞에서 의문 염송 방식이 정착되었다. 다음은 법석의 경전 염송 의식이다. 전기의 계청법식에는 󰡔금강경󰡕(1464)이 대표적인데 발원과 운하범(云何梵) 뒤에 개경게가 등장하며, 작법절차식에는 법석의 거불 이후 염향(拈香)과 개경게와 진언 이후에 회주는 당해 법석에서 경전을 염송하거나 해설할 경전의 제목을 풀이하고 다음에 함께 염송한다. 중기의 계청법식에는 운흥사 󰡔육경합부󰡕(1721)에서 확인되는데, 개경게송 3구의 ‘문견(聞見)’이 ‘견문(見聞)’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작법절차식에는 󰡔오종범음집󰡕에는 전기와는 다르게 개경게송과 거불 사이에 청불(請佛)이 먼저 일어나고 있다. 후기의 경전 염송 자료는 현대의 것들과 관련이 있는데, 작법절차식의 자료인 󰡔작법귀감󰡕에는 전 시대의 공양문 의식에 있던 정대게 개경게송이나 개법장진언, 청법게 설법게 등이 흔적조차 보이지 않는다. 2절 법석의 마침 의식은 진언의 발원과 축원으로 나눠 살폈다. 첫 번째, 진언의 발원은 본문 <표 11>에서 밝혔듯이 세 유형이 있다. 계청법식의 경전 염송 이후 진언ㆍ발원 형식은 각각의 시기별로 그 형식을 논의할 필요는 없다. 작법절차식의 형식을 전기의 「작법절차」(1496)와 󰡔제반문󰡕의 ‘공양문’ 두 유형의 의궤에는 동송(同誦) 이후 청불(請佛)을 하므로 별도의 발원을 하는 진언을 볼 수 없으나, 󰡔영산대회작법절차󰡕(1634)에 중기의 원초적인 모습이 보인다. 중기의 법석 마침의 진언ㆍ발원 형태에 대해 작법절차식에서는 보궐진언이 수경게 앞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후기에는 경전 염송이나 설법을 마칠 때의 진언ㆍ발원은 보궐진언으로 충족되는 경전 염송 없이 수경게송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축원으로 전기의 계청법식은 ‘반야무진장진언’이나 ‘금강심다라니’는 축원의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후의 보궐진언의 보궐은 염송을 보궐한다는 의미도 되지만 염송과 축원을 보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경전 염송을 마치고 그 공덕을 회향하며 구체적으로, 선왕선후, 연화시주의 선망부모, 각각의 부모와 법계망혼들의 왕생극락을 3단으로 축원한다. 중기에는 법석을 마치며 행하는 축원에는 망자인 삼혼의 축원이 보이지만, 생자인 삼전(三殿)의 축원은 보이지 않는다. 후기의 경우 축원에는 보통축원, 귀의축원, 회향축원의 형식이 전해지고 있는데, 경전 염송 이후의 축원은 보회향진언의 진언ㆍ발원과 보편적 축원으로 망축과 생축의 형식으로 발원되었는데, 조선 후기에는 개별적 축원의 형태로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조선 후기 법석의 변천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