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장훈련과 가치명료화훈련이 간호사의 갈등정도와 갈등관리 양식에 미치는 효과

        박상연 이화여자대학교 199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on nurse’s conflict level and conflict management mode. Fifty seven registered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 they were employed by three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aegu, Korea. The study employs two treatment groups. The assertiveness training group consisted of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90-120 minutes session of assertiveness training nine times over five weeks. The other treatment group, was adiministed nine, 90-120 minutes sessions of value clarification during the same period. For the control group, nursing subjects were appointed the training after five weeks. Pre-test evaluation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in three groups prior to one week of the treatment. Role conflict Inventory-general(RCI-G) and Communication Conflict Inventory-general(CCI-G) measure nurse’s conflict level. Conflict Management Mode-G(CMMI-G) measure nurse’s conflict management mode. Post-test evaluation were administered to all subjects in three groups two weeks after the last session by Role Conflict Inventory-Specific(RCI-S), Communication Conflict Inventory-Specific(CCI-S), Management Mode-Specific(CMMI-S).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covariance(ANCOVA) on gain scores were running the SPSS program. In order to test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mean scores of the scales obtained after treatment, multiple comparisons were carried out by Turkey metho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ssertiveness training and the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nurse’s role conflict. The value clarifica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assertiveness training in decreasing the nurse’s role conflict. 2. Both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nurse’s communication conflict. There was, however, no differences between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in decreasing the nurse’s communication conflict. 3. The asseritveness training and the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were quite effective in compromizing and collaborating conflict management mode, to reducing the with drawl and accommodate, force and accommodate conflict management mode to conflic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iveness of assertiveness training and value clarification. In assessing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this study employed different measurements. It is unclear whether the measurement affected the test results. It is worth conducting a further test using the same measurements. The results of future studies can be compared with those of this study. The homogeneity of the control group and treatment group is questionable. Futher studies may employ homogeneous sample group to evaluate whether the sample characteristics bias the test results. Assertiveness training or value clarification training for nurses can be utilized in nursing intervention. 간호사들이 병원에서 업무를 수행하면서 겪게 되는 갈등은 피할 수 없는 현상이고 갈등은 문제해결을 통한 새로운 변화와 발전을 가져올 수 있는 출발점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어느 정도의 갈등은 역할수행의 발전에 필요하다. 그러나 갈등의 축적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고 개인에게는 물론 조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갈등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갈등의 원인을 근거로 할 때 가능하다고 본다. 병원에서 간호사로서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간호사들이 겪게 되는 갈등의 종류와 정도는 근무하는 부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모든 간호사들이 공통적으로 인간관계 및 의사소통 갈등과 역할 갈등을 심각하게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실시하고 간호사의 의사소통 갈등, 역할 갈등, 갈등관리양식을 평가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설계는 실험처치(주장훈련, 가치명료화훈련)를 독립변수로 역할갈등, 의사소통 갈등, 갈등관리 양식을 종속변수로 하는 비동등 대조군 시차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자료수집 편의상 대구 시내 3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선정하여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실시하기 1주 전에 사전 검사를 실시하고 5주 9회의 훈련을 실시한 후 2주 후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갈등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역할갈등 검사, 의사소통 갈등 검사와 갈등관리양식 검사가 사용되었다. 실험처치로 사용된 간호사를 위한 주장훈련 프로그램의 주된 내용은 합리적 사고와 주장행동으로, 간호사들이 병원에서 경험하는 대인관계에서 비합리적 사고를 합리적 사고로 바꾸도록 하여 자신의 권리, 욕구, 생각, 의견 등 자신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를 상대방에게 직접 나타내게 하는 행동의 단계까지 경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간호사를 위한 가치명료화훈련 프로그램은 가치명료화의 세 가지 하위 과정과 일곱 가지 준거적 단계를 통해 간호사가 스스로 의식하지 못했던 간호사로서의 자신의 가치를 발견할 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 의사 등이 서로 다양한 요구를 하는 간호상황에서 간호사로서 자신이 해야 할 역할이 무엇인가를 발견하게 되어 있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역할갈등 정도 및 의사소통갈등 정도, 갈등관리양식 득점으로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역할갈등 정도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변량분석 결과 F=29.105, P=.0000, 공변량 분석 결과 F=29.224, P=.000),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집단의 역할갈등 정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아 가치명료화훈련이 주장훈련에 비해 간호사의 역할갈등을 감소시키는 데 더욱 효과적이었다. 2.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의사소통갈등 정도는 통제집단의 의사소통갈등 정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변량분석 결과 F=14.677, P=.000; 공변량 분석 결과 F=14.632, P=.000),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의 의사소통갈등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의 갈등관리양식은 통제집단에 비해 협력-타협 양식(변량분석 결과 F=6.645, P=.0026, 공변량 분석 결과 F=5.339, P=.008)은 유의하게 높았고, 회피-순응 양식과(변량분석 결과 F=10.519, P=.001, 공변량 분석 결과 F=7.035, P=.002), 강행-순응 양식은(변량분석 결과 F=6.118, P=.0040, 공변량 분석 결과 F=3.743, P=.030) 유의하게 낮았다. 그렇지만 간호사들이 겪는 갈등에 대해 협력-타협과 같은 합리적 갈등관리양식을 증가시켜 주고, 회피-순응, 강행-순응과 같은 비합리적 갈등관리 양식은 감소시켜 주는데 작용하는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의 효과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본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주장훈련이나 가치명료화훈련은 간호사들의 역할갈등 정도와 의사소통갈등 정도를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갈등에 대해 합리적 방법인 협력-타협 양식을 유의하게 증가 시키며, 비합리적인 방법인 회피-순응, 강행-순응 양식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중재방법 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들을 위한 주장훈련 프로그램과 가치명료화훈련 프로그램은 간호사들의 역할갈등과 의사소통갈등을 감소시키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관리하도록 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임상 및 지역사회 어디에서나 간호사들의 갈등을 감소시키는데 그 실용가치가 큰 것으로 생각된다.

      • 白鼠의 carrageenan 유도 足踝 關節炎에서 합곡(LI4) 상응부위의 고주파 온침 자극의 효과

        박상연 圓光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온침요법은 침을 놓는 방법을 응용함과 동시에 溫熱 자극을 가하는 치료방법이다. 毫鍼을 자입한 후, 鍼尾에서 艾絨을 연소하여 加溫하는 치료방법으로, 자침의 기초 위에 艾火의 熱力을 빌어 經脈을 溫通케 해서 氣血을 宣行시켜, 경락이 寒滯되고 氣血이 痺阻한 일련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임상적으로는 風濕疾患, 寒性傾向이 강한 질병을 위주로 효과를 보이며, 관절의 酸痛, 四肢의 冷感이나 痲痺, 형체의 虛寒, 便溏, 腹脹 등 증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저자는 高周波 電氣 刺戟으로 발생되는 溫熱刺戟이 溫鍼療法의 열자극과 類似하며, 合谷의 溫鍼刺戟은 鎭痛抑制와 혈류량 增大에 의한 關節炎 치료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하여 carrageenan으로 足踝 關節炎을 유발한 후 合谷 相應部位에 고주파 온침자극을 하여 부종, weight balance, 산화질소(NO) 등 關節炎 관련인자를 관찰한 후 유의성이 있다고 사료되어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關節炎 동물모델에서 健側 合谷(LI4)에서의 고주파 온침 자극이 관절염에 의해 증가된 부종수치에 미치는 효과, 관절염에 의해 감소된 WBF에 미치는 효과, 척수에서 통증지표 중 하나인 NO 생성 및 nNOS의 발현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주파 온침 자극기는 절연침을 사용하였을 경우, 침첨부에서 유의 있는 온도상승을 유발하였다. 2. 합곡에 대한 고주파 온침 자극은 부종을 감소시키는 유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3. 합곡에 대한 고주파 온침 자극은 WBF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4. 합곡에 대한 고주파 온침자극은 NO 및 nNOS의 생성 및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 관절염 모델에 있어서 합곡에 대한 고주파 온침 자극이 진통효과와 함께 항염증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고주파 온침 자극기의 진통기전에 대해서는 더욱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warming needling technique is a method which combines the effects of acupuncture with those of moxibu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a high frequency warming needling device when stimulating acupoint LI4 on the carrageenan-induced arthritis.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s to edema reaction, WBF(weight bearing force), NO concentration, nNOS expression,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insulated acupuncture needle and high frequency warming needling device. The effect of the high frequency warming needling device needle is to rise up the temperature in proportion to the current intensity. When stimulating acupoint LI4 on the carrageenan-indeced arthritis with the high frequency warming needling device, it significantly reduced edema in the rat's foot. In addition, WBF, NO concentration of spinal cord (n㏖/㎎), and nNOS relative expression were reduced. The abov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stimulus by the high frequency warming needling device on LI4 produces a potent analgesic effect on the arthritis pain model in the rat. Moreover, stimulus by the high frequency warming needling device modulates endogenous NO through the suppression of nNOS protein expression.

      • 무형식학습과 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분석

        박상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무형식학습이 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사이에 사회적자본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성인학습자의 무형식학습과 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평생교육의 분류와 주최한 기관 등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평생교육진흥원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연구자의 활동지역인 D지역의 비형식교육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간은 2019년 3월 14일부터 3월 28일까지 약 2 주간에 걸쳐 온·오프라인 설문을 병행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개인배경변인 및 주요변수에 해당하는 총 61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389부(회수율: 97.2%)를 회수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82부를 제외한 총 307부(유효 자료율: 76.8%)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 21 한글 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Baron과 Kenny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무형식학습과 시민의식, 사회적자본에 대한 수준을 기술통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학습기회탐색 평균이 3.72, 타인과의 학습 평균이 3.60, 외부자원활용 평균이 3.23, 성찰의 평균이 3.62 로 독립변수 모두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 중 학습기회탐색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성찰, 타인과의 학습, 외부자원활용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의 평균은 3.29, 종속변수인 시민의식의 평균은 4.03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성인학습자의 경우 무형식학습중 학습기회탐색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으며,시민의식과 사회적자본 역시 평균이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이는 비형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의 사회적 자본과 시민의식이 평균보다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무형식학습과 시민의식, 사회적자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 모두 시민의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성요소 중 시민의식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은 학습기회탐색(3.94)이며 성찰, 타인과의 학습, 외부자원활용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시민의식과 사회적자본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처럼 모든 변수들 간 상호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형식학습과 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정한 결과, 무형식학습의 모든 구성요소와 종속변수 시민의식의 관계에서 매개변수인 사회적자본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성인학습자의 무형식학습의 구성요소와 시민의식, 사회적자본의 서로 관련이 있으며, 무형식학습을 활발히 하는 성인학습자일수록 학습과정에서 시민의식이 향상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관계에서 개인이 소유한 사회에 대한 신뢰나 네트워크가 높을수록 시민의식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informal learning of adult learners on citizenship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citizenship of adult learn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on participants of non-formal education in the D area, the researcher's active area, by utiliz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Center for Lifelong Education to secure diversity in the classification and organ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Was carried out. The survey was conducted in parallel between online and offline surveys for about two weeks from March 14 to March 28, 2019. A total of 61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and key variables. A total of 4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of which 389 (collection rate: 97.2%) were collected. Among them, 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valid data rate: 76.8%) were analyzed, except 82 questions with unsatisfactory responses. For analysis of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Baron and Kenny were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 21 Korean version program.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echnical statistics on the level of informal learning, civic consciousness and social capital of adult learners, the average learning opportunity exploration was 3.72, the learning average with others was 3.60, the external resource utilization average was 3.23, and the average of reflection This value of 3.62 was higher than normal for all independent variables. Among them, the recognition of learning opportunitie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reflection, learning with others, and using external resources. The average of social capital as a parameter was 3.29 and the average of civil consciousness as a dependent variable was 4.032. Based on these results, adult learners have the highest awareness of learning opportunities among non-formal learners, and civic consciousness and social capital are above average, which means the social capital and citizen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informal education. Consciousness is higher than averag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informal learning, civic consciousness, and social capital of adult learners, all the components of informal lear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ivic consciousness. Among the components,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itizenship was exploration of learning opportunities (3.94), followed by reflection, learning with others, and using external resources. In addition, citizenship and social capita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s such, all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civic consciousness, it was analyzed that social capital, which is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ll components of informal learning and the dependent variable civic consciousn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adult learners' informal learning, civic consciousness, and social capital. In this relationship,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trust or network of the individual-owned society, the more positively the improvement of citizenshi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bove, the implications for informal learning of adult learner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informal learn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proc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itizenship. It was suggested that civic education focused only on formal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learner's activities in the concept of lifelong learning beyond adult education. Second, a policy is needed to support various activities in the learner's surroundings, rather than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citizenship. Since the transfer of basic conceptual knowledge as a curriculum, the main learning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learner's experience of citizenship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promote the improvement of citizenship by accumulating experience. Third,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ocial capital of learners in order to improve citizenship through educational policy. Not just activities at designated educational sites, but also support for politicians to activate and maintain local networks, such as learning clubs, to maintain lasting relationships among members. Despit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above studie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This study limited the generalization of the study results because a sample group was selected for adult learners in the D region. In addition, this study only examined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s a parameter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nd citizenship. However, we did not conside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dividual control variables as mediators that could affect citizenship. Since informal activities occur in various places and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s of factors by considering the variables as characteristics. Finally,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compare the components of informal learning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rrelation with citizenship according to subclassification of informal learning. However, static relationships with all components have been demonstrated, and comparisons between additional components are not valid in current statistical methods. Therefore, in order to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influence relations with various components of informal learning, more accurate and in-depth studies are needed in the follow-up studies through supplementation of survey tools and various statistical methods.

      • 사회복지시설의 홍보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상연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터넷 홍보효과성 높이기 위해 충청북도 90개 사회복지시설 2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모형으로는 일반적 특성과 인터넷 운영 특성을 통제변인으로, 인터넷 홍보활동, 홍보조직, 홍보차별성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연구문제 1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① 인터넷 홍보활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학력, 근무지역, 서비스 형태였다. ② 인터넷 홍보조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 학력, 근무지역이었다. ③ 인터넷 홍보차별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경력, 시설의 유형이었다. ④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학력, 근무지역, 서비스 형태였다. 둘째, 연구문제 2를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과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① 인터넷 홍보활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운영자 유무, 홍보 전담인력 유무, 업데이트 주기, 홈페이지 하루평균 방문자 수였다. ② 인터넷 홍보조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운영자 유무, 홍보 전담인력 유무, 업데이트 주기, 홈페이지 하루평균 방문자 수였다. ③ 인터넷 홍보차별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홈페이지 하루 평균 방문자 수였다. ④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인터넷 운영 특성으로는 운영자유무, 업데이트 주기, 홈페이지 하루 평균 방문자 수였다. 셋째, 연구문제 3을 알아보기 위해 ① 상관관계 분석 결과, 연령(r=-.136), 학력(r=.207), 지역(r=-.207), 직·간접서비스조직(r=-.166), 운영자의 유무(r=.161), 홈페이지 업데이트 주기(r=.250), 홈페이지 방문자 수(r=.402), 홍보활동(r=.653), 홍보조직(r=.704), 홍보차별성(r=.636)의 변인들이 인터넷 홍보효과성과 유의미한 관계로 검증되었다. ②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최종단계에서는 홍보차별성(β=.395), 홍보활동(β=.266), 홍보조직(β=.256), 제작의뢰유무(β=.140), 업데이트 주기(β=.104) 가 인터넷 홍보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설명변량은 66%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연구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충청북도 사회복지시설의 인터넷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시설의 인터넷 홍보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구성원들의 홍보에 대한 인식변화와 교육이 필요하다.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비단 수단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세상의 정보를 분석하고 생산하고 또한 유통시키는 모든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는 수용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졌으며, 중요한 홍보수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이 일반 매체보다 홍보의 장점이 많은 만큼 홍보 실무자를 대상으로 홍보 교육을 강화해야할 것이다.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인터넷에 대한 대응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시설 종사자에 대한 수시 보수교육을 통해 홍보의 목적과 필요성을 인식하게 하여 적극적인 홍보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즉, 홍보 실무자들의 교육 및 기술지원을 위한 투자와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인터넷 운영 및 홍보 전담인력 확보가 필요하다.인터넷 온라인 홍보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시설의 인지도를 높이고 홈페이지 방문자 수를 늘리는 일이 최우선이다.우선 홈페이지 주소(도메인)를 알리기 위해 도메인주소를 검색엔진에 등록하고, 관련 기관과 상호 링크하여 홍보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체 홈페이지에 배너광고나 팜플릿, 명함, 각종 인쇄물, 자치단체 소식지 활용, 이벤트 참여, 메일링서비스를 통해 새소식이나 공지사항 등을 신속히 알려 이용자의 방문을 유도해야한다. 즉,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시설의 인터넷 홍보를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전문 인력의 배치와 재원 및 운영 관리가 필수적이다. 셋째, 인터넷 홍보 차별화 방안을 강구토록해야 한다.우선 홈페이지가 방문자의 입장에서 운영되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사전에 고객의 방문목적을 파악하여 고객만족 차원에서 홈페이지를 구성해야 한다. 대부분 사회복지시설의 인터넷 홈페이지는 거의 유사한 형태의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고 비슷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어, 그 시설만이 갖고 있는 특화된 컨텐츠를 제공해야며, 게시판 활성화나 FAQ(Frequently Asked Question)운영 등 공중과의 지속적인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한다. 즉,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고객의 응대에 즉각 답변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을 차별화시킴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전략을 구사해야한다. 무엇보다도 사회복지 시설의 소개나 프로그램 안내 등 단편적인 자료를 홈페이지에 올려놓은 수준에서 벗어나 사회복지 관련 최신 뉴스나 행사 안내 등 충분한 자료 제공으로 이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사회복지 민간운영시설이나 농촌지역의 사회복지시설에 This study was to research 90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240 welfare workers in Chungbuk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public relations. Research population were 240 peopl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a research model,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net drive characteristics were set up for operational factor and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 structure, and public relations differencess are established as independent factors.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used to testify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result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as education, working place and the form of servic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structure were age, education, and working plac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differences of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experiences and the form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education, working places and the form of service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as testified by T-test and one-way ANOVA.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anagement which hav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whether there is a internet manager, whethere there is and public relations crew, upgraded cycle,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 at the homepage. In addit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anagement which hav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ere whether there is an internet manager, where there is an public relations crew, upgraded cycle, and the average number of visiters in a homepage. The characteristics which have a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internet public relations was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in the homepage.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as testified with some factors which are relation analysis, age(r=-.136), education(r=.207), region(r=-.207), direct/indirect service structure(r=-.166), where there is a manager(r=r/136), upgraded cycle of homepage (r=.250), the average number of visitors at the homepage (r=.402), public relations activity (r=.653), public relations structure (r=.704), public relations differences (r=.636). At final result of periodic variables, public relations differences (β=.395), public relations activity (β=.266), public relation structure (β=.256), whether the homepage is created by an external production (β=.140), upgraded cycle (β=.104)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internet public relation and indicated 66% explanation variables.

      • 상압 아르곤 플라즈마의 선택적 처리가 비정질 인듐-갈륨-산화아연 박막 트랜지스터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연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에서 사용되는 TFT(Thin Film Transistor) 소자를 Plasma Pipette을 이용하여 상진공 장비가 아닌 상황에서 필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Plasma treatment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공정 시간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열산화 된 웨이퍼 위에 ITO(Indium Tin Oxide) In-line Sputter로 증착 및 Photolithography 를 이용하여 2~30 μm의 길이를 가지는 TFT 채널을 형성하였고, a-IGZO(amorphous Indium Gallium Zinc Oxide)로 Active Layer 박막 증착 직전에 선택적 상압 플라즈마 처리가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TFT 소자의 Leakage Current를 줄여 On/Off Ratio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보았고 S.S(Subthreshold Swing)의 향상과 VTH의 변화를 확인하여 TFT 소자의 전체적인 전기적 특성 개선을 확인하였다. Plasma treatment를 상압에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는 강점을 이용하여 한 웨이퍼 상에 위치별, Power별, 시간별로 공정을 하여 차이를 보았으며 최적의 공정조건을 잡았다. 추가로 ITO 전극 위에 Plasma treatment하고 a-IGZO로 Active Layer로 덮고 Lift-off 공정으로 제작한 Bottom Gate Bottom Contact TFT 구조인 소자가 Plasma treatment 상태를 600시간 이상 보존하며 오랜 시간이 지나도 원복되지 않는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ITO 박막의 투과도와 흡광도, Band-Gap을 확인하여 투명전극으로써의 효율을 보았고 Contact Angle Meter를 이용하여 표면에너지를 확인하여 친수성과 박막 증착율의 향상 가능성을 보았고 이를 통해 박막 증착율이 비교적 떨어지며 고온 공정이 불가능한 폴리머 기판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여가상담프로그램이 성격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박상연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 집단 여가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와 MBTI 대인행동유형 중 어떤 유형에게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여가상담프로그램을 경험한 청소년의 인성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인지와 MBTI 대인관계유형인 내향적사고형(IT)에 게 여가상담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를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Loesch(1981)의 청소년을 위한 여가상담모형과 기존의 여가상담모형들을 분석하여 틀을 갖춘 다음 기존의 여가상담프로그램에서 적합한 부분을 도출하여 개발한 진혜전(1997)의 청소년 집단 여가상담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 중학생에게 맞는 활동내용으로 수정하여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아산시에 소재한 아산중학교 3학년생 중 같은 학급 30명으로 구성하였으나 KPI인성검사 신뢰도 요인에서 30점 이하로 불성실한 응답을 한 12명의 학생을 제외시켰다. 참가자 18명 모두 남성이었고 연령은 15∼16세였다. 실시된 여가상담프로그램은 총 8회기이며 소요시간은 매회기 당 90분씩 총 12시간이었다. 프로그램 1회기를 끝내고 MBTI성격유형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중·고등학생 KPI인성검사를 사용하였고 사전검사 2회, 사후검사 1회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는 SAS 8.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하였고 사전·사후 비교하는 짝진 t-검증과 이원 혼합설계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PI인성검사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를 나타내는 주도성, 사교성, 그리고 자신감의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므로 청소년 집단 여가상담프로그램은 인성에 유의미한 효과는 없다고 보여 진다. 둘째, 대인행동유형에 따른 청소년 집단 여가상담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면 내향적사고형(IT)이 주도성에 대해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대인행동유형과 프로그램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내향적사고형(IT)의 자기통제성과 호감성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여가상담프로그램이 내향적사고형(IT)에게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 집단 여가상담프로그램이 인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수용하지 못했으나 인성의 하위요인 중 주도성, 사교성, 자신감의 점수가 향상되었으므로 논의부분에 제시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보완하여 후속연구를 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장기적인 여가상담프로그램과 단기적인 여가상담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함을 제기해 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 the effects of personality types on the positive influences of leisure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 group. Chin(1997)'s adolescent group counseling model was employed to measure the effects of program. Specifically those mentioned program would affect on the IT(Introverted and Thinking) type, one of MBTI types was concerned in this study. A class of 30 students in Asan Middle School, located in Asan, were participated, and data of 18 students were analyzed excluding 12 students who showed incredible responses. Leisure counseling program was run by 8 sessions of 12 hours, and each session was lasted for 90 minutes. MBTI test was done after first session of program and KPI personality tes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Korean Behavioral Science. Data collected through twice of pre-test and one of post-test to measure test-retest reliability and paired t-test and analyzed by SAS 8.2. Major results followed. Fir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enhancing effects of leisure counseling progra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even increasing scores in some interpersonal sub-factors of KPI: initiative, sociability, and self-confidence.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program in initiative among IT personality types, and interaction effects of self-constraint and favorable, which can be interpreted as partial effects of leisure counseling program among IT personality persons. A relatively short-durations of administration of leisure counseling program to limited sample of students were major limit in this study. Reasonable number of participants and longer exposures of program is call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s of personality types and leisure program.

      • 88서울올림픽을 위한 도시 경관 조성과 도시 이미지 구축 전략 : 마라톤 코스를 중심으로

        박상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how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mage strategy of the urbanscape in preparation for the olympic games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process of the 1988 Seoul Olympic marathon course and the progress of the related urbanscape design projects. Among the facilities of the 1988 Seoul Olympics, the marathon course was specifically chosen due to the urbanscape was expo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during the race, and the event was conducted just before the closing ceremony which gained higher public attention.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affected the formation of urbanscapes. People have been able to indirectly encounter the urbanscape through the media and deliver or receive the intended city image without having to go to the city in person. The cityscape can be easily transmitted around the world through camera angles, and furthermore, the intentional creation of the cityscape has made it possible to create an urban image. Many host countries have utilized the Olympic games as an opportunity to develop cities and render it’s image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marathon courses of all previous Summer Olympics, unlike 80 percent of the marathon courses at the previous Summer Olympics, Seoul consists of urban-style courses that pass through the city center, which is represented by Gangnam and the Han River, except for the old city center represented by Namdaemun. The marathon course was discussed shortly after the hosting of the Seoul Olympics was decided, and in December 1983, a course that cycles the inner city around Namdaemun was decided as the initial draft by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is course consists of the original city area where the skyscraper and the redevelopment of the city are located and the East Seoul area that was actively developed until the 1970s. The marathon course in the center of the city raised doubts concerning problems such as heavy traffic condition, undeveloped urbanscape, and air pollution. Discussions began again in June 1985 with a meeting of the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and the Han River surrounding Gangnam, Yeouido, and Han River were decided as the final course in September of that year. The final decision is speculat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Han River, which was triggered by the Olympics, and the apartment district, which was a modern urbanscape at the time. This means that the area around the Han River was suitable to show Seoul's developed landscape, and that traditional landscape was less considered. The urban design plan had changed in 1986 after the marathon course was finalized. The redevelopment project of downtown changed to Gangnam area such as Teheran-ro. Therefore redevelopment the substandard housing zones in the visible areas of ​​the Olympic event, and the road maintenance for the marathon course was implemented. As a result of the city maintenance project, high-rise buildings were built in Gangnam, and apartments were built in existing bad housing districts. An analysis on the strategy of exposing the urbanscape the broadcast of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confirmed that the marathon's broadcasting was transmitted elaborately to convey the city's image and Mapo and Yeouido were especially high-lighted, where the Han River, roads, apartments and skyscrapers were concentrated. The government sought to convey its intended message through the edited urbanscape, and uncompleted facilities were covert or afforested. Ahe foreigner’s assessment of the Seoul Olympics was mainly about the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The Koreans started to recognize the Han river as Seoul’s representative attraction. Although the marathon course is not the only reason to have influence the creation of the urbanscape, it is clear that the national event, the Olympics which included the marathon, had greatly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urbanscape in modern Seoul. The marathon course was an important area in the city's beautification project for the Olympics and was closely involved with the city development project. In the course of the government's rapid development of urbanscape, there existed inevitable side effects such as deepening housing instability due to demolition of substandard housing, concentrated development of Gangnam, and spoiled landscape by high-skyscrapers. Nevertheless, Seoul has succeeded in creating a modernized urban image through the Olympic marathon course, and until now, apartment and Han River views are considered both a target of criticism or preference. 본 연구의 목적은 88서울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결정 과정과 이에 수반하는 도시 정비의 결과로 국가가 올림픽을 대비하여 도시 경관의 이미지 전략을 어떻게 수립하고 실행하였는지 밝히는 것이다. 88서울올림픽의 시설 중 실외 경기로써 도시 이미지 노출이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고 폐회식 직전에 경기를 진행하여 대중의 관심이 높은 마라톤 코스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먼저 역대 마라톤 코스의 유형을 분석하고 서울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차별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마라톤 코스의 결정을 둘러싼 논의의 과정과 이에 수반하는 올림픽 시설의 건설 및 코스 주변의 경관을 구성했던 도시 정비 사업을 살펴본 후, 미디어를 통해서 도시 이미지를 전달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올림픽 이후 전환된 도시 이미지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미디어의 발달은 도시 경관 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사람들은 도시를 직접 가보지 않아도 미디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도시 경관을 접하고 의도된 도시 이미지를 전달하거나 전달받을 수 있게 되었다. 도시 경관은 카메라 앵글을 통해 전세계에 손쉽게 전달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시 경관의 의도적인 조성을 통해 도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다. 많은 도시는 올림픽 개최를 통해 도시를 개발하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도시의 이미지를 바꾸는 기회로 활용하였다. 1932년 LA 올림픽부터 2020년 도쿄 올림픽에 이르는 역대 하계올림픽의 마라톤 코스를 분석한 결과, 1930-60년대의 마라톤 코스의 유형은 대체로 교통 체증 방지 등의 기능적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가능한 도심에서 멀고, 동일한 코스를 사용하는 교외·왕복형의 특성을 보였다. 1960년대 이후 위성 중계라는 미디어가 도입되면서 마라톤 코스의 유형은 시청자를 의식한 도시·편도형으로 바뀌었다. 코스 구성의 목적은 ‘기능’에서 ‘보여주기’로 바뀌었고 관광을 위해 더 많은 역사 경관을 포함하고자 원도심을 포함하는 경향이 늘어났다. 그러나 역대 하계 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80%가 역사 경관의 원도심을 통과하는 것과 달리 서울은 남대문으로 대표되는 구도심을 제외하고 강남과 한강변으로 대표되는 신도심을 통과하는 도시형 코스로 구성했다. 88서울올림픽의 올림픽 시설의 건설과 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결정에 관한 논의 과정을 시기별로 살펴본 결과 올림픽 시설지 이면서 올림픽 마라톤 코스의 출발 및 결승점인 잠실의 종합운동장 부지는 1970년대의 도시계획으로 결정되었으며 마라톤 결승점이 주경기장으로 정해졌던 것은 국제육상연맹과의 협의에 의한 것이었음을 밝혔다. 마라톤 코스는 서울올림픽 유치 직후부터 논의되었고 올림픽조직위원회는 1983년 12월에 남대문을 순환하는 코스인 도심안을 초기안으로 결정하였다. 이 코스는 사대문과 도심재개발로 인한 마천루가 위치한 원도심 지역과 1970년대까지 활발히 개발이 진행되었던 동서울 지역으로 구성됐다. 도심안의 마라톤 코스는 도심의 교통상황 및 미개발된 경관, 대기오염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1985년 6월에 올림픽조직위원회의 회의로 다시 논의가 시작되었고, 당해 9월 강남과 여의도, 그리고 한강변으로 구성된 한강주변안이 최종 코스로 결정되었다. 최종안의 결정에는 올림픽으로 촉발되었던 한강종합개발의 성공적인 경관 조성 결과와 당시의 현대식 경관이었던 아파트 지구가 영향을 미쳤다고 추측된다. 최종안이 결정될 무렵의 한강은 한강종합개발의 완공 시점에 근접하여 개선된 환경의 한강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시점이었다. 이는 서울의 발전 경관을 보여주기에 한강주변안이 적합했음을 의미하며 전통 경관은 크게 고려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다음으로는 올림픽 마라톤 코스가 결정된 이후의 도시 경관을 조성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마라톤 코스를 통해 현대적인 이미지를 전달하고자 했음을 밝혔다. 마라톤 코스가 결정된 1985년 9월 이후인 1986년을 기점으로 서울시 도시개발계획의 방향성이 바뀌었으며 이는 마라톤 코스의 경관 조성에 영향을 미쳤다. 도시개발사업은 구도심에서 테헤란로를 포함한 강남권인 신도심으로 개발 집중 지역이 바뀌었고, 올림픽 행사의 가시권에 있는 불량주택 재개발이 활성화되었으며 마라톤 코스를 위한 도로 정비가 시행되었다. 도시 정비 사업의 결과 강남에는 고층 빌딩이 들어섰고, 기존의 불량주택지에는 아파트가 들어섰다. 88서울올림픽 마라톤 경기의 중계 방송을 통해 도시 경관을 노출하는 전략을 분석한 결과 마라톤 경기의 방송은 도시 경관의 이미지 전달을 위해 정교하게 촬영되었으며 한강과 도로, 아파트 그리고 마천루가 포진되어 있던 마포와 여의도를 강조하여 보여주었음을 확인했다. 영상에서 강조했던 도시 경관의 구성과 앞서 살펴본 도시 개발 사업의 목표는 현대화, 고층화로 일치했다. 국가는 편집된 경관를 통해서 의도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으며 완공되지 않거나 정비되지 않은 것들은 가림막으로 가리거나 녹지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올림픽은 외국인들에게 한국이 산업화 및 현대화되었다는 이미지를 심어주었으며 내국인들도 서울의 대표 명소로 한강을 떠올리는 결과를 만들었다. 한국은 올림픽 개최 시부터 갈망했던 선진국의 이미지를 외국에 심어주기 위해 전략적으로 도시 경관을 만들어나갔다. 마라톤 코스의 강변안 선정 이후 촉발되었던 도시 경관의 정비는 경기 중계 영상에 노출된 바와 같이 선진화된 서울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마라톤 코스가 도시 경관의 조성에 영향을 미친 유일한 이유는 아니지만 분명한 것은 마라톤 코스를 포함하는 올림픽이라는 국가 이벤트가 현대 서울의 도시 경관 조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마라톤 코스는 올림픽을 대비한 도시 미화 사업에서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도시 개발 사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논의되었다. 정부가 개발 위주로 급격하게 도시 경관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불량주택 철거로 인한 주거 불안정 심화, 강남 집중 개발, 고층화 개발로 인한 경관 논란과 같은 부작용도 존재했으나 결과적으로 서울은 올림픽 마라톤 코스를 통해 현대화된 도시 경관 이미지 구축에 성공했으며 현재까지도 아파트 및 한강 경관은 비판의 대상이면서 선호의 대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 사고 구술 프로토콜을 이용한 문제 해결 과정 분석 :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을 중심으로

        박상연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비문학 제재의 사고 구술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 해결 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에 따라 문제 해결 과정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생 수준에 따라 전략 사용 양상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전략 사용 과정에서 나타난 오답의 유형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6명을 상, 중, 하 세 집단으로 나누어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비문학 제재의 사고 구술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학생별로 문제 해결 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어휘 이해 전략, 선행 지식 관련 전략, 내용 파악 전략, 정교화 전략, 조직화 전략, 초인지 전략 등으로 나누어 학생들의 전략 사용 양상 및 오답의 유형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수준에 따른 문제 해결 과정은 학생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상위권 학생들은 문제를 먼저 읽고 핵심을 파악하는 데 비해 중하위권 학생들은 지문을 먼저 읽고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상위권 학생들일수록 많은 단계를 거쳐 문제를 해결하는데 비해 중하위권으로 갈수록 사고의 단계가 단순하다. 둘째, 학생 수준에 따른 전략 사용 양상은 학생 수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상위권 학생들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며 전략 중에서는 정교화 전략과 초인지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중하위권으로 갈수록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지 않는다. 중위권 학생들은 내용 파악 전략과 정교화 전략을 많이 사용하며 하위권 학생들은 어휘 이해 전략과 단순 반복하기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초인지 전략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셋째, 문제 해결 과정에서 전략의 사용에 따른 오답의 유형은 어휘 이해 전략에서 나타나는 오류, 선행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오류, 내용 파악 전략에서 나타나는 오류, 조직화 전략에서 나타나는 오류, 정교화 전략에서 나타나는 오류, 초인지 전략에서 나타나는 오류,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사고 구술을 이용한 문제 해결 과정 분석을 통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학생들의 고차원적인 문제 해결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학생들의 개인차에 따라 문제 해결 과정, 전략 사용 양상, 오답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사고 구술을 통해 문제 해결 과정을 파악하는 기법의 정교화, 실용화를 도모하고 개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주제어: 사고 구술, 프로토콜 분석, 문제 해결 과정, 언어 영역, 전략 사용 양상, 오답 유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aspects of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Think Aloud Method. That is, this study aimed at studying on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Is there differency of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students' reading levels? Second, Is there different aspect of using reading strategy according to students' reading levels? Third, How are the patterns of errors found in the students' process of using reading strateg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six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classified as high, middle, low reading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Problem Solving Process of each reading level. Second,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aspect of using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reading levels. Third, The patterns of errors found in the process of using reading strategies are as follows: Errors of Vocabulary Strategy, Errors of Prior Knowledge Strategy, Errors of Comprehension Strategy, Errors of Organization Strategy, Errors of Elaboration Strategy, and Errors of Metacognition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