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창의성 모형 개발 및 타당화

        박상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model reflec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structural model (CAPE) and students' academic grades.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er presented the creativity model, which was developed by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 confluence approach of crea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three parts of research: study Ⅰ, Ⅱ and study Ⅲ. The Study I was to investigate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based on confluence approach, and to propose Creativity Model. Study Ⅱ was a development and a validity of the creativity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e scale was designed to integrate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of the confluence approach of creativity. Study Ⅲ was to show model fit of CAPE and a relationship between CAPE and students' academic grades. The purpose of the study Ⅰ was to investigate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based on confluence approach, and to propose Creativity Model. To win the purpose, this research analyzed the merits and faults of existing creativity theories, and suggested the creativity model of macroscopic viewpoints. Through the analysis, the creativity model will substantially explain the individual differences related to creativity and exte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on the creativity. The purpose of the study Ⅱ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creative disposition, environment, and process scale (C-DEPs) in accordance with confluence approach to creativit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preceding studies, confluence approach to creativity includes three constructs of creative disposition, creative environment, and creative process. The scale consists of 124 items over 13 sub-component group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1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selected by stratified sampling. 217 of them (123 males, 94 females) took the te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68 items were employed in the tests, excluding items which have low factor loading (〈 .4), interfer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 and fail to satisfy uni-dimensionality. Reliability in each sub-component group, except openness, was satisfactory. Multicollinearity diagnosis, evidence base on test content, concurrent evidence of test-criterion relationship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vidence base on internal structure) prove the creative disposition, environment, and process scale(C-DEPs) a reliable tool. Valu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e study Ⅲ was to develop CAPE and to verify the model of structure between elementary students' grade and their creativit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021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schools place in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790 out of 1021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ecause some responses were not enough to analyze (425 males and 365 females). The scales of this study were TTCT A-type, intelligence test, C-DEPs, test for enhancing of intrinsic motivation. The grade was a mean of 9 subjects: Korean, Arithmetic, Social Studies, Science, Ethics, Physical Education, Music, Fine Arts and Practical Arts, converted into a standardized score. All data were analyzed via SPSSwin 14.0 version and AMOS 5.0.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del fit of creativity model, CAP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 of χ2 (χ2=437.508; df=205, p=.000). Q value which shows fit of a model when it's value is smaller than 3 was 2.134. The values of Absolute Fit Measures were like these: RMR = 1.948, GFI = .955 and RMSEA = .038 , and the values of Incremental Fit Measures were NFI = .954, TLI = .969 and CFI = .975. Also, Critical Ratio (C.R.) was bigger than 1.96, and it was supported that most casual relationships in the structural model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CAPE was an appropriate creativity model and the structures of the model did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one another. The factor which has the biggest effect on the academic grade was cognitive ability (.87). Intelligence was the best sub-factor representing in cognitive ability factor (.74), affect disposition in emotion factor (.87), home background in environmental factor (.74), and inner-process in process factor (.81).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1. C-DEPs, creativity scale, which was developed using the re-interpretation of confluence approach of creativity can be said to bea good creativity scale. 2. CAPE is a proper creativity model which is explained through a confluence approach of creativity. Most path coefficients in the model were significa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factors in CAPE. 3. The structural model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the academic grade is suitable.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in the model were significa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factors in the model. It was shown that cognitive ability, a sub-factor of creativity, had the biggest effect on creativit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ing. It is more desirable that education for cultivation of creativity is organized and practiced being in harmony with cognition, emotion, environment and process. It needs to avoid the creativity education focused on only one ability or skill. When teachers and parents do their best to activate interactions among the factors of creativity, the creativity education will be something for children. They need to help children have various experiences for deeper and wider thinking and reflection both in school and in home.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for creativity to cultivate and for creativity education to obtain desired results, teachers and parents need to continue to do their effort and cooperation for the same object.

      • 문화마케팅 관점에서 본 호텔 공용공간 활용 연구 : 문화소비의 주 소비층인 20·30세대를 중심으로

        박상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growing in people's lives in th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This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mental abundance than matter, and accordingly companies have begun to strengthen cultural marketing that combines culture and sensibility to meet the needs and desires of consumers. Emotional cultural marketing is applied and used in various spaces especially hotels are spaces where corporate image and consumer psychology are very important and differentiated marketing and spatial strategies should be used due to COVID-19, so it has become important to provide differentiated images to the new main consumers of hotels. As the main consumer of cultural consumption increases in hotel use and cultural use, a cultural marketing strategy is needed through a hotel public space that utilizes culture tailored to the needs and needs of the 20s and 30s, which are future consumption pow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ases through cultural marketing and literature review of hotel public spaces, and interviewed 20s and 30s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s to derive suggestions by synthesizing elements for cultural use of hotel public spaces. Chapter 1 show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Chapter 2 derives the composition of hotel public spaces, space components of culture and arts spaces, and space practice elements of culture marketing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and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s of consumption culture and cultural consumption of the 20s and 30s are derived. Chapter 3 limited luxury hotels to case targets, derived them through big data and expert positioning maps, and analyzed the cultural use and cultural marketing of hotel public spaces through case analysis through analysis frames using space components and space practice elements in Chapter 2. Chapter 4 drew a questionnaire to find out the needs and preferences for the cultural use of hotel common spaces in the 20s and 30s based on the case analysis in Chapter 3,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the main consumers for the cultural use of hotel common spaces. Chapter 5 derives comprehensive elements for cultural utilization of the hotel's public space by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survey derived in Chapter 4.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cultural marketing through cultural utilization by classification of hotel common spaces.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for cultural marketing through periodic changes in cultural and artistic works for cultural use, it actively utilizes design furniture combined with culture and arts while providing a rest area that provides functionally convenient furniture.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o construct a complex cultural space by applying various individual spaces and urban spaces in combination. Second it is suggested to use the location of the front desk in the middle of the entrance and the room moving space at the bottom of the hotel, and to use the space for internal space guidance promotion and cultural marketing as an individual structure next to the front desk. Third it utilizes limited and high-quality cooking events and induces functional and efficient spatial arrangement and use of various arrangements and indoor elements of food and beverage facilitie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o use furniture or indoor finishes that link internal indoor elements with various cultural arts and to use various colors using artist's objects or patterns for each composition. Fourth various cultural contents are provided by individually constructing and utilizing cultural spaces inside the hotel and a complex cultural space is formed accordingly. In addition by providing experience-only facilities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as cultural contents for a fee it is suggested that cultural marketing is used as a hotel's cultural space by promoting SNS and YouTube as influencer. Chapter 6 summarizes the contents conducted in this study pres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presents the research to be dealt with in future follow-up studies. 21세기 현대 사회에서의 사람들 삶에서는 문화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데. 이는 물질보다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중요시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문화와 감성을 접목한 문화마케팅을 강화하기 시작하였다. 감성을 자극하는 문화마케팅은 다양한 공간에 적용, 활용되고 있는데, 특히 호텔은 기업의 이미지와 소비자의 심리가 매우 중요하게 적용되는 공간이며,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차별화된 마케팅과 공간전략을 활용해야 하는데, 이에 늘어나는 호텔의 새로운 주 소비층에 차별화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문화소비의 주 소비층의 호텔이용과 문화 활용의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의 소비 권력인 20·30세대의 니즈와 요구에 맞춘 문화를 활용한 호텔 공용공간을 통한 문화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마케팅과 호텔 공용공간의 문헌적 고찰을 통해 사례를 분석하고, 분석내용을 토대로 20·30세대에게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호텔 공용공간의 문화활용을 위한 요소를 종합하여 제언을 도출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나타내었다. 제 2장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해서 호텔 공용공간의 구성, 문화예술공간의 공간구성요소, 문화마케팅의 공간실천요소를 도출하고 20·30세대의 소비문화와 문화소비에 대한 특징과 분류를 도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사례대상지로 특급호텔을 한정하여 이를 빅데이터와 전문가의 포지셔닝 맵을 통하여 도출한 뒤, 2장의 공간구성요소와 공간실천요소를 활용한 분석틀을 통해서 사례분석을 통해 호텔 공용공간의 문화활용과 문화마케팅을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3장의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20·30세대의 호텔 공용공간의 문화활용을 위한 니즈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도출하여, 이를 통해서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여 호텔 공용공간의 문화활용을 위한 문화소비의 주 소비층의 니즈와 선호도 인터뷰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 5장에서는 4장에서 도출한 인터뷰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호텔 공용공간의 문화활용을 위한 종합 요소를 도출한다. 이를 바탕으로 호텔 공용공간 분류별로 문화활용을 통한 문화마케팅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활용을 위한 문화예술작품의 주기적인 변경을 통한 문화마케팅을 위해 문화예술과 접목한 디자인 가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기능적으로도 편리한 가구를 제공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개별 공간과 도시공간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복합문화공간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언한다. 둘째, 프런트 데스크의 위치를 호텔 저층부에 입구부와 객실 이동공간 중간 위치에 활용하고, 물리적인 구조와 서비스형태를 분리를 통해 내부 공간안내나 홍보, 문화마케팅을 위한 공간을 프런트 옆 개별구조로 활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셋째, 한정성과 고품질의 요리 이벤트를 활용하고, 식음료시설의 구성을 다양한 배치와 실내요소를 기능적이고 효율적인 공간 배치와 이용을 유도한다. 또한, 내부 실내요소를 다양한 문화예술과 연계한 가구나 실내 마감을 활용하고, 구성별로 독자적인 실내요소를 예술가의 오브제나 패턴을 활용한 다양한 색감을 활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넷 째, 호텔 내부에 개별적으로 문화공간을 구성하여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프 복합문화공간 구성한다. 또한, 문화콘텐츠로 체험전용시설과 전시, 공연을 대중성 있는 콘텐츠를 유료로 활용하여 제공하여, 호텔 차원에서 문화공간을 SNS와 유튜브를 인플루언서 홍보나 자체적으로 운영하여 문화마케팅을 호텔 문화공간을 활용하는 것을 제언한다. 제 6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진행된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며, 향후 진행될 후속연구에서 다뤄야 할 연구를 나타내었다.

      • 대도시권 복합환승센터의 개발방향 연구 : 사당역복합환승센터 사례분석

        박상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all industrial activities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finance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population density is high in urban areas. As a result, the urban population is leaning up to inflation and the price of real estate is the main cause of the increase. Urban workers are moving to satellite cities outside the city, so that the rate of automobile penetration of city workers increases,  Traffic volume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increase of traffic volume has caused the change of the road traffic system. The role of the transit center, which is the nodal point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linkage of transportation means, and it can perform complex cultural, commercial, business and residential functions A complex transit center has emerged.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complex transfer center,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surrounding area will be unfolded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business progress type, which is a problem caused by the existing station area development method.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nvestment by private investors. In order to attract investment by private investors, institutional improvement should be supported by institutional issues that emphasize publicity. If the profitability of private investors is emphasized, publicity is lost and the increase of users' It is necessary to make institutional improvement to satisfy the balance of publicity and profitability at the same time.  The complex transfer center is a successful transfer when it is developed considering the side of the complex transfer center as the transfer facility, the development of the station area connected with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smooth business progres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lex transfer center, firstly, the planned maintenance of the surrounding facilities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required, and the proper arrangement of the public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is required. Second, three-dimensional design should be carried out to minimize traffic impact. Thir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ransfer convenience by shortening the transfer distance by grasping the walking line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From the viewpoint of station area develop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 abstract design by establishing the overall guideline by proceeding with consistent development of the business entity. Second, it should reflect sufficient opinions of local residents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Third, urban planning should set practical layout standards.  From the viewpoint of system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essential role of the transfer center in order to develop the important infrastructure of urban transportation even if the business is carried out by private investors in order to speed up the business of the complex transfer center. It is required to establish legal standards to calculate appropriate installation standards of commercial facilities. In order to do this, the municipal government actively collects the opinion of the private investors and opinions of the local residents in order to provide the system to guarantee the profit of the private investor throughout the business and to act as the complex transfer center as the public facility. It should serve as a control tower to provide feedback.  The existing transfer center was developed with the railway station as the center, and various problems occurred. In order to improve it, the development will be done in the form of the development of the complex transfer center. However, The development of a complex transfer center should be pursued in the long term in connection with thorough economic analysis and regional development. 우리나라는 서울에 정치, 경제, 금융 등 모든 산업 활동들이 집중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도심지를 중심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도시인구의 쏠림현상으로 물가 상승 및 부동산의 가격이 상승의 주요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도시 근로자의 경우 도시외곽의 위성도시로 주거지를 옮겨가고 있어 도시근로자의 자동차 보급률이 올라가고 대중교통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있다. 대중교통의 이용률 증가로 교통량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교통량의 증가는 도로교통체계 변화의 원인이 되었다. 교통 체계의 결절점 역할을 하고 있는 환승센터의 역할은 교통수단간 연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단순히 환승의 목적만 중시되던 시기에서 복합적인 문화, 상업, 업무, 주거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환승센터가 등장하게 되었다. 복합환승센터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서는 기존 역세권개발방식으로 인한 문제점인 개별 사업진행 형태의 개발로 인한 주변 지역의 난개발이 예상되며 공공자본만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재원적인 문제로 인한 역세권개발의 진행이 어려운 한계가 있어 민간투자자의 투자가 절실히 필요하다. 민간투자자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공공성을 중시하는 제도적인 문제로 제도적인 개선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데 민간투자자의 수익성만 강조하는 경우 공공성을 잃어버려 이용객들의 이용 요금의 증가 및 이용객들의 환승동선이 사업적 측면으로 설계되어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는 양날의 검으로 공공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복합환승센터는 환승시설로써 복합환승센터 측면, 주변지역과 연계한 역세권 개발 측면, 순조로운 사업진행을 위한 제도개선 측면을 고려한 개발이 이루어 질 때 성공적인 개발이라 할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복합환승센터의 측면에서 볼 때, 첫째, 이용객의 이용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주변시설들의 계획적인 정비가 필요하며 공공편의 시설과 상업시설의 적절한 배치가 필요하다. 둘째, 교통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입체적인 설계가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이용객의 편의를 고려한 보행동선을 파악하여 환승거리를 짧게 하여 환승편의를 증대하여야한다. 역세권 개발 측면에서 볼 때, 첫째, 사업주체자가 일관성 있는 개발을 진행하여 전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정립하여야 추상적인 설계를 배제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지역 주민의 충분한 의견을 반영하여야 한다. 셋째, 도시계획적인 도시설계로 실질적인 배치기준을 세워야한다. 제도개선 측면에서 볼 때, 복합환승센터의 사업을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민간투자자에 의해 사업이 진행 되더라도 도시 교통의 중요 기반시설을 개발하는 측면에서 환승센터 본연의 역할의 개발과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상업시설의 적정한 설치 기준을 산정할 수 있는 법률적 기준 마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사업 전반에 걸쳐 민간투자자의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제도 마련과 공공시설로써 복합환승센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민간투자자의 의견과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피드백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기존의 환승센터는 철도역 중심으로 역세권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복합환승센터의 개발형태로 진화한 모습으로 개발들이 이루어 질 것이다, 하지만, 지자체들의 전시행정식의 사업수행으로 인한 예산낭비의 개발이 아닌 철저한 경제성 분석 및 지역개발과 연계한 장기적인 측면에서 복합환승센터의 개발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 주민자치조직의 활성화 요인에 관한 연구 : - 주민자치회를 중심으로 -

        박상범 전남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Engendered in 1952, Korean local autonomy has seen 30 years pass by since its restart in 1991. As time passed, local autonomy has matured, settled, and systematically developed its way into peoples’ lives. Moving away from entity-centered towards citizen-centered local autonomy, interest in citizen autonomy has increased greatly, for its allowing the citizens to solve local problems by themselves. In line with this, the government encourages citizen autonomy in the smallest unit in order to fulfill grassroots citizen autonomy. In 1999, adjustment in local administration system brought about a shift in the function of eup․myeon․dong. The change materialized itself with community centers erected in these areas. In 2013, the residents’ association was implemented and begun its model operations. However, model operations have since been limited in scope and failed to expand nationwide. The present study extracted core value factors of local autonomy from the survey results conducted on experts on local autonomy. These core values were then classified into entity-autonomous values and resident-autonomous values. In addi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actors to promote the residents’ association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reconstructed respectively. To start with, ten sites out of all the sites which were the first to introduce model operations for the residents’ association were chosen. Ten sites consist of five sites in Gwangju and Jeonnam and five other sites in the vicinity.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member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and civil servants in these sites.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resident-autonomous values, the factor of 「capacity for autonomy」 was 「accepted」. 「Central-local relationship」 of entity-autonomous values and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pirit」 of resident-autonomous values were 「partially accepted」. However, among entity-autonomous values, 「decentralization」 was 「rejected」, due to its statistical insignificance. Furthermore,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on those concerned with model sites for the residents’ association, non-model sites and sites with civilian heads of myeon, to find out ad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fluencing factors and the residents’ association. As a resul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centralization』 was found to b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local autonomy laws for decentralization」. Among the factors of 『central-local relationship』, “operation by a resident with no government control” was emphasized. 「Financial independence」 was also emphasized, reflecting its dire need. Among the factors of 『capacity for autonomy』, 「ownership」 was highlighted. Moreover,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and 「autonomy education」 was emphasized throughout positions and standings. As can be seen from the expression, “lip service to the citizen autonomy,” establishment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itself has not changed much regarding 『participation』. Concerning 『community spirit』, 「intra-population trust」 was pointed out as the most important subfact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esidents’ association should play a consistently significant role in the community, so that citizen autonomy would be realized in a practical way, rather than in a superficial way.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pel legal systemization of residents’ association and its rights to legislation, personnel, finances and organization to enable citizen autonomy. Following are a few policy-related proposals found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First, when revising the constitution regarding decentralization of power and local autonomy, a central-local work allocation principle and the specifics of the nature of the work to be allocated should be defined, in order to guarantee the right to handle citizen autonomous affairs. To push ahead with systemizing the legal status of the residents’ association and its invigoration based on the article 10 paragraph 3 of 「Special Act on Local Autonomy and Revision of Local Administration System」, a legislation tentatively named 「Residents’ Association Installation and Operation Act」should be enacted. Second, financial resources for residents’ association can involve government- or locally-funded subsidies, association revenue, and so on. Residence tax, however, is uniformly-distributed tax imposed upon each household, based on the Residents Registration Law. It thus is similar to residents’ association bill – a portion of residence tax, therefore, can be assigned to residents’ association. Considering Germany’s Gemeinde bill, Britain’s residence bill and Japan’s hometown bill,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e establishment of citizen autonomy bill to help manage citizen autonomy. It is also worth contemplating on the ways to procure funding through donation and membership fee. Third, to invigorate residents’ association, there need to be ownership, leadership and autonomy education, which all belong to the factor of capacity for autonomy. To invigorate residents’ associa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legal basis is meager, the leadership of the local autonomous entity evidently comes to the fore. On the other hand, to strengthen capacity for autonomy, a local university should operate an academy for autonomy education. Fourth, local community spirit should be recovered by restoring traditional values of citizen autonomy, such as Korea’s Hyangyak, Dooreh, and Gye. In addition, by entrusting a portion of local autonomous work to the residents’ association, its role and activity are expected to expand and enlarge. As a result, the residents’ association would naturally position itself on the center of local community. It is also essential to form social capital and network, and operate residents’ association in tong.ri unit and apartment basis based on the interpersonal trust within the community. Fifth, the current eup․myeon․dong not only manages resident-related adminitrative work but also functions as a center for local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Operation of eup․myeon․dong in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examined in the long run in terms of citizen autonomy and adopt it into autonomy system or semi-autonomy organization system, in order to establish the system of electing the heads of eup․myeon․dong by means of residential election.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worth mentioning in addition to the policy-related proposals made above. First is related to the representativeness of sampl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ten sites which consist of six sites in Gwangju and four sites in Jeonnam. Therefore, it can hardly be conclusive in representing the general population of Korean residents’ associations and the public’s perception. Second is related to the time taken in settlement of citizen autonomy system. From experiential perspective, functions and roles of eup․myeon․dong offices have transitioned to community centers, residents’ committees and on to residents’ associations.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 system was chosen as a subject of the study when behavioral changes and accumulation of experiences have not yet ripened, due to the recent changes in system. Such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overcome when future studies are conducted in other areas and places and the activation factors of local autonomy are generalized. Furthermore, citizen autonomy system is expected to settle naturally with time when more studies regarding citizen autonomy are carried out. 한국의 지방자치는 1952년 4월 도입과 중단을 거쳐 1991년 부활한 이후 30여 년이 다가오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지방자치는 성숙해지고 정착되어 제도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그동안 단체자치 중심의 지방자치에서 오늘날 주민 중심의 지방자치로 발전해 가며, 지역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도록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민자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정부는 풀뿌리 주민자치의 실현을 위해 가장 최소단위에서의 주민자치를 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1999년 지방행정체제개편의 일환으로 읍․면․동의 기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읍․면․동에 주민자치센터가 설치되었다. 이후 2013년 주민자치회를 시범으로 하였으나, 아직도 시범지역은 매우 한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크게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의 핵심을 추출하여 지방자치학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단체자치적 가치와 주민자치적 가치를 선별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주민자치회 발전을 위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요인을 재구성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주민자치회 1차 시범지역 중 광주․전남의 5개 지역과 인근 지역 5개 등 10개 지역에서 주민과 자치위원,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민자치적 가치요인 중 「자치역량」 요인은「채택」되었다. 그리고 단체자치적 가치요인 중 「중앙과 지방의 관계」 요인과 주민자치적 가치요인 중 「참여」 요인 및 「공동체성」 요인은 부분적으로 채택 되었다. 하지만 단체자치적 가치요인 중 「분권」 요인은 독립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 되었다. 다음은 주민자치회 시범지역과 비시범지역, 민간인 임명 면장 등 관계자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주민자치회 활성화의 영향요인과 연계하여 추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권』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분권형 헌법 및 지방자치법 개정」을 강조하였다. 『중앙과 지방의 관계』 요인 중에서는 “관치가 빠지고, 주민에 의한 운영”을 강조하고 무엇보다도 「재정적 독립」을 강조하고 있는 바, 이는 현장에서 가장 절실한 것으로 보인다. 『자치역량』 요인 중에서는「주인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리더십」과「자치교육」은 각계·각층에서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참여』 요인 중에 있어서는 “말만 주민자치”란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주민자치회가 되었다 할지라도 크게 변화한 것이 없음을 지적하고 있다. 『공동체성』 요인 중에서는「주민 간 신뢰」를 가장 중요한 하위요인으로 지적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외형만 주민자치가 아닌 실제적 주민자치가 될 수 있도록 주민자치회가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주민자치회를 법적으로 제도화하고 주민자치가 가능하도록 입법권, 인사권, 재정권, 조직권 등을 부여하도록 추진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에서 지방분권 선언 및 「지방자치법」을 개정할 때, 주민자치 관련 자치사무권 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지방 사무 배분원칙 규정 및 국가․지방 사무를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할 것이다. 「지방자치분권 및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 제29조 제3항 규정에 의해 주민자치회의 법적지위와 활성화를 제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가칭)주민자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이 조속히 제정되어 할 것으로 본다. 둘째, 주민자치회의 재정확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자체수입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주민세는 「주민등록법」상 세대별로 부과되는 균등분세로서 주민회비의 성격이므로, 그 일부를 주민자치회에 배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독일의 게마인데세, 영국의 지역주민 부담세, 일본의 고향세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이 주민자치 관리비라는 명목으로 주민자치세를 신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또한 기부금과 회비 등을 통해 재원을 마련할 방법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주민자치회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치역량 요인의 주인의식, 리더십, 자치 교육 등이 있어야 할 것이다. 현재와 같이 법적 근거가 미흡한 상황에서 기초지방자치단체장의 리더십이 제일 중요할 수밖에 없다. 한편, 자치역량 강화를 위해 주민자치 관련 학회나 주민자치 연구단체 등에 풀뿌리 주민자치 대학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한국의 향약, 두레, 계 등 사라져간 주민자치의 전통적 가치를 회복하여 엷어진 지역공동체성을 회복하며, 기초자치단체 사무의 일부를 주민자치회에 위탁하여 주민자치회가 지역공동체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활성화 및 그 역할 증대를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민 간 신뢰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과 네트워크를 구성하면서 통․리단위와 아파트자치회 등도 주민자치회 운영이 필요하다 다섯째, 현재 읍․면․동은 주민생활과 직결된 종합행정을 담당하고 동시에 지역커뮤니티 활동의 중심체 역할 또한 하고 있다. 현재 행정계층으로 운영되는 읍․면․동은 주민자치적 측면에서 장기적으로 검토하여 자치계층으로 만들거나 준자치단체층으로 만들어서 읍․면․동장을 주민들이 선출하는 등 읍․면․동 행정을 주민들이 통제할 수 있도록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은 정책제언과 함께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자 한다. 첫째, 표본의 대표성에 관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자치회(시범지역)과 주민자치위원회(비시범지역) 중 광주 6개 표본지역과 전남 4개 표본지역 즉 모두 10개 표본지역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져, 모집단인 주민자치회 전체의 특성과 일반적인 인식을 충분히 대변한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둘째, 주민자치제도 정착과 관련한 시간적 문제에 관한 것이다. 경험적 관점에서 보면, 읍·면·동사무소의 기능과 역할이 주민자치센터로 전환한 후, 주민자치위원회 그리고 주민자치회로 이행되었다. 각각의 제도변화에 따른 행태변화 또는 경험축적이 되지 못하고, 지나치게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주민자치를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한계는 향후 다른 지방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진행되면 주민자치회 활성화 요인에 대한 일반화가 이루어지면서 해결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주민자치와 관련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면 제도정착에 대한 문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극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상수도관 공동부 유동화 주입 충전재 개발 및 주입 장치 검증

        박상범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건설사업과 관련해서 발생된 콘크리트 및 각종 건설재료들이 폐기물 상태로 재활용을 하기 위해 건설 폐기물 처리 업체로 보내지게 된다. 폐기물 처리 업체들은 콘크리트 같은 경우 임팩트 크러샤등으로 콘크리트를 파쇄하고 발생된 모래정도 이상의 입경은 골재로서 재활용 되지만 모래입경 이하의 미세한 가루 즉 슬러지 상태의 미분은 또다시 폐기물로 버려지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의 미분은 시멘트와 석분이 섞여있으며, 또한 미분의 경우 입자가 아주 미세한 입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토의 입경과 비슷하고 높은 점착력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미분을 이용하면 환경적인 문제저감과 건설재료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음에도 아직 국내에서는 미분에 대한 활용도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 이중관 시공 시 모르타르의 모래를 미분으로 일부 대체하여 내관과 외관 사이의 충전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미분의 재료적 성질시험 및 배합실험을 실시하였다. 재료의 배합은 시멘트+잔골재+미분+물+혼화제로 하였다. 배합에 따른 FLOW각도, 점착력의 정도, 재료분리, 강도의 변화에 대한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하였으며, 경제성을 검토하였다. 실험을 토대로 볼 때, FLOW각도는 미분의 비율이 커질수록 물의 양도 많아져 FLOW각도가 작아졌으며, 재료분리가 잘 일어났다. FLOW각도 40°를 기준으로 일반적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W/C는 45~55%정도이고, 시멘트, 잔골재, 미분의 1:3:5 중량배합에서는 55%, 1:3:3배합에서는 57%가 나왔다. 그리고 재료가 점성을 가지며,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FLOW각도는 (40±5)°로 나타났다. 또한, 강도는 시멘트 양이 많을수록 강도는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W/C 60%의 1:3:5배합을 제외한 나머지 배합의 압축강도는 지반의 자갈 허용지지력보다 높게 나왔다. 경제성에서도 일반 모르타르로 관을 100m 시공했을 때보다 3/4 정도 비용절감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모르타르보다는 강도가 작지만 충전재로써 내․외관을 지지하는 데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가상의 평면 정보를 이용한 단일 카메라 기반 3차원 물체의 자세 계측기법

        박상범 崇實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aper proposes a method to measure 3D pose of a camera for a target object using the virtual plane which is consist of feature points on the target object. A general method of estimating a camera pose with a single camera includes a calculation module to get intrinsic and extrinsic parameters for a camera using camera calibration. In this thesis, the proposed method in industrial field generates control coefficients to control a manipulator robot after measuring camera pose in the real world. The camera calibration algorithm is used to get a homogeneous transformation matrix between camera coordinate and object coordinate using feature points on the object. The PHCM(Pin-Hole Camera Model) which is used instead of a real camera and 2D image plane coordinates is introduced for calculating camera intrinsic parameters such as focal length, optical axis and scale feature. In this case, lens distortion such as barrel distortion should be occurred in general camera module is dealt in this module and distortion coefficients are also calculated. A chess board patch image is used for calibration module. The improved feature extraction method based on the SURF (Speeded Up Robust Feature) is applied to decide feature points on the target object in the 3D real world. The feature extraction method is divided as 2 steps. First one is the target registration step about a model image, and second one is the target detection step for an object in real 3D. In the registration step, the target object is registered as a basic pose that is positioned on normal direction for the camera. The proposed SURF uses not only features from a normal SURF method but also a specialized color and local features. Interesting points after above steps are stored in a DB(data base) with corresponding CAD information. In the detection step, the target object in current image should be detected by the registered model image. The algorithm finds feature points using user defined feature points which are related with SURF features. In this flow, the proposed method could detect accurate feature points. This result provides base to point user defined feature points. To decide 3D pose for the target object,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the geometric relation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the camera using detected feature points. Assuming that feature points in homogeneous are all zero on the plane z-term, it serves reducing the number of unknown parameters and simplifying the linear formula on the applied algorithm. For verifying this proposed method, the target object which is having all feature points on single plane is tested. After this test, the virtual plane method which is based on arbitrary 3 feature points is applied to this algorithm. A geometric relation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the virtual plane coordinates is obtained. In this case, the relation is not changed while the target object is moving because it is having constant parameters. Although an unknown relation between the camera and the target object could be changed, the constant relation between virtual planes and the target object is not changed. Finally, the algorithm induced a simple and intuitive formula.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on the known pattern board which has all features on a plane. And the virtual plane method is tested on the simulation program for arbitrary 3 feature points. The algorithm is also applied to ordinary industrial parts such as car door, engine. We can find out correct results from above tests. 본 논문은 단일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 내에 존재하는 대상 물체에 대한 특징 정보들을 이용하여 다수의 가상 평면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대상 물체에 대한 카메라의 자세를 계측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자세 계측 기법에서는 카메라 보정 기술을 통한 카메라 내부, 외부 변수를 결정하여 2차원 영상 내에서 대상 영역에서 발생하는 특징 성분의 정확한 위치 결정 및 정합을 통해 효율적인 3차원 자세 결정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산업 현장에서 임의의 자세로 놓여진 물체에 대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카메라에 대한 정확한 자세를 결정한 뒤 매니퓰레이터 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기하학적 제어 변수를 결정한다. 카메라 보정 기술은 먼저 3차원 실세계 좌표계에서의 특징 점들과 이에 대응하는 카메라 좌표계에서의 특징 점들과의 회전 및 병진 관계를 고려하여 동차 변환 행렬(Homogeneous transformation matrix)을 구성한다. 그리고 카메라 좌표계와 2차원 영상 좌표계와의 기하 모델인 핀-홀 카메라 모델(Pin-hole camera model)을 이용하여 카메라 초점 계수(Focal length)와 광학 중심축(Optical axis) 등의 카메라 내부 변수를 중심으로 하는 상관 관계를 구성한다. 이 때 렌즈 왜곡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축 방향 왜곡(Barrel distortion)을 고려하여 왜곡 보정 계수를 결정한다. 그리고 체스보드 패치를 이용하여 결정된 각 특징 점들과 대응 점들의 관계에 대한 선형 수식을 구성하여 카메라 내부, 외부 변수를 결정한다. 대상 물체 특징 결정 기법으로는 3차원 공간상에서 대상 물체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해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를 기반으로 개선된 특징 추출 기법을 적용한다. 특징 검출 모듈은 먼저 대상 물체를 등록하는 단계와 현재 영상으로부터 대상 물체에 대한 특징 정보들의 위치를 결정하는 두 개의 단계로 나뉜다. 대상 물체를 등록하는 단계에서는 먼저 대상 물체의 기본 자세에 대한 특징 정보를 SURF를 통해 검출한다. 제안된 SURF 기법은 대상 물체의 컬러 특징과 국부 특징을 추가하여 특징 기술자를 재구성하여 획득된 특징점에 대해 알려진 CAD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의 특징점들과 등록된다. 현재 영상으로부터 대상 물체를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기본 자세에 대해 등록된 SURF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의 대상 물체 영역을 검출한다. 검출된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영상에서의 대상 물체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등록된 대상 물체의 정확한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의 특징 정보의 위치를 현재 영상으로부터 획득된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다시 검출하여 정확한 대응점의 위치를 결정한다. 대상 물체의 3차원 자세 결정을 위해 제안된 기법에서는 단일 평면에 존재하는 특징점들을 기반으로 결정된 3차원 자세 결정 관계를 결정한다. 모든 특징점들이 단일 평면에 존재하는 경우 z축 성분의 값이 0이기 때문에 결정해야 할 미지수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보다 간단한 수식을 유도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에 대한 성능의 검증을 위해 실제 단일 평면에 존재하는 특징 성분들에 대한 실험을 먼저 수행하였다. 수행된 결과를 기반으로 가상 평면 기법을 적용하여 임의의 3 점을 기반으로 가상 평면을 생성하고, 대상 물체 기준좌표계에 대한 가상 평면 좌표계와의 기하학적 상관관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대상 물체 기준좌표계에 대한 가상 평면 좌표계와의 상관 관계는 대상 물체의 운동에 대해 고정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초기 설정된 값이 변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상 물체 기준좌표계에 대한 카메라의 자세 정보는 달라지기 때문에 미지수 영역과 상수 영역을 구별하여 수식을 전개함으로써 보다 간결한 수식을 유도할 수 있었다. 제안된 기법에 대한 실험을 위해 인위로 구성한 패치 정보에 대한 자세 결정 기법의 동작을 검증하고, 대상 물체로부터 획득된 임의의 특징점들을 이용하여 가상 평면을 구성하는 모듈에 대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동차 도어나 엔진 등의 사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대상 물체의 자세 변경에 따라 실측 값과 비교하여 정확한 자세 정보가 나옴을 확인하였다.

      • Exciter를 이용한 평판디스플레이 음질개선에 관한 연구

        박상범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가 급속도로 발전을 이루면서 반도체 관련 기술도 비약적으로 많이 발전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초반부터 TV가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는 UHD와 같은 초고해상도의 화질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매년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신기술들이 전 세계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홍보되고 상용화까지 이뤄지고 있지만, TV에 부착된 스피커에 대한 연구개발은 미비한 상태다.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게 되어 TV의 스피커는 뒷면에 설치되어 음상이나 음장감등이 다소 떨어진다. 이러한 이유로 TV자체 스피커를 사용하지 않고 사운드 바, 홈시어터 등 부가적인 음향재생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TV 구매자들은 금전적으로 추가지불을 하고 있다. 따라서 TV 이외의 별도 음향재생장치 없이 TV자체를 스피커로 이용하면서 디자인적인 요소 등 여러 조건을 두루 만족시킬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기존의 평판디스플레이의 연구에서는 TV 백패널에 부착된 스피커 대신에 Exciter를 부착하여 TV패널 자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자인적인 요소와 음장, 몰입감 등을 만족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디스플레이를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추가적인 스피커 없이 Exciter의 배치 간격과 위치 등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여 음질을 개선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하기 위해 Exciter의 개수와 위치별 스펙트럼을 비교분석하면서 나타나는 파장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Exciter를 이용한 평판디스플레이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매질에 따른 음향특성과 방사각 등을 분석하여 Exciter의 최적위치를 찾아 음질을 개선하였다. 평판디스플레이의 크기는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음향 방사각도를 제안하였다.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semiconductor related technology has developed remarkably. As a result, TVs have become popular since the early 2000s, and displays that can display ultra-high resolution images such as UHD are being continuously developed. Every year, new technologies related to displays are continuously being promoted and commercialized in the world market,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peakers attached to TVs is not yet developed. Considering the design factors, the TV speakers are installed on the back side, and the sound and the sound field are somewhat deteriorated. For this reason, addit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es such as a sound bar and a home theater are used without using a speaker of the TV itself. As a result, TV buyers are making additional payments in cas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satisfies various conditions such as design factors while using the TV itself as a speaker without a separate sound reproduction device other than a TV. In the study of the conventional flat panel display, the excitation was attached to the TV back panel instead of the speaker attached to the TV back panel, and the TV panel itself was used as a diaphragm to satisfy design factors, sound field, and immersion. In this paper, we used a display as a diaphragm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pacing and position of Exciters without additional speakers. In order to do such a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velengths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umber of Exciters and the spectra by position. In this pap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Exciter,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and the radiation angle according to the medium are analyzed and the sound quality is improved by finding the optimum position of the Exciter. Since there are many sizes of flat panel displays, we proposed the sound radiation angle that can be applied to each display.

      • 이사야 40-55장의 계약전승에 나타난 열방선교

        박상범 한세대학교 영산신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금까지의 사고(思考)를 종합해 볼 때 이사야는, 특히 40-55장은 저 유명한 프랑스 철학자인 베르그송이 말한 것처럼 ‘열린 마음’이라는 하나의 일관된 사상을 갖고 있었다. 바로 열방을 향한 마음이며, 하나님이 바라보는 열방은 차별된 민족, 버림받은 민족이 아니라 이젠 그들에게도 열려진 구원의 계획을 알려야 한다는 사상, 그것이다. 신약성서가 구약성서보다 선교에 관한 것이 더 풍부한 것은 어떤 것으로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고 구약에서 극히 미비하게 언급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알다시피 요나서는 예언서이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이방인, 열방 민족인 니느웨 백성에게 다가가는 선교로 일관하고 있다. 시편도 마찬가지이다. 다윗을 비롯한 여러 시편들에서 이스라엘 뿐 아니라 다른 여러 민족들에게도 하나님의 사랑이 열려 있음을 선포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피터스가 바라본, 그 외 여러 학자들이 바라본 이사야는 열방을 향한 뜨거운 하나님의 마음을 표출하고 있다. 이 세상을 만드신 창조의 하나님, 그리고 그들 자신이 하나님의 도구가 되어 야웨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고 있는 것임은 아직 모르고 있지만, 열방에게도 하나님은 유일하신 분으로 다가가셨고, 이스라엘만 택하신 것이 아니라 열방에게도 구원의 창은 활짝 열려져 있다는 구원의 하나님 이해는 오늘날 땅 끝까지 이르러 증인이 되어야할(행 1:8) 우리에겐 너무도 중요한 신론(神論)이다. 이사야, 특히 40-55장은 이사야서의 일부이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것과 같이 피터스가 말한 것처럼 구약에서 선교라는 것을 끄집어낼 수 있는 가장 위대한 책이다. 왜냐하면 본문에서 하나님의 정의와 평화가 이스라엘을 넘어 온 세계로 향하고 있음을 믿고 선포했기 때문이다. 이사야는 야웨의 활동에는 목적이 있다는 것과 모든 사건들은 이스라엘과 열방에 대한 야웨 하나님의 목적을 실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굳게 믿었다. 이런 믿음의 맥락에서 이사야는 영원할 것 같았던 대제국 바벨론이 패망하고 포로들이 고향 땅에 돌아갈 수 있는 새로운 구원의 시대가 야웨 하나님에 의해 열린 것을 선언하였다. 이 선언은 그대로 이스라엘의 하나님 야웨가 페르시아의 고레스를 그의 도구로 삼아 인류 역사 위에 새로운 장을 펼치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에서도 찾을 수 있다. 또한 국가성의 상실과 정체성 혼란, 유일신 신앙 공동체로써의 존립위기에 직면하게 된 포로기, 특히 이러한 포로기가 거의 끝나갈 무렵, 그리고 포로지에서의 적응과 동화로 인하여 변화에서 이사야는 포로지에서의 청중들에게 포로회복에 대한 희망과 용기, 더 나아가 하나님의 구원대상으로서의 긍정적 열방개념이라는 그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 고대전승을 사용하였다. 전승 중에서도 계약전승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성이 이스라엘에게만 있다는 특수주의가 아니라 모든 열방에게도 열려 있다는 보편주의로 주위를 환기시키는데 긴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노아 계약전승, 아브라함 계약전승, 그리고 영원한 계약인 다윗 계약전승을 중심으로 열방에 대한 긍정적 관점과 하나님의 구원대상으로서의 가능성에서 구체화되고 극명하게 제시되는 열방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포로기 말엽의 대예언자 이사야는 야웨가 유일하신 참 하나님으로 실존하신다는 진리를 처음으로 분명하게 인식하고, 이를 이사야 40-55장에서 강조하였다. 또한 그에게 있어서 야웨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실 뿐 아니라 세상 모든 만민들의 하나님으로 자리하는 분이다. 따라서 포로기 말엽이라는 독특한 시대상황 속에서 이러한 사고를 더욱 발전시킨 이사야는 이를 통해 열방에 대한 개념변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려 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열방은 이제 변두리에서만 맴돌 것이 아니라 평화롭게 될 대상으로써, 또 확장되어질 구성원으로서, 그리고 하나님과 맺은 그 영원한 계약을 이스라엘을 통해 전달받게 될 믿음의 공동체로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을 기대한다. 또한 열방은 이제 부정적인 시각이 아닌 긍정적인 차원에서 검토해야할 대상이다. 이것이 선교라는 선상(線上)에서 어떻게 비춰질 지는 이 논문만으로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있어 확실한 개념이 서기를 바랄 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