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가복음과 고난의 시간(ώρα) : 막 13:11; 14:35, 41을 중심으로

        박사무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Mark's theology emphasizes the suffering of Jesus and his followers the most among the Four Gospels. Also, that Mark's theology emphasizes suffering is also found in the use of the word ὥρα in the narrative of Mark's Gospel. ὥρα in the Gospel of Mark appears a total of 12 times in the Gospel of Mark, representing ① physics, ② apocalypse, and ③ time of suffering. In other words, 6:35 (twice); 11:11; 14:37; 15:25, 33, 34 (twice) represent physical time, 13:32 apocalyptic time, 13:11; 14:35, 41 refers to the time of suffering of Jesus and his followers. In this context, ὥρα, meaning suffering, is connected with the theological emphasis of Mark’s gospel, the suffering of Jesus and his followers. This is because ὥρα, which appears as the theological emphasis in the other Gospels, is compared with καιρός and χρόνος in Mark, Mark 13:11; It can be seen that ὥρα in 14:35, 41 reflects the theological emphasis of Mark's gospel. Looking more specifically, ὥρα is mentioned not only in the Gospel of Mark, but also in other Gospels. As can be seen in this part, physical and apocalyptic time appear as in the Gospel of Mark, but we can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ὥρα that reflects the theological emphasis of each Gospel.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Gospel of Mark emphasizes the time of suffering when compared with other Gospels. That is, through theological emphasis, it is possible to see the use of ὥρα different from other gospels. Also, the same part can be seen when comparing the concept of time in the Gospel of Mark. In the Gospel of Mark, there are καιρός and χρόνος that have a temporal function other than ὥρα. However, ὥρα does not have a single meaning like καιρός and χρόνος, but has various temporal meanings.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suffering is a characteristic of ὥρα that cannot be looked at in καιρός and χρόνος. In other words, ὥρα in Mark is Mark 13:11; Through 14:35, 41, we can see that it has t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suffering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temporal concepts in Mark's gospel. In this regard, this article 13:11; By comparing the ὥρα appearing in 14:35, 41 with καιρός and χρόνος other gospels, we want to clarify that the emphasis on the use of ὥρα in Mark's Gospel represents suffering and the present of suffering. 마가복음의 신학은 사복음서 중 예수와 그를 따르는 자들의 고난을 가장 많이 강조한다. 또한 마가복음의 신학이 고난을 강조한다는 것은 마가복음의 서사 속에 나타난 단어 ὥρα의 사용에서도 발견된다. 마가복음의 ὥρα는 마가복음 내에서 총 12회 등장하며, ① 물리, ② 묵시, ③ 고난의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다시 말해, 6:35(2회); 11:11; 14:37; 15:25, 33, 34(2회)은 물리적 시간을, 13:32은 묵시적 시간을, 13:11; 14:35, 41은 예수 및 그를 따르는 자들의 고난의 시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부분에서 고난을 의미하는 ὥρα는 마가복음의 신학적 강조점인 예수와 그를 따르는 자들의 고난과 연결된다. 그 이유는 타(他) 복음서의 신학적 강조점으로 나타나는 ὥρα와 마가복음 내의 καιρός 및 χρόνος와의 비교를 통해, 마가복음 13:11; 14:35, 41에서의 ὥρα는 마가복음의 신학적 강조점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ὥρα는 복음서 중에서 마가복음뿐만 아니라, 타 복음서에서도 언급된다. 이 부분에서도 알 수 있는 것은 마가복음과 같이 물리 및 묵시적 시간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각 복음서의 신학적 강조점을 반영한 ὥρα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마가복음은 타 복음서와 비교하였을 때, 고난의 시간을 강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신학적 강조점을 통하여 타 복음서와는 다른 ὥρα의 사용을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가복음 내의 시간적 개념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이와 같은 부분을 볼 수 있다. 마가복음 내에서 ὥρα 이외의 시간적 기능을 하는 것은 καιρός와 χρόνος가 있다. 그러나 ὥρα는 καιρός 및 χρόνος와 같이 단일적 의미를 가지지 않고, 다양한 시간적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고난에 대한 강조점은 καιρός 및 χρόνος에서는 살펴볼 수 없는 ὥρα의 특징이라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마가복음의 ὥρα는 마가복음 13:11; 14:35, 41을 통하여 마가복음 내의 다른 시간적 개념과 구별되는 고난의 신학적 특징을 가진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마가복음 13:11; 14:35, 41에서 나타나는 ὥρα를 타 복음서와 비교하고, 마가복음 내의 καιρός 및 χρόνος와 비교하여, 마가복음의 ὥρα 사용의 강조점이 고난과 고난의 현재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 아세안 통합의 국제정치경제 : 역내 무역 비중 변화를 중심으로

        박사무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아세안의 정치 경제적 관계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2015년 아세안 공동체(ASEAN Community)의 발족과 함께 국제사회에서 발전하고 있는 지역통합 기구로써 이목을 끌고 있지만, 관세를 낮추었음에도 지역통합에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는 역내 무역 비중의 변화가 미미한 근거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아세안의 무역 비중을 통해서 미국과 중국을 대상으로 국제적 요인과 아세안의 6개국을 선택하여 국내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가 마지막으로 가입하여, 아세안 구성원이 전부 가입한 시기인 1998년부터 최근 2018년을 기간 삼아, 현실주의적 시각에서 국제정치경제적으로 설명하고 노력하였다. 중국은 역사적으로 냉전 시기에 인도네시아와의 협력, 북베트남에 대한 지원 등이 자유진영의 몇몇 아세안 국가들과 갈등 그리고 현대에는 남중국해 관련한 갈등이 존재했다. 하지만 중국의 평화적 부상(peaceful rise),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아세안에 경제적으로 접근하기 시작했다. 미국은 아시아로의 회귀 혹은 재관여(pivot to Asia)하는 정책이 있었지만, 정치적인 부분보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중국이 경제적인 이익 관계가 더 크기 때문에 역내 무역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세안의 구성원과의 관계에서도 베트남과 캄보디아나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그리고 미얀마와 태국 그리고 미국과의 역사적·정치적 관계보다 실리적인 이익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정치적 요인이 경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아세안 국가들은 실리적으로 경제적 이해관계를 선택하고 있다. The study focuses on the newly-reviewed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hip of ASEAN. It has drawn keen attention as a regional integration organization developing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the launch of the ASEAN Community in 2015, but it aims to analyze the small grounds for the change in the intra-regional trade share, which can be seen as an important factor in regional integration despite lowered tariffs.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U.S. and China by selecting international factors and the six countries of ASEAN as domestic factors through the share of ASEAN’s trade. This study, taking advantage of the recent 2018 period from 1998 when Cambodia last joined, explained and tried in an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sense from a realistic perspective. China has historically had conflicts with several ASEAN countries in the free world, including cooperation with Indonesia and assistance to North Vietnam during the Cold War, and conflicts concerning the South China Sea in modern times. China's peaceful rise, however, has begun to approach ASEAN economically to do checks and balances against the U.S. The U.S. had a "pivot to Asia" policy, but it was analyzed that China, which is geographically closer than political, had an impact on regional trade because of its preeminent economic interests. In terms of relations with ASEAN members, it has been analyzed that substantive interests are larger than historical and political relations with Vietnam, Cambodia, Indonesia and Malaysia, Myanmar, Thailand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although political factors do not affect the economy, ASEAN countries are practically opting for economic interests.

      • Portable Vaccine Carrier and Cold Chain Monitoring System Using SMS Communic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박사무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Vaccine wastage is high during outreach delivery sessions due to lack of temperature control and insufficiency of manual data records. The core challenge of vaccination, nonetheless, is data monitoring, since it is critical for managing and operating strategical vaccination by health organizations. In this thesis, a real-time monitoring vaccine carrier system was developed. Thermoelectric cooling was utilized in the vaccine carrier and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was developed to track temperature, location and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vaccine carrier. Working performance of the vaccine carrier was tested in both Korea and Tanzania (Arusha and Kilimanjaro regions), where Short Message Service (SMS) communication method is used to send information of the carrier’s status. Then the data was uploaded onto a web server for Internet of Things (IoT) applications. As a result, the vaccine carrier can drop the internal temperature below 8℃ at a surrounding temperature of 36℃ within 27 minutes, and the system was able to transmit and receive real-time data of the vaccine carrier status while being tested. The data can be accessed from any location through the cloud server. Being able to monitor the vaccine carrier status in real-time can contribute not only to reduction of vaccine wastage but also to expanded access of vaccin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콜드체인의 마지막 단계인 백신전달 과정에서 온도조절 기능의 부재와 현재 수기로 수집하는 데이터의 부족으로 인한 백신 낭비가 심하다. 백신전달의 핵심 문제는 데이터 모니터링이며 이는 보건기관의 전략적 백신전달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데 데이터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실시간 백신전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열전 소자를 이용하여 이동형 백신 냉장고의 냉각 시스템을 구성하였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백신 냉장고의 온도, 위치 및 전력 소비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백신 냉장고의 실시간 상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문자(Short Message Service) 통신 방법을 사용하였고, 한국과 탄자니아(아루샤 및 킬리만자로 지역)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테스트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술 적용을 위해 서버에 업로드 된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백신 냉장고를 통해 36℃ 환경에서 백신 냉장고 내부를 27분 이내에 8℃까지 낮추고 이후 유지할 수 있었으며 실시간 데이터 모니터링을 할 수 있었다.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어디서나 확인할 수 있다. 백신 냉장고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개발도상국에서의 백신 낭비를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 디지털증거의 법적지위 향상을 위한 무결성 검증방안

        박사무엘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Popularization of computer and rapid expansion of internet have led our world into the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Computer-related crimes, on the other hand, jeopardize humanity in various forms. Recently, digital forensic which is based on digital evidence have recognized as effective investigation method due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digital evidence. Digital evidence is invisible, fragile, but can hold enormous amount of data. Because of the wide area and various types, computer crimes have rapidly increased. Legislation and relevant research have been proceeding by many countries in order to prevent the damage from the computer-related crimes. In Korea,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was amended in January, 2008 to complements existing laws and enact new provisions. New provisions alone, however, have limitation on prevention of computer crime. Especially, digital evidence indicates several problems to be used as the source of impeccable investigation. This paper would discuss the effective collecting, analyzing, and verifying method to improve legal status of digital evidence. 컴퓨터가 정보산업의 발전과 함께 현대생활의 필수도구로 자리 잡고 급속한 확대로 인하여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들어서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의 이용으로 인한 범죄가 확대되면서 오남용으로 인류에게 피해를 초래하는 역기능적인 측면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고 있어 사회학적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증거는 불가시성, 취약성, 대용량성이라는 특징이 있는데 이러한 디지털증거의 특징에 착안해 디지털포렌식 분야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다. 디지털기기의 영역은 광범위할 뿐 아니라 유형도 다양하여 이로 인한 피해는 기존의 범죄들에 비하여 빠르게 확산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여러나라에서 이러한 신종범죄에 대한 기술적 대처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입법 및 관련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08년 1월에 형사소송법을 개정하여 컴퓨터범죄 처벌과 관련하여 새로운 조항의 신설 및 기존 법조문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규정만으로 현재 발생하고 있는 컴퓨터관련 범죄를 억제하고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디지털증거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지 이를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무결성 검증에 따른 문제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범죄의 중요한 핵심 증거가 될 수 있는 유효한 증거확보를 위해 체계적인 증거수집 및 분석방법과 일반적인 저장장치에서 디지털증거를 획득하는 방안, 디지털증거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안으로 구분하여 효과적으로 디지털증거를 수집하고 무결성을 보장받고 입증하여 법적지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Investigating appropriate drone survey area in consideration of potent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impacts

        박사무엘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최근 드론과 관련한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의 도입에 대한 시도가 일어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원격탐사 분야에서 드론이 기존 항공기의 단점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림지역의 관리를 위해서는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핵심인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드론을 활용한 원격탐사가 최적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드론의 배터리 용량, 최고 속력 등의 기술적 한계로 인해 탐사면적이 증가할수록 드론의 장점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드론의 기술발전에 따른 산림지역 원격탐사의 적정 탐사면적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지는 우리나라의 무인비행장치 시범사업 공역으로 설정하였으며, 드론을 활용한 원격탐사의 종류는 사진측량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였으며, 드론 기술발전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론을 고정익과 회전익으로 구분하고, 환경적 측면은 탄소배출량으로 경제적 측면은 비용으로 비교하였다. 대상지 내에 각각 독립된 산림면적을 대상으로 경로계획을 통하여 드론의 이동거리를 산출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활용하여 드론의 탄소배출량과 비용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항공기 원격탐사와 비교하였을 때 환경적 측면에서 적정 탐사면적은 고정익 드론이 157㎢, 회전익 드론이 115㎢였다. 경제적 측면에서 적정 탐사면적은 고정익 드론과 회전익 드론이 모두 6㎢였다. 드론 기술 발전에 시나리오를 현재 수준, 속도 2배, 배터리 용량 2배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환경적 측면을 고려할 때 배터리 용량 증가 기술이 속도 향상 기술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대로 경제적 측면을 고려할 때 배터리 용량 증가 기술이나 속도 향상 기술은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떨림보정 기술 등과 같은 다른 기술들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의미한다. With recent rapid developments in drone technology, drones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all over the world and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roduce them in various fields. This is true especially in the field of remote sensing where dron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replacement for airplanes and their disadvantages. Periodic monitoring is essential in forest management where remote sensing using drones can be an appropriat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alternative to airplanes. However,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such as battery life, maximum speed, and gimbal (camera stabilizer) performance, drone advantages decline as the survey area increas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 forest survey areas for remote sensing according to dron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aspects. The study area was set as temporary restricted areas for UAV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type of drone remote sensing was limited to photogrammetry. As research methods, this study used System Dynamics and quantitative analysis to set scenario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In this study, the drones were classified into fixed-wing and rotary-wing. The potential environmental impact was compared with that of carbon emission and economic aspect was determined by cost. The flight distance of the drone was calculated using the path planned for each closed forest section in the study area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construct simulation models for carbon emissions and for costs of the dron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ly appropriate survey area was 115 ㎢ for rotary-wing drones and 157 ㎢ for fixed-wing drones when compared with airplane photogrammetry. The economically appropriate survey area, in contrast, was 6 ㎢ for both fixed-wing and rotary-wing drones.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were set using three scenarios: present conditions; doubled maximum speed; and doubled battery life. Results of the scenario analysis indicated that battery-capacity-related technology is more important than speed-related technology when focusing on environmental aspects. Conversely, battery capacity and speed techniques are not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conomic efficiency of drones, which means that other technologies (such as the gimbal technique) are needed.

      • Characterization of curing kinetic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dual curable clearcoats

        박사무엘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Clearcoat is one of coating layers coated at the most outside of automotives. Its functions are to protect internal coating layers and to guarantee outer appearance like smooth and glossy surfaces. Therefore, the requirements for clearcoats in order to sufficiently maintain these properties are critical in the chemical and mechanical perspectives. In this study, thermal and UV dual curable clearcoats which were consisted of main resin, crosslinkers, solvent, and other additives were investigated under various curing conditions including UV/thermal mono curing, UV-thermal dual curing, and thermal-UV dual curing. In the 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curing behavior were observed in terms of rheological data. From the rheological analysis on the clearcoats during curing, it was allowed to obtain the information of phase transformation occurr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crosslinking structure. Also, it was supposed that the final mechanical properties of clearcoat like scratch and indentation characteristics could be correlated with the rheological properties measured during curing from the different crosslinkers and curing condtions which could affect the evolution of internal network structure. In order to prove the correl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with rheological properties, FTIR, nano scratch test (NST), and nano indentation test were conducted for dual curing procedures. At the end of this study, it could be possible to compare the curing characteristic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ured clearcoat samples. In terms of energy efficiency of curing, CSMBI showed outstanding performance compared to CHDI and CIPDI, showing fast evolution of storage modulus under the limited amount of energy. It was revealed that the kinetic performance of clearcoat samples was CSMBI>CHDI>CIPDI from dynamic rheological data. In the test of mechanical performance of cured clearcoat samples, the resistance to scratch and fracture in applicatio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cured clearcoat samples, could be interpreted depending on testing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