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보람의 졸업 작품 「위로」해설

        박보람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소논문은 「위로」라는 주제를 토대로 만들어진 4곡의 졸업 작품을 해설한 것이다. 인간관계란 삶 속에서 필연적인 존재이다. 수많은 인간관계 속에서 좌절과 어려움을 겪는 일 또한 불가피하다. 모든 관계의 시작은 자아로부터 비롯되며 담대히 나아갈 수 있는 힘은 위로로부터 시작된다. 필자는 위로의 힘을 음악으로 표현하고자 했고 각 작품의 구체적 창작 배경과 곡의 형식 구조 및 악기 편성, 선율 및 화성의 특징들을 해설하고자 한다. 1) 바다 : 일상에서 염증을 느끼고 찾아간 바다로부터 받은 위로를 표현하였다. 2) Lying by your side : 지난 사랑을 담담하게 정리해나가는 과정을 표현하였다. 3) When the raindrops are falling down : 사랑에 대한 성찰과 현실적인 시선으로 사랑을 바라보고 표현하였다. 4) 꽃 : 죽음을, 존재가 무한히 실재할 수 있는 영역으로 보는 관점에서 표현하였다.

      • Express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ong-chain Acyl-

        박보람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석사학위논문 Streptomyces toxytricini의 장쇄 Acyl-CoA Carboxylase 유전자의 발현 및 이의 특성 연구 박보람 영남대학교 대학원 약학대학 약학과 (지도교수 남 두 현) 요 약 문 Acyl-CoA carcoxylase (ACCase)는 지방산과 같은 1차 대사산물, 또는 Polykeptide와 같은 2차 대사산물의 생합성 관여하는 효소이다. Streptomyces toxytricini는 lipase 저해 활성화를 가진 비만치료제로 사용하는 lipstatin을 생산하는 균주로, tetradecadienoyl CoA와 octanoyl CoA가 결합하여 lipstatin을 생합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 octanoyl CoA의 활성화에 ACCase가 관여할 것으로 추정된다. ACCase는 α subunit과 β subunit로 구성되어 있으며 α subunit에는 biotin이 결합되어 활성화된 후, 이 biotin에 carboxyl기를 포집하여 β subunit인 carboxyl-transferase에 의한 acetyl-CoA 또는 propionyl-CoA와 같은 유기산 α-carbon에 carboxyl기를 도입하도록 한다. Lipstatin 생산균주인 Streptomyces toxytricini로부터 ACCase 복합체를 지령하는 유전자로 추정되는 10.6kb 와 7.4kb 크기의 유전자군이 발견되었다. 10.6kb 유전자 조각에서는 pccB, accA3 및 pccE 유전자가 발견되었으며, 7.4kb 조각에서는 accD1 및 accA1 유전자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종의 ACCase 복합체의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기 5개 유전자를 대장균의 발현 운반체인 pET28a(+) vector 또는 pGEx4T-3a vector에 클로닝하여 발현시키고, 재조합 단백질들을 각각 Ni2+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 또는 gluthatione Sepharose 4B를 이용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정제하였다. 정제된 ACCase complex를 대상으로 기질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AccA1/AccD1 complex는 acetyl-CoA 및 propionyl-CoA 모두 carboxylation시켰지만, AccA3/PccB complex는 propionyl-CoA 만 carboxylation시켰고, acetyl-CoA 는 carboxylation시키지 못했다. 이로부터, AccA3/PccB complex는 장쇄의 acyl-CoA를 carboxylation시키는 ACCas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및 학습민첩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

        박보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및 학습민첩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년 박보람 이 연구의 목적은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및 학습민첩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및 학습민첩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조적 관계가 이론적 모형을 적합하게 예측하는지 검증하였다. 둘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직접 효과를 구명하였다. 셋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관계에서 지식공유, 경력역량의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넷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및 지식공유와 경력역량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조절효과를 구명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특정 조직에 소속되지 않고 일감 단위 계약에 의해 독립적으로 기업 및 기관의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수행하는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 전체로 설정하였고, 국내 주요 강사협회 및 강의강사 중개업체에 등록된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를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 중 주관적 경력성공은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연구자가 새롭게 구인화하였다.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학습민첩성 조사도구는 연구 맥락에 맞게 일부 용어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총 82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4월 중순부터 5월 초까지 온라인을 통해 이뤄졌으며, 회수된 374부 중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거한 뒤, 최종적으로 32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3.0, AMOS 26.0,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으며,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p<.05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주요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모형 적합도 검증 결과,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및 학습민첩성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가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예측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주관적 경력성공 간의 직접효과 검증 결과,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무경계 경력태도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지식공유에 대한 무경계 경력태도가 지식공유의 직접효과, 경력역량에 대한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의 직접효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경력역량의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경계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식공유, 경력역량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지식공유는 무경계 경력태도와 경력역량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 매개효과가 있으며, 경력역량은 무경계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무경계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지식공유, 경력역량이 유의한 이중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학습민첩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무경계 경력태도와 경력역량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조절효과와 지식공유와 경력역량 간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은 인텔리전트경력이론 및 사회인지경력이론 확장모델을 기반으로 역량 축적 및 경력 확장의 관점에서 개인 차원의 무경계 경력태도와 사회 맥락적 차원의 지식공유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경력역량의 축적을 통한 통합적 메커니즘에 따른 결과물이다. 둘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주관적 경력성공은 경력역량 수준에 따라 달라지며, 경력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무경계 경력태도를 함양하고, 다양한 강의분야의 동료강사들과 지식공유를 보다 활발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는 직무, 조직 간 경계를 넘은 유연한 경력태도를 지님으로서 보다 활발한 동료강사들과의 지식공유와 경력역량 축적을 통해 궁극적으로 주관적 경력성공 수준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들은 석사 이상 학력자 비율이 높고, 소속된 조직이 없어 비교적 동질한 프리랜서 아웃소싱 시장 환경에서 스스로 생존하는 구조이기에 개인별 학습민첩성 수준의 큰 차이가 나지 않을 수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종사상 지위분류 세분화 개정에 따라 프리랜서 현황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확률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주관적 경력성공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일반적 특성 혹은 유사한 특성을 지닌 집단과의 집단별 차이 규명이 필요하다. 셋째, 무경계 경력에 대한 관점 확장 및 관련 연구의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프리랜서 특유의 맥락을 고려한 경력역량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프리랜서 특유의 맥락을 고려한 경력역량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의 무경계 경력태도 및 지식공유와 경력역량 간의 관계에서 다양한 조절변인 탐색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들은 지식공유, 경력역량, 주관적 경력성공 증가를 위해 특정 직무, 조직 경계에 얽매이지 않고 심리적, 물리적으로 이동하며 경력을 쌓고자 하는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둘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들이 다양한 강의분야의 동료강사들과 활발한 경력 관련 기술과 업계동향을 공유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교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국가 차원에서의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들의 표준화된 강사비 책정 기준 마련 및 실행이 필요하다. 넷째,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들의 경력년수를 고려한 단계별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주요어: 프리랜서, 기업교육 강사, 무경계 경력태도, 지식공유, 경력역량, 학습민첩성, 주관적 경력성공, 인텔리전트 경력, 구조방정식모형 학 번: 2018-30756

      • 금융 기업 영문 이니셜에 대한 인식 연구

        박보람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부분 기업들은 상징적인 얼굴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기업의 네임이다. 브랜드 네임은 누군가가 불러주기 전에는 그저 많고 많은 이름 중 하나에 불과하다. 소비자들은 네임만 보고도 그 기업의 이미지를 떠올린다. 브랜드 네임은 소비자의 마음을 변화시키고, 브랜드를 쉽게 기억할 수 있고 인식되게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브랜드의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긍정적으로 인식시키기 위해서 가장 상징적인 요소 중 하나는 브랜드 네임이다. 브랜드 네임은 소비자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인식시키고 브랜드에 대한 태도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현재 많은 국내 기업들이 그 기업만의 특색과 이미지에 맞는 브랜드를 도입하여 소비자들에게 인식을 주고 있다. 반면 대중적이면서도 국제화에 맞는 브랜드로 만들어가고 있는 금융 기업은 오늘날 국제화 추세에 발맞춰 ‘글로벌 전략’을 추구하며 대다수의 은행명 앞에 영문 약자(이니셜)를 붙여 도입하고 있다. 브랜드 네임은 소비자들에게 제일 먼저 인식되는 것으로써, 소비자들이 그 네임을 보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브랜드 네임이 소비자들에게 있어 중요하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제일 많이 이용하는 금융 기업의 네임이 무조건 한글과 영문 혼합으로 만들어져야만 하는지, 기업에서 소비자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네임의 의미를 소비자들은 아는지, 국문과 영문 이니셜 혼합 네임이 소비자들에게 쉽게 인식되는 것인지, 기업의 네임에 대한 논문은 거의 연구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대다수 금융 기업들이 ‘영문 중복 표기’를 도입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실효성 있는 검증이 필요하다고 보아 금융 기업 영문 이니셜에 대한 소비자 인식 연구를 하였다. 연구 대상은 다양한 지역의 은행 이용을 가장 많이 하는 10대~50대 남녀이며, 한국은행 18곳 중 국문을 별다른 뜻 없이 영문으로 중복 표기를 한 금융 기업 6사를 대상으로 정하였고, 설문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금융 기업 브랜드 네임의 영문 약자(이니셜)와 국문 조합의 인지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금융 기업의 영문 약자의 의미와, 영문 약자에 붙인 정확한 의미를 소비자들은 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문 이니셜 네임은 소비자들에게 신뢰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브랜드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문 · 영문 이니셜을 같이 쓰는 의미를 소비자들은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혼합 네임을 인식하는데 있어 다소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브랜드 이미지와도 어울리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과 가장 많이 접하는 금융 기업의 영문 이니셜에 대한 인식을 이론적, 실증 연구를 통해 영문 이니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브랜드 네임의 중요성과 새로운 네임을 디자인 연구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일과 가족의 조화와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가족친화 분위기의 효과를 중심으로

        박보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성 인력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의 사회변화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의 일과 가족의 조화는 조직에게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국내 조직들은 다양한 가족친화제도를 실시하는 등 조직문화를 가족 친화적인 분위기로 조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일과 가족의 조화를 돕는 일을 단순한 복지 차원으로 여겨 오히려 조직의 효과성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일과 가족의 조화’를 잘 이룰 수 있는 것과‘조직 효과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밝혀낸 듀얼 아젠다(Dual Agenda)의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두 가지를 함께 이루기 위해 조직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과 가족의 조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직장-가족간 갈등과 부서효과성을 연구모형의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이 두 가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써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부서의 가족 친화적 분위기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구성원들의 직장-가족간 갈등과 부서효과성의 상호관련성에 대해서 밝힌다. 둘째, 부서의 업무 과정 특성과 부서의 가족 친화적 분위기가 조직구성원들의 직장-가족간 갈등과 부서 효과성에 어떠한 영항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의 성별과 경력열망정도가 부서의 가족 친화적 분위기와 직장-가족 갈등 및 부서 효과성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가질 것인지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관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성적 연구방법과 정량적 연구방법의 병행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정성적 연구결과는 한 지방자치단체의 특정부서를 중심으로 심층인터뷰와 time-log, shadowing 등의 현장연구를 통해 얻어졌으며, 정량적 연구결과는 한 지방자치단체 32개부서의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직장-가족간 갈등은 인지된 부서효과성(성과ㆍ몰입ㆍ만족)에 유의한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부서의 업무과정특성은 직장-가족간 갈등과 정(+)의 관계를 나타냈으며, 부서의 효과성(성과ㆍ몰입ㆍ만족) 중에서는 인지된 부서 성과와만 부(-)의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고, 부서분위기가 가족 친화적일수록, 직장-가족간 갈등은 낮아진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서 분위기가 가족친화적인 것과 부서의 효과성이 향상되는 것과는 관계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친화적인 부서 분위기가 직장-가족간 갈등 및 부서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력열망 정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력열망이 높은 조직구성원일수록 부서 분위기가 가족 친화적이면 더 부서 몰입과 부서 만족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조직을 대상으로 Dual Agenda적 시각에서 비효율적인 업무관행들을 개선함으로써 일과 가족의 조화와 조직효과성 향상을 함께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끝으로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생활사 사진기록물의 수집방안에 관한 연구

        박보람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계사에 유례없는 거대한 변화의 시대인 20세기를 살아오면서 역사를 남기지 못한 한국의 평범한 사람들의 생활사를 재구성하려는 시도의 작은 출발이다. 생활사 사진기록물은 이미지 자체를 위한 화려한 수식이 없는 냉정한 시각으로 포착한 사진이기 때문에 기록물로써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사진기록물을 수집하는 국내기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선진적인 국외기관의 사진아카이브 구축사례를 살펴보았다. 미국의 코비스-비트만 아카이브(Corbis-Bettmann Archive)처럼 사진기록물을 여러 협력기관을 통해 수집하고, 전문시설에 보존을 위탁할 수는 있으나 수집을 총괄하는 주체는 설립되어야 한다. 우리의 20세기 민중생활사연구단처럼 비정부기관에서 홀로 감당하기에는 예산이나 인력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국립민속박물관(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의 민속아카이브(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처럼 국가기관인 박물관 등에서 협력해서 수집을 하거나, 궁극적으로는 캐나다 맥코드 캐나다 역사박물관(McCord Museum of Canadian History)의 노트만 사진 아카이브(Notman Photographic Archives)처럼 사진기록물 만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전문기관이 설립되어야 한다. 수집을 위해 필요한 인력과 시설 등 기본 인프라가 준비되었다면 다음으로 수집업무의 설계가 필요하다. 수집 주체의 설립을 통해서 사진기록물의 수집은 두 가지 방향에서 할 수 있다. 첫째, 과거와 현재의 생활사와 관련되어 기존에 이미 생산된 사진기록물을 발굴하여 수집하는 것이다. 둘째, 현장으로 직접 들어가서 현재의 생활사를 사진이라는 기록매체를 이용해서 새로 남겨서 수집하는 것이다. 효율적인 수집업무의 설계는 수집규정 제정에서부터 수집계획, 수집범위 · 대상 설정 및 우선순위 설정이 포함된다. 전통과 근대 그리고 탈근대가 겹쳐진 이 시대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 시대의 사실들을 사실 그대로 기록하는 것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무엇을 어떻게 기록하고 해석하는 것이 옳은지 논쟁을 하다보면 이 시대의 자취들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급한 것은 당장에라도 생활의 현장으로 들어가 지난 백년에 관한 사실 발견적(heuristic) 작업에 나서는 것이다. 이런 작업의 결과로 아카이브(archive)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20세기 한국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밝혀내고 나아가 한국의 근현대사를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small attempt to recreate life stories of ordinary people in Korea who could not make history during the 20th century, the period of an unprecedented enormous change. Since a life history is captured photographs for the images themselves from a calm perspective without any fancy decoration, there is a great value as archives. The present condition and issues of the institutions that collect photograph archives in Korea were analyzed, and the cases for developing archives by the institutions from advanced countries were examined. Although photo archives could be collected by several partner institutions and be entrusted to professional facilities for their preservation such as Corbis-Bettmann Archive of the US, the subject institution that oversees the collection of archives must be establishe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aspects of budget and human resources for non-government organizations such as the Research Organization for Life Stories of the Population of the 20th century to solely carry out the task. Therefore, collecting of achieves through partnerships with other should be handled by museums, which are national institutions, such as the Center of Folklife Archives of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or, ultimately, a professional institution that solely collects and manages photograph archives such as Notman Photographic Archives of McCord Museum of Canadian History in Canada should be established. Once the basic infrastructure such as the necessary human resources and facilities for the collection has been prepared, a plan for the task of collection is needed. The collection of photograph archives can be conducted in two direc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 institution for the collection. First, collect archives by finding the existing photo archives that are related to the life history of the past and present. Second, collect archives by newly producing archives in the present situations through the use an archive medium of photograph for the life history of the present. An effective plan of the collection task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on regulations, the plan for collec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scope and object of collec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priorities.

      • 중학생의 보건교사 이미지에 대한 조사연구

        박보람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image the first graders have about their school teacher is evaluated by a self-recording questionnaire, and this study aims to verify if their images vary depending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class and health teacher awareness etc.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this Study set the subjects as follows. 1. What are the health class and health teacher awareness that students perceiv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2. What is the image of health teacher that students perceive? 3. What is the image of health teacher that students perceiv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4. What is the image of health teacher that students perceive depending on the health class and health teacher awareness? To address the issue above, a self-recording questionnaire containing 30 questions was utilized at 12 Middle schools which employ health teachers, for a total of 834 students, both boys and results were then analyz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est subjects and health class and health teacher awareness and the impression of the health teacher, SPSS Win 18.0 and independent t-test and unitary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The following show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problems selected by this study. First, as to awareness based on health class, the view of the importance of he middle school students in health education appealed high and positive. School classification and learning health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intere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health education appealed high and positive. School classification,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lives, physical condition and learning health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to awareness based on health teacher, need of health teacher appealed high and positive.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lives and physical cond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desired job selection(health teacher) intention appealed positive. Sex, school classification and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l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Nursing major selection intention appealed positive. Sex, school classification and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liv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ly, the average of the image of the health teacher was 4.26 (on a 5 point scale, middle point being 2.5, points are allotted from 0 to 5), which shows that the value was more than the average, which means the response has been positive. The factor-wise recognition points of the health teacher were 'professional image(4.43)', 'internal image'(4.28), 'external image(4.21)', 'role image(4.12)', the 'professional image' scored high whereas 'role image' scored low. The areas in which image scored high points were 'Health teacher help students(4.55).', 'Health teacher serves a valuable purpose.(4.46), 'Health teacher has a professional knowledge.(4.45) and the areas in which image scored low factor-wise points were 'Health teacher counsels students with trouble(3.85).', 'Health teacher is likeable(3.97)', 'Health teacher is environmental manager(4.03)'. Thirdly, as to image of health teacher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image of the health teacher in most of the questions by sex, regular health education. But school classification(external image p<.05, role image p<.05), satisfaction of their school lives(internal image p<.001, external image p<.001, professional image p<.001, role image p<.001), physical condition(internal image p<.001, external image p<.001, professional image p<.001, role image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ourthly, as to image of health teacher based on health class awareness, the view of the importance of he middle school students in health education(internal image p<.001, external image p<.001, professional image p<.001, role image p<.001), the interes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health education(internal image p<.001, external image p<.001, professional image p<.001, role image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to image of health teacher based on health teacher awareness, need of health teacher(internal image p<.001, external image p<.001, professional image p<.001, role image p<.001), The desired job selection(health teacher) intention(internal image p<.001, external image p<.001, professional image p<.001, role image p<.001), Nursing major selection intention(internal image p<.001, external image p<.001, professional image p<.001, role image p<.00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 공동주택의 기밀성능에 따른 대기 중 PM2.5의 실내 유입 평가

        박보람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기 중 고농도의 미세먼지는 건물 내에서 별도의 환기를 하지 않아도, 건물 외피의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어 재실자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기 중 미세먼지는 대기 오염물질인 황산염과 질산염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 발생 미세먼지보다 인체 노출시 위해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내에서 미세먼지 노출로 인한 위해성 평가 및 실내 미세먼지 관리를 위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 경로, 유입량, 유입시기 등에 대한 파악이 요구된다. 대기 중 미세먼지의 실내 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건물인자와 환경인자가 있다. 특히 국내 주거유형의 70%가 공동주택이며, 국내 기후 조건 및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국내 주거공간에서 실내외 미세먼지 발생원을 구분한 노출평가 및 관리를 위하여, 국내 공동주택의 건물인자에 따른 대기 중 미세먼지의 연간 실내 유입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기밀성능에 따른 대기 중 PM2.5의 실내 유입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공동주택의 건물인자와 PM2.5 침입계수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건물의 기밀성능을 주요 인자로 선정하였고, 기밀성능을 바탕으로 PM2.5 침입계수의 추정이 가능한 경험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환경조건의 변화에 따른 대기 중 PM2.5 유입해석을 위하여, 질량균형방정식 기반 기류 및 PM2.5 농도의 네트워크 해석 모델과 대기 중 PM2.5의 실내 농도 기여도 산정식을 수립하였으며, 해석모델의 주요 입력변수 취득을 위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도출된 해석 모델을 바탕으로 기밀성능에 따른 연간 대기 중 PM2.5의 유입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기 중 PM2.5의 실내 유입에 대한 주요 건물인자는 건물의 기밀성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밀성능이 낮은 세대에서 대기 중 PM2.5 유입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밀성능에 따른 실내외 압력차 10Pa에서의 PM2.5 침입계수(Fin) 경험식을 바탕으로, 기밀성능이 낮은 세대(ACH50: 10 h-1)에서 기밀성능이 높은 세대(ACH50: 1 h-1) 대비 대기 중 PM2.5 유입으로 인한 실내 농도가 약 1.5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실내 기류 및 PM2.5 농도의 비정상상태 해석 모델 수립에 요구되는 주요 입력변수를 취득한 결과, 공동주택 내 주요 누기부위는 창문 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후 주택에서 바닥면적 대비 유효누기 면적이 신축주택보다 5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PM2.5 침투계수(P)는 평균 0.70으로 대상 세대에서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PM2.5 침착률(K)은 평균 0.34 h-1로 세대 내 가구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현장측정을 통하여 취득한 입력변수를 바탕으로, 기류 및 PM2.5 농도해석 모델을 구축하였고, ASTM D5157에 따라 통계적 평가 방법에 의하여 해석모델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해석모델의 검증 결과, 기류 및 PM2.5 농도 해석모델의 통계적 평가 지표가 대체로 적합범위 이내인 것으로 나타나 측정값을 설명하기에 타당한 기류 및 PM2.5 농도해석 모델을 수립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4) 기밀성능에 따른 대기 중 PM2.5의 연간 유입을 평가한 결과, 대기 중 PM2.5의 유입에 의한 실내 미세먼지 농도는 봄과 겨울철에 여름과 가을 대비 약 1.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후 주택에서 봄과 겨울철에 대기 중 PM2.5 유입에 의하여 실내에서 고농도의 PM2.5에 노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침입계수는 계절별 편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물의 기밀성능에 따라 PM2.5 침입계수(Fin)가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국내 노후 주택의 기밀성능 수준에 대응되는 Class F에서 침입계수가 최대 0.68인 것으로 나타났다. 5) 기밀성능에 따른 대기 중 PM2.5의 실내 농도 기여도를 시간별/월별/계절별로 분석을 수행한 결과, 기밀성능이 매우 높은 세대(class A)에서 대기 중 PM2.5의 연간 실내 기여도는 실내 발생원의 발생강도에 따라 1.0-10.1%으로 나타났으며, 기밀성능이 낮은 세대(class F)에서는 44-69%으로 건물의 기밀성능이 낮을수록 기여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봄과 겨울에 대기 중 PM2.5의 실내 농도 기여도가 증가하며, 실내·외 PM2.5 발생원의 실내 농도 기여도가 건물의 기밀성능과 실내 발생원의 발생강도에 따라 시계열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건물의 기밀성능에 따른 대기 중 PM2.5의 유입 및 실내 농도 기여도의 변화에 의하여 연중 실내 미세먼지 구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airborne particles entering through the building shell can afford to impact on indoor concentration. Epidemiologic studies indicates that the adverse health effect of exposures to airborne particles including contaminants such as sulfate and nitrogen generated with industry and combustion processes. Thus, the evaluation on ambient particles impact on indoors is important to analyze the health risk of exposure to indoor particles and establish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approach. The airborne particles infiltration varied with building factors such as airtightness, floor area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ind speed, outdoor particle concentration. The building characteristics of multifamily housing units as one of the most common residence type in Korea and the weather conditions following the seasonal changes can influence the indoor particle concentrati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ilding factors of multifamily housing units and outdoor particles infiltration with weather condition in Korea is quite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mbient PM2.5 infiltration depending on airtightness of multifamily housing units.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between ambient PM2.5 infiltration into indoors and building factors by field measurements, the empirical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PM2.5 infiltration factor and the airtightness of building was employed as a predictor of model. For estimating the outdoor-originating PM2.5 in the multifamily housing unit with the weather condition in Korea, the annual network simulation for the airflow and particle transport analysis was conducted. The building leakage data, penetration coefficient and deposition loss rate as the key parameter for airflow and particle transport model were determined by field measurements. Then the annual ambient PM2.5 infiltration and the outdoor source contribution to indoor PM2.5 depending on the airtightness of building was evalua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incipal determinants of building factors for airborne PM2.5 infiltration in multifamily housing units is the airtightness of buildings. Using the empirical model based on the relation with PM2.5 infiltration and airtightness of building, the indoor PM2.5 concentration of outdoor origin in leakier housing units(ACH50 : 10 h-1) represent 1.5 times higher than airtight housing units(ACH50 : 1 h-1). This result shows that the occupants of leakier housing units can easily expose to higher indoor PM2.5 concentration of outdoor origin although the airborne PM2.5 concentration and weather conditions were similar. 2) The network model with key parameter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s was presented to evaluate the PM2.5 infiltration depending on airtightness of building considering the various weather conditions. The network model for airflow and PM2.5 transport statistically evaluated with the tools suggested by ASTM D5157 and showed good agreements for the measured data. 3) As the result of the annual airflow and PM2.5 transport simulation, the indoor PM2.5 concentration in Spring and Winter was higher rather than in Summer and Fall for both of airtight and leakier housing unit. The seasonal variance of the PM2.5 infiltration factor was very small. And the PM2.5 infiltration was varied depending on airtightness of buildings. Especially, Annual average of PM2.5 infiltration factor on airtightness of class F corresponding to older housing units in Korea was up to 0.68. 4) The annual average of outdoor source contribution to indoor PM2.5 concentration according to indoor source strength was 1% to 10% in airtight housing units(class A) and 44% to 69% in leakier housing units(class F). The outdoor source contribution to indoor PM2.5 was increased in Spring and Winter.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door and outdoor source contribution to indoor PM2.5 on time-series was vary depending on the airtightness of multifamily housing units and weather conditions. And the outdoor airborne PM2.5 could be more affecting to indoors of Leaky housing units than airtight housing units. Also, the composition of indoor airborne PM2.5 could be different by PM2.5 infiltration depending on the airtightness of buildings and weather conditions.

      • 물리적 공정을 이용한 하수고도처리 연구

        박보람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공공하수도는 1970년대 후반부터 보급되기 시작하여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기준으로 BOD, COD, SS를 주요항목으로 관리해왔다. 하수도의 보급률이 증가하고, 공공하수처리시설의 방류수기준에 T-N, T-P 항목이 추가되면서 질소·인(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하수고도처리공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일반적인 하수고도처리공법에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처리와 약품을 이용하는 화학적 처리 등이 있다. 2012년을 기준으로 전국 하수처리장 582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고도처리를 도입한 하수처리장 486개소 중 생물학적 고도처리공법이 305개소이며 나머지 181개소는 기타방법을 적용하였다. 약품(화학응집제)을 이용한 화학적 처리는 2차 수질오염의 발생 위험이 있고, 많이 적용되고 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는 미생물이 온도나 갑작스런 성상변화에 예민하여 활성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하수처리수의 재이용이 중요시 되는 시점에서, 수 처리 기술 중 하나인 물리적인 막 여과 공법 하수처리 시, 수온, pH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약품에 의한 2차 수질오염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S시 하수종말처리장에 막 여과 기술 중 가변세공 정밀여과(VPMF, Variable Pore Micro Filter)공정을 2017년 5월부터 2018년3월까지 Pilot 규모로 설치하여 물리적 방법에 의한 하수고도처리의 타당성을 검토해보았다. 실험기간동안 도시하수를 VPMF 단독공정으로 처리 시 방류수 수질은 평균 BOD 8.9 mg/L, COD 18.7 mg/L, SS 0.6 mg/L, T-N 12.731 mg/L, T-P 0.022 mg/L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처리수질은, S시가 속한 방류수수질기준지역에 해당하는 3지역 방류수수질기준에 모두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특히 BOD, COD, T-P 제거율은 물리적인 VPMF단독 공정만으로도 각각 95.3 %, 99.7 %, 99.5 %로 높게 확인되었다. The public sewerage system in Korea has started to sprea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1970s and has managed BOD, COD, SS as main items on the discharge water standards of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s the penetration rate of sewers increased, items of T-N, T-P were added to the discharge water standard of the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and advanced sewage treatment method for removing nutrients began to be developed. There are 582 national sewage treatment plants based on 2012, and among the 486 sewage treatment plants that introduced advanced treatment there are 305 biological altitude treatment methods and the remaining 181 places are treated by other methods was applied. Chemical treatment using coagulants has a risk of secondary water pollution, biological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that are widely applied, microorganisms are often used to treat microorganisms due to temperature and sudden change in their properties It is sensitive and has difficult problems to keep activity constant. Physical membrane filtration method which is one of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at the time when reuse of treated sewage water is regarded as important, secondary water pollution problem by chemicals without being greatly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 and pH during sewage treatment has not occurred. In this study, we installed a Variable Pore Micro Filter (VPMF) process of membrane filtration technology at S city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from May 2017 to March 2018 on a pilot scale, by physical method We examined the validity of advanced sewage treatment. During experimental municipal sewage treatment, the water quality was 8.9 mg/L for average BOD, 18.7 mg/L for COD, 0.6 mg/L for SS, 12.731 mg/L for T-N, 0.022 mg/L for T-P. Such treated water quality was a level satisfying both of the three region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s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water quality standard region belonging to S city. In particular, the BOD, COD, and T-P removal rates were confirmed high as 95.3 %, 99.7 %, 99.5 %, respectively, with only the physical VPMF single st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