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DM 소규모 방법론을 이용한 국내 하수종말처리장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 분석

        박민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CDM집행위원회 승인 방법론 중 폐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회수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소규모 CDM 사업 방법론(Approved Methodology for Small-scale project)인 AMS-III.H.『Methane recovery in wastewater treatment』를 적용한 CDM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방법을 분석하고 이를 국내 하수종말처리장에 적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을 평가하였다. 『하수도법』제2조제3호에 따른 전국의 공공하수처리시설 중 처리용량이 500m3/일 이상인 557곳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은 2,779 천tCO2e/년이며, 이는 산업 및 발전 부분을 제외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연평균의 약 22%에 해당하였다. 온실가스 베이스라인 배출량의 형태는 주로 사업장 내의 전력 사용량이나, 발생 슬러지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에 의한 배출량 형태로 구분되며, 이러한 배출 형태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접근 방법을 달리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 적용한 AMS-III.H.와 유사한 국내 배출권거래제 외부상쇄사업의「하수처리장의 바이오가스 회수 및 이용 사업의 방법론」은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회수하여 전기 또는 열을 생산하는 사업에 대해서만 온실가스 감축사업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포집된 바이오가스는 직접 소각을 통해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은 CO2로 분해하여 대기 중에 방출하거나, 정제를 통해 자동차의 연료로 쓰이는 등 다양한 활용 방법이 있으므로 포집된 바이오가스의 활용에 대한 확장해석을 통해 하수처리시설의 외부 상쇄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방법론을 개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대비 30%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폐기물 분야의 감축 세부 이행 수단으로써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potential amount of greenhouse gas reductions and analyze the estimating methodology of greenhouse gas reductions focusing on CDM cases by applying AMS-Ⅲ.H「Methane recovery in wastewater treatment」which is a CDM methodology approved by UNFCCC to contribute to reductions in greenhouse gas by recovering Methane comes from wastewater process to domestic sewage treatment plants and to provide as a preliminary data to achieve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in the waste sector proposed by the Korea government’s 2030 vision, th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 As a result of evaluating 557 number of public sewage treatment plants of which its processing capacity over 500m3/day covered by the Act 2 of Sewerage law, it turned out that the amount of emission reduction is 2,779 tCO2e/year and it accounts for about 22% of the national emission reduction target excluding industries and power generation sectors. And methodology of Korean offset program in the Domestic Emission Trade system called 「Biogas recovery and its usage from wastewater treatment plant」which is similar to AMS-Ⅲ.H methodology that applied to this paper approves only the projects that produce electricity or solar thermal by recovering biogas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But as there are many methods with captured biogas like releasing it into the atmosphere by directly incinerating and decomposing it into CO2 has relatively low global warming potential or using it as automotive fuel after refinement, it is considered to revise the methodology by conducting an extended interpretation on the use of captured biogas in order to encourage the offset program of sewage treatment plants.

      • 에너지효율기준이 에너지사용 기자재의 전생애비용과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

        박민구 울산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류는 산업화 이후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화석연료 사용의 급격한 증가는 지구 에너지 자원 고갈 문제뿐 아니라 온실가스로 인한 기후변화라는 또 다른 문제를 유발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은 에너지 사용 절감, 온실가스 감축 및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비용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최근 국제에너지기구에서는 에너지 효율 향상을 제 의 에너지원으로 분류하는 것은 이와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에너지 사용 기자재의 경우 산업, 건물, 수송 등 많은 부문에서 기저 에너지 사용원으로 기자재의 에너지 효율 향상은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1977 년 캘리포니아 주정부에서 기자재별 에너지 효율 기준을 처음 도입하여 현재 미국 전역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제도를 통하여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이러한 정책적 효과로 인해 기자재 효율 제도는 많은 국가에서 에너지 효율 제도를 수립 운영 중에 있다. 본 연구는 미국과 유럽의 에너지 효율 기준 수립 사례에 대해 연구하고 국내의 에너지 기자재 효율관리 방법과 비교 분석을 통하여 국내에 적용 가능한 에너지 사용 기자재의 비용 효과적인 에너지 효율 기준(Energy Efficiency Standards) 수립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에너지 효율 기준 수립 방법론을 활용하여 에너지 기자재의 효율수준과 시장분포 형태에 대해 분석하고 가전기기 중에서 에너지 사용이 많은 전기냉장고 전기냉방기 텔레비전수상기 및 형광램프에 대해 각 기자재별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 에 따라 측정한 시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례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가전기기의 사례 분석을 통해 기자재 전생애비용(Life Cycle Cost, LCC)과 시장 판매량 분포를 확인하고 최적 가용 기술(Best Available Technology, BAT)과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의 에너지 효율 등급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 기준 방법론의 적용성에 대해 평가하고 시장 유형 분석 시나리오에 대입하여 해당 에너지기자재에 대해 에너지 효율 기준의 적절성과 소비자 소비 행태에 대해 모의 진단을 수행하였다. 에너지 기자재 중 최저소비효율기준(Minimum Energy Performance Standards, MEPS)에 미달하는 제품은 국내 생산,수입, 판매가 불가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강력한 규제로 작동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규제는 관련 산업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타당하고 합리적인 규제의 적정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전기냉장고, 텔레비전수상기, 조명기기 등은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매일 사용되는 에너지 기자재로 이러한 기자재의 효율 관리를 통해 국가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유도하고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시대적 과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ince industrialization began, the rapid increase in fossil fuel usage has caused not only the depletion of global energy resources but also climate change due to greenhouse gases. Accordingly,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has been recognized as a cost-effective means for energy saving,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reason, International Energy Agency classified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s the first energy source. In particular, since energy-use equipment is a basic energy source in many sectors, such as industry, buildings, and transportation, improvement in the energy efficiency of energy-use equipment has a huge ripple effect. In the United States, the energy efficiency standard for equipment was first introduced by the California state government in 1977 and is currently being enforced throughout the United States. It is confirm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energy efficiency policy is effective for both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and energy saving. Due to the policy effects, energy efficiency standards is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in many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for establishing cost-effective energy efficiency standards for energy-use equipment. To find out an applicable method in Korea, we studied the cases of establishing energy efficiency standards in the US and Europe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energy equipment efficiency management methods. In addition, with the use of the derived energy efficiency standard establishment methodology, we analyzed the level of efficiency and market shares of the major home appliances such as electric refrigerators, electric air conditioners, television receivers, and fluorescent lamps that use a lot of energy and presented case analysis by using test data measured according to the 'Efficiency Management Equipment Operation Regulations' for each equipment. Through case analysis of major home appliances, we reviewed life cycle cost (LCC) and market shares and analyzed the best available technology (BAT) and the Energy Efficiency Grade of the ‘Efficiency Management Equipment Operation Regulations’. Based on this,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energy efficiency standard methodology and performed a simulated diagnosis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energy efficiency standard and consumer consumption behavior for the corresponding energy equipment by substituting it into the market type analysis scenario. Since energy-use equipment that does not meet the minimum energy performance standard (MEPS) cannot be produced, imported, or sold in Korea, energy efficiency standards are worked as strong regulations in the marke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optimal point of reasonable regulation, as excessive regulation results in shrinking related industries. In addition, since electric refrigerators, television receivers, and lighting devices are generally widely distributed and used every day,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of these types of equipment can lead to national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and contribute to solving the era's challenges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 민간 극단의 연극기록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박민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공연예술분야인 연극기록에 대해 기록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공연예술기록이 생산되는 근원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외되어 있는 극단의 기록들에 대해서 이를 어떻게 아카이빙할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진행하였다. 현재까지 논의된 예술기록 관리에 관한 주장들은 수집을 위주로 하여 자관을 통한 국내 예술기록의 통합이라는 차원에서 다루어졌으며, 기록이 생산되는 현장인 극단의 기록관리 측면은 다루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연극기록이 생산되는 극단의 기록 관리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시장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아카이브를 각각의 민간극단에 설립하기 위해서는 공연을 진행하면서 필수적으로 산출되는 기록을 중심으로 이를 제대로 관리하는 수준에서 극단 연극아카이브의 개념을 결정해야 할 것이고, 이에 덧붙여 매우 열악한 민간 극단의 연극기록을 제대로 관리하기 위해서 생산주체인 극단과 극장에 의한 낮은 단계의 기록 관리를 기반으로 하여 공공기관에 의한 수집 개념의 보다 높은 단계로서의 기록관리가 포괄하는 차원으로 극단 연극기록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우선 극단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목적과 함께, 현실적인 차원에서 다음 작품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전에 그들이 공연했던 작품을 다시 ‘재현’하는데 도움이 되는 활용가치를 중심으로 아카이브를 설립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이를 위해 연극기록이 생산되는 배경을 살펴보아 기록이 도출되는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프로세스별로 주요하게 관리해야할 기록물을 규명하였다. 직제를 전문적이고 세부적으로 구성하기 힘든 거의 대부분의 민간 극단과 단체들에 적용하기 위해 기록물이 도출되는 해당 기능을 기획?홍보, 연출, 무대예술 및 기술, 관객과의 만남으로 구분하여 극단의 입장에서 관리해야할 주요기록물로 산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주요기록물을 대상으로 그 극단 연극아카이브에서의 관리방안에 대해 서술하였는데 ‘생산제어’와 ‘유지, 활용’ 및 ‘기록처분’의 3단계로 연극아카이브의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각 프로세스 별로 주요한 작업에 대해서 정리와 기술을 중심으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극단 연극기록의 관리를 위해 보다 현실적인 적용에 대해서는 각각의 민간 극단아카이브를 설립하고 이를 스스로 관리하여 이후 국가적 차원이나 공공영역에서 이를 포괄할 수 있도록 이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민간 연극기록을 관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국가와 공공부문의 지원이 필수적인 것을 인식하고, 극단 자체에서 공연을 통해 생산된 기록을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하는 것과 동시에 국가나 공공부문의 지원을 통한 민간 연극아카이브의 모형을 구축해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주요기록물들을 대상으로 민간 연극기록의 관리방안에 대해 보다 심도 높은 관리방안이 필요하다. 극단 자체에서는 극단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목적과 함께, 현실적인 차원에서 이전에 그들이 공연했던 작품을 다시 ‘재현’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국가적인 차원이나 공공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수집을 통한 예술기록의 아카이빙에도 주요한 원천으로서 민간 극단의 연극기록에 대해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archival approach to theater archives which is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s area. Expressly, I place the focus on private theater archives because they are root of theater archives in Performing Arts but alienated from general concerns. The discusses about Art Archive until now are handled by self organization-centered thinking in public institutions to archive theater archives using a means by only collection. And there is few consideration about private theater archives in spite of it's importance. A private theater archives have been producing different kinds of rare and precious records, also needed a special attention because of their economic fragility. That's why I began this study of the subject. To establish theater archives that have an uneconomical distinctive quality in private theater, decide a basic concept of Archives on its level of essential records which naturally produced in performance. Also to manage theater archives well, it needed a special care of public institutions with a private theater's voluntary efforts in actually. Accordingly, it is desirable a private theater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a relationship to be helpful mutually. In case of private theater, they can be received various types of support by public institutions while they submit the key archival materials. In case of public institutions, they can collect any other private theatrical archives. But the best is keeping and managing by their own theater. So, to establish Archives in their own theater, I think private and other non-public theater can be more focus on its practical values. In other words, establishing the Archives with the object of representing the work of their performing that can be re-used and also can be commemorated. The first way in establishing and developing theatrical archives in theatre companies is to examine closely the process archive produced, and to clear up what is the key archival materials. But, in the reasons of most of private theatres hard to have a specific and specialized organizations in Korea, divided by function that the key archival materials produced. That functions are ‘Planing·PR', ‘Directing', ‘Theatrical Art·Technic' and ‘Meeting with Spectators'. Each functions have their own key archival materials but it is not classified thoroughly because like any other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s, a play also have a co-operational attribute between other specialized organizations. The second one is abbreviate a general archival management process for theatre companies. That functions are ‘Control the Production', ‘Maintenance and Use' and ‘Disposal'. The last one is to support system and to build a connection among theatre companies or and also between theatre companies and art spaces. But direct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might not be visible at now. So we can consider to build a connection among theatre companies and art spaces. This kind of art support center can help other small theatre companies to establish their own archives in near future and also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o art archives, other means to operate their own theatre archives. Even if this kind of art center might sound to be unrealistic and huge for us to have at this point, it is desirable to recognize that governmental assistance is necessarily needed to manage non-governmental theatrical archives. This is time for us to realize what arts archives, specially performing arts archives means in our society. Supporting art archives in public or private theatre would not be achieved in a couple of years. Essential help and assistance with realistic stance based on the reality of present private theatre will allow theatre archives to keep and develop our art and culture.

      • 홍삼과 글루타민의 기능성보조제로서의 효과 비교 분석

        박민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4주간의 홍삼과 글루타민 투여를 병행한 웨이트트레이닝이 근력향상 및 혈중 근 손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기능성 보조제로서의 가치를 비교분석하는데 있었다.본 연구의 대상자는 고혈압, 심장기능 이상, 위장병 등과 같은 질병이 없고, 주당 5시간 이상 정기적인 신체활동에 참가하는 남자 대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세 가지 처치조건(웨이트트레이닝-T, 웨이트트레이닝을 병행한 홍삼투여 그룹-R, 웨이트트레이닝을 병행한 글루타민투여 그룹-G)에 따라 체중, 체지방, 등속성 운동능력(Cybex test), 그리고 혈중성분(ammonia, phosphorus, CK, LDH, creatinine, IGF-I)의 농도 변화를 관찰하였다.T 그룹은 7가지 웨이트트레이닝 종목(Bench Press, Leg Press, Shoulder Press, Leg Curl, Arm Curl, Lat Pull Down, Leg Extension)을 4주간 85%-1RM의 강도로 주당 3회, 3set 씩 실시하였으며 set간 휴식은 2분으로 제한하였다. 또한, 웨이트트레이닝을 병행하면서 R 그룹은 150mg/4% per day의 양을 구강 투여하였고, G 그룹은 웨이트트레이닝 전후 T-spoon을 이용하여 20mg/day의 양을 구강투여 하였다.그룹별 처치가 혈중성분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웨이트트레이닝 그룹의 트레이닝 방법과 동일한 운동을 이용하였으며, 채혈은 혈중 성분에 따라 안정 시, 운동 종료, 회복 30분 후, 회복 4시간 후, 회복 24시간 후의 5회에 걸쳐 실시하였다.세 그룹 모두에서, 체중, 체지방, 등속성 운동능력, 혈중 Phosphorus, CK, LDH, Creatinine 및 IGF-I 농도상의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혈중 Ammonia 농도는 R 그룹과 G 그룹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웨이트트레이닝 시 홍삼 및 글루타민을 추가적으로 투여하는 것은 혈중 피로물질(Ammonia)의 농도 감소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근력향상 및 근손상 지표물질의 농도 상에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d ginseng with glutamine as Ergogenic aids. The subjects were made up of 21 university students with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five hours per week who had no hypertension, heart trouble, and stomach disease. This subjects were randomly alloted to weight training(T), red ginseng supplement + weight training(R), glutamine supplement + weight training(G) and measured body weight, body fat, Cybex test, ammonia, phosphorus, CK, LDH, creatinine, IGF-I concentration changes in blood.R group was orally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in 150mg/4%/day and G group was supplemented with L-glutamine in 20mg/day for 4-weeksT, R, G group had trained seven weight training programs(Bench Press, Leg Press, Shoulder Press, Leg Curl, Arm Curl, Lat Pull Down, Leg Extension) in three times three sets per week on intensity of 85%-1RM for 4-weeks.Also, this study used exercise identical training method of weight training group to examine effects of treatment on concentration change of blood component. Blood gathering was performed in rest, end of exercise, recovery-30min, recovery-4h, and recovery-24h.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12.0 and significance level was set α .05. This results were as follows.Firstly, there were not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in body weight, body fat, Cybex test, concentration change of blood phosphorus, CK, LDH, creatinine, and IGF-I. Secondly, R and G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p<.05) in concentration change of blood ammonia but T group was not significant.Conclusively, this results indicated that red ginseng or glutamine supplement change for the better in blood fatigue but can't affect muscle strength improvement and concentration reduction of index of muscle damage.

      •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 대체 수출입식물검역 소독기법

        박민구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Methyl bromide fumigant which is widely used in most of the countries for quarantine purpose, has been designated and under control as ozone depleting substance. In the urgent need for developing alternative chemicals or treatment method for MB, countries not only limited to advanced ones such as U.S.A. but also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intensifying their capacity on developing alternative treatment methods. Korea which spends 5% of the world consumption of MB(approximately 1,000M/T) is in the situation that cannot choose but to reduce the usage. Especially, development of treatment methods for woods and fruits is the first consideration because MB has been mostly used for them. In this reason, alternative treatment methods of MB for woods and fruits(orange) were investigated. 1. Efficacy of Ethandinitrile(EDN) for wood pests LC50 of EDN for Reticulitermes speratus, Tomicus piniperda and Hyphantria cunea adults at 21℃ open status was 0.26, 0.64 and 0.19 mg/L, respectively. LD50 of MB for R. speratus was 4.83 mg/L which means that toxicity of EDN for R. speratus is greater than that of MB. LC99 of EDN for R. speratus at open status and closed wooden cubes was 0.65, 0.62 mg/L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EDN penetrates into wood very well because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trast, penetration of MB was less than EDN because the LC99 of MB in wooden cubes(31.10 mg/L) was three times greater than in open status(13.96 mg/L). In the susceptibility test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mortality of EDN 20.3mg/L(6hr) at normal temperature(25℃) for Cyrtogenius lutats was 90.3% in larvae, 58.6% in pupae and 89.5% in adults. Resistance of C. lutats for EDN was greatest in pupae. All developmental stages of C. lutats were killed with EDN at or more than 29.9mg/L 6hr 25℃(CT product 89.3 mg&#8228;h/L). Mortality of Monochamus alternatus in 34.3 mg/L, 24hr was 100% in larvae and 25% in pupae, which means that pupae were more resistant than larvae. All of them were killed at 48.0 mg/L, 24hr treatment. Resistance was greatest in M. alternatus>C. lutats>R. speratus. In sorption and application test, CT product of 6hr (50 g/㎥) treatment was 157.2 g&#8228;hr/㎥ in the conditions of 21% wood moisture content with 25% loading, 171.0 in 54% wood moisture content with 25% loading and 158.4 in 54% wood moisture content with 50% loading, respectively. EDN was more sorptive when wood contained less moist and loading factor was higher. In all treatments, adults of C. fulvus and R. speratus were completely killed. Considering that the minimal CT product of 6hrs treatment(158.4 g&#8228;hr/㎥) was higher than CT product to kill C. lutats(89.3 g&#8228;hr/㎥), all developmental stages of temites and wood beetles would be killed at 50g/㎥, 6hrs treatment. 2. HCN treatment for oranges Sorption and penetration of HCN in oranges were investigated. 90% of HCN was sorpted after 30 minutes from treatment(2 g/㎥) both in 21% loading and 32% loading. When loading factor was higher than 11%, Tetranychus uriticae survived. Higher than 32%, Pseudococcus cryptus and T. uriticae survived. Phytotoxicity of HCN for oranges was also investigated. Quality change of the treated fruits after 10 day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untreated control. In treatment of HCN for oranges in a large scale fumigation chamber (3 g/㎥, 1hr) as in the same condition with actual fumigation, all P. cryptus and Unaspis yanonensis were killed. Oranges treated with HCN (3 g/㎥, 1hr) showed no phytotoxicity such as changes in color and hardness until 7 days after the treatment. However, when they were treated with MB 40 g/㎥(2hrs) or HCN 6 g/㎥(1hr), phytotoxicity was found on some fruits such as change of surface color. Residue of HCN was found safe because average residue on oranges after 2 hrs from opening the chamber was 1.584 ppm, which was lower than the MRLs of Koera and Japan, 5 ppm. As these results show, EDN for woods and HCN for orang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lternative chemicals for MB fumigant.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검역용 훈증제로 사용하고 있는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는 오존층파괴물질로 지정, 규제되어 대체약제 또는 소독기법 개발이 시급히 요구됨에 따라, 미국 등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에 이르기까지 대체 소독기법 개발에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전세계 사용량의 5%(약 1000톤)를 사용하는 국가로서 MB의 사용을 감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며, 특히 MB 사용량이 많은 목재류 및 과실류에 대한 소독기법 개발은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기 때문에, 목재류 및 과실류(오렌지)에 대한 MB 대체 소독기법 연구를 수행하였다. 1. 목재해충에 대한 Ethanedinitrile (EDN) 살충효과 시험 오픈된 상태, 21 ℃에서 흰개미, 소나무좀, 흰불나방 성충에 대한 EDN의 LC50는 각각 0.26, 0.64, 0.19 mg/L이었으며, 흰개미에 대한 MB의 LC50은 4.83 mg/L인 것으로 나타나, EDN이 MB에 비해 흰개미에 대한 독성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나무상자 내 및 오픈된 상태에서의 흰개미에 대한 EDN의 LC99는 각각 0.62, 0.65 mg/L로 유사하게 나타나, EDN의 침투성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던 반면에, MB는 나무상자 내 흰개미에 대한 MB의 LC99인 31.10 mg/L가 오픈된 상태에서의 LC99 13.96 mg/L보다 약 3배 크므로 EDN에 비하여 침투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해충에 대한 태별 감수성 시험 결과, EDN 20.3 mg/L (6hr)의 상온 (25 ℃) 처리구에서 반송나무좀 유충, 번데기, 성충의 살충율은 각각 90.3, 58.6, 89.5%로 나타나, EDN에 대한 반송나무좀의 저항성은 번데기가 가장 컸으며, EDN 29.9 mg/L, 6hr(25 ℃) 처리 이상에서(CT적 89.3 mg&#8228;h/L) 반송나무좀의 모든 태는 완전 살충되었다. 솔수염하늘소는 34.3 mg/L, 24hr 처리구에서 유충의 살충율은 100%인데 비하여, 번데기는 25%에 불과하여 번데기가 유충보다 저항성이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48.0 mg/L, 24hr 처리구에서 100% 살충력을 보였다. 해충별 저항성의 크기는 솔수염하늘소>반송나무좀>흰개미 순임을 알 수 있었다. 가스 수착 및 적용 시험 결과, 용적율 25% 및 목재 수분 21%, 용적율 25% 및 목재 수분 54% , 용적율 50% 및 목재수분 54% 6시간(50 g/㎥) 처리구의 CT적은 각각 157.2, 171.0, 158.4 g&#8228;hr/㎥로 나타나, EDN의 목재에 대한 수착은 목재 수분이 적을수록, 용적율이 높을수록 수착이 많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모든 처리구에서 소나무좀 및 흰개미 성충은 완전 사멸되었다. 6시간 처리구의 최저 CT적 158.4 g&#8228;hr/㎥이 반송나무좀 살충 CT적인 89.3 g&#8228;hr/㎥보다 높게 나타난 것을 감안하면, 50g/㎥, 6시간이면 흰개미 및 나무좀의 모든 태에 대한 사멸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오렌지에 대한 Hydrogen cyanide(HCN) 소독시험 오렌지에 대한 HCN의 수착 및 침투성을 조사한 결과, 오렌지의 21% 및 32%의 용적율 처리구(2 g/㎥)는 투약 후 30분만에 90% HCN이 수착되었다. 귤가루깍지벌레는 모든 처리구에서 사멸되었으나, 용적율 11% 이상의 처리구에서 점박이응애가, 32%이상의 처리구에서 귤애가루깍지벌레, 점박이응애가 사멸되지 않았다. 오렌지에 대한 HCN 실제 훈증조건과 같이 대규모 훈증상을 이용하여 HCN 3 g/㎥(1시간) 처리 결과, 귤애가루깍지벌레 및 화살깍지벌레 전부 사멸되었으며 7일후까지 오렌지의 변색 또는 경도의 변화 등 약해가 발생되지 않았다. 반면 MB 40 g/㎥(2시간) 및 HCN 6 g/㎥(1시간)에서는 일부 약해가 발생되었으며, 약해의 증상으로 오렌지 표피의 변색이 발생되었다. 오렌지에 대한 HCN의 잔류량을 조사 결과, 개방 2시간 후 오렌지 시료의 평균 HCN 잔류량은 1.584 ppm으로 국내 및 일본환경청 고시 잔류허용기준인 5 ppm보다 낮게 나타나, 잔류면에서 안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목재류에 대한 EDN 및 오렌지에 대한 HCN은 메틸브로마이드 훈증제의 대체 약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흡연이 흰쥐의 혈청 테스토스테론과 발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민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흡연이 흰쥐의 혈청 테스토스테론 및 발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흰쥐의 흡연 노출을 위해 특수 제작한 플라스틱 상자와 담배 연기를 흡입, 배출할 수 있는 소형 펌프를 이용하였다. 급성 흡연 노출군은 12주령 수컷 Sprague-Dawley (SD) 쥐 24마리 (300-340g)를 12마리의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은 플라스틱 상자 안에서 8.5mg의 타르와 0.9mg의 니코틴이 함유된 담배 연기를 60분간 노출시킨 후 경동맥을 통한 평균동맥압 (mean arterial pressure, MAP) 및 해면체신경 전기자극을 통한 최대해면체내압 (maximal intracavernosal pressure, MICP)을 측정하였고, 대조군은 흡연 노출 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MAP와 MICP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두군 모두 오전 7시에서 11시 사이에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청학적 검사 (테스토스테론, LH, FSH, thiocyanate)를 시행하였다. 만성 흡연 노출군은 8주령 수컷 SD 쥐 36마리 (240-280g)를 24마리의 실험군과 12마리의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 중, 12마리는 8주간 하루 60분씩 급성 노출군과 같은 함량의 담배 연기를 흡입시켰고 (1군), 나머지 12마리는 1mg의 타르와 0.1mg의 니코틴이 함유된 담배 연기를 8주간 흡입시킨 후 (2군), 발기능 및 혈청학적 검사와 고환조직을 채취하여 현미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급성 및 만성 흡연 노출 후 실험군의 혈청 thiocyanate농도는 각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38, p<0.001, p=0.001). 급성 흡연 노출군의 경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MAP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최대해면체압도달시간(Tmax), 해면체충만속도(corporocavernosal filling rate, CFR) 및MICP/MAP 값은 유의하게 낮았다 (p<0.001, p=0.016, p=0.002, p=0.011). 만성 흡연 노출군의 발기능 관련 인자의 경우, 1군과 2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과의 비교에서는 1군의 경우 MAP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24), CFR, MICP/MAP 값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02, p=0.016). 2군의 경우도 대조군에 비해 MAP가 유의하게 높았고 (p=0.014) CFR, MICP/MAP값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01, p=0.041). 혈청학적 검사에서는 급성 흡연 노출군의 경우는 통계적학적으로 의미있는 혈청 테스토스테론치의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만성 흡연 노출군은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는 감소를 나타냈다 (p<0.001). 혈청 LH와 FSH는 급성, 만성 흡연 노출 후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만성 흡연 노출군에서 혈청 테스토스테론치와 발기관련 인자들간의 상관 분석 결과 CFR이 혈청 테스토스테론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0.368, p=0.012). 고환조직 검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Leydig cell 및 Sertoli cell의 모양과 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흡연으로 인한 혈관수축작용은 흰쥐의 MICP/MAP와 CFR를 감소시켜 발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흰쥐의 만성 흡연 노출은 혈청 테스토스테론치를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이 또한 발기능 저하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저방사형 페라이트/마르텐사이트 강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

        박민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nfluence of microstructural change by heat treatment on mechanical properties of reduced activation ferritic/martensitic (RAFM) steels was investigated. Mixed microstructure of ferrite and martensite showed lower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with martensite microstructure. In particular, impact toughness with mixture of ferrite and martensite decreased drastically due to coarse M23C6 carbides at ferrite grain boundaries and ferrite phase which acted as the initiation sites of cracks and propagation path of cracks respectively. However, aging heat treatment made impact toughness with mixture of ferrite and martensite recovered gradually, which resulted from the refinement of coarse M23C6 carbides at ferrite grain boundaries due to the segmentation and spherodization of coarse M23C6 carbides that made crack initiation difficult.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of 9Cr-1W and 8Cr-2W RAFM steels, which similar to Eurofer97 and F82H steels respectively, also investigated. Although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s of both RAFM steels are generally analogous, 9Cr-1W RAFM steel had a slightly better impact toughness compared with that of 8Cr-2W RAFM steel, which was caused by the refinement of small grain size due to low austenitizing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