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박미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5 students in the 6th grade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on ju city. Through the results of questionari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were measured. Academic achievement was based on the results of First National Achievement Test related to 5 subjects(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by zero-orde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WIN 12.0.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uggested: First,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thought facilitating and emotional control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But each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n't predictable factors on academic achievement respectively.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lation with friends and academic activities among the sub-factors of school-related adjust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general explanation ability was slightly improved but it didn't make a big difference. Only the relation with friends, a sub-factor of school-related adjustment, was confirmed as a meaningful prediction factor. Thir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every factors except emotional control ability and relation with the teacher, and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empathy and the factor of thought facilitating were confirmed as meaningful prediction factor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school-related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se findings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of guidance for teachers to help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ome programs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of students.

      • S.Prokofiev의 "Sarcasms Op.17"연구 분석

        박미영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프로코피에프는 (Sergey Prokofiev,1891~1953) 러시아 작곡가로 20세기 피아노 음악사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작품은 기존에 사용하지 않았던 작곡기법을 도입해 소나타 등 다양한 형식으로 피아노 작품을 100곡 이상 작곡하였는데, 고전시대의 전통적인 형식과 현대적 기법을 혼합한 신고전주의적 특징을 많이 남겼다. 이는 이후 피아노 음악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그의 초기작품 중 하나인 <Sarcasms Op.17>은 1912년~1914년에 쓰인 곡으로 5곡으로 이루어진 모음곡이다. 이 작품은 5곡 모두 개성이 뚜렷하며, 그의 고전적 요소(The Classical element), 현대적 요소(The Modern element), 토카타적 요소(The Toccata element), 서정적 요소(The Lyrical element), 괴기함적 요소 (The Grotesque element)들을 잘 활용하여 작곡된 곡이다. 또한 이 곡의 작곡기법 특징은 주제의 순환기법과 모방기법, 복조성, 잦은 전조, 잦은 박자변화, 급격한 악상의 변화, 반복리듬, 혁신적인 불협화음 등을 찾아볼 수 있다. <Sarcasms Op.17>은 고전과 현대적 요소 그리고 피아노를 타악기적인 요소로 잘 보여주었으며 독특한 작곡기법으로 인해 피아노 음악 발전에 기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Sergey Prokofiev is a Russian composer and occupy prominent place in the twentieth century. He instituted new composing skills that nobody used before in his works and composed more than 100 piano works with various forms like sonata. His works have traditional form of class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eoclassicism that mixed with modern technique. That had a huge influence on piano music. One of his early works Sarcasms Op.17 was composed between 1912 and 1914 and this work consists of five pieces. They have unique individualities and show his 5 elements very well. The five elements are The Classical, The Modern, The Toccata, The Lyrical, and The Grotesque elements. In addition, the features of his composing skill of this music are cycle method of a theme, imitation technique, bitonality, frequent modulation, frequent changing beat, drastic changes of a theme, repetitive rhythm, and innovative dissonance. Sarcasms Op.17 shows the Classical element, the Modern element, a piano as percussion instrument. Therefore, Sarcasms Op.17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the piano music due to unique composing skill.

      • 어린이집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역할수행 요구

        박미영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새로운 국가정책으로 시행되고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 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영아반 보조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수행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보완되어 더 질 높은 보육환경이 이루어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8개시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중 영아반 보조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306명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보육교사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는 Scheff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현직 대부분의 보육교사들은 영아반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였고, 영아반 보조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육 이수 조건으로는 보육교사 교육원 과정 졸업자를 가장 선호하였는데 이는 적어도 1년 정도의 교육기간을 거쳐 영유아에 대한 이해도를 가지고 있는 보조교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영아반에서 보조교사가 필요한 상황은 ‘교육활동 전개 시’, ‘화장실 사용 및 손 씻기 지도 시’, ‘간식과 식사지도 시’의 상황에서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의 적정 연령대는 ‘만30세 이상’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또한 하루 일과 중 보조교사가 필요한 시간은 ‘하루 평균 3∼4시간’ 정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는 보육업무가 가장 집중되는 오전 일과시간에 보조교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아반 보조교사 투입 시 보육교사의 전문성 증진과 영아보육의 질 증진에 대한 인식은 거의 대부분의 교사가 ‘그렇다’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영아반 보조교사 선정 시 가장 중요한 자질로는 ‘인성과 품성’으로 나타났다. 영아반 보조교사 배치 시 교사 대 영아의 적정비율에 대한 결과는 ‘영아의 인원에 관계없이 각 반에 1명씩 배치되어야한다’ 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둘째, 보육교사들의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하위 영역에서는 ‘교직능력 함양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교사가 기대하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업무는 단순히 보조교사로서의 역할에만 그치지 않고 영아에게 바람직한 모델로서 교사의 기본 태도와 자질 및 능력까지 요구하는 것으로 보이며, 신뢰감이 바탕이 되어 성인과 애착을 형성하는 영아기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정서적 지원자로서의 역할수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혼합연령을 담당하는 보육교사와 소규모 어린이집의 보육교사가 영아반 보조교사에 대한 역할수행 요구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달의 차이가 큰 영아들로 구성되어 있는 혼합 연령반과 소규모의 어린이집일수록 영아반 보조교사의 지원 및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는 제도의 시행 초기에 있는 영아반 보조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요구를 제시함으로써 영아반 보조교사 제도가 효율적으로 정착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박미영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방법전공 박미영 지도교수 임병우 본 연구는 경제자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 자본과 문화자본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전라, 대구, 경북의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응답자 가 고령의 노인이라는 점과 설문 응답의 용이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가 능한 한 경노당을 제외한 노인복지관을 조사 대상 장소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9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사회자본, 문화자본, 경제자본 간의 인과관계와 이런 인과관계가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이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11개 가설이 설정되어 모두 채택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연구가설 중 경제자본이 노인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보다는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의 매개효과를 통해 미치는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가 설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기 위해 경제자본 도 중요하지만, 사회자본과 문화자본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적‧사회적 노력 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안정과 자긍심 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방안을 추진하여야 한다. 둘째, 사회자본은 개인 간의 관계와 사회적 네트워크를 의미하며,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회적 연결성을 강화하는 방안 을 추진하여야 한다. 셋째, 문화자본은 예술, 문학, 음악, 스포츠 등의 문화 활동을 통해 형성 되며,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문화 활동을 누릴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여야 한다. 끝으로 노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에는 경제자본 뿐만 아니라 사 회자본과 문화자본도 매우 중요한 역할하기에 이러한 자원들을 조화롭게 결 합하여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주제어 : 경제자본, 사회자본, 문화자본, 노인 삶, 만족도

      • 취학 전 영어교육의 실태분석과 개선방향

        박미영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st recent trend of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ers in order to investigate its essential problems and to suggest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 of early English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which was conducted to 54 kindergarten teachers. Questionnaires include 47 items in 3 categories. What these questionnaires cover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background, quality and opini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teachers; second, the actual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nglish in kindergartens and private institutions; third, the text and the teaching methods of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According to research, most teachers(84.4%) highly agree that interests and motive to learn English are teaching objects in early English Education. 46.9% of teachers think teaching about listening and speaking simple sentence need to be learned and 37.5% of the teachers think teaching alphabet, listening and speaking of words need to be learned as the most of subject of English teaching. For the question about effect of early English education, most teachers think it's very effective. Teachers answered singing songs and gestures(59.4%) are effective teaching method and picture or flash card(37.5%) are frequently used teaching materials. Actually the debate over teaching English from early childhood in Korea has continued since 1970's. As a result, English became one of regular course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1997. In consequence,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English has been rapidly implemented. There has been established a lot of English educational programs and private institutions for preschool children. However, many people have not been paying attention to the practical education system and the effects of the English education for preschool children. So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a successful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First, English teach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required to have English educational background such as major in English education. The aim of English education is to activate preschool children's interest and motivation. In order to get a better result of the English education in preschool children who are biologically better equippe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an adults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utilize their language acquisition ability. Secondly, the program of teaching English language in preschool should be linked with elementary school's program in order to maximize educational efficiencies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language. Thirdly, English language textbooks and materials should be improved through active and scientific research by English language specialists. Plus, English education programs which take advantage of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current curriculum.

      • 토성에 따른 길경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변화

        박미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길경 재배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길경의 약효 성분을 극대화하고자 마사토(masato), 배합토(soil mix), 양질사토(loamy sand), 사양토(sandy loam) 등 4수준의 토양을 이용하여 토성에 따른 길경의 생육 및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합성 유효광량을 인위적으로 30~2000 μmol/m2/s까지 증가시키며 광합성률을 측정하였을 때, 배합토에서 기공전도도ㆍ증산률ㆍ광합성률이 가장 높았고, 사양토에서 가장 낮았다. 사양토에서는 수분이용효율ㆍ포차가 높게 나타났다. 양질사토와 마사토는 대체적으로 모든 광반응에서 양호하였다. 재배 토성별 길경의 생육조사에서는 지상부는 양질사토 > 사양토 > 배합토 > 마사토 순으로 생육이 양호하였고, 지하부는 양질사토 > 배합토 > 사양토 > 마사토 순이었다. 일반성분은 평균적으로 수분은 77.3%, 조지방은 2.6%, 조회분은 3.2%, 조단백질은 6.0%, 탄수화물은 10.9%의 함량을 보였다. 길경의 사포닌 분석 결과 platycodin D, platycodin D3,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의 사포닌 함량은 282.4, 104.7, 29.1, 19.1 mg/100g 순이었고, 재배 토성별 결과는 platycodin D, polygalacin D, deapioplatycodin D는 총질소ㆍ유기물ㆍ인산 함량이 높았던 배합토와 사양토에서 높았고, platycodin D3는 모든 토양에서 유사한 함량을 보였다. 재배 토성별 길경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높았고, 동일한 농도(8 mg/ml)에서 비교하였을 때 전자공여능은 70% 이상, ABTS+ 라디칼 소거능은 80% 이상 활성을 보였다. 대체로 배합토와 양질사토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미영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ects of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of Preschool Children Park, Mi-young Department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 of Human Care Daegu Cyber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Lim, Ji-Hyang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of preschool children. The key point of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was the approach based on potential toward absolute dependence, respective dependence and independ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 students who were 7 years old and involved in same class at C infants educational institute at U city.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to experime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with 9 students and conducted 2 sessions per week, 45 minute per session, and totally 12 sessions. Self-esteem scale and KHTP drawing test were used as tool to measure the self-estee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0.0 Version, and conducted non-parametric test to compare two groups. Also changes between stages were compar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result of analysis on self-esteem scale according to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for preschool children.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result of analysis on KHTP drawing test according to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for preschool children.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s in result of analysis on responses each stages according to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for preschool children. Thus,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could be assum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for preschool children, and it could be useful to util object relations group art therapy to enhace psychological factors for preschool children. Keyword: Object relation group art therapy, Self-esteem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 미 영 대구사이버대학 휴먼케어대학원 미술상담학과 지 도 교 수 임 지 향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U시에 소재한 C유아교육 기관에서 7세반 1개 학급의 아동 18명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9명씩 으로 구성하였으며,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2회로 회기 당 45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자아존중감 척도와 KHTP 검사를 사전 · 사후에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SPSS 20.0 Version을 사용하여 비모수 검증으로 결과를 산출하고 KHTP 그림검사의 사전․사후 변화와 실험집단의 단계별 변화는 질적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변화를 자아존중감 척도를 통해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변화를 KHTP검사를 통해 질적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변화를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상관계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시사한다.

      • 기관지 흡인술 유형에 따른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및 평균동맥압의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박미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중환자실에서는 호흡치료의 수준이 점점 더 고도화되어 가고 있다. 급성호흡부전 환자에게 산소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호기말양압과 고농도의 산소뿐만 아니라 인공호흡기를 통해 산화질소(Nitric Oxide)를 흡입하고 폐포모집술(alveola recruitment maneuver)등의 치료를 한다. 이러한 중환자들에게 인공호흡기를 분리하고 기관지 흡인을 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개방형 흡인술은 인공호흡기로부터 환자를 분리함으로써 흡인 시 산소공급이 중단되고 호기말양압이 상실되며 이로 인해 폐에 남아 있는 기능적 잔기량이 감소됨으로써 기관지 흡인술로 인한 저산소증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폐쇄형 흡인술은 흡인 시 인공호흡기를 분리하지 않으므로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폐쇄형 흡인술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대상이나 사용방법 및 효과 등에 대하여 연구된 것을 찾아 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성인 중환자들에게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기관지 흡인술을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성인환자 중 기관내 삽관을 하고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31명이었고, 자료수집은 동일 대상자에게 개방형 흡인술과 폐쇄형 흡인술을 1시간 간격으로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잔류효과(carry over effect)와 순서효과(order effect)를 배제하기 위하여 개방형과 폐쇄형의 순서를 바꾸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2 sample t-test,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MANOVA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방형 흡인술 과정에서 산소포화도가 감소하여 흡인 후 5분까지 흡인전의 상태로 회복되지 않았고 폐쇄형 흡인술 과정에서는 산소포화도가 감소하다가 흡인 후 3분에 흡인 전의 산소포화도로 회복하였다. 2. 개방형 흡인술 과정에서 심박동수가 상승하여 흡인 후 5분까지 흡인전의 상태로 회복되지 않았고 폐쇄형 흡인술 과정에서는 심박동수가 상승하다가 흡인 후 2분에 흡인 전의 심박동수로 회복하였다. 3. 개방형과 폐쇄형 흡인술 과정 모두에서 평균동맥압이 상승하였으며 흡인 후 5분까지 흡인 전의 평균동맥압으로 회복되지 않았다. 4. 흡인 유형간에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및 평균동맥압의 변화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인공호흡기 구동방식에 따라 흡인 유형간에 심박동수의 변화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성별, 연령, 진단명, 흡입산소농도, 호기말양압 정도에 따라 흡인 유형간에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평균동맥압의 변화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인공호흡기를 적용 중인 성인 중환자에게 흡인 시 개방형 흡인술은 흡인 중과 후에 산소포화도를 감소시키고 심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평균동맥압을 상승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폐쇄형 흡인술은 흡인과정에서 인공호흡기를 분리하지 않으므로 산소와 호기말양압이 계속 유지되어 흡인 중과 후에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및 평균동맥압에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이에 인공호흡기 치료 중인 성인 중환자들에게 흡인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보다 안전하며 효과적인 폐쇄형 흡인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Background : Endotracheal suctioning is a frequently performed procedure that has many associated risks and complications. A closed suction system maintains connection with the mechanical ventilator during endotracheal suctioning and is claimed to limit loss in lung volume and oxygenation. However, the limited literature on closed suction system suggest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Objective : To compare difference of changing in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d mean arterial pressure during endotracheal suctioning performed with closed suction system and with an open suction system. Methods : The subjects were 31 ventilated adult patients with endotracheal intubation.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and mean arterial pressure were collected immediately prior to the suctioning intervention, during and 1,2,3,4,5 minutes after the suctioning from open suction system and closed suction system. The study is cross-over repeated design. Results : The changing difference of the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mean arterial pressure were significant between open suction system and closed suction system(p=.000). Recovery time for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to return to baseline values after suctioning was significantly rapid on closed suction system(p<.05). Conclusions : Closed suction system is more prevention of hypoxemia and hemodynamic compromise in ventilated patients than open suction system. The adult critically ill patient in ventilated needs the effective, safe closed suction system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 공동체주의 정치철학 연구 : 테일러의 진정성 개념을 중심으로

        박미영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ommunitarian political philosophy centering on the “Authenticity” by Charles Taylor and to help stimulate theoretical discuss on the future course of our political philosophy. Chapter 1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 so that what is important in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 Chapter 2 examines A. MacIntyre, M. Sandel, M. Walzer as the important communitarians while recognizing their virtues, their limitations will be scrutinized. Chaper 3 deals with communitarian political philosophy of Charles Taylor, centering on the concept of “Authenticity”. Taylor presents a new paradigm beyond the dichotomy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 He points to the confusion in the Debate, and argues that the confusion has contributed to the eclipse of ontological thinking in social theory. Therefore, he tries to show how to place the procedual liberalism against the background of a holistic ontology, that is, society must be communitarian in ontological terms and liberal in political contexts. Taylor deals with such concepts as “subjectivity” and “inwardness” in the Western intellectual history and a “Sittlichkeit” by G. W. F. Hegel, who proposed “Sittlichkeit” as a practical code to be realized concretely within a community. For Taylor, Authenticity is not only concerned with “inwardness”, my own inner nature and “self-determining freedom”, but also with “horizons”. Things take on importance against a background of intelligibility. This is called a horizon. For that reason, Authenticity can't be defined in such a way that collapses horizons of significance. So the ideal of self-choice supposes that there are other issues of significance beyond self-choice. In chapter 4, I'll argu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communitarinism and liberalism through Taylor's paradigm. On this basis, the meaning of Korean communitarinism and its prospect will be briefly explained. In conclusion, I'll insist that the Liberal-Communitarian Debate can be successfully overcome with the aids of Taylor's notion of Authent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