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2학년 가창 수행평가를 위한 교사용 루브릭 개발

        박미성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인간상은 높은 창의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사람이다. 이러한 인간상에 도달하기 위해 교육도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빠른 시간 내에 많은 학습자들을 평가하여 그 결과로 학습자들의 능력을 평가하였지만 현재는 수행평가의 도입으로 학습자들의 개인의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수행평가의 도입이후 평가자의 공정성과 객관성, 및 타당도에 관련하여 채점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이에 수행평가에서는 신뢰도 높은 채점을 위해 루브릭(Rubric)이 개발, 연구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2학년 음악교과의 가창 수행평가 채점기준표(Rubric)를 제재곡의 학습목표에 맞게 개발하는데 있다. 루브릭은 학생의 수행의 수준과 특징을 기술자에 근거하여 서술적으로 나타내어 학습자와 평가자에게 신뢰도와 타당도 높은 채점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한 수행평가와 루브릭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중학교 음악교사 5명을 인터뷰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가창 수행평가의 조사와 루브릭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차후 루브릭을 도입 의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교사들이 제시한 채점기준표의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실제 가창 수행평가를 위한 채점용으로 사용하지 않고 가창 수행평가 전에 채점기준표가 만들어지므로 제재곡의 특성을 살리는 음악적 요소가 채점 기준표에 없었다. 또한 학습자 입장에서 교사가 무엇을 평가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고 자신의 점수가 어디에서 감점되었는지 모르며 학습자 개인의 특성과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상위점수에 대한 목표의식 및 동기부여가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가창 수행평가의 채점이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은 평가가 될 수 있도록 학습목표에서 제시하는 제재곡의 특성에 따른 채점기준표의 개발에 주안점을 두었다. 루브릭 개발의 과정은 먼저 제재곡을 선정하고 각 제재곡에 맞게 수행과제 및 루브릭 개발요소와 평가내용을 설정하였다. 한국가곡인 경우 학습목표에 따라 가곡의 정서표현 및 음정과 발성 중심으로 평가할 수 있는 루브릭을 제시하였고, 민요의 경우에는 메기고 받기, 신체표현, 리듬표현 중심으로 평가요소를 설정하였다. 판소리는 아니리, 퇴성중심의 학습목표에 맞게 평가요소를 설정하여 루브릭을 개발하고, 외국 가곡은 외국 언어로 노래 부르는 것을 중심으로 평가하였으며 2부 합창은 팀웍, 화음의 조화를 중심으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음악교과의 루브릭 개발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신감, 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사에게는 신뢰도와 객관적인 평가로 인해 채점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는 평가가 될 것이라고 사려 된다.

      • PBL에 의한 고등학교 국사과 수업 설계 및 적용 사례 연구

        박미성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study how the interests and recognition of history learning have changed since the application of PBL and propose a direction(way) to improve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do this, I designed high school history class by using PBL. PBL is an embodi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constructivism that is new learning theory and education paradigm. And I apply the design in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e it. I have introduced PBL as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is why it encourages students who live in an era of information and diversity to lead problem-solving related to history existing in the real world and cooperate with others to cope with the problems. For this, this paper develops PBL problems of history targeting the 1st high school students and designs the teaching and learning lesson plan and then apply them to 81 students from 2008 to 2010.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after the application of PBL, I studied the result of evaluation qualitatively. To get the result, a teacher and students played the leading role in observing the teacher and evaluating reports by individual and group, presentations, reflective journal etc in multi-faced method. As a result, the interests in learning was extended to the interests in the history curriculum and history, leading to the change of students' recognition about the history curriculum in positive way. In addition, students recognized the nature of history itself and their own historical prejudices and put the hypothesis to solve the problem. They searched and collected the historical data by the hypothesis and evaluated the importance, came to think historically. In short, it appeared that the application of PBL to history class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thinking skills. I expect to apply the PBL model and develop the PBL problem situation to enhance historical thinking in the history class. Also I wish a study on which historical thinking components is enhanced when PBL is applied to history class, and also a study on the better way to enhanc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is done in depth.

      • 유아종교교육과 가정의 역할 연구 : 교회문헌을 중심으로

        박미성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유아종교교육을 위해서 가정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교회문헌을 통해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유아기는 인격의 대부분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된 한 인간이 하느님을 알고 참된 그리스도인으로 성장하도록 교육할 때 유아기는 결정적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유아들은 첫 번째 학교인 가정에서 첫 번째 교사인 부모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는다. 유아종교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신앙이 곧 유아의 신앙이 되기 때문에 가정의 역할은 중요하다. 가톨릭교회에서 가정은 혼인으로 맺어진 부부에 의해 형성되며 자녀 출산과 양육 그리고 부부사랑을 목적으로 한다. 가정은 생명과 사랑의 공동체이고, 사회적 삶을 위한 기초공동체이며, 가정교회로서 교회의 사명을 수행한다. 유아들은 자신들에게 맞는 특별한 배려를 통해 종교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는 중요한 존재이다. 유아들의 종교교육에 있어서 가정의 역할은 독특한 우월성을 가지며 부모는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권리와 의무가 있다. 이러한 부모의 교육 역할은 대치되거나 양도될 수 없는 것이고 타인이 완전히 위임받거나 빼앗을 수 없다. 그러므로 부모는 말과 모범으로 자녀들에게 신앙을 전달하여야 한다. 부모는 가정이 복음을 실천하고 신앙 안에서 성장하면서 복음화의 공동체가 되도록 하고, 부모들이 기도하는 모습을 통해 유아들이 기도의 자세와 중요성을 배울 수 있도록 기도하는 공동체를 형성하여야 한다. 또한 유아들이 전체 교회의 전례 기도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줌으로써 종교교육을 할 수 있다. 교회는 인간존재로서의 유아와 그의 부모를 포함한 가정에 대한 이해와 사목적 배려차원에서 교회의 진정한 보살핌을 실행해야 한다. 유아들을 위한 종교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유아들에 대한 우선적 배려와 함께 그 부모와 가정에 대한 배려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This dissertation researches how important the role of home is for the early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by surveying on the Church Document. The early childhood is the extremely significant period in which the most of personality is built up. In the aspect of education, this juncture is determinative for infants to grow up as a true Christian and in knowledge that human is created as the resemblance of God. In particular, preschool children are very much influenced by their first teachers, parents, in their first school, home. In the religious education for the early childhood, the role of home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faith of parents usually becomes that of the preschool children. In the Catholic Church, a home is formed by husband and wife who are coupled by marriage, and aims at the love between the wedded couple. The home is a community of life and love, and a basic one for social life, and carries out the mission as a home church. The preschool children are human-being who have right to get the religious education upon special caring suitable for them. In the religious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role of home has the unique superiority and parents have essential right and duty. The role of parents in the education is something that can not be replaced or endorsed, and that other people can not deprive or be totally delegated. Therefore, parents should deliver their faith as an exemplar and by their speaking. They should make a home an evangelic community with practicing gospel and by growing in their faith and form a community of prayers. In such an environment, their children would learn the attitude and importance of the prayer. Also, parents can educate religion by leading their children to the liturgical prayer of the Universal Church. The Church should heartily take care of the home which includes the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based on special attention and understandings. To realize the religious education for the preschool children, the caring for the parents and the home should be specially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preferential attention for the preschool children.

      •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미성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동태적인 경영환경 속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경영전략의 선점은 빼놓을 수 없는 과제이다. 그러나 경영자가 가진 리더십의 효과성 정도가 조직의 성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조직에서 훌륭한 리더십을 지닌 리더를 확보하고 양성하는 것은 우수한 경영전략이고, 경영조직의 활용 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리더신뢰와 임파워먼트의 유효성을 알아보고,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리더신뢰와 임파워먼트가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를 공변량 구조분석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정해 보았다. 5개 기업 및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195명의 설문자료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 클수록 조직구성원의 리더신뢰는 크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이 클수록 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는 크다. 셋째, 임파워먼트가 클수록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은 크다. 그리고 리더신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매개변수로 작용하지 않았으며, 임파워먼트가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 사이에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는 차별적 효과를 검정하였다. 리더신뢰는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데는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되지만, 이 연구에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선행연구가 미진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신뢰와 임파워먼트를 한꺼번에 매개변수로 채택하여 그 매개효과를 검정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에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 성경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표현양식에 대한 유아의 반응: 만화적 표현과 표현적 표현에 대하여

        박미성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Young Children’s Response to Expression style of Bible Story Picture Books: On the Cartoon and Expressive Expression Miseong, Park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Chongsh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cartoon and expressive expression style among picture expression styles of Bible story picture book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ible story picture books approproat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and interest. The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i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endency of the response to the Bible story picture book according to the expression style and age? 2. What is the preference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icture expression style of Bible story picture 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 children, 12 children aged 4 and 12 children aged 5 in C and A kindergartens located in G-gu, Seoul. The children who were the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3 children by age and responded to the picture books read by the researcher in a small group. The picture books used in this study are 6 picture books with different expression style, which are in cartoon and expressive expression style. The researcher read six Bible story books, one for each week for 6 weeks by small group. Each of the books is a pair of three Bible stories about Adam and Eve, Noah's Ark, and Joseph. To examine the children's reaction, the situation of reading picture books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To analyze the children's reaction to the Bible story picture book, the analysis category of the children's reaction by Stephanie and Nancy (1999) was applied to examine the children's Focus of Talk and Enactment. The response of picture books was examined by applying the response category used by Na Ji Eun(2000) and Kim Jung Ah(2013). In addition, the children's preference for picture books was collected through open-ended question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obtain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ponses of young children to Bible story picture books with different expression styles, 4 and 5 year-old children showed the most Focus of verbal response in both expressive and cartoon story picture books, and among Focus of verbal response. the response to 'component' of picture books was the most frequent. Also, among the component, the response to 'character' was the most frequent. Therefore, we can know that when children look at picture books, they have more focused on characters among the component of picture books and more reaction to picture books of expressive expression style than cartoon expression styl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ference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picture expression style of the Bible story picture book, both 4 and 5 year-old children preferred the picture book of the cartoon expression style, before reading. However, they showed interest in new expression styles in the process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after reading both 4 and 5 year-old preferred expressive expression styles. Also, when choosing a picture book that they want to read once more, both 4 and 5 year-old preferred the picture book of expressive expression style rather than the cartoon expression style. The children showed a lot of interest in the appearance, form and characteristics of the picture shown in the picture book of the expressive expression style, and responded with interest in the harmonious connection of the writing and the pic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ildren's reaction to the picture expression style of the Bible story picture book, to understand the children who are the actual readers of the picture book more deeply,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what is the picture book suitable for teaching the Bible to the children.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 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표현양식 중에서 만화적 표현양식과 표현적 표현양식에 따른 유아의 반응과 그림 표현양식에 대한 선호를 알아보고 유아들의 발달적 수준과 흥미에 적합한 성경 이야기 그림책의 특징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표현양식과 연령에 따른 성경 이야기 그림책의 반응 경향은 어떠한가? 2. 성경 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표현양식에 따른 유아의 선호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G구에 소재한 C어린이집과 A어린이집 만 4세 유아 12명과 만 5세 유아 12명으로 총 24명이며, 연구대상이 된 유아들은 연령별로 3명씩 4그룹으로 나누어 소집단으로 연구자가 읽어주는 그림책을 보면서 반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그림책은 만화적 표현양식과 표현적 표현양식으로 표현양식이 다른 그림책 6권이다. 연구자는 아담과 하와, 노아의 방주, 요셉이야기에 대한 3가지 성경이야기가 쌍을 이루는 6권의 성경이야기 그림책을 연령별로 한 주에 한권씩 총 6주 동안 소집단별로 읽어주었으며, 유아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그림책을 읽어주는 상황을 녹화하고 전사하였다. 성경이야기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Stephanie 와 Nancy (1999)의 유아반응 분석 범주를 적용하여 유아의 언어적 반응과 행동적 반응을 살펴보았다. 그림책의 그림에 대한 반응은 나지은(2000)과 김정아(2013)가 사용한 반응범주를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선호 반응은 개방형 질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 표현양식이 다른 성경 이야기 그림책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만 4세와 만 5세 유아들은 표현적 표현양식과 만화적 표현양식의 성경이야기 그림책 모두에서 언어적 반응이 가장 많았고, 언어적 반응 중에서도 그림책의 ‘구성요소’에 대한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구성요소 중에서는 ‘인물’에 대한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유아들은 그림책을 볼 때, 그림책의 구성요소 중 인물에 대한 언어적 반응을 많이 하며, 만화적 표현양식보다는 표현적 표현양식의 그림책에 더 많은 반응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성경 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표현양식에 따른 유아의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성경 이야기 그림책을 읽기 전에는 만 4세와 만 5세 유아 모두 만화적 표현양식의 그림책을 더 많이 선호하였다. 하지만,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새로운 표현양식에 관심과 흥미를 보였고, 그림책을 읽고 난 후에는 만 4세와 만 5세 모두 표현적 표현양식을 더 선호하였다. 또한, 한 번 더 읽고 싶은 그림책을 선택할 때, 만 4세와 만 5세 모두 만화적 표현양식보다 표현적 표현양식의 그림책을 더 선호했다. 유아들은 표현적 표현양식의 그림책에 나타난 그림의 생김새, 형태, 특징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글과 그림이 조화롭게 연결되는 것에도 관심을 가지고 반응했다. 성경이야기 그림책의 그림 표현양식에 대한 유아의 반응을 분석하여 그림책의 실제 독자인 유아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 유아들에게 성경을 가르치기에 적합한 그림책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환경과 지원체계에 대한 질적 연구

        박미성 대전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업을 중단한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환경을 살펴보고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지원서비스가 적절히 이루어지려면 어떠한 점을 적용해야 하는지 시사점을 얻고자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업중단 이후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은 어떠하였는가? 둘째,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는 어떻게 도움이 되고 있는가? 셋째,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 후의 생활은 어떻게 변화 되었는가? 위와 같은 문제 분석을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참여자의 서비스 이용 경험이라는 정보는 개인별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9-24세의 학교 밖 청소년 중 6개월 내에 6개월 이상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서비스를 이용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층면접은 연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5명의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7년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동안 1:1 인터뷰를 바탕으로 진행하였고 필요에 따라 추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생활환경에 대하여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의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지원체계가 적절히 이루어지려면 어떠한 점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한국의 보험시장에서 도덕적 해이의 발생과 건강관리행태 : 패널 회귀분석과 MIMIC 모형을 통하여

        박미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한국의 보험시장에서 사전적·사후적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는지의 여부 와 이러한 도덕적 해이가 발생한다면 그 정도는 어떠한지에 대해 분석하였으 며, 이를 위하여 패널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델링 하 MIMIC(Multiple Indicators Multiple Causes) 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계량분석방법은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달리 개인별 고유효과(individual-specific effects)를 추정하여 내생성의 편의(bias)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고의 실증분석 결과 보험에 가입하거나 보험 월 납입료가 증가하였을 시 질병예방 노력을 소홀히 하는 경향이 나타났지만, 보험의 가입 개수가 늘어나 보험보장 범위가 확대되었을 시 질병예방노력을 더 기울이는 경향도 발견되어 사전적 및 사후적 도덕적 해이가 모두 약한 정도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 적으로 패널 회귀분석 결과, 보험에 가입한 사람이 흡연자가 되기 쉬운 경향 이 발견되었다. 또한 MIMIC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시, 종속 변수가 흡 연 빈도수의 변화와 운동의 빈도수, 그리고 BMI지수의 변화 정도로 이루어진 상황에서 질병예방노력이라는 잠재 변수가 이들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흡연 빈도수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식품소비시간과 식품소비행태관계에 대한 연구

        박미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three essays. Three essays are related to household production model(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and food-related time which is the sum of food production time and food consumption time. The objective and main results of each essay are as follows. The objective of first essay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hourly wage’s change on individual’s food production time and food consumption time.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emand functions of food production time and food consumption time are derived, and the determinants are explored. Important determinants of the demand functions are hourly wage, household size, non-labor income. Especially, hourly wage is very important variable, because hourly wage means the opportunity cost of time. Labor supply curve is backward bending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hourly wage. The coefficients of hourly wage show that demands for food-related time and production time are decreasing and concave in hourly wage, but demand for food consumption time is convex in hourly wage. Elasticity of food-related time with respect to hourly wage is –0.035, elasticity of food production time is –0.241, elasticity of food consumption time is 0.044. Therefore we know that substitution effect of hourly wage’s change is greater than income effect in food production time and food-related time, while income effect of hourly wage’s change is greater than substitution effect in food consumption time. The objective of second essa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meal regularity which is one of the dietary patterns. Probit and ordered Logit regress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bability for the married women to eat regularly is higher than those for other adults. These results imply that married women spend more time on the activities regarding food than other types of adults. The estimated probabilities of regular eating for agriculture, forest and fishery workers are higher than those for other workers. The estimated probability having regular meals for the married women who are doing desk work is estimated to be 67.45%, which is 6.31% point lower than that for the other desk workers. Third essay focus on effects of meal regularity on adults’ obesity.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net effect of meal regularity on adults obesity by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in order to solv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After setting 2 hypotheses(meal regularity, breakfast meal regularity) about the relationship of meal regularity and obesity, we test those. Hypothesis 1 is that those who regularly eat have lower obesity compared to those who irregularly eat.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designs of hypothesis 1 are 5. Hypothesis 2 is that people who regularly eat breakfast with the highest skipping probability among the meals, will be lower BMI(body mass index) than those skipping breakfast.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designs of hypothesis 2 are 6. And outcome variables are BMI, waist circumstance and one day energy intake. Analysis results show that people eating regular meals intake more calorie than those eating irregular meals, but his or her BMI is lower than those eating irregular meals. And people eating regular breakfast under same condition of eating both lunch and dinner intake more calorie than those eating irregular breakfast, but his or her BMI is lower than those eating breakfast irregularly. Hence, we found that eating regularly is desirable in terms of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