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개발

        박미래 목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인간은 공간 속에서 살아간다. 그 중 ‘특정한 의미가 부여된 공간’을 장소라 하며, 이것은 인간의 삶과 분리하여 설명할 수 없는 곳이다. 그들은 어떤 장소에 일정기간 머물며 자신만의 고유한 이미지와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다른 공간과 구별되는 특성‘인 장소성을 형성한다. 그 과정 속에서 인간과 장소 사이에는 유대감이 생겨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얻게 된다. 이것이 바로 특정 장소에 대한 ‘장소 애착’이다. 이러한 장소에 대한 개인의 관계는 전 생애를 통해 변화되며, 특히 아동기의 경험은 이후 발달 단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아동이 의미를 부여하고, 애착을 갖는 공간을 지각하는 것은 그렇지 못한 공간을 지각하는 것과 매우 다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장소 애착에 대한 연구의 대상자는 대부분 성인들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의 장소 애착에 대해 특히,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이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라는 장소에 대한 애착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를 목적으로 하려고 한다. 이러한 내용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장소 애착 이론 및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의 예비문항을 구성하고, 둘째,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된 문항이 타당한지를 검증한다. 셋째는,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애착 경향은 어떠한지 알아보고,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에 의한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과 가정 환경적 특성에 따른 장소애착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과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 개발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 애착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명확하게 하고, 장소 애착의 구성 요소인 인간관계, 학교만족도, 장소 인지, 장소를 위한 실천이라는 4가지 개념을 토대로 65문항의 1차 예비 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음 단계로, 1차 예비 문항을 아동 교육 전문가 5명과 3회차에 걸친 면담과 회의를 통해 하위 내용들이 각 개념을 잘 반영해 주고 있는지, 문항이 충분히 대상자를 이해시킬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해하기 어렵거나 뜻이 분명하지 않은 문장을 포함한 7개의 문항을 삭제하고 58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세 번째 단계로 2차 예비 문항에 대해서 초등교육 전문가 4명, 아동학 석사 1명, 국문학 박사 1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고 8개의 문항을 삭제하여 총 50개의 문항을 최종 예비 문항으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아동 405명을 대상으로 최종 50개의 예비 문항에 대해 본 조사를 실시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 5개의 하위 요인으로 정서성 13문항, 사회관계 11문항, 환경만족 9문항, 부정적 정서 5문항, 긍정적 정서 5문항으로 총 43문항으로 구성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를 도출하였다. 요인 분석을 통해 추출된 5개의 구성요인들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의 하위 요인 및 척도 전체에 대한 신뢰도 검정을 위하여 내적일치도(Cronbach alpha)를 구한 결과 다섯 가지 하위 요인과 척도 모두 .679~.940으로 양호하게 나왔다. 문항양호도 검사에서도 각각의 하위 요인들이 독립된 요인들로 구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하위요인들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 전체를 잘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초등학생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및 각 하위요인들을 잘 측정하고 있는 타당성과 신뢰도가 입증된 객관적이고 믿을 수 있는 검사라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척도를 이용하여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경향을 확인해 보기 위해 회수된 405부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WIN 21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치를 살펴보고, 연구문제에 따라 T-test, ANOVA,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 경향에 대해 알아보면서 먼저,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을 알아보았다. 먼저, 성별에 따른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은 평균 2.97의 점수가 나왔고, 하위요인별로 보면 환경만족이 가장 높게 나왔고, 부정적 정서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은 전체 장소애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사회적 관계에서 남아가 3.06점, 여아가 3.13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행동에서도 남아 2.89점, 여아 3.02점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아동의 학년에 따른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의 경향은 전체적으로 3학년(3.20)이 가장 높았고, 6학년이 2.81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고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 중에서는 정서성, 사회적 관계, 환경만족, 부정적 정서, 긍정행동 요인까지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거주지역에 따른 전체 장소 애착은 시지역이 다른 지역(군, 광역시)에 비해 조금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에서는 유일하게 부정적 정서 요인에서 지역별로 많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군지역 2.58점, 시역 2.45점, 광역시 지역이 2.47점으로 나타났고, 각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지각하는 가정생활 수준별 학교에 대한 장소애착에서는 응답하지 않은 23명을 제외하고 392명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통계 결과를 얻었다. 아동의 학교에 대한 전체 장소 애착 수준에서는 가정생활 수준이 상일 경우 3.08점으로 가장 높고, 항인 경우 2.63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다. 가정생활수준에 따라 장소애착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부정적 정서 외의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 애착과 학교 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부정적 정서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하위 요인들간 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아동의 장소 애착 척도의 총점과 학교 적응 척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748,p<.001).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를 통하여 보면,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이 증가하게 되면, 학교 적응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학교 아동의 학교에 대한 장소 애착 척도는 학교에 대한 초등학교 아동의 애착 정도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입증하였다.

      • 『압살롬, 압살롬!』의 인물들을 통해 본 남성성의 재현과 역사 기술

        박미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examines different narratives produced by the characters in William Faulkner's Absalom, Absalom!, which is often viewed as a historical novel. Four characters, Mr.Compson, Rosa Coldfield, Quentin Compson and Shrevlin McCanon, in Absalom, Absalom! narrate the story of Thomas Sutpen, each describing Sutpen in his/her own perspective. Sutpen's biography is similar to the history of the South, and thus the characters' recollections and reconstructions of Sutpen’s life could be regarded as a regional historiography. Although they narrate the Southern history, their narratives do not simply reflect the problematic aspects of the South, but rather seek a new blueprint of it. Moreover, this process, of narration empowers the characters as participants in history as well as historiography. This power that these characters acquire is distinguished from Sutpen's patriarchal racist power. In other words, their narratives are significant not as a mer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y, but as a historiography itself which denotes a discursive formation of subjects as well as history. To be specific, Mr.Compson, one of the narrators, bequeaths Sutpen's legend to his son, Quentin Compson, as in a patrilineal and patrimonial transmission of property. This process resembles the ideal of patriarchy to which Sutpen aspired. On the other hand, another narrator, Rosa Coldfield, disrupts this patriarchal genealogy with her strong feminine intervention. She describes Sutpen as a demon and accuses him of his inhuman masculinity. Her narrative not only overturns the male-centered practice of historiography, but also provides a basis upon which Quentin may envision a new South. The other narrators, Quentin Compson and Shrevlin McCannon, focus on the story of Henry Sutpen and Charles Bon. Richly embedded in implications of homosexu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arrators plays a pivotal role in making sense of the entire history of the Sutpen’s by unearthing the hidden story of Henry and Charles. Their joint narrative, therefore, highlights the suppressed daemons in the Sutpen saga, such as patriarchal violence, racism, fear of miscegenation and incest, all of which ultimately lead to the downfall of the South. As a result of this critical imagination, their narrative generates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past and envisioning a new South for the future.

      • 미술치료가 불안정애착 아동의 불안 감소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미래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icacy of art therapy in reducing anxiety and improving social skills of a child with insecure attachment. The study participant was a second grader at J Elementary located in K city, Korea. His teacher described the problems he caused in class and asked for help. Based on the behavior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e demonstrated in his school life, an art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with the aim of improving his mental health and sociality and provided the him once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 of 24 times from June to November 2016.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levels of anxiety, social skills, parental attachmen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during the follow₋up period, using relevant scales and the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his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of the insecurely child showed that the anxiety was reduced, and the positive effects of art therapy were achieved. Second, the child’s social skills also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as he demonstrated improvement in the sub₋areas of compliance, cooperation, sociability and independence, showing a positive change. Third, the art therapy positively affected the anxiety and social skills of the child with insecure attachment given the progress he made during the study period and the results of the KSD test.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rt therapy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and improving social skills of the child who had an insecure attachment.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아동의 불안정애착에 따른 불안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 2학년에 다니는 남학생으로 최초 의뢰한 담임선생님께서 아동의 문제시 되는 상황을 호소하였다.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에서 발생하는 요소를 찾아내어 원만히 회복할 수 있도록 미술치료를 통해서 불안 감소 및 사회성 향상에 증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2016년 6월부터 11월까지, 매주1회, 회기 별 50분씩, 총 24회기의 미술치료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불안정애착 아동의 불안 감소 및 사회성 향상에 어떠한 효과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부모 애착 척도와 아동 불안 척도, 아동 사회성 척도 그리고 KSD그림 투사검사 사전사후추후를 실시하여 나타나는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애착 아동의 RCMAS를 측정한 결과 불안이 감소됨으로 나타났으며, 미술치료의 긍정적인 효과성이 도출되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불안정애착 아동의 사회성 검사의 하위 영역인 준법성, 협동성, 사교성, 자주성에서 향상되었으며, 긍정적인 효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치료가 불안정애착 아동의 회기별 진행과정과, KSD그림 투사검사에서 불안 과 사회성에 미치는 변화의 효과성은 긍정적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불안정애착 아동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사회성 향상에도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효과성이 나타남으로 확인되었다.

      • 자연의 선을 응용한 도자 화기 연구

        박미래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연의 변화무쌍한 풍경을 바라볼 때 느껴지는 아름다움은 살아있는 생동감에서 기인한다. 생동하는 자연은 바라보기만 해도 경이로움을 느끼게 하고, 마음의 위안을 주기도 한다. 인공적인 것들로 둘러싸인 도심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자연을 직접 찾아 나서야 비로소 자연이 주는 감정들과 마주할 수 있다. 도시에서 나고 자란 연구자 또한 가까운 산이나 강 그리고 바다를 찾아가 자연으로부터 많은 위안을 얻었고, 그때마다 자연을 관조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오랜 시간 동안 바라본 자연에서 발견한 고유의 선(線)은 자연의 에너지로 응축된 생명성을 느끼게 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자연의 선에서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자연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도자 화기(花器)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화기는 본래 꽃이나 식물의 생명성을 유지시켜주고 자연의 생명을 생활공간으로 들여오는 매개체로서 일상에서 자연을 가까이 둘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더 나아가 도자 화기가 자연에서 나타난 선의 표현을 확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 단순히 선의 형상을 도자 화기에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자연의 선을 연상할 수 있도록 하여 일상에서 자연으로부터 느꼈던 감정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기가 그 자체로도 자연의 선을 연상할 수 있는 오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연구자가 직접적으로 보고 경험한 자연에서 발견한 선을 조형적으로 탐구하였고, 이러한 자연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성질로 중첩성, 유연성, 연속성, 생명성, 율동성의 다섯 가지 속성으로 정리하였다. 각각의 속성은 객관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주관적으로 해석하여 조형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요소들을 활용하여 자연의 선이 담고 있는 심상을 조형적으로 화기에 표현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형상화한 도자 화기를 통하여 자연의 선이 예술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자연의 선을 일상에서 향유할 수 있는 도자 화기로 제작하였다.

      • PVA 섬유보강 활성 황토 콘크리트에 대한 보강근의 부착성능

        박미래 한밭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addi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ttached release for reinforced concrete with PVA fibers having a crack control effec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ed activity ocher replacement ratio. In addition, bond strength experiment carry out according to activity Hwangtoh replacement ratio that bond characteristics check with deformed steel bar in accordance reinforced concrete to PVA fibers having a crack control. Experimental results, bond strength of the PVA fiber-reinforced Hwangtoh concrete appeared to 19.81.MPa. Experimental results showed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of 37.1 MPa and a tendency to decrease about 1.3% according to Hwangtoh replacement ratio. Also, average Bond Strength was show 11.6 MPa. Experimental results, the average compressive strength was found 31.96 MPa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average 2 MPa, bending strength is found to 7.74MPa.

      •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탈동기 연구

        박미래 아주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고 학습자의 자신감 유지를 위해 학습자 참여 중심 교수· 학습 계획을 수립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인지주의 심리학에 영향을 받은 학습자 중심 교수법으로 외국어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L2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인 학습동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실제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도 간의 강한 상관관계가 선행연구들을 통해 입증되었다. 특히 한국의 EFL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태도는 성공적인 영어학습의 중요한 요인이다. 또한,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공교육현장의 수업이 블랜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상황에서 영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탈동기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블렌디드 러닝 형태의 수업을 공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다음의 세 가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영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탈동기가 어떠한가? 둘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영어 학습자의 성적에 따라 학습동기 및 탈동기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영어 학습자의 학년에 따라 학습동기 및 탈동기는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인천 A 여자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학습자의 기본 정보를 묻는 영역, 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요인을 묻는 문항, 학생들의 탈동기 요인을 묻는 문항으로 총 5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영어학습 동기는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 2언어 자아, 내재적 동기 순으로 나타났다. 탈동기화의 수준은 중간값을 기준으로 높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목표 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 학습자의 자신감 결여, 영어학습의 강제성 순으로 탈동기화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모든 동기 요인들(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 2언어 자아, 필연적 제 2언어 자아, 블렌디드 학습에 따른 동기)은 학습자의 성취도 그룹에 따라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전반적으로 상 그룹 학습자들이 하 그룹 학습자들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동기화 상태를 보였다. 성취도 그룹에 따른 탈동기는 전반적으로 하 그룹 학습자들이 상 그룹에 비해 높은 평균을 보였다. 셋째, 학년에 따른 동기 요인의 차이 내재적 동기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 1학년 학생의 내재적 동기 수준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했다. 탈동기에 대한 학년별 차이는 블렌디드 학습에 따른 탈동기 요인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1학년 학생들의 가장 높은 탈동기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의 제한점은 블렌디드 학습이 외적인 상황(코로나 19 팬데믹에 따른 사회적 거리 두기 단계)에 따라 비계회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처럼 블렌디드 러닝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겠다. 첫째, 교사는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따라 학습자 수준별 동기 부여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습자의 자신감 결여, 목표 언어에 대한 부정적 태도, 영어학습의 강제성의 요인들은 성취도 하 수준의 학습자들에게 가장 높은 탈동기 구인으로 작용하지만 동시에 모든 그룹의 학습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적인 탈동기 구인이므로 수준별 방과 후 학습 지도나 수준별 분반 수업을 통해 탈동기화를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의 일치성이 미치는 가상광고 효과 연구 : TV 프로그램 장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미래 서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설득지식모델을 바탕으로 TV 프로그램과 가상광고 제품 간의 일치성이 미치는 인지적/감정적 광고효과에 대한 포괄적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감정적 광고효과 중 부정적 광고태도를 분석하여 가상광고를 집행하는 실무자로 하여금 가상광고 효과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을 가능케 했다. 또한, 프로그램 장르를 조절변수로 두어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의 일치성이 미치는 인지적/감정적 광고효과 차이를 분석한 국내·외 최초의 논문으로서 큰 의의를 갖는다. 2009년 가상광고가 본격적으로 돌입된 이후로 가상광고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도는 날로 커지는 한편, 가상광고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물리적, 시간적 제약 및 시청자의 재핑(Zapping)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가상광고는 위축되어 가는 광고시장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광고 유형이다. 또한 시장의 이 같은 반응에 최근 개정된 <방송법 시행령>은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에만 허용되었던 가상광고의 범위를 오락, 스포츠 분야의 보도로 확대시켰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가상광고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의 일치성, TV 프로그램 장르에 따라 2×2의 집단 간 실험설계(Between-subject Design)로 구성하였다. 독립변인으로는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의 일치성(일치성 고/저), TV 프로그램 장르 (스포츠/예능)이며, 종속 변인으로는 브랜드 재인과 광고 태도(긍정적/부정적)를 측정하여 광고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 일치성 측정을 위한 제품 선정을 하는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조리도구와 자외선 차단제를 가상광고 상품으로 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브랜드 대신 가상의 브랜드를 설정하여 가상광고 그래픽을 제작하였다. 가상광고 그래픽을 편집된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 예능 프로그램에 각기 삽입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의 일치성이 미치는 광고효과와 광고효과에 대한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의 일치성과 TV 프로그램 장르의 상호작용효과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첫째, TV 프로그램과 가상광고 제품의 일치성이 떨어질수록 브랜드 재인이 효과적이었지만, 시청자로 하여금 산만스럽다는 부정적 광고태도를 느끼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V 프로그램과 가상광고 제품의 일치성이 높을수록 가상광고에 대해 시청자는 긍정적인 광고태도를 보였다. 셋째, TV 프로그램과 제품 간의 일치성과 TV 프로그램 장르의 상호작용효과에서 스포츠 중계 프로그램의 경우, TV 프로그램과 가상광고 제품의 일치성이 떨어질수록 가상광고가 TV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데 방해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불일치성과 브랜드 재인, 일치성과 긍정적 광고태도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를 설득지식모델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검증된 가설들을 바탕으로 가상광고를 집행하고자 하는 실무자에게 유용하고 효과적인 광고 집행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이 연구는 가상광고 허용 장르가 확대된 현 시점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 서울시 한국계중국인 밀집지역의 소비공간화 : 대림2동과 자양4동의 비교연구

        박미래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사회는 글로벌화로 인해 국적과 국경을 초월한 이주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국도 이주노동자, 유학생, 이민자 등의 유입이 가속화됨에 따른 급속한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경험하고 있다. 서울시 한국계중국인 점유공간은 독특한 문화경관을 형성한 대표적인 엔클레이브이다. 한국계중국인들은 한국에서 생활하기에 언어적으로 불편함이 없고 식습관을 비롯해 다양한 방면에서 문화적으로 장벽이 낮아 이주에 장점이 있다. 한국계중국인은 1980년대부터 이주하기 시작해 주거비용이 저렴한 서울의 구로구, 영등포구에 정착했다. 2018년 서울시를 기준으로 외국인 이주자 28만 명 중 12만 명인 43.7%가 한국계중국인이며, 가장 큰 인구규모를 가지고 있는 만큼 그들이 점유한 가리봉동, 대림동, 자양동 은 서울에서도 독특한 도시경관을 가지고 있기로 유명하다. 이 지역은 최근 영화, SNS, 인터넷 방송 등 미디어 매체에 노출되면서 중국식 음식문화를 특징으로 한 소비공간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한편, 초국적 이주증가와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이라는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이주자들은 엔클레이브를 형성하여 도시경관을 변화시키는데, 에스닉 엔클레이브는 도시에 다양성을 불어넣고 매력적인 소비공간을 제공한다. 이는 감성과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소비행동변화와 맞물리면서 도시에 활력을 주게 된다. 즉, 도시는 엔클레이브가 갖는 문화경관을 통해 소비공간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경제적 활력을 얻게 되므로 두 현상을 유기적으로 바라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대림2동은 한국계중국인들이 친인척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국내 전통시장에 침입하여 한국인 상인들과 상업공간에 공존하는 경제 인프라를 구성하고 있었다. 한족(漢族) 중국인들은 대림동의 정통중국문화를 소비하기 위해, 한국인들은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중국문화 경험을 위해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양4동은 성수동 공장지역의 탈 산업화과정에서 저렴한 주거지를 제공할 수 있었고, 이에 한국계중국인들이 저렴한 주거지와 편리한 교통, 일자리의 기회를 찾아 거주하기 시작했다. 자양4동은 주거, 상업, 문화 등의 부문에서 한국인과 한국문화에 비교적 쉽게 노출되어있는 지역인데, 특히 광진구 차원에서 자양4동을 ‘양꼬치 거리’로 명명하면서 양꼬치를 대표하는 상권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한국계중국인의 동별 인구수를 바탕으로 입지계수를 산출한 결과 한국계중국인들은 2000년대를 거쳐 2010년대에 서울의 남서부에 본격적으로 집중거주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에는 그 집중도가 더욱 뚜렷해졌음을 확인했다. 거주지 격리정도를 보기 위한 상이지수 분석결과 가리봉동 소재지인 구로구, 대림2동 소재지인 영등포구, 자양4동 소재지인 광진구는 각 58.66, 51.89, 47.58으로 서울시에서 한국계중국인의 격리정도가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림2동, 자양4동 사업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한 결과 대림2동은 지인의 추천 등 인적 네트워크가 사업장 입지선정 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자양4동은 인적 네트워크보다 유동인구가 많고 상권이 활발한 것이 상업시설의 주요 입지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자 설문 결과 두 지역의 방문자들은 미식탐방을 방문목적으로 하며, 지인의 추천에 의해 해당 지역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대림2동은 대체로 가족과 함께 방문하고 지인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는 응답자가 다수를 차지한 반면, 자양4동은 연인과 함께 방문하며 SNS등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방문자 설문조사 결과 두 지역은 공통적으로 치안과 문화차이를 완벽하게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양4동은 광진구 정책에 의해 중국 음식특화거리로 관광지화 되었지만 대림2동은 상업공간의 규모에 비해 관광지화 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다. 국내 거주자와 이주자 간 갈등을 극복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상업공간을 형성하고, 매력적인 관광지로 거듭나기 위한 물리적‧정서적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계중국인에 대한 이주민의 소외와 고립, 게토화 등에 대한 기존 연구와 달리 에스닉 엔클레이브를 소비공간으로 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탈 산업화시대에 소비의 개념과 행동이 달라졌으며 이에 맞는 새로운 소비공간으로서 에스닉 엔클레이브가 가지는 장점과 역할 등이 연구되어야 한다. 2016년 1분기 이후 개인정보 보호차원에서 등록외국인 동별자료를 제공하지 않아 후속 연구들이 2015년 수치를 기준으로 머물러 있었으나, 본 연구는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최신자료인 2018년 전수 자료를 분석을 했다. 한편, 연구를 위해 해당지역의 사업자와 방문객을 대상으로 직접 인터뷰를 진행했으나 연구를 위한 시간, 자원, 언어적 한계로 충분한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In the modern society, both cross-nationality and cross-border migr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globalization. South Korea is also experiencing a rapid transition to a multi-cultural society as the influx of migrant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accelerates. The occupied space of Korean-Chinese in Seoul is the representative enclave that has formed a unique cultural landscape. Korean-Chinese people have an advantage of migrating in because they are not verbally uncomfortable to live in Korea and have low cultural barrier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eating habits. The Korean-Chinese started moving in the 1980s and settled in Guro-gu and Yeongdeungpo-gu in Seoul, where housing costs were low. The area has recently come under the spotlight as a consumption space featuring Chinese-style food culture since it has recently been exposed to media such as movies, SNS and internet broadcasting. Since cities provide consumption space through ethnic enclave’s cultural landscape and further gain economic vitality, research on the two phenomena needs to be conducted systematically. Daelim 2-dong was forming an economic infrastructure in which the Korean-Chinese broke into traditional markets of Koreans based on a network of relatives and coexisted with Korean merchants in commercial spaces. The Korean-Chinese are visiting for the consumption of the authentic Chinese culture in Daelim 2-dong, while Koreans are curious about something new and have a Chinese culture experience, as the survey shows. In the residential, commercial and cultural sectors, Jayang 4-dong is a relatively easy-approaching area for Koreans and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it was designated as ‘Lamb Skewer Street’ by Gwangjin-gu and then it is building its fame of the representative dining district for lamb skewers. The study calculated the LQ and dissimilarity index of the dense Korean-Chinese areas. Guro-gu, Yeongdeungpo-gu and Gwangjin-gu are highly isolated in terms of Korean-Chinese distribution in Seoul, as shown in the report. According to interviews with merchants, the human network including friends’ recommend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locations for businesses in Daelim 2-dong. On the other hand, large floating population and the well-established commercial district are the main location of the commercial facilities in Jayang 4-dong. Surveys for visitors, in the meantime, show that visitors for both regions had a common goal of visiting for gourmet exploration and becoming interested in the area by the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s. People visits Daelim 2-dong with their families and collect information through their friends. On the other hand, people visit Jayang 4-dong with their lovers and collect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searches such as SNS. While Jayang 4-dong has become a famous tourist destination for Chinese food specialties under the Gwangjin-gu policy, Daelim 2-dong lacks policy support. For Daelin 2-dong, therefore, physical and emotional policy support is needed in order to form a healthy and safe commercial space and to be reborn as an attractive tourist destination. Unlike previous research on alienation, isolation and ghettoization of Korean-Chinese enclaves, this study aims to see the ethnic enclave as a consumption space for urban development. In the era of deindustrialization, the concept and behavior of consumption have changed, and the role of the ethnic enclave as a new consumption space in cities should be studied, which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ddiotn this study analyzed the latest data, the 2018 transfer data using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micro-data service. The study has direct interviews with operators and visitors in the target area for the study, but there is also a problem of representation since the study does not have sufficient data due to time, resources and language limitations for the study.

      • E-cove live 1집 "Eternal covenant"

        박미래 서울장신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음반의 기획 의도에서 핵심이 되는 에스겔서의 말씀은 E-cove ministry의 정체성 및 이번 음반의 신학적 의미와도 맞닿아 있다. 구약시대에 쓰인‘영원한 언약’이 무엇인지 이해할 때, 구약시대와 신약시대를 넘어 현재를 살아가는 나의 신앙과 예배 또한 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성경은 만유보다 크신 하나님의 절대 주권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을 통한 인간 구원의 위대한 주제를 기록하고 있으며, 여기서 ‘언약’은 이것을 실제 역사 속에서 이루시는 방편이자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언약은 하나님께서 인간을 사랑하사 특별히 세워 주신(레 26:9) 약속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은 언약을 통해 하나님과 하나로 결속되며 인격적인 관계가 된다. 이러한 언약의 핵심 내용 및 목적은 하나님이 사람들을 자기 백성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하나님이 사람과 언약을 세우신다는 것은 그것이 개인이거나 혹은 개인들의 공동체이거나 상관없이, 그분은 자비로운 목적으로 그들과 관계를 갖고 행동하신다는 것을 말하는 것과 같다. 우리는, 이스라엘과 맺으신 신의 언약에 의해 암시되고 설명된 관계가“나와 너”라는 관계뿐만 아니라 “너희 하나님과 나의 백성”이란 관계도 포함되어 있음을 잠시 주시해야 한다. 이렇게 표현된 구약의 말들은 궁극적으로 영적인 관계, 즉 상호 간의 기대와 의무를 지고 서로 속해 있는 관계를 가리키고 있다. 언약의 관계에서 사람은 받아들이는 자로, 하나님은 축복의 제공자로 나타난다. 그러나 사람은 역시 여호와이신 하나님의 요구에 반응을 보이도록 요청받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