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팩토리 구축이 기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다솜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Korea's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played a supporting role in boosting the Korean economy unlike other countries in the "V" shape, which rapidly rebounded from -25.6%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when COVID-19 broke out. In this situation, the introduction of smart factories and smart manufacturing technologies that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are drawing attention. n a rapidly changing ecosystem environment, the advancement of smart production processes is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profitability and market share(Jeong Hyeran, 2020). As a result, developed countr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re experiencing a "Reshoring" phenomenon in which production bases are returned from other countries to their home countries. Therefore, in this study, SPSS 26.0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impact of smart factory introduction factors on smart factory construction, and secondly, smart factory construction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EO Leadership, Government Assistance, Partner Network, and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were derived as factors for introducing objective smart factorie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among the four factors of smart factory introduction, the CEO's will (3=0.423, p<0.05) and organizational participation (B=0.243, p<0.05)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 of trading companies (3=0.084) and Government Assistance (3=0.079) had a somewhat insufficient effect. Accordingly, in the case of large corporations, the role of will or capital power in the company itself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government, indicating that the factors of the trading company's network or government support were relatively less influential. In addition, the level of system facility automation (5 level) accounted for 44.2% of the smart factory level of companies in the Gwangyang Bay area, which showed higher factors of management's will to improve productivity by utilizing automation systems internally.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factory based on a significant introduction factor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at the level of ß=0.446, p<0.000. Fourth.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rough empir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factors of companies actually using smart factories in the Gwangyang Bay area and the level of smart factory construction. In addition, through an analysis of whether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factory has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stakeholders were able to grasp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factory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ecision-based data for actual operation such as investment activities, introduction review, and proposal evaluation by stakeholders of large companies and suppliers in Gwangyang Bay.

      • 인구기반 코호트에서 노년기 악몽과 심혈관계질환 관계연구

        박다솜 성신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ightmar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CVD) based in a large population-based sample. This study utilized a subsample from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Participants (n=2,938; mean age 63.7 ± 6.7; females 49.3%) completed the Disturbing Dream and Nightmare Severity Index (DDNSI) and self-reported current treatment in addition to self-report questionnaires about depression, sleep quality, and insomnia symptoms. Results showed that 399 people (13.6%) reported experiencing nightmares more than once a year, and 79 people (2.7%) were classified as having nightmare disorder based on the DDNSI score(>10) in the elderly population. Among the sample,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35%, hyperlipidemia was 20.2%, and heart disease was 4.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ightmare and CVD, nightmare disorder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VD. Result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nightmare disorder group was at 1.85 times higher risk for hypertension(OR = 1.85, 95% CI 1.14-3.00, p<.05) and at 1.77 times higher risk for hyperlipidemia(OR = 1.77, 95% CI 1.08-2.89, p<.05)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a serious nightmare with frequent, high intensity, and awakening in the elderly population may be associated with CVD. This study is meaningful as the first study to direct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ightmare and cardiovascular disease. Additionally, it suggests for further studies that it is important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nightmares and physical illnesses, especially in the study of nightmares in the elderly population. 본 연구는 대규모 인구기반 코호트 연구에서 55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노년기 악몽과 심혈관계질환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2001년부터 안산 지역을 기반으로 진행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의 8차 추적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총 2,938명의 노년 인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악몽 탐색은 악몽의 빈도, 심각도, 각성도, 강도를 반영한 악몽심각도 척도(Disturbing Dream and Nightmare Severity Index; DDNSI)를 통해 측정되었다. DDNSI 절단점에 따라, 10점 이상의 집단은 ‘악몽장애군’으로 정의하였고, 나머지는 ‘악몽정상군’으로 분류하였다. 심혈관계질환은 다양하게 정의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병원의 진단 혹은 치료받은 질환이력을 사용하여 심혈관계질환을 정의하였다. 심혈관계질환 중 유병률이 높은 고혈압, 고지혈증, 그리고 심근경색/울혈성 심부전/관상동맥질환/부정맥의 질환이력을 모두 포함한 심장질환을 본 연구의 심혈관계질환으로 분류하여, 각 3가지 질환과 악몽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악몽과 심혈관계질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공변인 통제를 위해 음주력, 흡연 여부, 운동 여부를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불면증 증상을 포함한 수면 문제, 우울 및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요인도 함께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악몽장애군의 비율은 2.7%(n=7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심혈관계질환 중 고혈압의 유병률은 35%(n=1,028)였으며, 고지혈증은 20.2%(n=594), 심장질환은 4.6%(n=135)로 나타났다. 또한, 악몽장애와 심혈관계질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악몽장애군은 악몽정상군에 비해 공변인 보정 후에도, 고혈압이 있을 위험이 1.85배(OR = 1.85, 95% CI 1.14-3.00, p<0.05), 고지혈증이 있을 위험은 1.77배(OR = 1.77, 95% CI 1.08-2.89, p<0.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5세 이상의 일반인구를 대상으로 진행된 본 연구결과에서는 각성을 동반한 높은 강도의 잦은 악몽이 심혈관계질환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추후 악몽 연구에 있어 사회적, 심리적 위험요인뿐만 아니라, 신체 질환 및 생리적 위험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저탄수화물 고단백의 즉석식 푸드바를 이용한 다이어트 프로그램이 과체중 성인 여성의 비만도와 혈청 지표에 미치는 영향

        박다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과체중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대두단백과 견과류등으로 구성된 저탄수화물 고단백 즉석식 푸드바(1개 35g당 154kcal, 탄수화물 에너지 비율: 38.7%, 단백질 에너지 비율: 28.6%)를 저녁으로 제공하는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체중, 체지방률, BMI와 같은 비만도 관련 지표와 혈청 지질 지표 및 공복 혈당,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톨릭대학교 재학생 및 부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20~50대 과체중 성인여성(BMI 23이상 혹은 체지방율 28% 이상) 64명을 대상으로 6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다이어트프로그램을 마친 40명을 대상으로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신체계측, 혈액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식습관, 생활습관 등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식사일기를 통해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 9.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녁식사에 저탄수화물 고단백 푸드바(에너지바)를 다른 1교환의 단백질식품과 섬유소가 많은 채소와 함께 섭취하도록 하여 6주간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다이어트 기간 동안 에너지 섭취량이 608kcal-679kcal 정도 감소하여 1232.9Kcal 의 LCD를 유지할 수 있었으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이 대폭 감소하였다. 따라서 6주간의 다이어트 프로그램 후 체중, BMI, 체지방량, 체지방률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또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골격근량, 총체수분량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소폭은 체지방의 감소폭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혈청 지질 지표 중에서는 total cholesterol과 LDL-cholesterol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다이어트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제공되었던 저탄수화물 고단백 푸드바(에너지바)를 5주이상 잘 섭취한 고순응도군의 경우 다이어트 프로그램 후 체중감량이 1.8kg으로 5주이하 섭취한 군에 비해 높아 연속적이고 규칙적인 에너지바의 섭취가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한국식 식사를 하루 두 끼 유지하면서도 저탄수화물 고단백 즉석식 푸드바를 저녁식사에 섭취함으로써 비만도 관련 지표와 혈청 지질 지표, 혈압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가 신체계측 및 생화학적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메커니즘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 program providing a low carbohydrate high protein ready-to-eat food bars (154kcal, carbohydrate energy %: 38.7, protein energy %: 28.6 for each 35g) with one exchange of protein food and fibrous vegetable for dinner on the indicators such as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BMI, serum lipid profile, blood glucose, and blood pressure in overweight women. Sixty-four women aged 20~50, recruited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Bucheon city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6 weeks and 40 participants completed the whole diet program. Dietary and anthropometric assessment was done every 3 weeks and biochemical indicators were measured every 6 weeks.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AS 9.4. The subject were taking significantly lower energ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intakes during the 6 weeks of diet program by introducing a low carbohydrate high protein food bar for dinner. Body weight, BMI, body fat mass, body fat percent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6weeks of diet program.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ed. Skeletal muscle mass, total body water was lowered significantly but the degree of decrease was much lower than the decrease in body fat mass.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also significantly lowered. The results showed that obesity related indicators, serum lipid profiles and blood pressure were reduced by providing a low carbohydrate high protein ready-to-eat food bar for dinner in a traditional Korean meal pattern. Further study is needed to research on the mechanism how the changes of nutrient intake affected to the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data.

      •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박다솜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 has undergone a lot of cultural changes such as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the Korean lifestyle due to the influx of Western culture into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the importance of accepting diverse cultures while maintaining the uniqueness of Korea has been raised. Just as South Korea has developed in a balanced way from its ancient to modern times without losing its original identity in the international influence, it is important to develop it acceptably based on the uniqueness of Korea in the context of more influx of cultures than ever before. The first thing to do is to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hen correctly recognizing Korean culture, other cultures can be accepted as subjects. Therefore, we need to educate learners to understand and develop traditional culture. In the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of 2009, the educational goal of the art subject is to understand the object with aesthetic sensibility and intuition, to feel the beauty of the visual art form, to enjoy the aesthetic attitude, expressive power, imagination,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enjoy the art culture . The revised art subject section of 2015 extends this view from perfection to the ability to enjoy art culture in lif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various kinds of criticism methods are suggested which can analyze and interpret the works from various viewpoints and utilize them in judging the value of works. However, in the field of appreciation of art culture and criticism of textbooks, the appreciation of painting was the main focus, and textbooks dealing with the architectural area could not be identifie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rea of ​​appreciation that is confined to pain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eldman 's art appreciation class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When Feldman 's art criticism is applied, he or she can escape from traditional lecture - based lectures, and the teacher' s point of view can be avoided. The learner can analyze the object, gather information, synthesize information, and develop the ability to judge the value of Korean architecture based on the synthesized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ppreciation class of architecture that applied Feldman 's art criticism stage affects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literature review and precedent research on Joseon architecture, Korean traditional beauty, Feldman 's art criticism stage, and 2009 revised high school art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concrete research methods were set up according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classes in K high school in Yangcheon - gu, Seoul. The selected two classes are in the same course, 24 experimental group and 24 control group, total 48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6th clas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appreciation class of Korean architecture applied Feldman's art criticism st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he experimental group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ied to the art criticism stage of Feldman allowed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and beauty of Joseon architecture and to judge and evaluate the value of Joseon architecture. Furthermore, it allowed us to develop an attitude to respect and preserve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will be done on the methods of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ulture to enhanc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한국은 20세기 중반 서양의 문화가 유입되면서 한국 고유의 생활양식이 점차 없어지는 등 문화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최준식, 2015). 이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의 독자성은 지키면서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이는 것의 중요성이 제기되어왔다. 한국이 고대부터 현대까지 국제적인 영향 속에서도 본연의 주체성을 잃지 않고 이를 바탕으로 균형있게 발전해왔듯이, 이전보다 더 많은 문화가 유입되는 상황 속에서 한국의 독자성을 바탕으로 분별있게 받아들여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한국의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는 것이다. 한국의 문화를 올바르게 인식할 때 다른 문화를 주체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을 학습자에게 전달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2009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교과의 교육목표는 미적 감수성과 직관으로 대상을 이해하고 시각적 조형물이 가진 아름다움을 느끼며 누릴 수 있는 심미적 태도와 표현력,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 미술 문화를 향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2015 개정 미술과 교과에서는 이를 향수에서 더 나아가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까지 관점을 확장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감상영역에서는 작품을 여러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며, 작품의 가치판단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비평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의 미술문화 감상과 비평영역에서는 회화의 감상이 주를 이루었으며, 건축영역을 다루는 교과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회화에 국한되어 있는 감상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평방법 중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할 경우, 교사의 강의 위주의 전통적 감상수업에서 벗어나게 되며, 교사의 관점이 학습자에게 주입되는 현상에서 탈피할 수 있다. 학습자는 주체적으로 대상을 분석하고, 정보를 수집하고 종합하며, 종합된 것을 바탕으로 조선건축의 가치를 판단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한국 전통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선건축과 한국 전통미,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 2009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등에 관한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소재한 K고등학교 2학년 두개의 학급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두 학급은 동일한 교육과정 중에 있으며, 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4명으로 총 48명의 학생들이 각각 6차시의 수업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는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하여 조선건축 감상수업을 설계하였다. 1-2차시에는 조선시대의 배경과 조선건축구조 등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선건축을 살펴본다. 3-4차시에는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에 따라 비평·감상 활동지 1을 작성하며 조선의 별서원림인 ‘소쇄원’을 감상한다. 5-6차시에는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에 따라 비평·감상 활동지 2를 작성하며 조선의 서원인 ‘병산서원’을 감상하고, 조선건축 속 한국 전통미를 정리하며 마무리한다. 통제집단은 전통적 강의식 조선건축 감상수업으로 진행한다. 1-2차시에는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의 배경과 조선건축구조 등의 기본적인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선건축을 살펴본다. 3-6차시에는 전통적인 강의식 감상수업으로 ‘소쇄원’과 ‘병산서원’을 감상한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한국 전통미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동일하게 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지의 문항은 류지연(2002)의 한국 미의식 이해도 진단과 이현숙(2011)의 전통문화의 인식에 대한 질문지의 문항을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며, 검사지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검사결과의 통계처리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한국 전통미 인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전통적 강의식 조선건축 감상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보다 한국 전통미 인식도에서 높은 변화를 보였다. 교사가 주도적으로 감상수업을 이끌며 학생에게 주입하는 경향이 강한 전통적 감상수업과는 달리, 스스로 관찰·분석·해석·평가하면서 조선건축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다. 또한 비평·감상활동지를 평가해보았을 때, 학습자가 분석한 것을 종합하여 건축물의 가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조선건축에 대한 주체적인 인식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설명이 주가 되는 강의식 감상수업보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의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전통미 인식도의 하위영역 중 한국 전통미 이해 영역에서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감상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향상되었다.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를 거치면서 학생들은 주체적인 감상과 비평을 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스스로 분석하고 해석하여 감상하는 것에 흥미를 느끼며 강의식의 감상수업보다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강의식 감상수업과 달리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흥미와 집중력을 높이면서 이에 따라 학습자의 이해도의 향상에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이 한국 전통미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한국 전통미 인식의 향상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펠드먼의 미술비평단계를 적용한 조선건축 감상수업은 학생들이 조선건축의 특징과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였고, 조선건축에 대한 가치를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나아가, 전통문화의 가치를 존중하고 보존하려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하였다. 앞으로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전통문화 감상수업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특급호텔 레스토랑 프로모션 전략이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다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Hotel industry is an area that is very challenging and requires high capital strength; it is evaluated as the enterprise that thoroughly guarantees profitability. As the corporate management strategies began to be introduced into the restaurants of the hotel industry in the late 20th century, restaurants started to break away from the simple task that just provided meals only for the hotel guests and to seek diversity of customers, which attracted as restaurant guests the hotel guests primarily, as well as customers who did not stay at hotels. In this environment, it was important to create new customers in the position of luxury hotel restaurants, but increasing profits through revisit and word-of-mouth intention by maintaining and managing the existing customer relations became one of the important task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be of help to activating hotel restaurant business, by investigating how customers who use luxury hotel restaurants recognize promotion strategies used in the hotel restaurants to manage regular customers and create new customers and what is the most effective type among promotion means for making customers revisit the hotel restaurant. For this, this study looked int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argeting 300 customers who used luxury hotel restaura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and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0.0.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drew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the promotion type factors, 'customer reward', 'DM' and 'personal selling'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F=24.980, p=.000); 'coupon' and 'PR' a negative(-) influence; 'added value' and 'Internet' were not significant. Durbin-Watson was 1.619, which was very close to the fiducial value 2, but not close 0 or 4, so it is considere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residuals. That is to say, this study could make theoretical base of the relevant area by investigating if hotel promotion type factors 'customer reward', 'DM' and 'personal selling' were in the significant effect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Particularly, this study enabled to access the concept and field of promotion strategy, based on the concept of hotel promotion strategy and the advanced study through it. Second, if customers' satisfaction of hotel promotion types gets higher, they have revisit intention: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F=341.819 p=.000). Durbin-Watson was 1.917, which was very close to fiducial value 2 but not close to 0 or 4, so it is considere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residuals. That is to say, if consumer's satisfaction of hotel promotion type gets higher, they have revisit intention. This means the higher consumers' satisfaction the higher revisit intention. Thus, this study suggested hotels selling hotel promotion types need marketing strategies that understand potential complaint factors and seek a positive change to satisfy consumers. This study has some theoretical and working-level limitations. The following are the direction to study in the future: First, it is a problem of the sample representativeness: when a study i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the hotel restaurant promotion strategi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study should be conducted with many targets, but this study selected just the luxury hotels in Seoul and Gyeonggi, much less some of them,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study. Second, it is a problem of the research method: when collecting data, this study biased towards the survey because of many circumstances, so respondents had to restrictively respond within given range of the survey. It is expected a further study could be carried out more deeply and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호텔산업은 매우 도전적이며, 높은 자본력을 요구하는 산업분야로서 철저하게 수익성을 보장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호텔산업은 레스토랑은 20세기 후반에 접어들어 기업의 경영전략이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단순히 투숙객만을 대상으로 식사를 제공하던 단순한 업무에서 탈피하여 투숙객을 기본적으로 투숙하지 않는 고객까지 고객으로 유치한다는 고객의 다양화를 추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특급호텔 레스토랑은 신규고객을 창출도 중요하지만, 기존고객 관계 유지와 관리로 재방문과 구전의도를 통한 수익을 증대 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중 하나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급 호텔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고정 고객관리와 신규 고객창출을 위해 호텔 레스토랑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모션 전략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촉진수단 중 고객이 호텔레스토랑을 재방문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유형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호텔의 레스토랑의 영업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지역의 특급 호텔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 남∙여 300명을 대상으로 이들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0.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분석, 희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첫째, 프로모션유형 요인 중 ‘고객보상’, ‘DM’, ‘인적판매’ 요인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24.980, p=.000), ‘쿠폰’, ‘PR' 요인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가가치‘, ’인터넷‘ 요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Durbin-Watson는 1.619로 기준값인 2에 매우 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이 판단된다. 즉 호텔 프로모션유형 요인 ‘고객보상’, ‘DM’, ‘인적판매’이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 조명을 통한 관련 분야의 이론적 근간을 마련할 수 있었다. 특히 호텔 프로모션전략에 대한 개념과 이를 통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프로모션전략의 개념과 영역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둘째, 소비자들은 호텔 프로모션유형에 만족도가 높아지면, 재방문의도가 생기게 된다.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341.819 p=.000). Durbin-Watson는 1.917로 기준 값인 2에 매우 근접하고 0 또는 4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 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이 판단되며 즉, 소비자들은 호텔 프로모션유형에 만족도가 높아지면, 재방문의도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소비자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하려는 경향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호텔 프로모션유형을 판매하는 호텔들은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도록 잠재적 불만요인을 파악 하여 긍정적로의 변환 방향을 모색한 마케팅 전략의 실행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이론적 실무적 측면에서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는 바, 향후의 연구방향을 제시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의 대표성에 대한 문제로 호텔레스토랑의 프로모션 전략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지역에 소재 하고 있는 특급의 호텔 중에서도 일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함으로 연구의 한계를 갖는다. 둘째, 연구 방법에 대한 한계로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여건상 설문조사에 치우쳐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응답자들이 단지 설문조사의 주어진 범위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응답해야만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추후에는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기를 바람이다.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앎과 행위의 윤리적 역학관계 연구

        박다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앎과 행위의 역학관계 속에서 이청준 소설 고유의 윤리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앎’은 물론 이성적 인식과 관련되는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이성을 통해 진리를 포착할 수 있다고 오랜 시간 믿어왔다. 누군가는 자신이 발견한 것이 진리라고 확신했고, 또 다른 누군가는 인간은 결코 진리에 도달할 수 없다고도 말했다. 그런데 만일 진리라는 것이 그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떨까? 요컨대 인간 이성 최후의 지식이 총체적 진리의 부재에 대한 인식이라고 가정해보는 것이다. 진리가 없는 세계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으로 유효한 도덕적 기준 역시 존재할 수 없다. 옳고 그름을 단언할 수 없는 세계, 윤리적 참조점의 전적인 부재로 특징지어지는 세계 속에서 우리는 어떻게 윤리적 주체가 될 수 있을 것인가. 본고는 이청준의 소설이 바로 이것을 묻고, 또 이에 답하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보았다. 한 작가의 소설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현실을 인식하는 방식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주체가 소유한 앎에 따라서 그에게 가능한 행동의 반경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인간은 누구나 그가 이해한 만큼의 편협한 현실 안에서만 살아간다. 말하자면 앎은 행위의 범주를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청준 소설 속 인물들의 행위를 올바르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작가의 앎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고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이청준의 앎을 먼저 살펴본 후에, 소설 속 인물들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청준 소설의 곳곳에서 진리의 부재를 가늠하고 있는 작가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는 전면적인 진실이란 만날 수가 없다고 믿으며, 이상세계의 실존을 부정하고, 자신이 설정한 진리의 담지자를 의심한다. 이청준이 인식한 현실에는 진리가 없다. 이 세계에 보편적 진리는 없다는 것, 이것이 그의 앎이다. 진리가 없는 세계에서 주체의 행위는 불확실성의 한가운데에 놓이게 된다. 보편적 진리가 없기에, 행위의 의미와 가치를 규정할 어떠한 윤리적 기준도 없다. 주체가 행위하는 것이 그 행위를 통해 어떤 가치를 추구하는 일이라 할 때, 윤리적 기준이 없는 사회에서 행위는 근원적으로 불가능하다. 주체가 추구하는 가치는 불확실성의 우주를 부유하는 많고 많은 의미 중 하나일 뿐이기 때문이다. 어떤 가치도 객관적으로 타당한 것일 수 없으며, 그러므로 보편적인 기준이 될 수도 없다. 이청준 소설 속에서 이 사실을 아는 인물들은 쉽게 행동하지 못한다. 어떤 행위든 결국에는 무의미에 도달하고 말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선택을 유보하고 내내 망설이며 끝까지 의심하는 이청준 소설 특유의 인물들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에 이 사실을 모르는 인물들은 거침없이 행동한다. 자신의 행위가 의미 있는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당신들의 천국』의 조백헌은 이런 유형의 인물들을 대표한다. 그런데 이청준의 소설에는 행위의 근원적 불가능성을 알면서도 기어코 행동하는 인물들이 있다. 불가능성을 알기 때문에 행위할 수 없고, 그것을 모르기 때문에 행위할 수 있는 것이 논리적 타당성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면, 불가능성을 알면서도 행위하는 것은 일종의 비논리적인 선택이다. 장인소설의 주인공들, 남도사람 연작의 오라비, 『당신들의 천국』의 문둥이들은 자신의 행위가 곧 무의미한 것이 되리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행위한다. 이해(利害)와 효율을 따지지 않고, 이성적 판단의 범주를 단호히 벗어나는 그들의 선택에는 윤리적 울림이 깃들어 있다. 이청준의 소설사는 자기 자신의 ‘앎’과 싸워나간 기록이다. 알기 위한 싸움이 아니고, 이미 알고 있는 사실과의 싸움이다. 결국에는 패배하리라는 것, 어떤 의미도 찾을 수 없으리라는 것을 깨달은 이후에,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탐구한 것이 이청준의 소설이다. 지난한 탐구의 여정에서 작가는 실패하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것이 옳기 때문에 행위하기로 선택하는 비극적 윤리의 주체들을 발견했던 것이다.

      •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박다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그림책 읽기에 대한 교사의 인식,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비교·분석하였다.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교사의 인식 및 읽기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의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유아교사 286명, 중국의 장쑤성 남경 지역의 유아교사 234명 총 5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양적 자료는 SPSS/Window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x²검정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과 중국 유아교육기관의 그림책 읽기 현황과 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첫째, 교실 내 보유하고 있는 그림책은 중국이 한국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림책의 교체는 한국이 중국보다 더 자주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를 위한 그림책 선택 기준에 대해 한국과 중국의 교사 모두 ‘유아의 발달수준’을 가장 중시하고 있었으며, ‘생활주제 및 교육내용과의 적합성’은 한국 교사들이 중국 교사들에 비해 더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유아 교사는 그림책을 상황에 따라 ‘개별적으로’ 혹은 ‘대·소집단’의 구성으로 유동적으로 읽어주고 있었으며, ‘대·소집단 읽기’는 한국에서, ‘개별적 읽기’는 중국에서 비교적 자주 시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국 교사 모두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어주고 있었으며, 국가 변인 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그림책을 읽어줄 때 한국과 중국 교사 모두 ‘그림책만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양국 모두 자주 읽어주는 그림책 장르는 ‘생활동화’로 나타났다. 일곱째, 그림책 읽기 후 실시하는 확장활동으로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 모두 ‘이야기나누기’를 꼽았으며, ‘언어활동’은 중국 교사들이 한국 교사들에 비해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한국과 중국 유아교사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인식에 대한 결과 첫째, 그림책 읽기의 중요성과 이를 활용한 확장활동에 대하여 양국 교사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국가 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를 위한 그림책 읽기의 목적에 대해 한국의 유아교사들은 ‘상상력과 창의력 발달을 위해’, ‘책 읽기에 대한 흥미 증진을 위해’에 대한 응답이 많았던 반면, 중국의 유아교사들은 ‘언어 발달 촉진을 위해’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 읽기 지도를 위해 양국 교사들은 ‘도서정보수집’을 가장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국이 한국에 비해 ‘그림책 관련 연수 참여’에 대한 응답이 높았다. 넷째, ‘개별적 읽기’ 시 어려운 점으로 한국 교사들은 ‘다양한 그림책 구비의 어려움’과 ‘그림책 읽을 시간의 부족’하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중국 교사들은 ‘유아의 흥미부족’과 ‘개별적 상호작용 방법에 대한 교사의 이해 부족’ 등에 응답이 높았다. 다섯째, 유아와 ‘대소집단’으로 그림책을 읽어줄 때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사 모두 ‘유아 간 수준차이’와 ‘유아의 흥미부족’에 대한 응답이 순서대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중국 유아교사가 상호작용의 총점과 4가지 하위 유형인 ‘즉각적인 상호작용’, ‘비즉각적인 상호작용’, ‘생활지도성 상호작용’, ‘확장적 상호작용’ 모두에서 중국 교사가 한국 교사에 비해 풍부하게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현황과 이를 둘러싼 교사의 인식 및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을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양국의 책 읽기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과 장단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 유아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책 읽기 프로그램에 대한 보완점을 제시함으로써 유아들의 풍부한 문학적 경험 및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는 책읽기 프로그램 및 교사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and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preschool teachers’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their perceptions on picture-book reading, and interactions for picture-books read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eachers’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in preschools? [Research question 2] Is ther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eachers’ percep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Research question 3] Is ther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teachers’ picture-book reading interactions? The researcher surveyed 520 preschool teachers in Korean and China. The Korean research objects are 286 pre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city. The China research objects are 234 preschool teachers in Nanjing city. The researcher used the SPSS Win 21.0 software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survey data and Chi square and t-tes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practice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in preschools. Chinese teacher had larger amount of picture-books in their classroom than Korean teachers, but Korean teachers changed their books in the classroom more frequently than Chinese teachers. Bot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considered children’s development level the most important part when they chose the picture-books for their students. And many of Korea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circulate the picture-books in their classroom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mes of the curriculum. The teachers in both countries read picture-books for an individual or a large or small group according to situations. Reading picture-books for a large group or small group is relatively common in Korea, but that for an individual is relatively common in China. The teachers in both countries chose the story share as an extensive activity after reading picture books, and teachers in China had more language activity than teachers in Korea. Second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percep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o their students. First of all, both teachers in Korea and China considered picture-book reading as important, and there is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ational variables. But the purpose reading picture-books to the students were different. Many of Korea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read picture book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However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read picture-books to children in order to develop their linguistic abilities. The teachers in both countries interested in collecting book information for education of reading picture books. Meanwhile, the most teachers in China were interested in participating seminars about books than those in Korea. As barriers to reading activity with picture-book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Korean teachers said that it was hard to have various types of picture-books in the classroom’s and they didn’t have enough time to read picture-books to their students. Regardless of the size of group, Chines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thought they lacked understanding of how to interact with children when they were reading.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Korean and Chinese teachers in their interactions of picture-book reading. The study showed that teachers in China were more abundantly interacting with children in terms of both the total score of interaction and four kinds of sub-types than the teachers in Korea.

      •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특성

        박다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균물질을 생산하는 김치 유래 유산균의 분리와 항균물질의 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산균이 생성하는 항균물질을 연구하기 위해 김치로부터 유산균을 분리하였다. 항균활성을 확인하여 가장 항균력이 높은 유산균 FC10을 선별하였고, 동정 결과 Lb. plantarum과 99% 유사성을 보여 Lb. plantarum FC10으로 명명하였다. 또한 산막효모가 형성된 김치에서 산막효모를 직접 분리하였고, 유산균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의 분리한 산막효모에 대한 증식 및 생존억제 반응과 13종류의 감수성 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여 천연식품보존제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리 유산균 Lb. plantarum FC10은 용혈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Lb. plantarum FC10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은 pH, 열처리에서 안정함을 보였고, 단백질 분해효소에 분해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항균물질은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와 같은 단백성물질이라기 보다는 비단백질성 항균물질이라고 추론하였다. 또한 크기는 100∼1,800 Da, 최대 흡수 파장은 245 nm으로 나타났다. Lb. plantarum FC10의 항균력은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효소공학실에 보유중인 김치유산균(200종) 및 새로 분리한 김치유산균(7종) 207종 중 상위 10개 내로 포함되었다. 항균물질의 저해 범위를 확인한 결과 Gram 양성균주인 B. subtilis, B. cereus, L. monocytogenes, S. aureus에서 활성이 나타났고, Gram 음성균주인, E. aerogenes, E. coli, P. aeruginosa, S. typhimurium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효모 Sacch. cerevisiae, C. utilis, D. hansenii에서도 활성이 나타났다. MIC test에 대한 결과 B. cereus, B. subtilis, E. coli, S. cholerae, S. flexneri, P. aeruginosa, S. typhimurium에서 MIC가 0.125 mg/㎖로 나타났고, L. monocytogenes, S. aureus, E. aerogenes 에서는 2배 높은 농도인 0.25 mg/㎖의 농도가 MIC로 나타났다. 효모에서는 Sacch. cerevisiae, C. utilis, D. hansenii 1 mg/㎖의 MIC가 나타났다. D. hansenii의 MIC와 MBC를 확인한 결과 MIC는 0.1 g/㎖, MBC는 0.15 g/㎖로 나타났고, 증식 및 생존억제 시험한 결과 0.15 mg/㎖로 항균물질을 첨가한 경우 D. hansenii는 60시간 동안 생존을 억제하였고, 0.1 mg/㎖의 경우는 D. hansenii의 증식을 12시간까지 억제를 보였다. 항균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정제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Lb. plantarum FC10을 CCM배지에서 30℃에서 72시간 배양하고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회수하였고, 동결 건조하였다. 이 후 동결 건조한 상등액을 에탄올에서 추출한 후 농축하여 autoclave로 121℃에서 15분 동안 열처리하였다. 열처리 후 Gel filtration하여 크기가 다른 물질을 분리시켰고, FPLC와 HPLC를 수행하여 정제를 진행하였다. 항균물질의 정제과정을 거치며 동일농도에서 항균활성의 크기가 커지고, 항균물질의 역가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여 정제가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정제도가 감수성 균주마다 다르게 분석되어 Lb. plantarum FC10이 생산하는 항균물질이 단일물질이 아니라 최소 두 가지 이상일 것이라 추정하였다. In this stud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for the study of non-protein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confirmed and selected. Selected lactic acid bacteria FC10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as a result of 16S rRNA identification and was named Lb. plantarum FC10. In addition, the film yeast was directly isolated from the kimchi, and the 18S rRNA result showed 99% similarity with Debaryomyces hasenii.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against the yeast was investigated. Separated lactobacillus Lb. plantarum FC10 did not show hemolysis, and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Lb. plantarum FC10 was stable at pH and heat treatment, and was not decomposed by other enzymes such as Proteinase K, ALCALASE 0,6 L, Pancreati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antimicrobial substance was non-protein antimicrobial compounds. Also, It is smaller in size 100∼1,800 Da. UV scan result, the wavelength with the highest O.D. of the antimicrobial compounds was 245 nm.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Lb. plantarum FC10 was included in the top 10 of the 200 lactic acid bacteria in laboratory. As a result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B. subtilis, B. cereus, L. monocytogenes, S. aureus, E. aerogenes, E. coli, P. aeruginosa, S. typhimurium, Sacch. cerevisiae, C. utilis and D. hansenii showed inhibition spectrum. The results of MIC test showed that bacterial growth was inhibited at the concentration of 0.125 mg/㎕ in B. cereus, B. subtilis, E. coli, S. cholerae, S. flexneri, P. aeruginosa, S. typhimurium and inhibited at the concentration of 0.25 mg/㎕ in L. monocytogenes, S. aureus, E. aerogenes. In yeast, Sacch. cerevisiae, C. utilis, and D. hansenii was inhibited at the concentration of 1 mg/㎕. MIC and MBC about D. hansenii were found to be 0.1 g/㎖ and 0.15 g/㎖. When antimicrobial substances were added to 0.15 mg/ml, D. Hansenii caused no growth, and in 0.1 mg/ml, D. hansenii caused survival inhibition. Purification was performed to isolate the antimicrobial compounds. Lb. plantarum FC10 was cultured in CCM medium at 30℃ for 72 hours, and the supernatant was recovered and freeze-dried. After that, the supernatant which was freeze-dried was extracted from ethanol, heat-treated at 121℃ for 15 min with an autoclave and concentrated. After the heat treatment, gel filtration was performed to separate the antimicrobial compounds having different sizes, and purification was carried out by FPLC and HPLC. As the purification step progres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creased at the same concentration so it was judged purification. However, purification fold was different for each sensitive strains. It is estimated that the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Lb. plantarum FC10 is not a single substance but at least two.

      • 혈액암 환자가 지각한 자율성 지지, 불확실성, 우울이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박다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 experienced autonomy support, uncertainty, depression, and self-care behavior and how autonomy support, uncertainty, and depression affected self-care behavior.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were 147 patients (Mean age = 59.87, male = 55.8%) with hematologic cancer who were undergoing therapeutic management or follow-up at C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or self-report surveys using the Health Care Climate Questionnaire, Uncertainty Scal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and Self-care Behavior Scale between October 28, 2021 and February 28, 2022. The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s of the main concepts were 6.29±0.78 for autonomy support, 57.28±12.99 for uncertainty, 5.82±5.04 for depression, and 64.33±9.06 for self-care behavior. 2. Self-care behavior differed by age (F=6.394, p=.002), marital status (t=3.717, p<.001), type of primary caregiver (t=2.549, p=.012), education level (F=12.651, p<.001), monthly household income (t=-2.739, p=.007), and hospitalization status (t=-2.948, p=.004). 3. Self-care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utonomy support (r=.31, p<.001) and depression (r=-.27, p=.001).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s between uncertainty and autonomy support (r=-.21, p=.012) and between uncertainty and depression (r=.37, p<.001). 4. The initial model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autonomy suppor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care behavior (ß=.220, p=.004), after adjusting for the socio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final model, uncertainty (ß=-.197, p=.036)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self-care behavior after taking into account the covariates.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uncertainty was crucial in predicting self-care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 Furthermore, uncertainty was intimately related to perceived autonomy support and dep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careful assessment of the uncertainty that cancer patients experience through the whole therapeutic process. It is also essential to provide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help decrease uncertainty and strengthen autonomy for better self-care behavior for patients with hematologic cancer. Keywords : autonomy support, depression, self-behavior, uncertainty

      •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박다솜 고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병원내 감염관리를 목적으로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연구들을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는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그룹이 제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PICOS(Participants, Interventions, Comparison, Outcomes, Study design)을 정한 후 국내·외 검색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선정된 문헌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Cochrane’s Risk of bias’ 도구를 사용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이 되는 21편의 문헌을 프로그램의 효과영역, 학습자 유형, 연구설계, 교육내용 초점, 교육방법 유형 등을 주요 범주형 변수로 간주하여 하위그룹분석(sub-group analysis)을 위해 코딩하였다. 자료의 변환은 Cochrane Review Manager(RevMan) software 5.3을 이용하여 효과크기 산출, 효과크기의 해석, 동질성 검증, 분석모형의 선택 및 하위그룹 분석, 출판 비뚤림 검증, 통계적 이상치 처리를 하였다. 학습자의 감염관리 태도를 효과영역으로 본 9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감염관리 태도에 0.83점(95% CI: 0.15, 1.51)의 효과가 있었다. 학습자 유형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학습자가 간호학생인 경우에 0.33점(95% CI: 0.09, 0.57)의 효과가 있었으며, 연구설계에 따라서는 유사실험설계일 경우에 0.53점(95% CI: 0.13, 0.93)으로 효과가 있었다. 교육내용 초점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감염의 종류에 초점을 둔 경우는 1.21점(95% CI: 0.81, 1.61)으로 효과가 있었으며, 감염의 종류와 감염관리 방법 모두에 초점을 둔 경우는 0.44점(95% CI: 0.04, 0.84)으로 효과가 있었다. 손씻기에만 교육내용 초점을 둔 경우는 학습자가 간호학생인 경우와 연구설계가 유사실험설계인 경우에서 각각 0.38점(95% CI: 0.04, 0.73)과 0.38점(95% CI: 0.04, 0.73)의 효과가 있었다. 교육방법 유형에 따라 하위그룹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수동적 교육방법을 사용한 경우에서는 0.75점(95% CI: 0.08, 1.41)의 효과가 있었다. 수동적·능동적 교육방법 모두 사용한 문헌 중 간호학생인 경우와 유사실험설계인 경우에서 각각 0.33점(95% CI: 0.09, 0.57)과 0.53점(95% CI: 0.13, 0.93)의 효과가 있었다. 학습자의 감염관리 지식을 효과영역으로 본 17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감염관리 지식에 1.26점(95% CI: 0.71, 1.81)의 효과가 있었다. 학습자 유형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학습자가 간호사인 경우 1.62점(95% CI: 0.60, 2.64), 간호학생인 경우 1.14점(95% CI: 0.30, 1.98), 보호자인 경우 1.29점(95% CI: 0.80, 1.77)의 효과가 있었다. 연구설계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RCT의 경우 1.69점(95% CI: 0.06, 3.32), 유사실험설계인 경우 1.07점(95% CI: 0.65, 1.50)의 효과가 있었다. 교육내용 초점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감염의 종류에 교육내용 초점을 둔 경우 1.35점(95% CI: 0.55, 2.15), 감염관리 방법에 교육내용 초점을 둔 경우 0.94점(95% CI: 0.50, 1.38)의 효과가 있었다. 교육방법 유형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수동적 교육방법을 사용한 경우 1.11점(95% CI: 0.07, 2.15), 수동적·능동적 교육방법 모두를 사용한 경우 1.30점(95% CI: 0.63, 1.98)의 효과가 있었다. 수동적 교육방법을 사용한 문헌 중 RCT인 경우 0.51점(95% CI: 0.13, 0.88)의 효과가 있었고, 수동적·능동적 교육방법 모두를 사용한 문헌 중 간호사, 간호학생, 보호자인 경우에 각각 2.08점(95% CI: 0.36, 3.81), 1.18점(95% CI: 0.22, 2.13), 1.29점(95% CI: 0.80, 1.77)의 효과가 있었다. 학습자의 감염관리 실천을 효과영역으로 본 12편의 문헌을 분석한 결과,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은 학습자의 감염관리 실천에 1.08점(95% CI: 0.76, 1.40)의 효과가 있었다. 학습자 유형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학습자가 간호사인 경우 0.89점(95% CI: 0.59, 1.20), 보호자인 경우 1.41점(95% CI: 0.68, 2.13)의 효과가 있었다. 연구설계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RCT인 경우 0.50점(95% CI: 0.13, 0.88), 유사실험설계의 경우 1.31점(95% CI: 0.93, 1.68)의 효과가 있었다. 교육내용 초점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감염의 종류에 초점을 둔 경우 1.08점(95% CI: 0.60, 1.56), 감염관리 방법에 교육내용 초점을 둔 경우 1.42점(95% CI: 1.02, 1.81)의 효과가 있었다. 감염의 종류에 초점을 둔 경우는 간호사에게 0.70점(95% CI: 0.44, 0.96), 보호자에게 1.41점(95% CI: 0.68, 2.13)의 효과가 있었으며, 유사실험설계로 진행이 될 때 1.33점(95% CI: 0.73, 1.92)의 효과가 있었다. 교육방법 유형에 따른 하위그룹 분석에서 수동적 교육방법을 사용한 경우와 수동적·능동적 교육방법 모두를 사용한 경우가 각각 1.12점(95% CI: 0.46, 1.79)과 1.07점(95% CI: 0.67, 1.47)의 효과가 있었다. 수동적·능동적 교육방법 모두를 사용한 경우는 간호사에게 1.06점(95% CI: 0.50, 1.62), 보호자에게 1.41점(95% CI: 0.68, 2.13)의 효과가 있었으며, 유사실험설계로 진행이 될 때 1.33점(95% CI: 1.02, 1.63)의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병원내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이 학습자의 감염관리 태도, 지식, 실천에 미치는 효과는 기존 다수의 연구결과를 지지하였으며, 세부 하위그룹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하위그룹의 효과크기는 향후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있어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