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BMS를 활용한 마케팅 효과 및 입소문 확산 현상 분석 :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을 중심으로

        박기량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center of corporate marketing strategy is shifting from analog media (TV, newspaper) to digital media (SNS, Internet, etc.). Because of the advent of digital media, the Word of Mouth Effect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word of mouth in SNS or Messenger can reach millions of exposure effects. In addition, companies are trying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personalized advertisement and viral marketing by utilizing various marketing analysis techniques such as data mining and deep learning in order to maximize the marketing effect. As marketing channels and methodologies become more diverse, the complexity of the marketing market is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a new methodology is need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strategy. In particular, the domestic mobile game market is the best showing the market situation. The domestic mobile game market grew steadily to 2.3 trillion won in 2013 compared to 2012, which was only 800 billion won, exceeding the 5 trillion won online game market in 2017. In 2019, it is expected to exceed 5.6 trillion won. However, as the mobile game market matures, the growth rate, which stood at 24.3% in 2016, declined to 12.7% in 2017, 8.9% in 2018 and 6.7% in 2019 (Kim Ki Bum et al., 2018). As the growth of domestic mobile game market slows down, marketing competi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e. After 2016, marketing trends in the game market have shifted to entertainer marketing, and in 2018 celebrity-based ads are being used mainly in the game market. Marketing costs have increased by nearly 40% from KRW 46.7 billion in 2014 to KRW 118.5 billion in 2015, and terrestrial advertising has surged (Cho Young Ki, 2015). This enormous advertising cost is gaining momentum for companies. Therefore, companies need advertising techniques to spread the game most efficiently.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the 'Word-of-mouth effect', which is influenced by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by using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ABMS). Based on this, we provide a model that enables companies to experiment with changes in strategy for each marketing term, change in marketing media strategy, viral marketing strategy to encourage word of mouth, and change in evaluation of consumers' games. Through this, companies can understand the proliferation of mobile game market in Korea and utilize it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오늘날 아날로그 매체(TV, 신문 등)에서 디지털 매체(SNS, 인터넷 등)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디지털 매체가 등장하면서 상품에 대한 입소문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왜냐하면 SNS나 메신저에서 입소문 효과로 인해 수백만 건의 노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뿐만 아니라 기업은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데이터마이닝, 딥러닝 등의 다양한 마케팅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 맞춤 광고, 바이럴 마케팅 등의 마케팅 전략을 시도하고 있다. 이처럼 마케팅 채널과 방법론이 다양해지면서 마케팅 시장의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마케팅 전략의 실효성을 분석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은 이와 같은 마케팅 시장의 상황을 가장 잘 보여준다.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은 8,000억 원에 불과했던 2012년에 비해 2013년 2.3조원으로 가파르게 성장하였으며 2017년 5조원에 육박하던 온라인 게임 시장 규모를 넘어섰다. 그리고 2019년에는 5조 6천억 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모바일 게임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함에 따라서, 2016년 24.3%에 달하던 성장률은 2017년에 그 절반 수준인 12.7%로 감소하였으며, 2018년에는 8,9%, 2019년에는 6.7%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김기범 외, 2018). 이렇게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마케팅 경쟁이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2016년 이후 게임 시장의 마케팅 트렌드는 연예인 마케팅으로 이동하였으며 2018년에도 연예인이 기용된 광고가 주로 게임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마케팅 비용은 2014년 467억 원(지상파 광고 107억, 온라인 광고 241억, 모바일 광고 119억)에서 2015년 1,185억 원(지상파 광고 740억, 온라인 광고 335억, 모바일 광고 110억)으로 40% 가까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지상파 광고가 급증하였다(조영기, 2015). 이처럼 막대한 광고비용의 지출이 기업에게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게임을 가장 효과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는 광고 기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광고 효과로 인해 구매를 한 소비자들이 다른 소비자들의 구매 결정에 영향을 주는 ‘입소문 효과’를 행위자 기반 모형 및 시뮬레이션(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ABMS)을 활용해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기업들의 마케팅 기간별 전략 변화, 마케팅 이용 매체 전략의 변화 및 입소문 유도를 위한 바이럴 마케팅 전략을 사용, 소비자들의 게임에 대한 평가 변화 등을 실험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국내 모바일 게임 시장의 확산 현상을 이해하고 마케팅 전략 수립에 이를 활용할 수 있다.

      • 남성 동성애자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소수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박기량 한양사이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남성 동성애자의 불안형, 회피형 두 가지 형태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 있어, 세 가지 형태의 소수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사회 응용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국내 남성 동성애자의 우울과 불안의 형성 과정에 대해 조금 더 자세한 정보를 획득하여 남성 동성애자의 심리적 정신건강과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점이다. 둘째는 국내에서 주로 LGB(여성 동성애자, 남성 동성애자, 양성애자) 통합 연구로 진행되어왔던 정신건강과 소수자 스트레스 관련 연구와는 달리, 성소수자 표본의 세분화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의 성인 남성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요청하여 총 110개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해당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작업이 수행되었다. 이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경로들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 3.3을 활용하여 두 가지 형태의 불안정 애착 형태와 우울, 불안간의 관계에서 세 가지 소수자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애착 불안의 경우 사회적 낙인, 반동성애 폭력, 우울 및 불안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 회피의 경우 사회적 낙인이 우울과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애착 불안이 사회적 낙인을 매개로 우울 및 불안에 이르는 경로, 애착 회피가 사회적 낙인을 매개로 우울에 이르는 경로, 애착 불안이 반동성애 폭력을 매개로 우울과 불안에 이르는 경로의 5가지의 경로를 대상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매개 효과 검증 결과, 애착 불안이 사회적 낙인을 매개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애착 회피가 사회적 낙인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애착 불안이 반동성애 폭력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경로의 4가지 경로가 유의미한 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가지 형태는 나름대로의 이유와 합리적인 추정 근거를 가지고, 우울과 불안에 소수자 스트레스의 하부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석 및 해석된 경로에 따라, 심리치료 현장에 있어 활용 의의 그리고 성소수자 행동의 해석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추후 성소수자의 정신건강 증진과 후속 연구에 유의미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을 희망한다.

      • 한국창세신화와 진도씻김굿 복개(覆蓋)춤의 연관성 연구

        박기량 고려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itual of Jindo Sitgim-gut is conducted by 'dan'gol' shamans, who is transmitted of the shamanism by heredity in order to preserve the priesthood. The most special aspects of Jindo Sitgim-gut are ritual song 'muga,' and ritual dance 'mumu,' both of them are of refined artistic standard and uniqueness. Muga and mumu are varied in themes according to the time and the place of the performance, and the contents usually contain theatrical aspects, forming Yukjabaegi-tori music, and its own unique choreography. Jindo Sitgim-gu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different kinds of rituals, one being the jaesu-gut, which wishes luck of the living, and the saryeong-je, which is a necromantic ritual that wishes the passing of the deceased. Amongst jeasu-gut is Jeseok-gut, which deals primarily with the strong will towards life. Jeseok-gut's muga handles the 'myth of dangeum-aegi.' The shaman becomes the Jeseok, who is a divine figure with godly supernatural powers, and then wishes luck and blessing of plentiness. Mumu of Jeseok-gut comprises of simple Jeseok-chum, which is a bare-handed dance, and bokgae-chum, which comes after, with the dancer handling bokgae as a tool that enhances choreography. This thesis studies the origin of bokgae-chum. Bokgae is a ladle-like tool that holds rice. Jindo Sitgim-gut's bokgae-chum then becomes a choreography rich with symbolism, that has multifold archetypes of shamanism. In order to analyze bokgae-chum, I compared and contrasted Jindo Sitgim-gut's jeseok-gut, and Kim Ssangdori's 'changsega.' (Song of Creation) Through changsega and jeseokgut, I could find that the choreography of bokgaechum is that of agricultural production, related with the themes of genesis, and Siddartha's epiphani of creation. The mythical archetype of jeseok-gut and changsega both utilizes the symbolism of bokgae, and the dance then becomes the ritual prayer of wishing the living luck. There is no compiled analysis about bokgae-chim,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is one of the most philosophical dance that goes with the creation myth, and the choreography itself holds ritualistic meanings. In studying the records of bokgae-chum, I could find out the locations, props, costumes and rhythms of bokgae-chum. The creation myth narrative of 'changsega' is changed into the tradition of 'chogamje,' and 'chunji-wangbon-puri' of Jeju island. In analyzing Hamgyeong province's changsega, of creation myth, one can understand that bokgae is the tool that ends the chaos, and begins cosmos. Based on that understanding, I concluded that bokgae-chum is the compression of the human creation myth and shamanistic canon of universe. From the fact that the creation myth is played as choreography in performances of bokgaechum, I could conclude that the formation of the dance was the theatrical representation of both Korean shamanistic universe, and Buddhist philosophy. Therefore, the performer played the role of Maitreya buddha, both blessing the living and sending the dead. Bokgae-chum is a performance of many different aspects, as gut comprises songs, music, and dance. A dance of about ten minutes, that starts from Jinyang to Gutgeori, bokgae-chum is a completion of choreographical beauty, along with endless time and space continuum. Korean traditional dances such as seungmu and salpuri are usually associated with the sentiment of Han, but bok-gaechum is actually more about resolving the Han through expression of the spirit, 'sinmyeong.' The choreography of bok-gaechum leads that sentiment directly to the audience, with both the sense of the sharing the same space, while passing the energy to every living ones. In studying this topic, I could find that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subject matter was not sufficient. This is the limitation of the hereditary shaman's part, being exclusive to outside world. In order to overcome such hardship, I analyzed the choreography and symbolism of the dance to focus on the relation between bokgae-chum and the creation myth. Special thanks goes to Park Byung-chun, who was the holder of Jindo Sitgim-gut, which is the Intangible Heritage 72. From bokgae-chum that I learned under him, I could aesthetically analyze the dance, including structural and symbolic analysis.

      • 동해안별신굿과 진도씻김굿의 제석춤 비교연구

        박기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examine ‘Jeseokchum’ dance. The study will also define the dance’s actial aspects and characters in ‘Jeseokgut’ derived from Korea's East Coast and Jindo area. The study will then elucidate the function and actuality of dances in gutgeory. The question of ‘Jeseok’ in ‘Jeseokgut’ is first mentioned in Samgukyusa, in which ‘Hwanin' is called 'Jeseok.’ Moreover, texts such as Samgukyusa, Seongjongsillok, Dongguktonggam, and other books on Dangun mythology, point out that Hwanin is the god of sky, the father to Hwanwoong, and as well as the grandfather to Dangun who established Gojoseon kingdom. In Buddhist traditions, ‘Jeseok’ is equated to ‘Indra’ of Indian religious tradition. ‘Indra’ that was introduced to the Korea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eventually became ‘Jeseok’ later. The deity is now called Cheonshin, Cheonjon, and Sejon. Jeseokgut has its origin in a tradition of worshiping sky, which people in that time considered it as the God, and Jeseokchum is a dance of wishing that blesses their life. Jeseokchum of Donghaean Byeolshingut and Jindo Ssitgimgut, which have rich performance values, were chosen as the object of the study. The outfit, shamanic tools, rhythms and phrases of dances of Donghaean Byeolshingut’s Jeseokchum were collected as references for the study and these references were compared with the data collected from the Donghaean Byeolshingut Preservation Socie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eseokgut’ is called ‘Sejongut’ in Donghaean Byeolshingut and dances of ‘Samodongchum’ and ‘Barachum’ are performed in ‘Jeseokchum’. The musical analysis is done with the janggo performance and personal interview with Jeong Yeon-rak, and recorded the Hwimori Maejeum Jangdan and Maedojin Jangdan with help of Park Cheon-ji. Also, In-depth analysis of the dances ‘Samodongchum’ and ‘Barachum’ were made with analysis of Kim Dong-yeon, a chief educator of intangible national heritage, drawing the posture of the dances and dividing phrases of the dances. Through the research, Donghaean Byeolshingut’s ‘Jeseokchum’ of Kim Dong-ywon’s traditions were discovered that they are impromptu dances that all start in the position of dancer lying prone to the ground. As the rhythm of the music gets faster, the tempo of the dance follows the rhythm. Each kick and run are in sync with the fast hwimori jangdan a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each dance is also delicate. ‘Jeseokchum’ of Jindo Ssitgimgut is ‘Bokgaechum,’ which is a dance performed with two covers of rice bowls. The research conducted on this dance is based on the writer’s Master’s thesis, which compared the dance to Donghaean Byeolshingut’s ‘Jeseokchum.’ With that research, some similarities between Donghaean Byeolshingut’s ‘Samodongchum,’ ‘Barachum’ and Jindo Ssitgimgut’s ‘Bokgaechum’ were observed; the shamanic chants which sings the myth of Dangeumaegi, round-shaped shamanic tools, white shamanic hats were made with paper, have function of wish-granting shaman, the target audiences, and impromptu progressions of the ritual. The differences between Donghaean Byeolshingut and Jindo Ssitgimgut’s ‘Jeseokchum’ are; when Donghaean’s tradition the shaman wears colorful dresses and blue overdress and red band in Jindo, the shaman wears white clothing with red band. Also, the overall rhythm of the ritual, whether the shamanic tools are utilized as musical instruments, the existence of gods, horizontal or vertical progression of the dances are other notable differences. Donghaean Byeolshingut’s ‘Samodongchum,’ ‘Barachum’ and Jindo Ssitgimgut’s ‘Bokgaechum’ are the rituals wishing the wellness of the believers. Moreover, the dance and music are woven so that the both are comprised with perfection. However, ‘Samodongchum’ and ‘Barachum’ are not performed as independent dances, ‘Bokgaechum,’ which are on old records, disappeared from the performance scene. From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hat Donghaean Bywolshingut’s ‘Samodongchum,’ and ‘Barachum’ could recognized as independent dance performances. Also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this research work to help ‘Bokgaechum’ to resurrect like ‘Jeseokchum’ of Jindo Ssitgumgut. 이 논문은 현재 전승되는 ‘제석춤’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굿은 행하는 목적과 대상에 따라 생전제(生前祭)와 사후제(死後祭)로 나눌 수 있고 공통적으로 연희적(演戲的) 요소가 많이 포함된 ‘제석굿’을 연행한다. ‘제석굿’은 산 자를 위한 굿으로 그 안에서 추어지는 춤이 바로 ‘제석춤’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석굿’의 ‘제석’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였는데 삼국유사와 성종실록, 동국통감, 단군신화를 연구한 자료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제석은 민족 고유의 천신(天神)으로 존재하던 ‘환인(桓因)’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인’은 승려 일연에 의해 본래 인도의 신이던 ‘indra’를 한역한 ‘제석’으로 변모하였고 불교적 색채가 가미되어, 지금까지 천신(天神), 천존(天尊), 세존(世尊)으로 불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석굿’은 천신신앙에 뿌리를 두고 내려오던 의식이고, ‘제석춤’은 천신의 권능을 담보로 산 자들에게 복록(福祿)을 빌어주는 축원적 의미를 내포한 기원무(冀願舞)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석춤’에 대한 연구의 의미는 크다고 하겠다. 이에 전국의 ‘제석춤’ 가운데 공연물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동해안별신굿과 진도씻김굿의 ‘제석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동해안별신굿 ‘제석춤’의 복식, 무구, 춤에 쓰이는 장단과 춤 단락에 대한 연구는 필자가 직접 동해안별신굿이 연행되는 실제 굿판과 공연 등을 통해 현장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동해안별신굿보존회가 제공한 관련 자료와 교차 점검하였다. 그 결과 동해안별신굿에서는 ‘제석굿’이 ‘세존굿’으로 불리는 것과 ‘제석춤’으로 ‘삼오동춤’과 ‘바라춤’이 추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제석춤’이 즉흥춤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춤이 모두 엎드려서 시작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점점 빨라지는 음악에 따라 춤도 음악적 흐름을 함께 하고 있었다. 아울러 일어서서 뛰거나 발을 차는 동작을 수행한 후에 빠른 휘모리장단에 맞추어 춤이 종결되는 일정한 형식과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춤사위가 섬세하다는 특징이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도씻김굿의 ‘제석춤’은 밥그릇 뚜껑 두 개를 들고 추는 ‘복개춤’으로, 이에 대한 연구는 필자의 석사논문에서 복식, 음악, 무구, 무보를 연구하였던 자료를 토대로 동해안별신굿의 ‘제석춤’과 비교하여 특이점과 유사점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삼오동춤’·‘바라춤’과 진도씻김굿의 ‘복개춤’의 유사점은 당금애기 설화가 구송되는 무가, 유기로 된 둥근 형태의 무구(巫具), 한지(韓紙)를 접어 만든 흰 고깔, 기원무로서의 기능, 발복(發福)의 대상, 즉흥적 진행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차이점으로는 동해안에서는 화려한 활옷과 파란색으로 된 쾌자를 입는 반면 진도에서는 흰색의 한복에 반삼(半衫)을 걸치고 홍띠를 착용하는 복식의 부분과 장단의 구성, 무구의 악기로서의 기능, 신격(神格)의 유무, 춤의 수직적 진행방식과 수평적 진행 방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해안별신굿의 ‘삼오동춤’·‘바라춤’과 진도씻김굿의 복개춤은 의식무로의 기능을 갖추어 생자들의 삶에 대한 강한 의지에 대해 무녀가 천신의 기능을 담보로 하여 기복정성(祈福精誠)으로 답하는 것이다. 또한 음악과 춤의 유기적 관계로 인해 기경결해(起景結解)의 구조를 갖추고 있어 연출적 관점에서 보면 완성도가 높은 공연물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삼오동춤’과 ‘바라춤’은 무대에서 단독으로 공연되지 않고 있고, 고문헌상에도 존재하던 ‘복개춤’은 현재의 진도씻김굿의 연행현장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동해안별신굿의 ‘삼오동춤·바라춤’이 무대에서 단독무(單獨舞)로의 실연(實演)이 실현(實現)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진도씻김굿의 ‘제석춤’으로 ‘복개춤’이 부활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