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대상자의 관상동맥조영술 체험연구

        박금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관상동맥질환은 우리나라의 경우 1998년 사망원인 통계연보에서 심장질환은 뇌혈관질환 다음으로 높은 사망원인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인구 10만 명당 38.7명으로 나타났다(통계청 1999). 최근 10년간 사망률의 변화에서도 허혈성 심장질환은 지난 1989년 인구 10만 명당 9.0명에서 1998년 인구 10만 명당 16.3명으로 81.1%나 증가하였으며 지난 1년간 사망률의 변화 역시 1997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13.8명에서 1998년 16.3명으로 18.1%가 증가한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미국의 경우도 미국심장협회(1999)에 의하면 1918년을 제외하고 1900년 이후 매년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1996년에는 미국인 중 약 천이백만 명에 달한다. 1997년에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은 466,101명으로 5명의 사망자 중 1명에 달하며 다른 심혈관질환까지 포함한 사망원인을 합하면 전체 사망원인의 41.2%를 차지한다고 보고하였다. 관상동맥질환의 급증으로 진단과 치료의 목적으로 행해지는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하는 대상자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96년 666,000건의 혈관성형술이 시술되었으며(미국심장협회 1999) 우리나라의 경우도 1998년도 59개 심장혈관질환 수술 병원을 중심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총 14,568건의 혈관성형술이 시행되었으며 10년 전인 1988년 1,019건에 비해 현격히 증가되었다(심장재단 1999). 본 연구자는 임상에서 간호사로서 재직하는 동안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하는 대상자에 대한 대상자 중심의 간호 접은 방법이 부재함을 경험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하는 대상자의 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한 대상자의 실제적인 체험의 의미를 근거로 한 전인적인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벤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방법을 따랐으며 신경립(1998)이 수정한 10단계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연구과정은 크게 단계인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부적으로 10단계를 거쳐서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00년 2월부터 4월까지 반구조적 심층면담과 관찰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연구 자료는 간호대상자의 관상동맥조영술 경험과 본 연구자의 간접체험, 어원의 추적, 관용어구 추적, 관상동맥질환 및 관상동맥 조영술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 문학과 예술에 나타난 관상동맥조영술 및 질환에 나타난 주제 묘사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는 서울시내 E대한병원에서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한 50대에서 70대 사이의 남녀 11명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된 본질적 주제는다음과 같다. 간호대상자의 관상동맥조영술의 체험에 대한 주제의 의미는 “가슴이 오그라들고 숨통이 막혀옴”, “죽음이 눈앞에 다가옴 - 벗어놓은 신발을 다시 신을 수 있을까?”,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두려움”, “무언가 몸 속으로 들어가는 후끈함”, “의술의 발달에 대한 신기함 - 세상은 이렇게 좋아졌구나!”, “쭉 뻗은 신작로를 달리는 시원함”, “다시 살아났다는 안도감”으로 나타났다. 간호대상자의 관상동맥조영술 체험에 대한 주제 의미 중 “가슴이 오그라들고 숨통이 막혀옴”은 관상동맥조영술을 받게 되기까지 대부분의 대상자는 숨을 쉴 수 없었으며, 옴짝 달싹을 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경험으로 그들은 죽음이 눈앞에까지 왔다고 생각하게 된다. “죽음이 눈앞에 다가옴 - 벗어놓은 신발을 다시 신을 수 있을까?”는 대상자가 관상동맥조영술을 받기 위해서 병실을 떠나올 때부터 검사실에서 검사대에 누워 있을 때 경험하게 된다. 검사 전 동의서를 작성하면서 들었던 심장마비, 돌연사, 등의 합병증을 떠올리며 죽음에 대해서 함께 떠올리게 되는 것이다. 살기 위해서 관상동맥조영술을 하기로 결심했지만 그 과정에서 피부로 느끼는 죽음을 함께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는 두려움”은 관상동맥조영술을 받는 과정에서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검사에 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상자는 긴장으로 인해서 아무 것도 들리지 않고 보이지 않을 정도의 두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무언가 몸 속으로 들어가는 후끈함”은 관상동맥조영술을 하는 동안에 자신의 몸의 감각으로 혈관을 절개하고 그것을 통하여 무언가 들어가며 또 잘 들어가지 않는 느낌을 모두가 가지고 있었다. 눈으로 아무것도 보이지 않고 귀로도 아무 것도 들리지 않는 듯 하였으나 몸 속에서 움직이는 느낌은 무방비 상태에서 느껴지는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관상동맥조영술 체험을 떠올릴 때에 피부로 신체 내부로 느껴졋던 것들을 기억해 낼 수가 있게 된다. “의술의 발달에 대한 신기함 = 세상은 이렇게 좋아졌구나!”는 관상동맥조영술을 무사히 마치고 난 후 비로소 최첨단의 기계와 최신 의료기술의 혜택을 받은것에 대한 놀라움과 신기한 마음을 나타낸다. 검사 중에는 오히려 차갑고 낯설게만 바라보던 검사실의 모든 환경이 검사를 마친 지금은 전신마취 하에서 심장을 열고 수술을 하지 않고 의식이 있는 국소마취 상태에서 몇 시간만에 끝나고 입원기간도 짧게 줄일 수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대상자는 심장이 아프면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터이라 이러한 생각은 더운 확신을 갖게 된다. “쭉 뻗은 신작로를 달리는 시원함”,“다시 살아났다는 안도감”은 관상동맥조영술을 받고 난 후 예전에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막혀오던 것을 기억하고 변화된 느낌을 차가운 바람이 가슴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처럼 시원하고 뻥 뚫리는 기분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관상동맥조영술로 인하여 한 번 더 인생을 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간다. 첫째, 간호대상자의 관상동맥조영술의 체험은 그저 단순한 하나의 검사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은 검사 전의 가슴이 오그라들고 숨통이 막혀오는 고통을 경험하고 검사에 따른 위험성과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그들의 삶과 죽음을 돌아볼 수 있으며 삶의 변화로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사실은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하는 대상자에 대한 보다 실제적이고 대상자의 경험에 근거한 간호학적 접근이 필요함을 말해주고 있다. 둘째, 간호실무 측면에서 임상에서 관상동맥조영술 체험에서 나온 의미를 간호사정을 통해 발견함으로써 보다 넒은 이해의 폭을 가지게 될 것이며 진정한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간호교육의 측면에서 관상동맥조영술 체험에서 나온 의미를 바탕으로 관상동맥조영술을 위한 상담이나 전 ‧ 후 교육, 동의서를 받는 절차에서 대상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실제적인 임상교육에 근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간호연구의 측면에서 그 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관상동맥조영술 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혀냄으로써 이를 근거로 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의 직 ‧ 간접 간호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하는 간호대상자의 체엄의 의미를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전문적인 지식과 태고, 기술, 깊이 있는 내용으로 관상동맥조영술을 경험한 입원환자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임하고 있는 지역사회 대상자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used a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discover meaning in nursing client's experience of coronary angiography. The ultimate aim of the inquiry was to discover the essence of experience of coronary angiography and promote understanding. The study was guided by Shin Kyung Rim's four steps that revised van Manen's method for doing research. The method of inquiry included : turning to phenomenon of interest ; inquiring and investigating experience as it was lived rather than as conceptualized ; reflecting and analyzing essential themes which characterize phenomenon ; describing phenomenon through art and literature. Multiple stategies for data collecting were needed : deep face to face interview ; analysis of nursing client's writing ; describing analyzing of example of the phenomenon in art, literature. Through this process essential theme of the experience emerged ; "feel like death coming in a moment to me - could I ever wear my shoes again that I took off?", "The horror of seeing and hearing nothing even trying to see and hear", " feel like the shocking waves are running through my whole body", "astonishment of how far the medical science has been advanced - how good the world has become!", "cheeriness like driving through a wide and straight road", "feeling of relief that I survived". Findings from artistic and creative inquiry further was validated and meaning was discovered. The study illuminated meaning and simultaneously validated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process. Essential themes for understanding client's experience of angiography, implications, for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direction and need for continuing inquiry were identified.

      • 시베리아 샤마니즘과 샤만 服飾 연구

        박금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래 샤머니즘이란 말은 시베리아 제 종족 즉 보굴, 오스탸크, 사모예드, 퉁구스족 등 우랄 알타이系 종족과 유카기르, 축치, 코리약족 등의 古아시아 종교체계와 현상을 지칭한 것이었지만 점차 종교학, 민족학, 인류학 분야에서 世界 각지의 유사 종교 현상을 의미하는 용어로 널리 使用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샤마니즘은 시베리아 原住民뿐만 아니라 世界 모든 지역의 住民에 의해 行하여졌던 원시 종교 또는 주술적 종교로 해석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샤마니즘의 원류 및 계통이 시베리아일 것이라는 것은 여러 선행 硏究에서 한결같이 共通的으로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전주 국립 박물관에다, 시베리아에서 使用된 청동기 유물과 한국 청동기時代 무덤에서 出土될 巫具를 근거로 해서 시베리아 祭司長의 모습을 추정 제작하여 진열해 놓기까지에 이르렀다. 그러나 아직도 시베리아 및 한국의 샤만 服飾에 對한 체계적인 비교 硏究는 充分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베리아 샤마니즘과 그들의 샤만服에 대해서 보다 종합적으로 考察하여 봄으로써 세계 각 지역의 복식 비교 연구에 보탬이 되고 나아가 한국 샤마니즘의 源流규명과 服飾 文化史 硏究에 일조를 더하고자 한다. 본고는 주로 문헌 고찰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외 실물 고찰이 보조 방법으로 使用되었는데 실물 고찰에 使用된 資料는 경희 대학교 中央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야쿠르족 샤만服 1점과 전주 국립 박물관에 진열된 시베리아 샤만服 1점으로 하였다.

      • 유아의 낙관성과 정신상태 용어 및 이야기구조 발달과의 관계

        박금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연령과 낙관성에 따른 정신상태 용어 사용 정도와 이야기구조 발달 단계를 비교하여 유아의 낙관성 발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세 81명, 만 5세 55명으로 총 136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유아의 언어능력의 영향에 대한 통제를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 검사(K-WIPPSI)의 ‘언어성 검사’ 중 ‘이해’, ‘어휘’를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낙관성 측정 검사는 Lockhart, Chang과 Story(2002)의 연구에서 사용된 자극을 참조하여, 최선영(2007)이 한국어로 번안하고 그림 자료를 보안한 것을 본 연구자가 유아들에게 익숙한 특질로 몇 가지를 수정하여 제시하였다. 정신상태 용어 사용은 국외의 연구에서 사용된 다양한 정신상태 용어와 한국어 심리동사에 관련된 문헌연구에서 제시하는 정신상태 관련 어휘들을 참조하여 만든 <정신상태 용어 목록>을 송정(2007)이 수정·보완한 목록을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단계는 Applebee(1978), McGee와 Richgels(1996)의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단계를 참조하여 이영자와 박미라(1992)의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단계를 기준으로 평정하였다. 정신상태 용어 사용 검사와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단계 검사는 유아가 글 없는 그림책을 보고 이야기를 구성하게 하였고, 녹음하여 전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2.0(windows 용)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이원변량 분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낙관성의 발달 정도를 살펴본 결과, 낮은 연령의 유아가 높은 연령의 유아보다 낙관성 발달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 수준과 연령의 두 가지 요인 모두가 정신상태 용어 사용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낙관성 발달이 높은 수준의 유아가 낮은 수준의 유아보다 정신상태 용어 사용 점수 평균이 더 높았다. 또한 동등한 낙관성 발달 정도를 가진 유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연령이 더 높을수록 정신상태 용어 사용 점수 평균이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유아의 연령과 낙관성의 발달이 정신상태 용어 사용 점수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낙관성 수준 및 연령의 발달에 따른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낙관성 수준 및 연령 모두가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낙관성 발달이 높은 수준의 유아가 낮은 수준의 유아보다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단계 점수가 더 높았다. 또한 동등한 낙관성 발달 정도를 가진 유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연령이 더 높을수록 이야기구조 개념 발달단계 점수가 더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understanding optimism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how much they use mental state terms and the story struc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and optimism of the children.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a total of 136 young children (81 children aged 3 and 55 children aged 5) in a nursery school located in D city. To measure, optimism, usage of terms for mental state and story structure concept development, stimulus used in Lockhart, Chang and Story’s(2002), Mental State Terms List developed by Jung Song(2007), Story Structure Concept Development Level categorited by Young-ja Lee and Mi-ra Park(1992) were used respectively. To analyze data are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typ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result of examining optimism development according to age in young children, optimism development of younger children was shown to be higher than that of older children. Second, the higher the optimism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higher the average score for use of a term for mental state. In comparison with young children with the same level of optimism development,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average score of using such terms also occurr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story structure concept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optimism level and age, all optimism level and age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ory structure concept development. The higher the optimism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the higher the story structure concept development level was. Likewise, as for the same level of optimism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average level of story structure concept development was.

      •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박금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alities through questionnaires in order to find sex-role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of college students in relations to the two variables, analyze the results, and suggest the basic data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directing college students correctly. The following tasks were established in this aim. Task 1. What is the distribution of sex-role identity among college students? Task 2. What is the distribution of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style? Task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cision making style by sex-role identity? The sample group was 570 male and female students of J college in Jejudo and finally 552 students were selected as a sample group in order to verify these tasks.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to examine the college students' sex -role identity and decision-making style. 1. Bem's Sex Role Inventory : This tool was made by Bem to measure sex-role identity type. In this measurement, she divided students into 4 different identity groups according to their masculinity, feminimity, androgyny and undifferentiated. This tool is consisted of 40 questions: 20 for masculinity, 20 for feminimity. 2. Decision Making Style : This tool was originally made by Harren in 1984. Decision Making Style is a test of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ACDM). Each student was scored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dicision-making styles. There were rational, intuitive and dependent styles. This tool is consisted of 30 questions: 10 for rational, 10 for intuitive and 10 for dependent style. The resulting data were processed by computer using SPSS program. The Mean, the Frequency Distribution, Standard Deviation, t verification, F verification One -way ANOVA and scheffe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rom this analysis outcome are as follows: 1. Type of sex-role identity among the college students showed a difference by gender. Generally androgyny was the highest and the score reduced in order of undifferentiated, feminimity, masculinity. Looking into the results by gender, in the case of the male college students androgyny was the highest, undifferentiated was the second highest, and the third highest was feminimity followed by masculinity while the score became higher in order of feminimity, androgyny, undifferentiated, and masculinity by means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The character in the distribution of type on sex role identity among the college students as the sample group is that the most students were verified as androgyny type on the whole, feminimity was higher than masculinity with the male college students, and in regard of the female students feminimity showed the highest. 2. Decision-making style of the college students was discovered to be in order of rational, intuitive, and dependent type, with the score of rational style the highest while the decision--making style score by male and female made no difference in ranking. In gender difference of decision -making style only dependent style made gender difference and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likely to approach decisions more dependently than the male college students. 3. While decision-making style by sex-role identity of the college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n the group of identity of androgyny showed more rational decision-making than other groups, masculin'ty was disclosed to do intuitive decision -making, and feminimity and undifferentiated to do dependent decision-mak ng style. In rational decision-making style by sex- role identity from the viewpoint of sex androgyny and feminimity were likely to do more rational decision-making than masculinity and undifferentiated with the male students while androgyny and masculinity to be more rational than feminimity and undifferentiated regarding the female students. Sub-variable in sex -role identity to do intuitive decision-making is masculinity type. Nasculinity of the fcmalc students was discovered to have the highest inclination to show dccision- making dependent on intuition whereas feminimity to be as the type making less intuitive approach on decision making. In case of dependent decision making style feminimity type out of sub-factors in sex-role identity was found to approach the most dependently on decision-making. Feminimity and undifferentiated were revealed to have dependent decision-making in both the male and female regarding dependent decision -making style by gender. The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examining sex- role identity and decision-making style of the college students in Jejudo, grasp the relations of the two variables, and suggest the verified data necessary for student guidance.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of sex-role identity'has to go first in order to do rational decision-making and individual programs matching each gender will be needed rather than the integrated education of male and female on the instruction in the aim of establishing sex-role identity. hloreover from the fact that undifferentiated style out of sub- factors in sex -role identity is the second highest in case of the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most female college students are verified as feminimity type similar to the male students' position the college students can be known not to prepare for handling their own duties through rational decision-making for themselves and taking responsibility for tne results yet. Therefore guidance in this will be required.

      • 한국 근대 여성소설의 타자적 여성성 연구 : 강경애·백신애·최정희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박금주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8639

        Taking interest in understanding how women, existing as others being pushed to the periphery of history in which men take a central position, led their lives confronted with patriarchy and male-oriented reality of modern society (including colonialism), I start off my dissertation with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traditional patriarchy is not solely responsible for the oppression of women. Ironically, the modernity which women writers of the 1930s tried to represent was internalized in themselves as they were thrown into the modernization process, which was transplanted to Korea from outside coercively and abnormally by Japan. It can also be said that colonial modernity enforced by Japan actually functioned as a driving force of creating women writers' group of a modern sense. Women authors of the 1930s accurately noticed that modernization of Korea was thoroughly planned and executed by Japan to serve its own national interest. They were well aware that feudal patriarchy oppressed women's lives and modern instrumental rationality (Japanese colonialism) threatened their right to live. Although women are also modern subjects, they are viewed as others in modern society and they are distorted and unfairly accused in male-dominated discourse. However, the female characters of women authors rediscover themselves as subjective actors by rejecting the institutionalized image of womanhood and motherhood and resisting oppression of power and violence. Kang Kyung-ae views that economic destitution as well as patriarchy stems from class contradictions and operates as an oppressive factor to women. Kang does not overlook that under the colonial rule savage exploitation by Japan in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mpoverished the lives of Koreans. The female characters in Kang's novel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she treats meaningfully: those who assimilate themselves to male-oriented society and lack a modern sense of identity as women and those who have class consciousness and are aware of their identity as others. Sometimes Kang shows a limitation with an excessive contrast of a negative view on bourgeois women and a sympathetic one for the proletariat. She pays attention to unjust physical and mental exploitation by the powerful and does not view that patriarchy is solely responsible for the oppression of women. She delves into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male-oriented society and the colonial reality with keen interest. Socialism permeates in Kang's consciousness of women. In「Breaking a Geomungo」,「Salt」,「200 Won for Writing Fee」, and「Mother and Son」, her socialism-tinted wishes are not limited to liberation of women from oppression and extend to emancipation of the nation. Baek Shin-ae addresses various issues in her works such as national consciousness, rural poverty in the colonial rule and women's issues. Some of her novels depict impoverished lives of rural women suffering from absolute pover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olicy and miserable vagrant lives of people without a nation, while some denounce men's tyranny against women under patriarchy. Living in the era when women are not recognized as social beings, Baek expresses her consciousness of women by presenting diverse ways of women's lives in her works. In「A Mad Man's Manuscript」and「Temporizing」, Baek attempts to reveal the oppressive reality and female existence by showing different lives of women who are oppressed and invisible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male-oriented society. The author describes the reality of society which had lost purity such as freedom, equality and realization of individuality―modern values that women had a chance to experience even in the colonial society. Female characters in Baek's novels are of two groups. Some are acclimated into modern vulgarity uncritically while some earn their identity of women as modern others by challenging patriarchal authority with a critical mind. Meanwhile, low-class women slip into a state in which their sense of women as others suffer dual oppression. Baek's identity as woman, which acquires a crit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 diverse lives of her female characters, expands to nationalism and will for social reform in「My Mother」,「Out of Confusion」, and「Koreans」. Choi Jeong-hee's novel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other women writers in the sense that her consciousness as a writer transforms across different stages of her career. After producing mainly Marxist novels in early years, she moves on to poverty in「The Haunted House」,「Ritual for Mountain Spirit」, and「Grain Dealer」and then, she writes a series of three novels called "Sammaeck", her major pieces. Although Choi's early works deal with poor colonial reality and echoes of class emancipation, her tone is rather timid compared to Kang's. After 「The Haunted House」, Choi takes up the fetters of life women have to bear living in poverty. The epic-like conclusion in Sammaek revolts against male-dominated discourse and presents a Utopia as an alternative way of life which can be achieved by expanding motherhood and seeking community life with others. Moreover, Sammaeck raises various problems of women and society such as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women experience while seeking life as subjects, women's legal status, children out of wedlock and women's work. This implies that Choi's consciousness of women has roots in her social consciousness, which forms the foundation of her literary work. The female characters in Choi's novels reveal their sense of identity as modern others. They refuse to be placed in institutionalized space and try to realize their identity as subjects by resisting male-dominated discourse. The identity of women as others who are living in a colony in a period when modernity crosses with colonialism is portrayed diversely by women writers. Kang depicts women as cooperative others having class consciousness; Baek describes them as confrontational others participating in the women's rights movement; and Choi, as subjective others armed with social consciousness. The identities of women as modern others constructed in the novels of female authors in the 1930s constitute the diverse faces which disclose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ciety. However, we can tell that women as others occupying a peripheral status in male-centered modern history take a part of that history, though as inferior subjects. This may imply that women can be a force that can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society.

      • 입학사정관제 대학생의 중도탈락 연구

        박금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causes and effects of university dropout by surveys on the admission process, experience in university, follow-up management, dropout process and daily life after dropout.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who dropped out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through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issues to fulfill these study objectives involve: First, what are the causes of university dropouts who were selected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econd, how are their daily lives after dropout? The four dropou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mong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school though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with the cooperation of A university. For the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paradigm model based on the ground theory has been derived, and the process analysis was performed. Additionally, the central category and types of the dropout have been drawn after providing the situational model. The storyline has also been described. The 42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12 categories have been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causes of dropout by open coding were 'Unfaithful life in university', 'The university which cannot meet the student's demand',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which ignores the students', 'Unsatisfactory university', 'Uncertain future', 'Grading culture on university', 'Making a relationship with uncomfortable senior' and 'Rigid relationship between senior and junior'. In the daily life after dropout, 'Sharing the ideas on the dropout', 'Breaking away from the routine of daily life', 'Leaving or staying there' and 'Expectation on the better life' were listed. In the paradigm model by the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were the 'Awareness of the university ranking' and 'Making a negative relationship'. Then main phenomena was the 'Worry and conflict on the dropout'. It also found that the circumstantial condition corresponding to the main phenomena were the 'Lack of self-discipline in university',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ies' and the 'University which makes them feel small'. The 'Thinking and preparation for the university department they are applying for' and the 'Beginning of new experience' were the intervening conditions. And they tried 'Gathering the opinion on the dropout' and 'Getting out of their daily life' as strategies of action/reaction. In the consequence, they chose the 'Dropout' and the 'Choice for the future'. Then main category in the selective coding was the 'Career decision-making for the future'. The dropout is the participant's choice for a better life. Their choice of career for better life was inherent in a series of preparation for entrance exam, university admission and dropout. The dropouts who were selected through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Realist', 'Utilitarian' and 'Escapist'. The social recognition on the university ranking influenced the realistic type of participants, and it leads dropout when they move to another university. In case of utilitarian type of participants, they dropped out by selecting a work instead of study, realizing that university graduation does not guarantee employment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it is not easy to hold a job while they are in school. The escapist type of participants tended to escape from reality by taking a temporary quit from a university rather than by putting an effort to adjust to the school, and it is due to the strict atmosphere of department. As a strategy for preventing dropout and keeping university life, the university authorities need to make following efforts: consideration on various requirements of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a curriculum reflecting their needs, offering a career guidance, strengthening the professor's role and activating a flexible transfer between the majors. And in terms of follow-up management, the mentoring system, adoption program and academic improve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verification of basic learning ability should be implemented. 이 연구는 입학사정관제 대학생 중 중도탈락자를 대상으로 대학입학과정과 입학 후 대학생활경험, 추수관리, 중도탈락과정과 그 후 일상생활에 대한 면담을 통해 대학생활에서 중도탈락한 원인과 결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학사정관제 대학생의 중도탈락 원인은 무엇인가?’와 ‘입학사정관제 대학생의 중도탈락 후 일상생활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입학사정관제 대학생 중 중도탈락자로 A대학의 교무처의 협조를 얻어 중도탈락자 명단을 입수 후 연구 참여를 권유하여 4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과 해석은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고 과정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핵심범주를 도출해 내고 이야기윤곽을 기술하였으며 상황모형 제시 후 중도탈락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42개의 개념과 14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개방코딩에 의한 중도탈락의 원인은 ‘충실하지 못한 대학생활’,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대학’, ‘학생 외면 행정지원체제’, ‘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대학’, ‘불투명한 장래’, ‘대학 서열 문화’, ‘처음부터 어긋난 선배와의 관계형성’, ‘경직된 선․후배 관계’가 도출되었다. 중도탈락 후 일상생활에서는 ‘중도탈락에 대한 생각 나누기’, ‘일탈(逸脫) 감행’, ‘그곳을 떠나거나 머물거나’, ‘좀 더 나은 삶에 대한 기대’가 도출되었다. 축코딩을 통한 패러다임 모형에서 인과적 조건은 ‘대학서열에 대한 인식 존재’, ‘부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이며 ‘중도탈락에 대한 고민과 갈등’이 중심현상이었다. 중심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자기관리가 결여된 대학생활’, ‘대학에 대한 기대의 불일치’, ‘나를 작게 만드는 대학’으로 나타났다. ‘지원학과에 대한 생각과 준비’, ‘새로운 경험의 시작, 대학생활’은 중재적 조건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중도탈락에 대한 의견 수렴하기’, ‘일상생활에서 벗어나기’를 시도하고 결과에서는 ‘중도탈락’, ‘미래를 위한 선택’을 하였다. 선택코딩에서 핵심범주는 ‘좀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진로선택하기’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중도탈락은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선택이다. 대학입시 준비, 대학입학, 중도탈락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는 연구 참여자들이 그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한 진로선택이 내재되어 있었다. 입학사정관제 대학생의 중도탈락 유형은 ‘상황부응형’, ‘실리추구형’, ‘현실도피형’으로 나타났다. 상황부응형 연구 참여자에게는 대학서열에 대한 사회인식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로 인하여 다른 대학으로 이동하면서 중도탈락하였다. 실리추구형 연구 참여자는 학업과 직장생활 병행 불가 상황에서 대학졸업 후 취업이 쉽지 않음을 깨닫고 대학보다는 직장을 선택하면서 중도탈락 한 사례였다. 현실도피형 연구 참여자는 선․후배 서열이 엄격한 학과 분위기로 인해 대학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잠시 피하고자 휴학을 선택함으로써 ‘현실도피형’양상을 보였다. 중도탈락 예방 및 대학생활 지속을 위한 전략으로, 대학당국은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사항 수렴과 이를 통한 교과과목 개설 및 진로지도, 지도교수 역할 강화, 유연한 학과 간의 전과제도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며, 추수관리 측면에서는 성공적인 학업수행을 위한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과 멘토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 기초학력 검증을 통한 학업증진 프로그램 운영 등이 필요하다.

      •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박금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ollege life-adaptation, and to find effective ways to support college students' college life-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For this research model, the achievement goal-orientation scale, the college life- adaptation scale, and the social support scale were used. A total of 428 students (152 males, 276 women)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 program.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variables for achievement goal-orientation, mastery goal level was higher than other goal-orientation, college life-adapt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ttachment to university, and social support showed similarly high levels of friend support and parental suppor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 both the mastery goal and social support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difference by age was found to be higher for those of 21-22 years of age in all of the mastery goals, social support, and college life-adjust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y grade, both the mastery goals and social support were higher in the second year, and the differences by majo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hievement goal-orientation, college life-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orientation, college life-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the mastery goal among achievement goal-orient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had nothing to do with college life-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Also, it was found that all sub-variabl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life-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goal-orientation and college life-adaptaion,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astery goal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among the sub-variables of achievement goal-orientation was confirmed. Also, as a result of checking whether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iffers depending on the support provider, it was confirmed that all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parent support, friend support, and professor suppor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 support was relatively strong. This study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to adapt to college life by revealing that achievement goal-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can affect college life-adap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광주·전남 지역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까지 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서 총 428명(남자 152명, 여자 276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목표지향성은 하위변인 중 숙달목표 수준이 다른 목표지향보다 높게 나타났고, 대학생활적응은 대학에 대한 애착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사회적 지지는 친구지지와 부모지지가 서로 비슷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성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와 사회적지지 모두 남자보다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차이는 숙달목표,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모두 21-22세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와 사회적 지지는 모두 2학년이 높게 나타났고, 전공에 따른 차이는 성취목표지향성, 대학생활적응, 사회적 지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대학생활적응,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목표는 대학생활적응, 사회적 지지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수행회피목표는 대학생활적응,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행접근목표는 대학생활적응, 사회적 지지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활적응과 사회적지지 간에는 하위변인 모두가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지향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 중 숙달목표와 수행회피목표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지지 제공자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변인인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가 모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수지지의 매개효과가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맞벌이 가족 자녀의 보육실태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맞벌이 공무원을 중심으로

        박금주 大田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맞벌이 가족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어떤 보육 서비스를 요구하는지에 대한 파악이 별로 없다. 맞벌이 가족을 위한 보육시설의 확충이나 질적으로 우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보육서비스 요구와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근무하는 맞벌이 공무원을 대상으로 맞벌이 가족의 자녀보육 실태와 보육관련 변인을 알아보아 보육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맞벌이 부부는 만3세 미만의 자녀에 대해서는 주로 가정에서 개인(가족)보육을 하며 그 이후에는 시설보육을 이용하거나 개인보육과 시설보육을 병행하고 있다. 이들이 원하는 보육유형은 전적으로 보육시설을 이용하기 보다는 가족이 하루의 일부 시간을 돌보며 나머지 시간에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것이다. 가족(개인)보육의 보육료는 20∼5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 보육시설의 보육료는 영·유아 차이가 있으나 10∼20만원 정도였다. 맞벌이 가족은 자녀의 보육료로 15∼20만원을 지불할 의사가 많았는데, 이는 표준보육단가보다 높은 금액이다. 둘째, 보육유형은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확대가족집단일수록 가족보육이 많으며 핵가족일수록 가족과 보육시설을 병행하거나 종일제 보육시설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영아일 때 외동이인 경우는 가족보육을, 두명 이상일 때 보육시설을 이용하거나 대리양육자에게 맡기는 비율이 높으며 자녀가 두 명 이상일 때 만3세∼만6세 자녀를 대리양육자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 자녀 연령이 어릴 때 소득이 상위인 집단은 가족과 보육시설을 병행하고 있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만3세∼만6세 자녀를 대리양육자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은 반면 보육시설은 적게 이용하고 있었다. 소득이 낮은 집단은 소득이 높은 집단에 비해 보육시설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부모의 연령이 적을수록 만3세 미만 자녀를 가족에게 맡기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모의 연령이 많을수록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만3세∼만6세 자녀인 경우 부모의 연령이 적을수록 보육시설을 이용하며 부모의 연령이 많을수록 가족이 돌보거나 대리양육자에게 맡기는 경향이 많았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영아를 대리양육자에게 맡기는 경향이 많았으며 만3세∼만6세 자녀는 학력이 낮을수록 보육시설을 이용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가족과 보육시설을 병행하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셋째, 맞벌이 부부들은 보육시설이 집가까이에 있어 직장의 스케쥴에 맞추거나 특별한 요구에 적합하기를 원하고 있다. 또한 보육프로그램의 내용으로 만3세 미만은 안전한 보호를 우선적으로 원하며 만3세 이상이 되면서 점차 기본생활습관과 태도 형성, 사회성 발달에 대한 높은 요구를 표시하였다. 교사 대 아동의 비율은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더 개별적인 보호를 원하고 있으며 운용시간으로는 융통성 있는 시간제를 가장 선호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