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박근양 협성대학교 일반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협성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근양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각 변인이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여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을 도울 수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문제는 총 세 가지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성평등의식은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성역할정체감은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는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남편으로부터 폭력피해를 당한 여성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피해 여성들이 가해자인 남편으로부터 벗어나 자립의지를 향상시켜 주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피해 여성들이 성평등의식, 성역할정체감, 사회적 지지가 어느 정도인지 살펴봄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립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가에 대해 접근하는 데 의미를 두고자 하였으며, 피해여성들의 자립의지에 증진시키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해당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지역, 일부 지방 소재 가정폭력상담소, 보호시설, 1366센터에 거주하고 있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가설 1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성평등의식이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을 것이다’에 대한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평등의식 하위요인 중 비가정생활(직업생활)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2인 ‘양성적인 성역할정체감을 가진 가정폭력 피해여성은 그렇지 않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비해 자립의지가 높을 것이다’. 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양성적인 성역할정체감은 자립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 3인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립의지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론적 함의를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에 미치는 성평등의식은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립의지를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폭력 상담소, 보호시설에서 성평등의식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성평등의식은 사회의 관습화된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로도 내재화되어 사회전반에서 성평등한 사회문화가 조성되어야 하는 방안도 마련되어야 한다.

      • 중학생의 PC 스포츠 게임 참가와 스포츠 참여의 관계

        박근양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정보화와 산업화로 인해 급격히 발달하는 컴퓨터 산업에 발맞추어 증가하고 있는 PC 스포츠 게임에 참가하는 청소년 중 중학생의 PC 스포츠 게임 참가 동기, 참가 정도, 참가 종목 유형 등과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PC 스포츠 게임 참가와 스포츠 참여의 관계에 있어서 질적 발전에 필요한 자료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중학교 1, 2, 3학년 학생 중 PC 스포츠 게임에 참가하는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동, 서부 교육청 소속 중학교로 나누어, 유층 집락 무선 표집법을 이용하여 남, 여학생 45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T-검정, 분산분석 등으로 통계처리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 참여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첫째, 성별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은 참여도를 보였으며, 남자는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자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1학년은 행동적 참여와 인지적 참여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고, 2학년은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3학년은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적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상’ 수준에서는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중’ 수준에서는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하’ 수준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경제적 생활수준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살펴보면, ‘상’ 수준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고, ‘중’ 수준에서는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하’ 수준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2. PC 스포츠 게임 참가 동기는 스포츠 참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PC 게임 자체가 좋아서’ 에서는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서’ 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스포츠를 좋아해서’ 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여가를 보내기 위해서’에서는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자기만족을 위해서’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3. PC 스포츠 게임 참가 정도는 스포츠 참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첫째, PC 스포츠 게임 참가 기간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개월-6개월’에서는 정의적 참여,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6개월-1년’에서는 인지적 참여와 행동적 참여가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1년-1년6개월’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1년6개월-3년’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3년 이상’ 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PC 스포츠 게임 참가 빈도에 따른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가 빈도가 ‘1회-2회’ 는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2회-3회’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3회-4회’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4회-5회’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고, ‘5회 이상’ 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PC 스포츠 게임 참가 강도와 스포츠 참여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가 강도가 ‘1시간 이하’ 에서는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고, ‘1시간-2시간’에서는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2시간-3시간’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3시간-4시간’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4시간 이상’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4) PC 스포츠 게임 참가 종목 유형은 스포츠 참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에서의 PC 스포츠 게임 참가 종목 유형과 스포츠 참여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던 연구로 사료된다. ‘개인 스포츠 게임’ 에서는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고, ‘대인 스포츠 게임’ 에서는 행동적 참여, 인지적 참여, 정의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체 스포츠 게임’ 에서는 정의적 참여, 인지적 참여, 행동적 참여 순으로 나타났다.

      • 운동유형이 비만 여고생의 아포 지단백 A-I, B와 C-반응성 단백, 적혈구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

        박근양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운동습관을 가지고 있는 않은 비만 여학생을 대상으로 운동유형별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신체조성, 혈중지질, Apo A-Ⅰ, Apo B 및 CRP, ESR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소재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BMI 25㎏/㎡ 이상인 비만 여학생 31명을 유산소 운동군 10명, 저항성 운동군 10명, 복합운동군 11명으로 각각 분류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16주 간, 주 3회, 매회 50분 간 하였으며, 유산소 운동은 트레드밀을 이용하였고, 저항성 운동은 탄성밴드를 이용한 탄성저항 운동으로 하였으며, 복합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저항성 운동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운동유형별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신체구성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체중과 BMI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체지방률은 복합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혈중지질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TC는 유산소 운동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은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G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복합운동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LDL-C는 유산소 운동군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군과 복합운동군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HDL-C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과 복합운동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Apo A-Ⅰ, Apo B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Apo A-Ⅰ은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Apo B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CRP, ESR 운동프로그램 수행 후 CRP는 유산소 운동군,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ESR은 저항성 운동군, 복합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측정요인 간 상관관계 운동 프로그램 수행 후 혈중지질, Apo A-Ⅰ, Apo B, CRP, ESR등의 측정요인 간 상관관계에서 TC는 LDL-C와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LDL-C는 HDL-C와 유의하게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TG는 HDL-C, Apo A-I, ESR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산소 운동군은 체중, BMI, LDL-C, Apo A-I, CRP에서 의미있는 개선이 나타났다. 저항성 운동군은 체중, BMI, Apo A-I, CRP, ESR에서 의미있는 개선이 나타났고, 복합운동군은 체중, BMI, 체지방률, Apo A-I, CRP, ESR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 실시한 운동유형별 운동프로그램은 비만 여고생의 비만 개선 및 혈관계와 염증 개선에 효과적인 도구로서의 가치가 충분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Apo A-I, Apo B and CRP, ESR of obese high school girls with no exercise habits,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different types of exercise program. For this study, thirty one obese high school girl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rom a high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erobic exercise group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of 10 students each, and combined exercise group of 11 students. The first group took aerobic exercise with treadmills and the second group had a resistance exercise with an elastic band. The last group did both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All programs were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50 minutes at a time for 16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ody Composition After the exercise session, Body Weight and BMI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three groups but %Body F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2) Serum lipid Although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TC tended to increase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and decrease in the resistance and combined exercise group after the exercise session. TG tended to decrease in the aerobic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and increase in the combined exercise group. In case of LDL-C,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erobic exercise group but in the other two groups, there was only a tendency to decrease. HDL-C had an increasing tendency in all three groups but th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3) Apo A-I, Apo B After the exercise session, Apo A-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groups but Apo B didn'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though it had a tendency to decrease. 4) CRP, ESR After the exercise session, CR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groups but ESR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nly in the resistance and combined exercise group. 5) Correlation between measuring factors After the exercise sessi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measurement factors like serum lipids, Apo A-I, Apo B, and CRP, ESR. TC had a significantly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LDL-C, which had a significantly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HDL-C. TG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 Apo A-I and ESR. In summary, the aerobic exercise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Bodyweight, BMI, LDL-C, Apo A-I, Apo B and CRP but the resistance exercise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dyweight, BMI, Apo A-I, CRP and ESR. In case of the combined exercis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Bodyweight, BMI, %Bodyfat, Apo A-I, Apo B, CRP and ESR. To conclude, it was shown that the different types of exercise programs implemented in this study are of great value as an effective tool for improving the blood vessel system and reducing obesity and inflammation of obese high school girls.

      • 여고생들의 무용 교육에 대한 인식 실태 조사

        박근양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master's thesis is to provide foundation methods of dance deucation at high school.Moreover, I really want to every teenagers make a good condition of Physical and mental throughout school yeas. To achievement of this purpose, made a survey of teenager's recognition of dance education. This master's thesis reaches the conclusions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and procedure. 1. Research recognition of high school girl's dance education with survey. 2. Use SPSS and frequency Program to calculate the differences of each high school students. 3. Analyze results of survey and present upright dance education' course. As a result of the surveym most of teenager's students like a dance education and are concerned with foreign dance. However, high school education's policy is only focus an entrance examination of university. This policy interrupts development of teenager's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High school's dance education makes well adjusted and initiative mind of students. To maximize this political measure, dance education course must becaome independent course at physical education program and also make a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of dance education.

      •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분석

        박근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모바일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있으며 그 변화는 우리 생활 전반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 중 교육 분야에서는 최근 외국어 교육을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는 모바일기기에 매우 익숙한 학습자들이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학습을 원하지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수준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교육은 기존의 교육방식과는 다르게 학습자가 선택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학습자가 이용하는 모바일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학습의 질이 결정된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은 학습콘텐츠의 내용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모바일기기의 여러 가지 특징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방식과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136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용 웹사이트와 언어 교육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의 분석도구를 기초로 3개의 영역(구성요소, 교육내용, 운영방식)으로 나누어서 애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구성요소의 영역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목적, 가격, 이미지, 입출력장치 활용, 이용자편의성을 항목으로 제시하고 각 항목에 따른 분석기준을 선정하였다.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일반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으로 편중되어 있었고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구체적인 목적을 가지고 개발되었기 때문에 교육목적을 밝히지 않았다. 모바일기기의 특성으로 볼 때 동영상을 이용한 콘텐츠와 그래픽요소들은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사용률이 높지 않았고 오히려 오디오나 레코더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았다.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전문 제작자가 아닌 개인학습자가 제작하였기 때문에 기술적 한계가 드러났다. 교육내용 영역의 분석결과 어휘학습과 자모학습용 애플리케이션이 학습자들에게 가장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이 초급 학습자들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초급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중급이나 고급으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필요하다. 비전문가나 외국인 학습자에 의해 제작하는 경우 여러 가지 오류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한국어를 처음 접하게 되는 외국의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주지 않도록 이를 감독하거나 관리할 기관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학습내용의 분량에 대해서도 검토가 필요하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려는 다양한 학습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단계를 선택하여 학습하기 위해 진단테스트가 필요하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은 학습자의 진행도를 통계자료로 만들어서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사용하는데 이를 통해 학습을 유도할 수 있지만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간단한 게임을 활용하여 과제물로 이용하는 경우도 모바일을 활용한 교육에서는 활발한 학습을 유도할 수 있었다. 운영방식의 영역에서는 상호작용과 구현방식 그리고 지원체제를 살펴보았다. 상호작용 학습은 유용한 장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규모의 사용자와 운영자를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드러났다. 그리고 인터페이스에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이나 즐겨찾기 같은 유용한 기능들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증가하고 있었다. 구현방식에서의 특징은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 학습자가 학습순서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었고, 학습자가 자신의 발음을 원어민과 비교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를 구비하였다. 모바일기기가 가지고 있는 개별성을 바탕으로 맞춤형 교육을 지원하거나 개인별로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없었다. 애플리케이션의 지원체제에서도 학습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들(멀티미디어 요소들의 활용, 실시간채팅방, 게시판 등)이 부족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재 운영 중인 많은 한국어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부족한 부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개발되는 한국어 교육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을 설계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