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박귀자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에 심각하게 거론되는 문제는 자연생태계의 파괴이다. 따라서 환경문제는 경제성장과 더불어 인류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유아교육이 우리의 현실에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유아교육 담당자인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요구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에서 생태유아교육의 인식 및 실천정도를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을 실천하는데 따르는 문제점과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이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수원시에 있는 18개의 어린이집 학부모와 25개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1월 30일부터 배부하여 2월 15일에 배부된 질문지를 회수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사와 학부모의 교차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실제빈도를 분석하여 차이를 파악하고 질문지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을 실시하여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는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은 잘 알지 못했지만 용어를 들어 본 사람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생태유아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 조사대상자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생태유아교육의 운영방향과 유아교육을 생태유아교육으로 방향 전환하는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년기에 시골에 거주한 기간에 따라 자녀교육의 유익성에 차이를 나타냈는데, 거주기간이 5년 이상인 학부모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학부모는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사대상의 원에서는 결과에서 보듯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태환경의 조성과 교사와 학부모의 생태유아교육 연수 등을 통한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미래를 짊어지고 나아갈 유아의 교육에 정부도 적극적으로 나서 프로그램 개발과 생태유아교육의 적극적인 홍보와 시행이 요구되며 생태환경조성의 어려움이 있다면 생태환경이 조성되어있지 않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대안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In recent years the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natural ecology is said to be serious. Therefore, the problem of protecting environment while having economic growth is an urgent problem awaiting solution. 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try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o introduce ecological education in preschool. Parents and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is kind of education. For this study, written inquiries were passed out to parents of students in 18 children's houses and teachers of 25 children in Suwon. They were distributed on 30, Jan. and collected on 15, Feb. The analysis of data , which was done by using a SPSS 12.0 program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f practical frequency of two groups through cross analysis. Also in order to look into the adequacy and confidentiality, chisquare verification was do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is term, preschool education on ecology is well known to many parents and teachers but they don't know what the ecological preschool education program is. Most of them think this education will be effective and they are positive in introducing ecology to pre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the period spent in the country in childhood, the usefulness of ecological education is different. Parents with over five years are more satisfied than under a year. For that reason, many questions need to be solved without delay. Special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positive information are needed by people related to education. That is, teachers, parents and authorities. And if not made, the situation for ec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preschool education must consider a substitute.

      •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발달 과정에 관한 생애사적 연구

        박귀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사가 자신의 직업전문성을 어떻게 계발시켜 나가는지 그들 자신의 관점으로 파악하여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발달과정을 이론적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발달 과정을 생애사적 관점에서 규명하고, 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그 특성을 개인(I)-영역(D)-분야(F)의 체계적 접근 모형에 의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비확률표집-목적표집-눈덩이 표집에 의한 동료추천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현재 자신의 활동 영역에서 뛰어난 수준의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두 명의 평생교육사를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사된 자료는 영역분석과 분류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의 생애를 통해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주요생애사건을 추출한 결과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이 총 4단계로 구분되었다. 1. 토대를 마련하기 : 이 단계에서는 개인의 호기심 및 관심에 의해 평생교육이라는 영역을 발견하고 형식교육과정을 통하여 평생교육 전공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2.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적응하기: 이 단계는 평생교육사로 입직하게 되면서 자신의 직무에 익숙해지기 위하여 현장에서 다양한 업무를 학습하게 된다. 동시에 이전 단계에서 습득한 평생교육 전공 지식들을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성과를 창출하기도 하고 이론적 지식과 현장 지식의 간격을 확인하게 된다. 3. 갈등을 통해 성장하기: 이 단계에서 평생교육사는 다양한 조직적 혹은 개인적 차원의 갈등에 처하게 되며 평생교육사로서의 발달 위기를 경험한다. 이 시기를 넘어서면서 평생교육사는 한 단계 더 성장하게 된다. 4. 실천적 지식을 기반으로 성숙하기: 이 단계에서 평생교육사는 현재의 모습에 안주하지 않고 평생교육사로서의 매너리즘을 경계하며 자신의 성장을 지속시켜나가게 된다. 둘째, 체계적 접근 모형을 토대로 개인(I)-영역(D)-분야(F)로 연구 참여자들의 생애사건을 분석함으로써 직업전문성 발달 과정에 영향을 미친 요인 및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살펴볼 수 있었다. 모두를 종합할 때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발달과정은 개인 혹은 영역의 한 가지 요인으로만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계발해 나가기 쉽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문성을 인정받는 평생교육사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어떤 단계에서는 ‘영역’의 영향을 덜 받았지만, 활발한 ‘개인’과‘분야’의 상호작용으로 자신의 전문가 역량을 계발해 나가게 되는 것처럼 반드시 모든 발달 단계에 개인(I)-영역(D)-분야(F)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평생교육사는 개인(I)-영역(D)-분야(F)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때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계발시켜 나가게 된다. 하지만 개인(I)-영역(D)-분야(F)가 균등하게 상호작용 하지 않을 때도 자신의 역량을 계발시켜 나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요한 것은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한 역량을 계발하는 데 개인(I)-영역(D)-분야(F)의 상호작용은 최적의 상황에서도 또 위기의 상황에서도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는 역동성에 의해 전문가로서의 역량이 계발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전문성을 인정받는 평생교육사가 되기 위해서는 역동적인 개인(I)-영역(D)-분야(F)의 상호작용과 함께 전문가로 성장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도적인 노력이 중요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사의 직업전문성 발달과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최고 수준의 평생교육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사로서의 가치관, 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동기,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태도 등과 같은 정의적·행동적 특성의 보유가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둘째, 누구라도 평생교육 전문가가 되고자 하는 강한 성장 욕구를 지니고, 부단한 노력을 하게 된다면 얼마든지 뛰어난 수준의 평생교육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 셋째, 평생교육사에 대한 전문가적 인식 제고를 위해서 다양한 평생교육 영역에서 뛰어난 성과를 창출한 평생교육사의 사례를 널리 홍보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생의 정보보호 인식 개선을 위한 역할놀이 교수․학습모형 개발

        박귀자 부경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little awar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since they do not have many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educa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Subsequently, they unwittingly expose their own information to others as well as that of others, and then put themselves and others at risk. In this thesis, we provide an idea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hic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quire information security and management methods and raise their practical skills in privacy protection and contents right protection. Hence we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based on role-play to enhance the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nection with variou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ctivities and establish the instruction plans. In addition, we have brief reports on the model application to classes at grade five and six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ectively, and finally analyze the results. The propo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shows that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a series of learning activities have gained higher learning effects on awareness of privacy protection and contents right protection than those learn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귀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program for heightening learning motive on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n class as single subject experimental design, and the detailed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self-confidence passion, and expectation for success of those children. As for the subject of the study, 3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n learning, who are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in Daegu as six grade students, and the test period lasted from March 7, 2006 to April 29, 2006. The test was conducted for the total of 18 times, twice a week for 9 weeks, and it took 40 minutes for one test every term. The training program which was used, was made by reorganizing the effect of program for heightening learning motive on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by Kim Nam-Ok(1991) suited to the school year of the subjects of the test. As for an assessment tool for finding out the changes in their learning attitude, only the contents of the sub-area of a learning activity test paper by Shim Jae-Sun(1996) and of a learning attitude test paper by Choi Sun(2004) were extracted according to my intention, and prior and post tests were conducted with the contents. And then, the trend of the changes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Likert 5 type rating measures, and this was expressed with a table and a bar graph by converting them into percentile.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attitude of the children were observed and recorded every term, and were subject to a qualitative analysis. The Conclusion attained from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rogram for heightening learning motive on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s effective in heightening the self-confidenc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n learning by making them realize that they have their own strength, and they can be good at studying. Second, the effect of program for heightening learning motive on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s effective in heightening the passion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n learning by having them realize the reason why they need to study through activities of establishing short-to-long-term education goals for materializing their dream. Third, the effect of program for heightening learning motive on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s effective in heightening the expectation for success of children with underachieved in learning by letting them have successful experience and success case by having them make their business card with a job that they dream to have, and creating the sense of expectation that they can achieve anything if they concentrate on something.

      • 설득하는 말하기에 관한 연구

        박귀자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설득하는 말하기에 관한 연구

      •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만족도 및 학교조직건강간의 관계

        박귀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i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perceived level of their school's organizational health. The following 3 research questions were discuss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satisfaction Second, the perceived level of organizational health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perceived level of organizational heal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teachers who worked for schools located in the Chonbuk Province. They were sorted according to selected variables such as sex, position, career etc. The statis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modified for this particular study. The SPSS/PC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such as t-test, ANOVA, correction and regresson etc.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ow level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y middle school teachers'. To enhanc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their school requires a modification of the legal system and more open communic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exchange of inform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above the median for participation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but that their satisfaction was low with regards to the kind of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management committees and community related organization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needs to be a reasonable level of leadership within the school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level of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s there is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dership of principles and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a school. Fourth, If decision-making is carried out by open and democratic procedures and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rogress takes a teachers' expertise into consideration,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results for these teachers. In conclusion, there is a certain positive correlation not only between th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but also between the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and the level of teachers'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ability and a measure of discretion could increas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health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a decision-making system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health in future.

      • 중등교사의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박귀자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의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여 교사의 승진욕구가 어느 정도 직무만족에 영향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제적인 자료를 얻음으로써 교육의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사기와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의 탐색과 학교 교육 목표 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첫째, 교사의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교사의 승진욕구가 성별, 경력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성별, 경력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들은 조사 연구를 통하여 규명되었다. 자료는 승진욕구에 관련된 설문 20문항과 직무만족도에 관련된 설문 20문항을 사용하여 수집되었다. 표집 조상대상은 서울특별시내 근무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교사 330명이었다. 자료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승진욕구의 차이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고, 직무만족도에 있어서도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았으며,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와는 정의 관계를 보였다. 즉 승진욕구가 높아질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교사들에게 승진욕구는 업무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승진욕구의 하위 변인인 승진규정 및 제도에 대한 관심도는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인들 중 인간관계와 행정 체제 변인과 높은 상관을 나타내며 연수 성적 평정에 대한 관심도는 행정 체제 변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태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근무 평정 및 가산점에 대한 관심도와 근무 태도 및 기타는 행정 체제와 인정 지위 변인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교사들의 승진욕구를 측정하는 4개 변인들 모두가 직무만족도를 측정하는 7개의 변인들 중에서 행정 체제와 가장 높은 상관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교사의 승진이 행정 체제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교사의 성별과 경력별에 따른 승진 욕구의 변량 분석 결과, 성별과 경력별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3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여교사 집단의 승진욕구 평균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21-30년 사이의 경력을 가진 남교사 집단의 승진욕구 평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1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여교사가 다른 집단에 비해서 현저하게 낮은 승진욕구를 보이는 이유는 각 종 승진 유인체계의 미비 및 남교사와는 달리 가사 및 양육 등 학교외적 인 업무에 기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성별과 경력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승진욕구 변량 분석 결과와 동일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남자 교사의 경우 20-30년의 근무 경력을 가진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직무만족도를 갖고 있으며 여자 교사의 경우에는 31년 이상의 근무 경력을 가진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에서 낮은 직무만족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가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는 상관 분석 결과에 동일한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높은 승진욕구를 보이는 교사 집단에서는 높은 직무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반대로 낮은 승진욕구를 보이는 교사 집단에서는 낮은 직무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학교업무를 파악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는 경력이 21-30년 인 남녀 교사들은 학교조직에서 강한 동기를 부여 받고 미래지향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성취동기수준이 강화되어 승진욕구와 직무만족도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 父·母의 學歷에 따른 男女 學生의 自我槪念 水準에 관한 硏究

        박귀자 東亞大學校 敎育大學院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self-concept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reference to parental formal education and their school, years, and at finding out the difference in subfactors of self-concept such as, behavior, intellectual and school status, physical appearance and attributes, anxiety, popularity,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parental form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28 male and female students ranging from the fourth grade in prim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the tool is Diers-Harris Children's Self-Concept Scale From the results and discusaion conslus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self-concept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ppears more positive when their parent's formal education is high. The increase of positive self-concept according to high parental formal education is revealed as a similar tendency in each level of father's and mother's formal education. 2. The level of positive total self-concept based on the improved parental formal education h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The influence of parental formal deucation on the total self-concept both in male students and in female students is regarded as the same in each case. 3. In the level of self-concept considering each subfactor according to parental formal education,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In case of male students, subfactors such as behavior, intellectual and school status, physical appearance and attributes, popularity, and happiness and satisfaction show positive increase according as parental formal education is high, but anxiety shows no difference with reference to parental formal education. In case of female students, subfactors such as intellectual and school status, physical appearance and attributes, popularity, and anxiety show positive increase according as parental formal education is high, but behavior subfactor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erence in accordance with father's formal education and subfactors such as behavior, satisfaction and happiness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with mother's formal education. 4. Considering school years as analysing units, the levels of self-concept in male and female students no difference from the fourth grade in prim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 우리나라 消費者敎育에 關한 實證的 硏究

        박귀자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industry progresses, new commodities are being produced in this age in which he public's propensity for consuming is continuous to increase. Consumers are apt to be lose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marketing of various new commodities which they tend to buy without any knowledge of them. Therefore, it is most important for consumers to have more knowledge of goods and commodities to prevent themselves from inferior products. Several developed countries have attempted to make consumer education a compulsory subject for study in schools, but in Korea we still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direction toward consumer education in the home, schools and throughout society. This paper also makes reference to internal and external literary sources and is supported by the results of a survey of more than 300 housewives in Seoul. This survey on consumer behavior was conducted in view of the following important factors: 1) Educational background 2) Residential area 3) Length of marriage 4) Social position 5) Attitude toward consumption 6) Experience in consumer education (in school or the rest of society)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has been determined that among the above factors the length of marriage most influences consumer behavior followed by attitude toward consumption and residlential area. Conversely, educational background and experience in consumer education were found to least influence consumer behavior as only 18.8 percent of the 300 housewives had experience in consumer education. Judging from this, the knowledge of consumer education in our country should be improved and concentrated for those who have been married for a short periods of time. Additionally, the educ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better attitude toward consumption. Concerning residential areas, apartment living seems to have a greater influence in increasing higher consumption in contrast to living in private homes. Most consumer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nsumer education but tend not to take any action to develop such courses. For example, the fact that many people continue to buy items without any real knowledge of them indicates the lack of any change. Consequently,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points: 1) The object of the home training should include the whole family not only children but also the husband. and it should be done through positive methods. 2) In shcool, consumer education should be taught with other related subjects of practical exercises, meetings, exhibitions, etc. 3) The organization for consumer protection should establish an educational department for consumers and it should expand scope of its protection. And its role should be focused on testing goods making publications and effective use of mass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