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리운동과 단백질 섭취가 하지근육 감소 노인의 근 두께, 근 긴장도, 균형 및 발목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

        박광덕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다리운동과 단백질 섭취가 하지근육 감소 노인의 근 두께, 근 긴장도, 균형 및 발목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향 박광덕 지도교수: 김용남 남부대학교 대학원 통합의학과 본 연구의 목적은 다리운동과 함께 적용한 단백질 섭취가 하지근육 감소 노인의 다리근육의 두께와 밀도, 백색영역지수, 근 긴장도, 균형, 발목 위치감각에 미치는 영 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총 36명으로 집단 I: 다리운동 단백질 섭취 병행군 12명, 집단 II: 다리 운동군 12명, 집단 III: 단백질 섭취군 12명으로 무작위 대조방식의 제비뽑기 방 식으로 분류하였다. 중재기간은 하루 50분 씩 주 5회 총 8주 간 중재하였으며, 실험 전과 8주 후의 집단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하였고, 8주 후의 집단 간 변화 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을 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를 이용하 였다. 통계적으로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 하였다. 첫째, 앞정강근과 장딴지근, 가자미근의 두께의 시기 별 변화는 실험군 I, II, III 의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8주 후에 집단 간 변화에서도 통계학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장딴지근의 밀도와 백색영역지수의 시기 별 변화는 실험군 I, II, III의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8주 후에 집단 간 변화에 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장딴지근의 주파수의 시기 별 변화 는 실험군 I, II, III의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8주 후에 집단 간 변화 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강성과 변형율, 원형 회복속도는 집단 내 변화는 실험군 I, II의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8주 후에 집단 간 변 화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눈뜨고 양발 서기 시 왼쪽, 오 른쪽, 앞, 뒤쪽의 안정성, 눈뜨고, 눈감고 압력중심 이동면적, 눈뜨고, 눈감고 압력중 심 이동길이의 집단 내 변화는 실험군 I, II의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8 주 후에 집단 간 변화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발목의 위치감각은 실험군 I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8주 후에 집단 간 변화에서도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보면 다리운동과 함께 단백질 섭취는 다리근육의 감소가 있는 노인의 다리근육 두께와 근 긴장도, 균형, 발목 위치감각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에 다리근육의 감소가 있 는 노인의 신체 기능개선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활용 가능성과 기초자료로 제시한 다.

      • 해수담수화 막 증류 공정에서 분리막 오염 예측을 위한 수치해석 연구

        박광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해수담수화 공정 중 전통적인 증류식 또는 역삼투 공정을 보완 대체 가능한 기술 중 하나인 막 증류 공정을 연구하였다. 특히 막 증류 공정에서 해수 내 주요 스케일 유발 물질인 탄산칼슘(CaCO3) 및 황산칼슘(CaSO4) 수용액에 의한 막 오염 영향을 예측하고, 해수 내 주요물질인 염화나트륨(NaCl)의 농도 및 온도별 운전조건에 따른 분리막 흡착량 산정 및 수치해석을 제시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막 증류 공정에 사용한 분리막은 PVDF(Polyvinylidenefluoride) 평막을 활용하였으며, 막 증류 공정의 종류는 DCMD(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공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소수성 분리막의 흡착량에 의한 수투과도 감소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25~80℃), NaCl 농도(5~100 g/L)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DCMD 공정으로 CaCl2·2H2O(22mM)와 NaHCO3(5.6mM) 혼합인공해수에서 형성되는 CaCO3의 영향과 CaCl2·2H2O(22mM)와 Na2SO4(62.5 mM) 혼합인공해수에서 형성되는 CaSO4의 영향을 수투과도 감소 정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RO(Reverse Osmosis) 농축수, MED(Multi-effect desalination) 농축수의 수투과도 감소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조건별 수투과도 감소 결과를 활용하여 물질전달 저항식(The transport resistance equation)과 실증 수투과도 감소 모델(Empirical flux decline model, EFD)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DCMD 공정에서 온도 및 농도 조건별 NaCl의 흡착량 산정, 수투과도 감소 영향 평가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분리막 내 흡착량 산정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CaCO3가 형성되는 합성해수와 CaCO3, CaSO4가 동시에 생성 가능한 합성해수의 수투과도 감소는 물질전달 저항식과 EFD에 높은 일치율을 보이지만, RO 농축수와 MED 농축수의 수투과도 감소 결과는 일치율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제 고농도 해수의 수투과도 감소는 온도분극 현상에 의한 영향뿐만 분리막 흡착에 의한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되어 이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 전, 후 분리막 흡착량 측정 및 SEM 분석을 통해 NaCl 흡착량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온도와 농도에 따른 흡착 수치해석을 통한 예측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tudied the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which is one of the technologies known to be able to supplement or replace the existing distillation or reverse osmosis process among seawater desalination processes. In particular, in the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the effect of membrane fouling by aqueous solutions of calcium carbonate (CaCO3) and calcium sulfate (CaSO4), which are major scale-inducing substances in seawater, was confirmed and predicted. Also, the purpose is to calculate the adsorption amount and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operating conditions. In this study, PVDF flat membrane was used as the membrane used in the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and the DCMD process was used as the type of membrane distillation process.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adsorption amount of the hydrophobic membrane,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temperature to 25~80℃ and the concentration of NaCl to 5 ~ 100 g/L. Using the DCMD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permeability of high-concentration CaCO3 and CaSO4 synthesized seawater, RO concentrated water, and MED concentrated water decreased. The applicability of this result to the transport resistance equation and empirical flux decline model was evaluated. In addition, the adsorption amount of NaCl was calculated and the water permeability reduction effect was evaluated under various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conditions in the DCMD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a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adsorption amount. The reduction in water permeability of CaCO3 / CaCO3, and CaSO4 synthesized seawater showed a high agreement between the transport resistance equation and empirical flux decline model, but the agreement rate was very low between the RO concentrated water and the MED concentrated water. It is judged that the actual decrease in water permeability of high-concentration seawater may have other effects as well as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polarization phenomenon, and the effect of the adsorption of the hydrophobic membrane was confirm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aCl adsorption through measurement of membrane adsorption and SEM analysi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ediction through adsorption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is possible.

      • 사회복지 시설장의 제도적 환경 인식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 : 노인 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박광덕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사회복지시설장의 제도적 환경 인식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리더십의 조절효과 분석: 노인 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본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조직의 제도적 환경변화는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제도주의 이론(theory of institutionalism)을 배경으로, 리더십이 조절변수(moderator)로서 제도적 환경인식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분야는 제도적 환경의 역동성을 잘 파악할 수 있어야 하므로, 오늘날 사회복지분야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고 있는 노인 장기요양제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장기요양기관 중에서 비교적 규모가 큰 수급자 30인 이상을 수용하는 입소시설들이며, 연구 분석의 수준(unit of analysis)은 개인이 아닌 조직단위를 분석의 단위로 한다. 자료수집에 있어서는 개인시설과 법인시설을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법인시설의 경우에는 (사) 00중앙회의 도움을 받아서 이루어졌다. 800여개 정도에 이르는 전체 회원들을 대상으로 (사) 00중앙회가 연구주제에 대한 취지 등을 설명하는 공문과 함께 설문지를 보내서 회수하는 우편설문을 실시하였다. 법인시설의 경우에는 134개의 기관이 참여하여 회수율은 16.7%이었다. 반면에, 개인시설은 서울과 경기도의 일정규모(30인 이상 입소시설) 이상의 시설들 596개를 모집단으로 하여 150개 시설의 표본을 선정하고 이 중에서 개인시설들 만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71개의 시설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는 데, 최종 수거된 개인시설의 설문지 회수율은 78.9%이었다. 법인시설과 개인시설에 대한 설문조사의 실시기간은 2013년 9월 30일부터 2013년 10월 20일까지의 기간에 이루어졌다.다음은 주요한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이다.첫째, 조직의 제도적 환경(institutional environment)이 조직성과(organizational performance)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직 동형화(organizational isomorphism)의 유형 중에서 규범적 동형화(normative isomorphism)가 조직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힘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규범적 동형화는 전문성(professionalism)을 중요시 여기는 관점으로 응답자인 리더 자신의 전문성과 조직의 전문성을 포함하는 것을 조직 동형화의 요인으로 구성하며, 이것은 조직성과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이것은 현재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전문성이 문제시되고, 요양서비스의 질적 제고가 논의되는 맥락과 관련되는 점으로 생각된다. 모방적 동형화도 조직성과에 유의미하였는 데, 그 영향력이 규범적 동형화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았다.이러한 강제적 동형화와 모방적 동형화가 조직성과와의 관계에서 유의미하지 않거나 중요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를 생각해 보자. 연구자는 금번의 경험적 조사를 수행하면서 장기요양기관을 직접 방문하고, 시설장 혹은 시설의 오너들을 면담하면서 많은 귀중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설문조사과정에서 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엇던 것은 현재 노인장기요양제도가 현장과는 괴리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장기요양기관을 운영하는 리더들은 정부를 대신하여 시설운영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지원은 없을 뿐만 아니라, 자신은 전재산을 투입하여 생업으로 삼고 전력을 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오히려 규제만을 강화하려는 방향에 대하여 커다란 반감을 보였다. 이러한 정부규제에 대한 반감이 정부규제와 지침에의 반발로 나타나며, 실제로도 그러한 정부규제가 시정경쟁적인 체제인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에서는 성과와는 관련이 없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둘째, 리더십이 조직성과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리더십의 유형들 중에서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과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은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구자가 노인 장기요양기관에서 활동하는 리더들을 상정하고 새롭게 유형화한 제도적 리더십(institutional leadership)의 영향력은 조직성과와의 관련성이 없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거래적 리더십의 영향력이 변혁적 리더십 보다 강하였다. 즉, 성과중심의 리더십이 부하직원에 대한 세심한 배려를 중심으로 동기부여와 비전제시를 중시하는 리더십 보다는 현재 노인 장기요양서비스에 있어서 조직성과에 보다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리더십 속성의 하위요인들을 모두 투입하여 조직성과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동기부여(inspirational motivation)만이 통계적으로 조직성과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며, 관심의 대상인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속성들인 상황적 보상(contingent rewards)과 예외에 의한 관리(management by exception)는 p<.09에서 유의미하여서 보다 관심을 갖고 연구될 필요성이 있었다.그리고 연구자는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하여 현재 노인 장기요양기관의 현장에서 활동하는 리더들을 유형화할 수 있었다. 설문에 응답한 159명의 리드들의 리더십 유형을 구분한 결과, 가장 많은 유형의 리더들은 변혁적 리더들로 나타났으며(총 62명, 전체의 39.0%), 다음으로 제도적 리더(49명, 30.8%)와 거래적 리더들(48명, 30.2%)의 순이었다. 이들 변혁적 리더들은 카리스마를 갖고 부하직원들을 동기부여시키며, 지적인 자극을 즐겨하고, 개별적인 배려가 높은 성향의 사람들을 말한다. 이에 반하여, 거래적 리더들은 규칙과 기준의 일탈자에 관심을 갖고 이에 대한 교정적 행동을 하고, 구성원들의 노력에 대한 보상을 강조하는 성과중심의 리더들이다. 또한, 제도적 리더들은 과거지향적 성향을 가지며, 조직의 비전과 가치를 중시하면서도 내부적 관리보다는 외부적인 관계와 정치성에 관심을 가지는 리더들이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분석결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른 리더십에 비하여 유의미하고도 중요한 것은 현재 장기요양기관들의 조직환경하에서는 비교적 쉽게 수긍이 간다. 왜냐하면, 현재 장기요양기관들은 정부보조금 등의 정부지원 없이 자체적인 자원을 갖고 시장경쟁적 환경속에서 운영하기 때문이다.이렇게 분류한 리더십 유형을 통하여 조직성과와 조직 동형화에 대한 평균값의 차이를 검증해 보면, 리더십의 유형별로는 평균값의 차이가 유의미함을 알 수 있다. 거래적 리더의 조직성과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의 변혁적 리더의 조직성과, 그리고 제도적 리더들의 조직성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 데, 이것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사후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제도적 리더와 변혁적 리더, 그리고 제도적 리더와 거래적 리더들간에서 집단간 차이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조직동형화와 리더 유형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는 데, 전체적으로 조직 동형화와 리더 유형간의 평균값의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셋째로, 본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제도적 환경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리더십이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과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을 통한 상호작용의 확인에서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보다 영향력들이 강한 집단을 대상으로 관련성을 찾기 위하여, 집단을 구분하여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의 공분산분석(covaria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통하여 리더십의 조절효과(moderating effects)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규범적 동형화가 높은 집단들에서 거래적 리더십의 성향이 높은 경우에 조직동형화가 조직성과가 미치는 영향을 리더십이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규범적 동형화가 유의미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거래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과 규범적 동형화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은 리더십이 갖는 중요성을 의미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연구자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몇가지 주요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첫째, 본연구에서는 규범적 동형화가 조직동형화의 유형 중에서 조직성과에 가장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규범적 동형화는 전문성의 영향으로 대다수 조직들이 비슷해져 간다는 관점이다. 우리나라의 장기요양기관은 짧은 시간에 급격한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제도를 준비하면서 인적 자원의 전문성은 적어도 5년 이상의 장기적 시간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인력양성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는 장기요양기관의 인프라 정비를 급속하게 추진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문성이 준비될리는 없는 것이다. 제도화의 과정은 그렇게 단순하게 급격하게 진행되는 것이 아님을 연구자는 이론적 배경에서 자세히 소개한 바 있다. 일정기간 숙성이 필요하고, 규범의 수용(accepting the norm)와 규범의 내재화(ebedding the norm)가 이루어져야 하고, 그것이 조직의 정체성(organizational identity)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다음으로, 본연구에서 강조하는 리더들의 전문성 강조의 측면을 좀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장기요양기관의 전문성에 대하여는 조직내부와 조직외부간에 차이를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장기요양기관에서는 자신들을 상당한 전문가로 생각하지만, 외부의 이해당사자들은 다른 사회복지조직이나 보건의료 조직에 비하여 전문성에서 떨어지는 준전문성 정도로 생각하는 것은 아닌가라는 점이다. 이 부분에서의 괴리를 어떻게 메꾸어 나갈 것인가도 중요한 논의의 하나로 생각된다. 리더 자신이 전문가 조직의 수장이라는 점에서 부단히 전문성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과 같이 취업이 어려고, 정년은 빠른 시대에 시설의 장들은 조직을 대표하는 기관장으로서만 근무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서 직접 직원들과 함께 뛸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리더들이 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리더를 보는 시각도 좀 바뀌어야 한다. 리더는 취임의 시점부터 모든 것이 완성된 사람이어야 한다는 요구가 있다면, 그것은 잘 못된 것으로 생각된다. 리더는 조직의 성장과 함께 육성되는 것이다. 제도를 배우고, 관리와 경영도 배우고, 신뢰관계를 구축하며,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여 가는 것이다. 둘째로, 본연구에서 제시된 현재 가장 바람직한 리더십인 거래적 리더십은 최근에 이루어진 리더십의 연구들과 관련하여 약간 다른 연구적 함의를 갖는다. 왜냐하면, 최근에는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의 주된 바람직한 리더십으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변혁적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에 비하여 조직을 대표하여 구성원들이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조직몰입을 이끌어가는 주요한 리더십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급격하게 변화하는 환경과 이직율도 높은 상황에서 조직생존을 위하여 성과를 내야하는 장기요양기관의 리더들에게 있어서는 구성원들을 고무시키고, 도전하도록 의미부여하는 리더의 역할 보다는 성과에 집중하는 리더십들이 보다 현실 적응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장기요양기관들이 갖는 시장지향성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정부 보조금으로 운영되는 것이 아닌 장기요양보험제도하에서는 부하직원들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수퍼비전 등을 갖추기 보다는 성과를 내고, 고객을 확보하고, 그래서 조직이 생존해야 하는 시장경쟁속에 있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갖는 영향력과 달리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성과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리더십일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연구자는 제도형성의 초창기에는 제도적 리더십이나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보다 중요한 리더십일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실제로 연구에서도 제도적 리더들이 상당수 확인되었다. 제도적 리더들의 특징은 외부지향적이며 조직의 성립초기의 비전과 가치를 중시하면서 과거지향적으로 행동한다. 이들은 신뢰와 합의를 중시하기 보다는 권위와 협상을 강조하는 정치적인 성향이 강한 리더들이다. 그러나,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거래적 리더십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과도기하에서는 내부적 관리에 중점을 두고 성과에 집중하는 거래적 리더십의 영향력이 어느 리더십 유형 보다 조직성과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제도적 리더들에게 주는 메시지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성과는 조직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조직 내부에서 오는 것이라고 말이다. 조직생존을 위하여는 제도적 리더십도 유효 할지 모르지만 조직성과에는 거래적 리더십만이 유효한 것이라는 점이다. 2008년도에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작된 이래 우리 사회는 점점 더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장기요양서비스도 관심의 전면으로 부상하였다. 이러한 환경하에 장기요양시설의 장들은 시설규모에 따라서 차이는 있겠지만, 성과관리는 물론이고 인사, 노무, 재무, 서비스 관리 등과 함께 위험관리의 구축 등 다방면에 걸치는 경영능력과 관리능력이 보다 한층 요구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직원과 관리에 집중함으로써 신생조직의 조직성과에 집중하는 리더십이 현재 가장 많이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난 거래적 리더십일 수 있는 것이다.셋째로, 일반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조직 동형화의 유형인 강제적 동형화와 모방적 동형화가 본연구에서 조직성과에 유의미하지 않은 함의를 생각해 본다. 연구자가 장기요양기관들의 현장을 돌아 보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생각되었던 것 중의 하나가, 정부가 규제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 가보니 시설들간의 편차가 너무 심하다는 점이다. 매우 영세하여 냄새가 나는 시설들이 있는 반면에 깨끗한 환경에 집같은 분위기를 내려고 노력하며 자체적으로 독자적인 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등 주도적이고도 혁신적인 시설도 존재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장기요양기관 관리에서는 이러한 차이는 무시된다. 똑 같은 기준이 적용되는 것이다. 만일에 이렇게 두 시설이 모두 장기요양체계에서 조직생존이 가능하다면 그것은 시장원리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거나 아니면 정부가 규제와 지도 등을 통하여 질 관리를 하여야 하는 역할을 방기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그것도 아니면 그야말로 제도가 엉망이라는 것이 된다.여기에 대부분의 장기요양기관들의 조직구조는 대체로 동일하였다. 병원조직의 경우에는 각 전공의마다 다양한 병원이 존재하며, 사회복지시설의 경우에도 노인시설, 장애인 시설, 아동시설 등 다양하지만, 장기요양기관은 매우 단순한 조직구조로 요양보호 업무 담당, 간호담당, 물리치료 담당, 그리고 지원부서인 행정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동일하고도 단순한 조직구조가 시설의 전문성을 발전시키고 집중하는 것을 어럽게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보다 세분화된 전문 요양원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정부는 제도를 만들고 자격을 형성하고, 지도와 교육을 해 나가야 한다.끝으로, 연구자는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의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첫째, 정부는 매우 세밀하고도 현장에 맞는 제도를 설립하여 정기요양기관의 성과관리와 조직관리에 임하여야 한다. 장기요양기관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 정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장기요양기관에서 가래의 흡입과 영양주사 등과 관련하여 현행 법체계하에서 위법성을 구성하고 있다면 이를 해소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규정이 필요한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운영적 측면외에도 보다 전문 인력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전문성을 더욱 함양하도록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둘째로, 정부는 도심부를 제외한 지역에 대한 장기요양기관의 인력수급에 대하여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서, 도심부와 농촌부, 도시외곽 등에 대하여는 수가를 달리 책정하거나 인건비를 차등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특히, 도심외에 있는 장기요양기관의 직원들에 대하여는 급여수준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거나 일정한 권역을 묶어서 인력풀을 형성하고, 거기에 등록을 하고, 그 안에서 관리를 하는 방안 등 장기요양기관의 건전한 운영과 바람직한 요양서비스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역을 기반으로 한 제도형성과 지원에 힘써야 할 것이다. 이 부분에서 기초자치단체와 장기요양기관에 대한 역할정립이 앞으로 심도있게 논의되이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끝으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형성과 발전을 논하는 데 있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제도운영과 관련된 정부의 비전제시와 운영태도, 그리고 관련 이해당사자들간의 관계형성에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특히, 제도형성의 당사자인 정부는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명확한 비전과 운영목표를 갖고 임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명확히 표명하여 정부의 영향력하에 있는 장기요양기관을 포함한 장기요양체계가 인식하고 제도화하여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나치게 급속하게 제도를 추진하였던 관계로 제도의 목표와 기본적인 이념이 실정되는 현상을 초래하였다고 판단된다. 우리의 장기요양보험제도가 과연 요간병 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상태를 호전시키고 재활시키는 제도이면서 예방하는 체계인지, 아니면 노년의 말기에 치매.중풍 등으로 가정내에서 부양할 수 없는 현실에서 도피적 수단으로 거쳐가는 일종의 잠시 거쳐가는 곳과 같은 것인지를 정부는 명확하게 하여야 한다. 만일에 전문적 기능을 가진 장기요양기관이 목표이고 비전이라면 보다 엄격하고 구체적이며 다양한 시설유형을 규정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모두가 천편일률적으로 관리되는 현재의 운영관리방식으로는 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갖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다. 이마도, 이것이 본연구에서 도출된 전문성을 중시하는 규범적 동형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현하는 길이기도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NEIS 운영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학교업무개선에 관한 연구

        박광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Our computerized education system is in crisis and confusion because of the conflict over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NEIS). On the 1st of March, last year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decided to implement the NEIS in spite of the warning from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NHRC) that the new system is likely to encroach on student privacy. Most of the people think that the NEIS should be examined again seriously before it is implemented to protect individual rights. In addition, the ministry didn't hold any public hearing about the new system. Before developing system, it should have consulted the public, particularly teachers and parents, as to whether it would be an efficient way to keep school records or not. In particular, the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KFTA) announced in a new conference in Seoul last year that it opposes the NHRC's advice and will try to prevent the return to the Client Server(CS) system if the government decides to accept the commission's advice. Also, the conservative teachers' group said it would take measures to prevent returning to the old CS system instead of NEIS. On the contrary, on the 31th of May in 2003, the NHRC including the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KTU) advised the ministry to withdraw its implementation of the NEIS on three categories of student information, student transcripts and health records, and return them back to their old CS system. With conflict between both teachers' groups growing, the ministry postponed the announcement of its decision about accepting or refusing the NHRC's advice last year. However, teachers have no choice but to accept the new NEIS in reality because most schools have already adopted the new databas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I found out problems in related to NEIS by dealing with four items considering the aspects of system administrator, system user, related laws and security management. To achieve i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by the literature, newspaper, the materials of internet, workshop, and other books. In conclusion, teachers need to focus on how to take advantage of NEIS effectively to minimize the confusion and conflict in school affairs through the problematical analysis caused by NEIS operation.

      • 사례분석을 통한 족부 형상학과 질병의 상관관계 이론연구

        박광덕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사례분석을 통한 족부 형상학과 질병의 상관관계 이론연구 박 광 덕 지도교수 김명주 대체의학과 남부대학교 문화복지대학원 족부는 인체에서 가장 아래에 위치하여 지면에 닿는 유일한 신체이다. 족부는 크게 족지, 족궁, 종골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근육과 인대로 다리뼈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신체를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족부는 인체의 균형, 운동, 보행 시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여 인체의 움직임이 가장 직접적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정상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도 족부의 형태와 중요성과 관련된 연구는 있었으나 신체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질병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족부 형상학을 구조적, 기능적으로 분석하여 다른 신체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족부 형상에서 드러나는 특징을 분류하여 질병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족부형상학과 질병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사례 조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3월까지 ㈜○○대구센터를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사례 분류에 포함된 인원은 10대에서 70대 연령의 18명 환자로 센터 방문 100명의 고객 중 동일한 질환을 겪고 있는 대상을 표본으로 선택하였다. 족부 형상학 표본사례의 분류는 암이 있는 환자와 관절의 불편함과 통증을 호소하는 부류로 분류하였으며 표본의 족지, 족궁, 종골의 족부 형상학 특징을 파악하여 공통점을 찾아보았다. 표본사례 분류 연구 결과로, 암 환자 집단은 공통적으로 둥근 발톱과 족저의 얇은 피부에 굳은살이 생기는 구조적 변화의 족부 형상학 특징을 보였다. 관절의 불 편함과 통증 집단은 공통적으로 양 발의 비대칭적 발달과 외측을 중심으로 발달한 기형적 구조 변화의 족부 형상학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질병은 족부의 비정상적 형상을 동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로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는 없으나, 질병과 족부 형상의 변형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족부 형상학 변형을 통하여 자신의 질병 상태를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족부와 질병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파악 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혀 치료에 이바지 할 것이다.

      • 공기업의 환경 투자 및 비용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기업의 수도사업을 중심으로

        박광덕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의 경제적 수익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의사결정도구로서의 "환경회계"도입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미 이웃나라인 일본과 구미 선진국들은 환경회계기준을 검토하고 일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일부기업에서 환경회계를 도입하고 있으나 아직 개념적으로 확립되지 못하였고,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도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환경관련 행위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환경친화적 경영을 유도할 수 있는 실천적 기반을 제공해 줄수 있는 회계구조의 확립을 위하여, K기업의 수도사업 분야를 대상으로 환경투자 및 환경비용을 측정하고자 우리나라 환경부의 환경회계가이드라인과 이론을 참고하여 K기업에 적합한 분류기준을 설정하고 동 기준에 따라 환경투자 및 비용을 일반회계에서 분리하는 작성을 수행하였다. 또한 K기업의 수도사업분야에서 환경투자 및 비용발생으로 추정되는 환경성과를 도출하였고, 환경투자와 비용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환경투자 및 비용이 기업경영에 장단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사례기업의 환경설비 분류현황, 환경투자 및 환경비용의 측정에 있어서는 먼저 환경시설물을 규정한후 시설물의 성격을 고려하여 세부적으로 분류한 후 그에 따른 환경투자 및 환경비용를 측정하였으며, 환경투자는 각 부문에서 오염예방활동과 오염처리활동에서 대부분 발생했으며, 전체 투자금액에서 환경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4 ~ 13%정도 였다. 사례기업의 환경투자 및 비용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매출원가 대비 대략 4 ~ 10%를 차지하고 있었고, 거대 장치산업위주의 기업이다 보니 환경비용에서 감가상각비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환경성과의 측정은 환경비용의 측정에 비해 훨씬 어려운 작업이었다. 그 이유는 아직 환경성과에 대한 정확한 개념정리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점과 참고할 만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거의 없다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성과의 측정은 경영자들이 최적의 의사결정을 할수 있도록 하는 필수적인 정보이며, 또한 일반적으로 경영자들이 가지고 있는 환경활동에 관한 인식 즉 환경지출은 기업에게는 원가부담일 뿐이라는 생각을 바꿔주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성과측정을 위한 노력은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사례기업과 같은 공기업은 사회전체의 효용상승을 고려하지 않을수 없기 때문에 사회적 효익의 측정방법을 도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회계도입시스템과 환경투자금액과 환경비용을 늘리면 환경성과지표를 개선하여 환경경영의 효율성, 즉 환경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지에 관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민들의 환경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지속가능 발전을 위해서는 각 기업이 환경회계에 관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고 환경투자 및 비용지출을 증가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 환경투자 및 비용금액과 환경성의 평가에 관해서는 매출액 등 일부 성과와는 상호연관성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상호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수 있었다. 단기적으로는 오히려 환경비용 지출과 환경투자가 환경성과와 역(-)의 관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는 환경투자 및 비용 산출에 대한 개념적 정의가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볼 때 일면 당연한 결과라 판단될 수 도 있고, 한편으로는 환경성과를 나타낼수 있는 변수의 선택이 적절치 못한 결과일수도 있다. 그러나 기업경영차원에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가는 기업에 대한 하나의 위협이라기 보다는 새로운 기회와 도전으로서 받아들여져야 할 것이다 새로운 사업의 확장과 더불어 환경보호는 장기적으로 볼 때 생산을 위한 투입물로써의 깨끗한 물과 공기의 제공과 생산과정에서의 에너지효율성 증대와 같은 비용절감을 제공함으로서 기업경쟁력을 제고할 것이기 때문에 국민들의 환경에 대한 욕구증가 이상으로 미래를 예측한 장기적인 환경투자 및 비용지출은 더욱 필요한 환경 경영정책이 될 것이다.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accounting is essential for a company's economic profitabil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lready, Japan and advanced countries in the west have studied environmental accounting standards and have obtained good results. In Korea a few companies have introduced environmental accounting, but it is not yet systemized and does not have a unified concept.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systemized action basis for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friendly management, this study has introduced the separation of K company's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costs from the generally accepted financial statement on the basis of classification rules adaptable to the K compan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considered the environmental guidelines provi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the Environment to measure the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costs of K company's water business unit. As well, this study deduc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costs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while also empirically analysing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costs to the company's performance in the short-term or long-term. Initially, to measure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costs this study conceptualized environmental facilities and classified the related costs in detail. Secondly, variables were selected to represent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which is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excluding some variables which are unrelated to the company's environmental effort. Thirdly, representative variables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were defined as shown below. 1) Total Production: total amount of output through production processes 2) Total Sales: the total income provided by water supply to end-users 3) Chemical Expenditures 4) Sludge Treatment Expenditures 5) Effective Ratio of Water Supply: the ratio of amount sold to overall production 6)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Company 7) The amount of litigation relating to water supply or quality Fourthly, this study developed several hypothesi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costs and environment performance as listed below. Hypothesis Ⅰ :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performance Ⅰ-1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production Ⅰ-2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sales Ⅰ-3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hemical Expenditures Ⅰ-4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ludge Treatment Expenditures Ⅰ-5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Sludge Treatment Ⅰ-6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Company Ⅰ-7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ffective Ratio of Water Supply Ⅰ-8 The amount of environmental investmen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litigation related to water supply or quality Hypothesis Ⅱ :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performance Ⅰ-1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production Ⅰ-2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otal sales Ⅰ-3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Chemical Expenditures Ⅰ-4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Sludge Treatment Expenditures Ⅰ-5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Sludge Treatment Ⅰ-6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sumer Satisfaction with the Company Ⅰ-7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ffective Ratio of water supply Ⅰ-8 The amount of environmental cos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amount of litigation related to water supply or quality In K company's Case, the majority of environmental investment occurred in antipollution and pollution treatment activities, and the environmental investment portion of K company's total investment was about 4 to 13%. The Case company's environmental costs are increasing annually, and it equalled 4 to 10% of the total sales. As well, the majority of environmental cost for K company were depreciation costs because this company is a fixed installation industry. In this study, measuring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K company was more difficult than calculating the environmental cost becaus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performance is not standardized and previous studies do not exist in Korea. However, we must try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the company because it is an efficient means to change the CEO's or management's prejudice that environmental expenditures are just a financial burden on his or her company's activity. As well, the information regarding environmental performance is related to the company's optimum decision making process. Especially, there is demand for Public company's, such as Case K company, to introduce a system for evaluating social benefits because their activitie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public's welfar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sed whether increased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systems can increase a company's environmental efficienc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systems and increased environmental investment have a major impact on the company's sustainable development.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al investment variabl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production quantity, sales, and the amount of sludge treatment variables in K company. However, all other variables including customer satisfaction, cost of sterilization chemicals, and the expenditure of sludge treatment have no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al investment variable. Additionally, short-term results show that the company's environmental expenditure variable is conversely related with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variable. Nonetheless, increasing public interest in the environment and for green consumerism must to be considered not as a threat but rather as an opportunity for the company. This is because, in the long-term, increased environmental investment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s will help the company improve its' competitiveness through energy-efficiency and cost reduction in the production process as well as by improving customer-satisfaction. Finally, as with all other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environmental performance, my analysis has limits in that K company has introduced environmental financial system only three year's ago and the related data is not able to show any long-term trends.

      • 扮飾會計 사례와 대책에 관한 硏究

        박광덕 大田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식회계는 기업의 경제적 실체에 관한 정보를 올바르게 제공하지 않음 으로서, 분식회계에 의한 재무적 정보를 믿고 의사결정을 한 투자자나 채권자들에게 커다란 금전적 피해를 주어 국가 경제에 크나 큰 장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분식회계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경영자의 투명경영에 대한 의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감사인의 적극적인 감사를 할 수 있는 환경조성과 전문인으로서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고자 하는 직업윤리의식을 고양시켜야 한다. 즉 국제적 수준의 회계기준 정립과 이를 성실하게 준수하려는 기업의 노력, 외부감사의 독립성과 전문성 확보, 엄격하고 효과적인 감독기관의 감리활동, 불실 회계에 대한 시장의 강력한 제재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여기에 정부에서는 관련법규의 제도적 개선과 분식회계의 징계 및 처벌을 강화시켜 분식회계가 발생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기업은 투명한 회계처리를, 감사 인은 정확하고 철저한 감사를, 금융감독원은 감사인과 기업들의 경영이 바르게 돌아가는지를 철저히 감독하고, 정부에서는 신고 성실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선하여 납세자들이 사업의 실상을 신고 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여 주주들과 채권자들의 감시 속에 투명한 기업, 투명한 사회를 이룩하도록 다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