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컨볼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드로스 검출에 관한 연구

        박경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A dross removal robot, which is a facility to remove dross generated in galvanizing process, can reduce the workload of the workers in a tough working environment. However, the robot is often operated even though dross doesn't exist in the melting pot, since it is activated regularly by the pre-installed program. In the proposed method in this thesis, the existence of dross is determined by convolution neural network trained from the inception v3 model. The dross removal robot is activated when dross exists in the melting po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xistence of dross is successfully detected by the proposed technique It is expected that the unwanted operations of the dross removal robot will be considerably eliminated an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robot reduced by the proposed method

      • 미생물 반응에 의한 연약지반의 강도 개선

        박경호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천연소재의 고갈로 인한 원자재 값 상승과 급속한 산업발전에 따라 국가 기간산업의 양적, 질적 확대로 인하여 국내 부지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효율적으로 토지를 이용하고자 그동안 건설부지로 고려치 않았던 느슨한 사질토나 연약한 실트질로 구성된 연약지반 개량 공법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해외수주 등으로 중동지역에 많은 건설업체가 진출하고 있어 연약지반의 개량을 위한 새로운 공법 개발이나, 신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메커니즘인 미생물을 연약지반에 교반하여 생장을 통해 탄산칼슘()을 생성함으로 흙 입자와 흙 입자 간의 공극을 채워줌으로서, 연약지반의 고결화(Cementation)를 일으키는 이른바 MCP(Microbial Calcite Precipitation)기술을 적용하여 연약지반의 강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지는 미생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일반적으로 흙 속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을 선정하여 연약지반의 강도를 개선하고,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Several studies have recently been conducted on the great potential of biological treatments for geotechnical applications, in particular for ground improvement. Microbial Calcite Precipitation(MCP) has been achieved using the microorganism Bacillus Pasteurii, an aerobic bacterium pervasive in natural soil deposi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chanism of cementation of soil induced by bacteria and strength improvement of soft grou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cementation of soft soils treated with bacteria, six types of specimens(untreated, normal bacteria concentration treated, high bacteria concentration treated, supernatant high bacteria concentration treated, double high bacteria concentration treated, and 25% specimen high bacteria concentration treated) were made. Additionall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and X-ray Diffraction(XRD) analyses were performed for reaction mechanism analysis of materials, which allowed for the identification of crystal, shape, particle size, chemical formula and mineral components for each condition.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mineral has been found in the voids between the soil particles. Also, through X-ray Diffraction(XRD) analyses. This has been confirmed that microorganism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trength of soft ground.

      • 대퇴골 골절 모델에서 교합성 골수정 내고정군과 교합성 골수정 내고정 후 금속판 보강술군간의 생역학적 안정성 비교

        박경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 론 : 생역학적으로 골수정은 휨 또는 축 방향의 외력에는 우수한 저항을 보이나 회전력에의 저항은 약하며, 교합 나사못에 의해 회전력에의 저항을 보강한다 하여도 금속판 및 나사못 고정에 비해 절대적인 초기 고정능력 및 회전력에 대한 저항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대퇴골 골절에서 교합성 골수정 사용 후 발생한 과운동성 불유합에 대하여 기왕에 삽입된 골수정에 추가로 금속판을 병합 사용한 임상적 결과를 검토 후, 이러한 금속판 보강술의 생역학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방사선 검사상 병인이 없는 13구의 사체에서 적출한 좌우 26개의 대퇴골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위 대퇴부에서 각각 QDR-2000(Hologic Co)을 이용한 골밀도 검사를 하였고, 대퇴골 소전자에서 내전근 결절까지의 선상 원위 70% 지점에서 횡골절을 만들었다. 골절의 정복 후 일측은 Grosse-Kemph정을 이용한 교합성 골수정 내고정을, 반대측은 같은 길이와 반경의 교합성 골수정 내고정 후 압박 금속판에 골절 근위부 4개, 원위부 4개의 나사못으로 일측 피질골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각각에 대한 굴곡 부하는 5mm 변위, 회전 부하는 15° 변위를 시행하여 그 결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방사선학적 검사상 골절부 간격과 원위 골절편의 골수정 점유율은 골수정 내고정군이 평균 4.3±1.2mm, 74.9±7.2%였고, 골수정 내고정 및 금속판 보강군이 평균 4.2±1.2mm, 73.5±7.0%였다. 근위 대퇴부 평균 골밀도는 골수정 내고정군이 0.87±0.11g/㎠, 골수정 내고정 및 금속판 보강군이 0.86±0.10g/㎠로 양 군의 차이는 없었다. 역학적 실험의 굴곡 강성은 5mm 변위에서 골수정 내고정 및 금속판 보강군이 평균 843.37N, 골수정 내고정군이 평균 315.02N의 결과를 얻었고 (p=0.002), 회전 강성은 15° 변위에서 골수정 내고정 및 금속판 보강군이 2.095Nm, 골수정 내고정군이 0.634Nm의 결과로 골수정 내고정 및 금속판 보강군이 골수정 내고정보다 우수한 굴곡 및 회전 강성을 보였다 (P=0.001). 결 론 : 대퇴골 원위 간부 골절에 대한 골수정 내고정 및 금속판 보강술의 생역학적 실험 결과 골수정 단독 고정보다 굴곡 강성이 2.7배, 회전 강성이 3.3배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골수정 내고정을 시행한 대퇴골 원위 간부골절의 불안정성을 보강하는 치료 방법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규제대안 연구 : 용적률거래제도 사례를 중심으로

        박경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행 토지이용 규제 하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규제대안으로 용적률거래제도의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한다. 현행 토지이용 규제는 재산권의 제약과 법률분쟁 등이 발생하였고 이를 개선하고자 미국에서 시행되는 개발권양도제가 거론되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토지소유권 개념에 의한 헌법적 위법성 논란으로 인해 도입이 미흡하였다. 이에 다른 규제대안이 될 수 있는 용적률거래제도를 규제대안적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먼저 규제대안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거래 가능한 재산적 권리의 도입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도입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그 후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절차적 투명성, 정적효율성, 정보수요, 집행 및 감시의 용이성, 상황변화에 대한 유연성, 동적효율성, 정치적 고려의 일곱 가지 평가기준으로 용적률 거래 제도를 평가하였다. 용적률거래제 도입가능성 검토결과 용적률거래제도는 규제의 목표가 계량화 될 수 있으며, 잠재적 거래비용과 순응비용이 점차 경감되며, 경제적 편익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거래의 대상은 매우 작은 범위까지 분할가능하고, 측정가능하며, 객관적인 검증이 가능하다. 구매자의 지불능력과 권리자의 권리보유능력이 있으며, 충분한 거래당사자가 존재한다. 더불어 거래비용은 낮으며, 다양한 대안적 순응방법과 규제기관이 존재하며, 규제입안자가 해당대안에 대해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입이 충분이 가능 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용적률거래제를 규제대안적 차원에서 평가한 결과, 용적률거래제는 절차적 투명성, 정적효율성이 높으며, 정보수요는 감당할만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집행 및 감시가 용이하며, 상황변화에 대한 유연성, 동적효율성이 높다. 다만 정치적 고려에 있어 배출량 허가제 형식의 총량의 규정은 무의미할 수 있기에 규제기관의 세심한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용적률거래제는 도입이 가능하고, 규제 대안적 차원에서 높은 적합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론적인 검토를 토대로 실제 사례를 분석하여 용적률거래제가 도입이 가능한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사례는 협의의 용적률거래제도라 할 수 있는 결합개발제도가 추진된 성북 제2구역 – 신월곡 제1구역 결합개발사례이다. 사례분석 결과 이론에서 도출된 필요조건 및 도입에 있어 고려사항이 실제사례에서는 적용이 미흡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결합개발 제도는 두 구역을 묶어서 개발하기 때문에 여건이 맞는 두 지역을 찾고, 거래조건을 설립하는데 소요되는 거래비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이전한 용적률이 얼마의 가치가 있는지와 같은 불필요한 정보수요가 발생하였고 이는 사업 추진에 걸림돌이 되었다. 따라서 다수의 매매자가 다수의 매수자를 상대로 하여 다양한 대안적 순응방법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용적률거래제도가 설계되어야 한다.

      • ‘Group Pivot’을 통한 배우의 앙상블 훈련 방법 연구

        박경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연극에서는 앙상블은 중요한 요소로 여겨져 왔다. 앙상블은 조화, 융화, 함께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앙상블은 무엇이며 우린 어떻게 앙상블을 이루는가. 인류가 연극을 시작하는 형태는 집단이었다. 연극이 시초가 되었던 것도 집단화를 이룰 수 있었기 때문이었고 집단에 의해 유지되어왔다. 코러스는 연극이 이성과 합리, 감정과 본능을 오가는 역사를 지나 현재까지 존재한다. 연극의 시초와 그 역사를 함께 해 온 코러스는 다양한 현대 연극은 새로운 형식의 형태로 관객과 다양한 관계를 맺기 위한 수단으로써 사용되곤 한다. 코러스라는 존재가 한 명 이상의 배우들로 이루어진 유기적 움직임을 가지는 존재가 되기 위해 배우들은 앙상블을 이루어야 한다. 연극에 양상은 다양하게 변해 왔다. 다양한 변화와 함께 배우들은 그런 변화 맞추어 감각에 유연함을 가져야 한다. 배우들에게 요구되는 수많은 감각 중 신체 감각은 현대에 실험적이고 전위전인 연극에서 그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무용, 무예, 댄스 등 양식을 가지는 신체 감각에서부터 추상적 조형적 형태를 만드는 움직임까지 그 범위는 매우 넓다. 이 연구는 다수의 배우들이 집단을 통한 조형적 표현 및 코러스 형태로 구성되는 장면들을 만들어 갈 때 배우가 유지해야 할 상태에 대한 연구이다. ‘Group Pivot’은 행동의 변화를 구분 지을 수 있는 단위개념으로 이 개념을 통해서 배우들이 집중하고 인지해야 하는 대상을 명확하게 정한다. 배우들이 서로를 기민하게 인식하고 있는 상태 즉, 앙상블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 훈련에 목표다. 앙상블은 Group Pivot이라는 개념으로 훈련에 방향성을 잡는다. 이 훈련에서 그룹 피벗은 행동의 단위를 시간에 개념으로 나누어 배우들로 하여금 인지 대상을 명확하고 상대에게 집중하는 상태를 유지하여 앙상블을 이룰 수 있도록 만드는 개념이다. 이 훈련에 효과로써 앙상블을 통해 만들어지는 공연과 그 공연 연습과정에서 배우들의 공연 언어, 공연 양식을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한다. ‘Group Pivot’ 훈련은 배우들이 단체로 하는 훈련으로. 배우들은 앙상블을 위해 상대와 공간을 인식하고 나아가 자신의 신체를 조절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앙상블 훈련으로써 자신이 인지해야 하는 대상을 명확하게 수월하게 인지하는 방법으로서 훈련에 가능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더불어 단기간 ‘Group Pivot’을 통하여 다른 배우들과의 앙상블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키는 훈련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앙상블 훈련은 세 가지의 사례로 그 효과와 훈련 방법을 연구한다. 첫째 사례 1, 신체공연을 목적으로 모인 그룹으로 ‘Group Pivot’ 훈련을 적용하여 단기간에 공통된 신체 언어를 만들고 이를 통해 장면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연 제목은 <고기덩어리>로 공연제작 과정에서 Group Pivot 훈련을 적용하여 배우들의 앙상블과 배우들의 앙상블을 통한 장면 구성 가능성을 연구한다. 또한 연습 과정에서 이 훈련에 효과적인 적용 방법과 훈련 효과가 장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다. 둘째 사례 2, 성인 그룹의 work shop은 연기 예술계에 있는 성인 그룹으로 진행된다. 서로 다른 신체 습관과 신체 활용능력이 서로 통일성을 가질 수 있는지, Group Pivot에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단기간에 다수의 인원이 앙상블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을 때 효과적인지를 연구한다. 셋째 사례 3, 공연 경험이 없고 연기 교육을 오래 받지 않은 학생 그룹을 공연제작을 위한 그룹과 성인 그룹과의 앙상블 효과를 비교 연구한다. 이후 훈련 결과를 수정 보완하여 Group Pivot 훈련이 연기 교육의 일환으로 가능성이 있는지를 파악한다. 세 가지의 사례를 통해 Pivot이라는 구체적인 행동적 단위를 만들어 배우들이 인식해야 할 대상을 명확하게 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배우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이해와 상대방과 호흡을 맞추는 방법을 알고 그룹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앙상블의 에너지를 경험하는데 이 훈련법은 특화될 수 있다. 앙상블이라는 모호하고 주관적인 개념은 앙상블의 절대치를 정해 놓지 않기 때문에 앙상블이 나타낼 수 있는 에너지의 가능성은 무한하다. 각자 다른 경험과 역사를 가진 배우들이 한 공간에 모여 원활하게 앙상블을 이루고 하나의 공통된 공연 언어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더욱 다양한 전위극, 실험극, 신체극, 등 연기에 장르를 구분하지 않고 다채롭게 활동 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연구에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