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병원 간호사의 일 가치감, 잡 크래프팅 및 재직의도 : 여성 또는 아동 부서를 중심으로

        박경아 남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병원 간호사의 일 가치감, 잡 크래프팅 및 재직의도 - 여성 또는 아동 부서를 중심으로 - 박경아 지도교수 : 박미경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간호사의 일 가치감, 잡 크래프팅 및 재직의도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재직의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한 대학병원 2개와 전문병원 2개 병원의 간호사 140명으로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6월 21일부터 7월 15일까지 실시되었다. 연구도구로 일 가치감은 오동근 등(2004)이 개발한 일 가치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잡 크래프팅은 이은선(2019)이 개발한 병원간호사의 잡 크래프팅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재직의도는 Cowin(2002)이 개발하고 김민정(2006)이 번안한 간호사 재직의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평균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Scheffé로 사후검증하였다. 일 가치감, 잡 크래프팅, 재직의도와의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평균 30.11±6.68세이었고, 기혼이 95명(67.9%)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최종학력은 4년제 98명(70.0%), 3년제 36명(25.7%) 등으로 4년제 졸업자가 가장 많았다. 임상경력은 평균 7.06±6.52이었고 1∼5년 경력이 69명(49.3%)으로 가장 많았고 10년 이상 37명(26.4%), 5년 이상∼10년 28명(20.0%), 1년 미만 9명(6.4%) 순이었다. 현재 부서경력은 평균 4.86±4.36년이었고 1∼5년 경력이 84명(60.0%)로 가장 많았다. 부서에서 근무형태는 3교대가 136명(97.1%)으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근무부서는 여성부서가 62명(44.3%), 아동부서가 78명(55.7%)이었으며, 현재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127명(90.7%)이었고 책임 또는 선임 간호사는 13명(9.3%)이었다. 직원과 친화력은 ‘좋다’로 응답한 경우가 103명(73.6%)으로 가장 많았다. 2. 본 연구에서 일 가치감은 5점 만점에서 평균 3.50±0.51점, 잡 크래프팅은 180점 만점에 123.19±15.62점, 재직의도는 48점 만점에 31.50±8.02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일 가치감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현재 직위(t=-2.33, p=.021), 직원과 친화력(F=6.33, p=.002)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잡 크래프팅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잡 크래프팅 점수는 대상자의 최종학력(F=3.62, p=.029), 근무형태(t=2.18, p=.031), 현재 직위(t=-2.62, p=.010), 직원과 친화력(F=13.8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잡 크래프팅은 최종학력에서 대학원 이상 졸업자가 3년제와 4년제 졸업자보다 높았고, 직원과 친화력은 ‘매우 좋다’라고 응답한 자가 ‘좋다’와 ‘그저 그렇다’라고 응답한 자보다 높았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재직의도는 병원규모(t=4.45, p<.001), 병상 수(t=4.45, p<.001), 연령(F=7.45, p<.001), 결혼 여부(t=-3.35, p=.001), 최종학력F=3.53, p=.017), 임상경력(F=3.53, p=.017), 현재 부서경력(F=2.86, p=.039), 근무부서(t=3.11, p=.002), 현재 직위(t=2.08, p=.040), 직원과 친화력(F=3.39, p=.036)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연령은 25세 미만이 30∼34세, 35세 이상보다 낮았고, 25∼29세가 35세 이상보다 낮았다. 최종학력은 3년제 졸업자가 4년제보다 높았고, 임상경력은 5∼10년과 10년 이상이 1∼5년 미만보다 높았다. 현 부서경력은 10년 이상이 1∼5년과 5년∼10년보다 높았다. 직원과 친화력은 ‘매우 좋다’라고 응답한 자가 ‘좋다’라고 응답한 자보다 높았다. 6. 일 가치감, 잡 크래프팅 및 재직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일 가치감은 잡 크래프팅(r=.744, p<.001), 재직의도(r=.348,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잡 크래프팅은 재직의도(r=.409,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잡 크래프팅, 병원규모(전문병원), 연령(35세 이상), 근무부서(여성부서), 임상경력(5∼10년)으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들의 전체 설명력은 37.0%이었다(F=12.56, p<.001).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잡 크래프팅(β=.32, p=<.001), 병원규모(β=-.31, p<.001), 연령(β=.26, p=<.001), 근무부서(β=.20, p=.006), 임상 경력(β=.19, p=.006)순이었다. 따라서 여성 또는 아동부서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의 잡 크래프팅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 교육적인 지원과 행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잡 크래프팅의 하부영역 중 근무부서의 어떤 특성이 재직의도에 영향으로 작용하는지 질적 연구 접근도 필요하다고 본다.

      • 상하악 대구치 부위에서 넓은 직경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박경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치과 임플란트는 다양한 형태의 치아상실 부위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다수의 장기간의 연구들에서 이러한 치료 방법의 우수한 임상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불량한 골질이나 부족한 높이의 가용골이 있는 경우에는 임플란트의 실패가 증가하게 된다. 1980년대 후반에, 이러한 불량한 환경의 골 상태에 대해 표준 직경보다 더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가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는 불량한 골질, 부족한 가용골의 높이, 발치 즉시 임플란트 식립, 실패한 임플란트 부위의 재식립 등의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더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6.0 mm, 6.5 mm)까지 사용한 연구들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양호한 임상적 결과가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논쟁이 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상하악 대구치 부위에 식립한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6.0-8.0 mm)에 대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여 생존율을 구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650명의 환자(남자:403명, 여자: 247명/ 연령: 20-83세, 평균: 51.2±11.1세)에게 식립한 1135개의 RBM(Resorbable Blasting Media) 표면의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인 RescueTM (MEGAZEN사, 한국/ 상악 595개, 하악 540개)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전체 임플란트 중, 68.3%가 지연 식립한 것이고, 31.7%가 발치 후 또는 실패한 임플란트의 제거 후 즉시 식립한 것으로, 상하악 제 1, 2 대구치 부위에 식립한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플란트의 직경과 길이는 각각 6.0-8.0 mm와 5.0-10.0 mm였으며, 42개월까지 추적조사를 시행하였다(평균 추적기간: 14.6±9.5 개월). 총 1135개의 임플란트 중, 58개가 실패하였으며, 그 중 53개의 임플란트는 기능부하 후 1년 이내에 실패하였다. 42개월까지의 추적조사 결과, 상악과 하악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각각의 생존율은 93.6%와 96.3%였으며, 전체 임플란트에 대한 생존율은 94.9%였다. 생존분석 중 생존기간과 여러 요인들 간의 복합적인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Cox regression medel을 시행한 결과, 보철물의 연결여부, 상악에서의 상악동 이식술 시행여부와 환자의 성별이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성이 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상하악 대구치 부위에서의 아주 넓은 직경의 임플란트(6.0-8,0 mm)의 사용은, 적절한 환자 선택과 치료 술식이 적용된다면 표준 직경의 임플란트와 유사하게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제시한다. Endosseous implants are us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types of tooth loss, and numerous long-term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xcellent reliability of this method of treatment. However, the increase of implant failure are associated with inadequate quality and/or height of bone. At the end of the 1980s, Wide(>3.75mm) implants were initially used for managing these difficult bone situations. The recommended indications for its use included poor bone quality, inadequate bone height, immediate placement in fresh extraction sockets, and immediate replacement of failed implants. At the 2000s, wider implant (6.0mm and 6.5mm) were used in a few studies. Although good clinical outcomes have been reported in recent years, there is still a controversy on this topic.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survival rate of wide-diameter implants(6.0-8.0mm) in molar regions, evaluating the clinical outcome. In this study, 1135 RBM surfaced wide-diameter implants (Rescue, MEGAZEN Co., Korea/ 595 maxillary, 540 mandibular) were placed in 650 patients (403 male, 247 female/age mean: 51.2±11.1 years, range 20 to 83 years). Of the total, 68.3% were used to treat fully or partially edentulous situations, including single-tooth losses and 31.7% were placed immediately after teeth extraction or removal of failed implants, of which all were in the molar regions. Implant diameter and length ranged from 6.0 to 8.0mm and from 5.0 to 10.0mm, respectively. The implants were followed for up to 42 months(mean: 14.6±9.5 months). Of 1135 placed implants, 58 implants were lost. Among them, 53 implants were lost within 12 months after implant placement. The survival rate was 93.6% in the maxilla and 96.3% in the mandible, yielding an overall survival rate of 94.9%, for up to 42 months. As the result of Cox regression model, prosthetic type, sinus graft, and patient gender have an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implant survival rate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use of wide-diameter implants would provide a predictable treatment alternative in posterior areas.

      • 뇌졸중 환자에서 상지의 기능 향상이 일상생활동작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경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effect of functional improvement of upper limb on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s (ADLs) in stroke patients. Upper limb's sensory function was evaluated by Pedretti clinical test, upper limb's motor function by Manual function test (MFT), and ADLs by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Forty-six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rehabilitative treatmen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6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fore and 4 weeks after treatment.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e correlations between affected upper limb's sensory function and affected upper limb's motor function, between affected upper limb's sensory function and non-affected upper limb's motor function, between ADLs and affected upper limb's sensory function, between ADLs and affected upper limb's motor function, and between AdLs and non-affected upper limb's motor function using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the sensory function of affected upper limb, motor function of affected and non-affected upper limb, and performance of ADL (p<0.05). 2. Upper limb's sensory function, motor function and performance of AD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age, sex, stroke type, the laterality of paralysis and the duration from stroke onset to treatment, respectively. 3. The change of affected upper limb's sensory function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hanges of affected and non-affected upper limb's motor function. 4. Affected upper limb's sensory fun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ting (r=0.359), dessing-lower body (r=0.331), toileting (r=0.300) in self-care item of FIM. Affected upper limb's motor fun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ressing-upper body (r=0.341), dressing-lower body (r=0.338), toileting (r=0.421) in self-care item of FIM. Non-affected upper limb's finger manipulation item of MF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5 sub-items (eating, grooming, dressing-upper body, dressing-lower body, toileting) in self-care item of FIM, respectively (p<0.05)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both upper limbs' functio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ADLs in stroke pati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ehabilitative treatment program for bilateral manual activity will be needed for affected and non-affected upper limbs' functional recovery in stroke patients.

      • 일 종합병원의 전산화단층촬영 조영제 부작용 환자 등록 전산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효과

        박경아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일 종합병원의 전산화단층촬영 조영제 부작용 환자 등록 전산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효과 박경아 지도교수: 정경희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본 연구는 전산화단층촬영 조영제 부작용 환자 등록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조영제 사용 환자의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를 통해 재검사 시 부작용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환자안전 간호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전산화단층촬영 조영제 부작용 환자 등록 전산프로그램 개발은 1단계 개발팀 구성, 2단계 사전조사, 3단계 예비 프로그램 개발, 4단계 예비 프로그램의 적용, 5단계 최종 프로그램 완성의 과정으로 2014년 12월 1일부터 2015년 2월 28일까지였다. 조영제 부작용 환자 관리를 위한 표준진료지침의 개발은 1단계 팀구성, 2단계 벤치마킹, 3단계 예비 표준진료지침 개발, 4단계 예비 표준진료지침 적용, 5단계 최종 표준진료지침 완성의 과정으로 2015년 2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3월 1일부터 2015년 9월 30일까지 조영제 전산화단층촬영 시 1회 이상 부작용이 발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산프로그램에 등록한 81명으로, 이 중 재촬영 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전산프로그램 ‘Alert 창’에서 스크리닝 된 대상자는 17명이었다. 17명을 대상으로 예비 표준진료지침을 적용한 결과 16명은 부작용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고, 1명은 경미한 부작용이 발생하여 예비표준진료지침 1개 항목을 수정하여 최종 표준진료지침을 완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적용한 조영제 부작용 환자 등록 전산프로그램과 표준진료지침은 조영제 부작용 기왕력 환자의 부작용 발생률 경감에 기여하여 환자안전 간호서비스 제공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또한 전산화단층촬영 환자 등록 전산프로그램 사용으로 최초 부작용 발생 환자 및 부작용 기왕력 환자의 정보를 축적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부작용 기왕력이 있는 대상자의 경우 전산 프로그램에 의해 스크리닝 되므로 영상의학과 간호사는 검사전 표준진료지침에 의거한 적절한 사전처치로 조영제 부작용 경감에 기여하여 1차적으로 환자안전간호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었으며, 2차적인 효과로 재원일수의 감소, 비용효과, 행정 및 전산관리체계의 효율화 및 EMR 프로그램을 활용한 임상의사결정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노인의 우울경향과 사회·정서적 고독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박경아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 노인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 향상과 사회 ? 정서적 고독감을 완화하여 노년기의 삶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가도록 하는데 효과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P시 A천주교회에 다니는 노인 중 만65세~74세 까지의 여성 노인 12명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6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2013년 8월 10일부터 2013년 12월 21일까지 5개월간 주1회 70분씩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포함하여 총 20회기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처치기간동안 통제집단은 무 처치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양적 분석방법은 SPSS for Window (Ver21.0, SPSS Inc.,)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빈도분석을 하였고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두 집단의 사전과 사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분산분석(RM-ANOVA)을 하였다. 질적 분석방법으로는 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분석과 우울과 관련하여 DAS사전 ? 사후 그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들의 우울감소에 예방적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들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척도검사의 점수 상승과 프로그램에서의 태도변화를 통하여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들의 사회 ? 정서적 고독감의 완화에 예방적인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 척도검사상의 우울과 DAS그림검사의 우울이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우울, 자아존중감, 고독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 주었으며, 초기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여성 노인들에게 이후 맞이하는 노년기의 삶을 보다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만족스러운 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임상현장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여성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뜻 깊게 생각된다. 주요어 : 집단미술치료, 여성노인, 우울, 사회 ? 정서적 고독감, 자아존중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depression, improving self-esteem and social ? emotional loneliness in the later life by applying group art therapy. So this study is going to evaluate that the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accepting the later life positively and living a satisfactory life. For this study is for the thirty-four elderly women who belong to the Catholic Church in P city, the age from 65 to 74 years old to check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is that the potential problems of target group are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emotional loneliness. Then later, Korean depression test, self-esteem test and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tests were conducted. The elderly women whose depression score is more than 11 points and want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randomly assigned each six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otal 20 session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ere conducted from 10th of August in 2013 until 21st of December in 2013, once a week for 70 minutes during 5 months which contain pre-test and post-test. During this period, any treatment does not conduct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this study uses SPSS for Window (Ver21.0, SPSS Inc.,) as the methods of quantitative analysis to know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of this study. Also, in order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t-test was conducted.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at this program,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RM-ANOVA) was performed. By th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of DAS pictures were analyzed, which are related to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program and dep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preventative effectiveness in decreasing the elderly women's depression. Secondly, Judging by statistics, group art therapy program does not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women significantly. However, the rising scores of scale tests and changes in attitudes indicate that the program is effective. Thirdly,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preventative effectiveness in mitigating the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of elderly women. Finally, it results that the depression scale test and DAS picture test are correlated. Through this study, it indicates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n preventative effectiveness in reducing depression of depressed elderly women and also improving self-esteem, as well as mitigating social and emotional loneliness. Further, I think that it is very meaningful for group art therapy in the field of clinical setting to present the applicability for the elderly wome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usefully. keyword : group art therapy, elderly women, depression, social ? emotional loneliness, self-esteem

      • 집단회상요법이 치매질환자의 우울감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 노인병원을 중심으로

        박경아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Life span has been increased in our country, thanks to landmark economic growth, improved living standard and advance in medicine over the last three decades, and there is consequently a great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fast movement into an aging society is expected to entail lots of social problems, including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Dementia, one of the chronic diseases of elderly people, is among typical disorders that take place in senescence. In Korea, the prevalence of mild, moderate and severe dementia among senior citizens stood at approximately 10 percent. That is an incurable chronic illness, and its major symptoms are cognitive and memory disturbances triggered by the damage of brain nerve. Besides, depression is one of the major symptoms of that illness as well, which is experienced by 40 to 50 percent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Such a cognitive disorder and depression should be taken seriously in terms of care for the elderly. In order to raise their quality of life and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a wide array of sociopsychological approaches are needed in addition to medical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roup reminiscence program on the cognitive ability and depression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dementia and to make a suggestion about the development of successful program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 elderly people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dementia patients hospitalized in a geriatric hospital. After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made up with eight patients respectively, a 16-session program was conducted, and then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For data handling, SPSS/PC+ 12.0 program was employed to make a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nged Ranks Test to see if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mad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two group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brought a significant change to the time orient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part of cognitive function.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cognitive scores, which indicated that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was effective in letting the dementia patients retain or improve their cognitive func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depression, but the experimental group got 19% less scores in depression after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Besides, the experimental group exposed to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showed additional positive changes, such as less problem behaviors, getting more driven and self-express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group reminiscence program served to eas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우리나라는 지난 30여년간 비약적인 경제발전과 생활수준의 개선, 의학의 발달 등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인구가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빠른 고령사회의 진입에 따라 많은 사회문제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며 그 중 하나가 만성질환자의 급증을 들 수 있다. 노인의 만성질환중 하나인 치매는 노년기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장애로서 한국의 경우 65세 이상 노인에서 약10% 정도의 경도 이상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치매는 그 치료가 불가능한 만성적인 질환으로 뇌신경 손상으로 인한 인지기능 및 기억력장애가 주 증상이며, 우울의 경우 치매 노인의 40~50%에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이다. 이러한 인지기능의 장애와 우울은 노인의 케어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며 삶의 질과 치료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치매환자에 대해 의료적 치료 이외에도 다양한 심리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회상요법이 병원에 입원중인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해 파악하고 적절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노인병원에 입원중인 치매질환자중 16명을 선정하여 실험군 8명, 대조군 8명으로 총16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평가를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pc+ 12.0 버전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 Test와 Wilcoxon Signed Ranks Test를 통해 집단회상프로그램이 노인환자들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성과 실험군과 대조군과의 그 효과성의 차이에 대해 유의미함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회상요법이 노인의 인지기능 중 시간 지남력에 유의미함을 보이며 긍정적인 변화를 살 펴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대조군의 경우 인지기능의 점수가 유의미함을 보이며 감소했는데 이는 집단회상요법이 치매질환자의 인지기능의 유지 및 증가에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 할 수 있다. 우울의 경우에는 통계적인 유의미함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개입이후 우울 점수의 19%의 우울감 감소를 보였다. 또한 참여했던 실험군에서 문제행동의 경감, 의욕적인 변화, 자기표현 등의 긍정적인 변화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해 집단회상프로그램이 치매노인들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고 인지기능을 유지하며 긍정적인 심리적 변화를 찾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집단프로그램이 사회복지사의 개입 기술로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이후에 치매 환자 뿐 아니라 심리적인 문제를 겪는 다른 노인환자들에게 개입 기술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다른 프로그램과 어떻게 다른 효과성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만 2세 학급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박경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implement measures for supporting emotional regulation of 2-year-old infants at a Wooju class and examine their effects on infants and teachers. Hence,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elps infants with regulating their emotion and suggests practical measures for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to teachers. Research topics were set as follows based on such research objectiv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measures are there to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of infants at the class for 2-year-old? 2. What effects measures to support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have on infants and teachers at the class for 2-year-ol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4 infants at the age of 2 and 2 teachers at the Wooju class of a workplace child-care center located at Seoul. Research terms ranged from the 1st, July to 19th, Dec. and an action research was done to recognize and improve problems in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t the Wooju class s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Research processes included identification of difficulties in supporting emotional regulation of Wooju class infants, 1st action plan search, 1st action, 1st action evaluation & 2nd action plan search, 2nd action, 2nd action evaluation and the final evaluation. During research terms, a field note was made based on activity photos and field sketches and data collection was done for daily child-care plans, anecdotal records, activity and environment photos, researcher journals, and teacher consultation and parent interview data. During research in addition to data collection, observer comments were made on reactions of infants, interpretations of the researcher, evaluations on a physical environment and sensory/exploratory activities and also on plans necessary. Data collected were categorized through repetitive reading and interpreted through adjusting preliminary categorie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the 1st action plan for support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included enhancing a physical environment, identifying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nfants through observation, conferring on a direction of supports among class teachers and reacting to infants' emotion effectively. The 2nd action plan contained implementing connected sensory·exploratory·physical activities and individually supporting infants having a special difficulty in emotional regulation. Secondly, infants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showed increased abilities to express their emotion adequately and get rid of negative emotion effectively through the action plan for support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Besides, their emotional exchanges with peers were increased and abilities sympathizing with emotion of others were developed. Teachers ca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s and attitudes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perceiving the effects of connected sensory·exploratory·physical activities for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Therefore, teachers could provide·operate activities for supporting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reflec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interest. It means that action plans of this study had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ies and teachers' roles and attitudes for supporting their emotional regulation. This research aimed to provide measures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so give aid to their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Through such action plans, infants at the Wooju class for 2-year-olds came to regulate their emotion using a physical environment at the class and improve their competency for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by participating in the connected sensory·exploratory·physical activities for emotional regulation spontaneously and activel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n environment in effective emotional regulation by 2-year-old infants, teachers could know that continual and systemic observ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consultation between class teachers are important to grasp and understand the class and individual infants. Also they could recognize and practice the importance of teachers' roles and attitudes as supporters for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It is expected for this study to be helpful for teachers' preparing practical supporting measures for 2-year-old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영아가 자신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고, 현장의 교사들에게 영아의 정서조절을 지원하는 실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2세 학급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2. 만 2세 학급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방안이 영아와 교사에게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직장어린이집 만 2세 우주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우주반 만 2세 영아 14명과 교사 2명이었다. 연구기간은 2016년 7월 1일부터 12월 19일까지였으며, 우주반 영아 정서조절 지원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선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과정은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에 대한 어려움 파악, 1차 실행 방안 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최종 평가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기간 동안 활동사진, 현장 약기 등을 바탕으로 현장노트를 작성하였으며 일일보육계획안, 일화 기록, 활동사진, 환경구성 사진, 연구자 저널, 교사 협의 자료, 부모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를 실행하는 동안 자료수집과 동시에 영아의 반응, 연구자의 해석, 물리적 환경 및 감각․탐색 활동에 대한 평가, 앞으로 필요한 계획 등을 관찰자 코멘트로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해서 읽으며 범주화하고, 예비범주를 조정하며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1차 실행 방안은 물리적 환경 강화하기, 관찰을 통한 개별 영아의 정서적 특성 파악 및 학급 교사 간 지원 방향 협의하기, 영아의 정서에 효과적으로 반응하기였다. 2차 실행 방안은 정서조절을 위한 감각·탐색-신체 연계활동 실행하기, 정서조절에 특별한 어려움을 보이는 영아 개별 지원하기였다. 둘째,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실행 방안을 통해 영아는 자신의 정서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증진되었으며, 부정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출하고 해소할 수 능력이 증진되었다. 또한, 또래간의 정서적 교류가 증진되었으며, 타인의 정서에 공감하는 능력이 발달하였다. 교사는 영아의 정서조절에 있어 교사의 역할 및 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영아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감각·탐색-신체 연계활동의 효과를 인식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학급 영아의 특성과 관심, 흥미를 반영한 정서조절 지원 활동을 제공·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본 연구의 실행과정을 통해 영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가 영아의 정서조절을 지원해주는 역할과 태도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의 정서조절 지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여, 영아들이 자신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이러한 실행 방안을 통해 만 2세 우주반 영아들은 학급 내 물리적 환경을 활용해 정서조절을 시도하게 되었으며, 정서조절을 위한 감각·탐색-신체 연계활동에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정서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교사는 만 2세 영아의 효과적인 정서조절에 있어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찰과 학급 교사 간의 정보 공유 및 협의가 학급 및 개별 영아를 파악하고 이해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으며, 영아의 정서조절 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 및 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장의 교사들에게 만 2세 영아의 정서조절을 지원하는 실제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공공도서관 사서의 성격 6요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박경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성격 6요인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 관계를 측정하여 도서관 조직의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성격 6요인,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개념과 이론을 고찰하고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20개 공공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 중 총179개의 표본을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향 관계에 대한 연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의 성격 6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격 6요인과 직무만족의 동기요인의 관계에서는 정직성, 성실성, 원만성, 외향성, 개방성, 정서성 모두 유의한 관계로 나타났으며 위생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원만성과 외향성이 유의한 수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도서관 사서의 성격 6요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실성, 원만성, 외향성, 개방성이 조직몰입의 정서적 몰입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범적 몰입에는 성실성과 원만성이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개방성과 정직성은 부(-)의 관계를 보이며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격 6요인과 계산적 몰입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만족의 위생요인, 동기요인 모두 조직몰입의 정서적 몰입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산적 몰입에는 동기요인만이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적 몰입에는 유의한 수준의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성격 6요인 및 직무만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업무에 따라서 성격 6요인의 외향성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성격 6요인과 직무만족의 일부 변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변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의 조직몰입을 위해서는 직무만족의 동기요인에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주관심의 대상이었던 위생요인도 조직몰입을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동기요인 만큼의 충분조건은 아니다. 둘째, 조직 및 조직관리자는 사서의 조직몰입 강화를 위해서 성실성, 개방성, 외향성, 원만성과 같은 성격들을 발굴, 강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성격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의 특성을 파악하고 업무에 고려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다루지 않은 성격 6요인을 변수로 하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는 점, 성격 6요인과 관련한 타 분야의 선행연구들이 대부분 성격 검사를 통해 성격과 직무의 적합관계를 분석하여 기존의 직무나 직종에 배치해야한다는 결론과는 다르게 조직몰입을 위하여 후천적으로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핵심 되는 말: HEXCO, 성격 6요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인적자원관리 This study set out to suggest a plan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library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XACO personality of librarians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we reviewed academic and professional literatures to understand the HEXACO personality,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concept and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rom 20 public librarie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reas. the survey data, which sample size were 179,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o prove the several developed hypothese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among the concept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we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llowing a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HEXACO personality on the job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ians. As a result, the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XACO personality and the job satisfaction motivation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atter and the following factors: Honesty-Humility, Emotionality,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Extraver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hygiene factors. Second, we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llowing a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HEXACO personalit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howed that Conscientiousness, Agreeable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affected the affective commitment asp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a positive (+)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and normative commitment, while Openness to Experience and Honesty-Humility showed a negative (-) relationship with normative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XACO personality and calculus commitment was not significant. Third, we performe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llowing a correlat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we found that both the hygiene and motivation factors of job satisfaction were influenced by the affective commitment asp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normative commitment. Fourth, a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XACO personality and the job satisfaction. There was no impact on most variable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the difference in the Extraversion of the HEXACO personality regarding current task,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XACO personality and some 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regarding gender and age. Based on the abov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would be helpful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public librarie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centrate more on the motivation 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public librarians. As the main factors of job satisfaction, hygiene factors are also necessary conditions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they are insufficient as motivation factors. Second,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al managers should identify and facilitate characteristics such as Conscientiousness, Openness to Experience,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n librarians in order to strengthe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work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se personality factors in order to adapt to work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via the HEXACO personality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Going against the most conclusions that the fit between personality and job should be analyzed and placed in existing job or occupation in prior studies related to HEXACO personality in other fields, we suggest the possibility to facilitate personality factors so as to nurture organizational commitment. Keywords: HEXACO, personality facto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